사메크
Samekh사메크 | |
---|---|
페니키아 사람 | ![]() |
히브리어 | ס |
아람어 | ![]() |
시리아어 | ܣ |
아랍어 | س, [주] |
음소 표현 | s |
알파벳순 위치 | 15 |
수치 | 60 |
페니키아인의 알파벳 파생상품 | |
그리스어 | Ξ |
키릴의 | Ѯ |
사메크(Phoenician Samek ek; 히브리 사메크 סְֶָ, Syriac semkaṯ)는 히브리 문자를 포함한 셈족 아비자드의 15번째 글자다.
Samekh는 무성 치경 마찰음 /s/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셈어 자음과 달리 /s/의 발음은 모음 사이와 음성 이전의 자음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clarification needed][citation needed]
samekh의 수치는 60이다.
역사
그 페니키아 편지 somekh'support 못,'סוֹמְכָה somkha 'armrest의,סָמוֹכָה smokha סוֹמֵךְ이 청동기 시대 alphabets에서 문자 모양도 회화 문자에 천막용 말뚝 또는 지원을 토대로, 어쩌면djed"기둥"hieroglyph[해명 필요한][1](c.f. 히브리어 뿌리 סמךs-m-kh 'support의,סֶמֶךְ semekh 'support, 휴식의, 계속될 수 있다.'stake, 지원의, indirectly s'mikhah סמיכה; Aramaic סַמְכָא samkha 'socket, base', סְמַךְ smakh 'support, help'; Syriac ܣܡܟܐ semkha 'support').
동크의 모양은 복잡한 전개를 겪는다. 고대 문자에서 세로 획은 세 개의 가로 획을 가로지르거나 아래로 그릴 수 있다. 닫힌 형태의 히브리 동크는 하스모네 시대에만 개발된다.[2]
페니키아어/팔레오헤브루 (기원전 800년) | 사마리아인 (기원전 400년 | 제국 아람어 (기원전 400년 | 히브리어 (기원전 50년) |
---|---|---|---|
![]() ![]() | ࠎ | ![]() | ![]() |
페니키아 문자는 그리스어 (III)를 낳았지만,[3] 그 이름은 또한 관련이 없는 그리스어 문자 시그마의 이름에 반영될 수도 있다.[4]
고대 그리스어 xi()의 "그리드" 모양은 초기 에트루스카나 문자(𐌎 esh)에서 채택되었지만 라틴어 알파벳에는 결코 포함되지 않았다.
시리아크 셈카트
시리아크 문자 semkaܣ ܬܬܬ는 제국 아라마어 "후크" 모양에서 1세기에 이르러 둥근 형태로 발전한다. 구 시리아크 양식은 동서양 문자 양쪽에서 연결된 필기체로 더욱 발전한다.
아람어 | 올드 시리아크 | 동양의 | 서양 |
---|---|---|---|
![]() | ![]() | ![]() | ![]() |
히브리어 사메흐
히브리어 사메크는 하스모네 중기(BC 1세기)에 폐쇄형 필기체를 개발한다. 이것은 초기 헤로디안 손에서 표준형식이 된다.[2]
직교 변형 | ||||
---|---|---|---|---|
다양한 인쇄 글꼴 | 필기체 히브리어 | 라시 각본을 뜨다 | ||
세리프 | 산세리프 | 모노 스페이스스 | ||
ס | ס | ס | ![]() | ![]() |
탈무드 전설
탈무드 전설에서 동크는 십계명의 기적이었다고 한다. 엑소더스 32장 15절은 판이 "양쪽에 쓰여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예루살렘 탈무드는 이를 비문(비문)이 판본의 두께를 모두 거쳤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글자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돌은 아옌과 테스가 나머지 타블렛과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빠졌어야 했지만 기적적으로 제자리에 남아 있었다. 바빌로니아 탈무드(Trackate Shabbat 104a)도 라브 치즈다(d. ca. 320)의 덕택으로 이 닫힌 편지들이 동크(samekh)를 포함하고 있다는 의견을 인용하고 있다.[5]
아랍어 Sīn & Nabataean Simkath
사메흐는 아랍어 알파벳에 연속체가 없으며, 그 숫자 값은 아랍어 슈n에 의해 취해진다. 그러나 아라비아 문자의 직접적인 조상인 나바태안 문자에는 심카트라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더구나 Sīn이라는 글자는 아랍어 압자디 수열의 15번째 위치에서 심카스/사메흐의 자리를 대신한다.
단어 내 위치: | 고립된 | 파이널 | 메디알 | 이니셜 |
---|---|---|---|---|
글리프 형식: (도움말) | س | ـس | ـسـ | سـ |
캐릭터 인코딩
미리보기 | ס | ܣ | ܤ | ࠎ | ||||
---|---|---|---|---|---|---|---|---|
유니코드명 | 히브리 문자 SAMEKH | SEMKATH 서신 | SYRIAC 통지서 최종 SEMKath | 사마리아 편지 싱가트 | ||||
인코딩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유니코드 | 1505 | U+05E1 | 1827 | U+0723 | 1828 | U+0724 | 2062 | U+080E |
UTF-8 | 215 161 | D7 A1 | 220 163 | DC A3 | 220 164 | DC A4 | 224 160 142 | E0 A0 8E |
숫자 문자 참조 | ס | ס | ܣ | ܣ | ܤ | ܤ | ࠎ | ࠎ |
미리보기 | 𐎒 | 𐡎 | 𐤎 | |||
---|---|---|---|---|---|---|
유니코드명 | 우가릭 문자 삼카 | 제국 아라마어 문자 SameKH | 페니키아 문자 SEMKA | |||
인코딩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유니코드 | 66450 | U+10392 | 67662 | U+1084E | 67854 | U+1090E |
UTF-8 | 240 144 142 146 | F0 90 8E 92 | 240 144 161 142 | F0 90 A1 8E | 240 144 164 142 | F0 90 A4 8E |
UTF-16 | 55296 57234 | D800 DF92 | 55298 56398 | D802 DC4E | 55298 56590 | D802 DD0E |
숫자 문자 참조 | 𐎒 | 𐎒 | 𐡎 | 𐡎 | 𐤎 | 𐤎 |
미리보기 | 𐢖 | س | ||
---|---|---|---|---|
유니코드명 | 나바태안 편지 SameKH | 아랍어 문자 확인됨 | ||
인코딩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유니코드 | 67734 | U+10896 | 1587 | U+0633 |
UTF-8 | 240 144 162 150 | F0 90 A2 96 | 216 179 | D8 B3 |
UTF-16 | 55298 56470 | D802 DC96 | 1587 | 0633 |
숫자 문자 참조 | 𐢖 | ᦖ | س | س |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사일크(편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Betro, M. C. (1996). Hieroglyphics. Abbeyville Press, NY, p. 209.
- ^ a b 프랭크 무어 크로스, 에피그라퍼의 노트에 남긴 글: 히브리어 및 서세미아어학 및 경구학 논문 수집(2018), 페이지 30.
- ^ Muss-Arnolt, W. (1892). On Semitic Words in Greek and Lati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v. 23, p. 35-15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 Jeffery, Lilian H. (1961). The local scripts of archaic Greece. Oxford: Clarendon. pp. 25–27.
- ^ 윌리엄 데이비드슨 탈무드, 샤바트 104a.
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