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 보르웰
Sarah Borwell![]() | |
풀네임 | 사라 리아 보르웰 |
---|---|
나라(스포츠) | ![]() ![]() |
거주지 | 미들즈브러, 영국 |
태어난 | 미들즈브러 | 1979년 8월 20일
프로로 전향했다. | 2002 |
은퇴한 | 2013년 10월 1일 |
플레이스 | 오른손(양손 백핸드) |
상금 | $262,551 |
싱글스 | |
경력기록 | 159–157 |
경력직명 | 3 ITF |
최고 순위 | 199(2006년 7월 10일) |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 |
프렌치 오픈 | Q1(2007) |
윔블던 | 2R(2006) |
US 오픈 | Q1(2006) |
복식 | |
경력기록 | 128–166 |
경력직명 | 8 ITF |
최고 순위 | 65(2010년 8월 9일) |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2R(2010) |
프렌치 오픈 | 1R (2009, 2010) |
윔블던 | 1R(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
US 오픈 | 1R (2009) |
메달 기록 | ||
---|---|---|
테니스 | ||
영국을 대표하는 | ||
영연방 경기 대회 | ||
![]() | 2010년 델리 | 남녀 혼합 복식 |
사라 레아 보르웰(Sarah Leah Borwell, 1979년 8월 20일생)은 복식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전 잉글랜드 프로 테니스 선수다. 그녀는 복식에서 영국 1위였다. 통산 최고 복식 랭킹은 2010년 8월 9일 65위, 통산 최고 복식 랭킹은 2006년 7월 10일 달성한 199위다.
초년기
보르웰은 미들즈브러에서 태어났다.[1] 조나단 우드게이트와 리암 플런켓이 동급생이었던 [1]넌소프 스쿨에 다녔고, 2년제 수업이 있는 더 애비뉴 초등학교에서 1년 후배인 우드게이트와 수업과 학교 축구팀까지 함께 했다. 그녀는 학교 남자 축구팀의 정규 선수로, 그녀 자신의 팀을 잡고 팀에서 그녀의 자리를 차지할 자격이 있는 것 이상했다.[2] 그리고 기즈버러에 있는 퍼스글로브 대학(Prior Pursglove College)을 졸업했다.[1] 그녀는 휴스턴 대학교에서 테니스 장학금을 받았고, 그녀는 NCAA에서[3] 최고 8위에 랭크되었고 경영학 학위를 마쳤다.[2]
아버지는 애스턴 빌라 FC의 스카우트,[2] 어머니는 미니 테니스를 지도하고 학교 스포츠 감독관을 맡고 있다.[1]
경력
2002
보르웰은 2002년 8월 영국 배스에서 열린 ITF 토너먼트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그해 4개 대회를 더 뛰며 2개 대회(두 대회 모두 클레이코트)의 준준결승에 올랐다. 보르웰이 세계 744위에 오른 가운데 시즌이 끝났다.[4]
2003
그녀는 2003년 1월에 8강전에서 또 한 번 패하면서 시작되었고 두 달 후에 ITF 토너먼트 결승전에 첫 출전하여 호주인 리사 맥시아에게 6–1, 6–4로 연속 세트에서 졌다. 그녀는 버밍엄에서 열린 Tier III DFS Classic에서 WTA 투어에 데뷔하기 전, ITF 종목에서 준결승 1패와 8강 1패를 기록했다. 그녀는 젊은 미래 세계 1위 마리아 샤라포바의 손에 이끌려 예선 1차전에서 패배를 맛봤다. 보르웰은 이어 홈 그랜드슬램 윔블던 예선전에 와일드카드를 받아 1라운드에서 아르헨티나 기셀라 둘코에게 연달아 패했다. 그녀는 남은 한 해를 ITF 서킷에서 보냈고, 두 번의 4강 진출(예선 1회)을 더 했다. 그녀는 2003년 349위를 기록했다.[4]
2004
2004년은 보웰에게 1, 2라운드 패배의 해였다. 그녀는 1년 내내 ITF 서킷에서 뛰며 8강 1개, 4강 1개(예선전과는 달리)에 그쳤고, 이로써 연말 순위는 68계단 떨어진 417위에 머물렀다.[4]
2005
시즌 두 번째 ITF 토너먼트에서 8강, 세 번째 대회에서 준결승에 오르는 등 2005년까지 더욱 유망한 출발을 보였다. 그녀는 Tier III DFS Classic 예선전에 다시 와일드카드를 받을 때까지 ITF 서킷에서 다시 뛰었다. 3세트 타이트한 세트에서 16번 시드 수니타 라오를 따돌리고 간신히 전년도 대회 출전 때보다 한 계단 나아간 데 이어 일본의 8번 시드 후지와라 리카에게 패했다. 또 다른 와일드카드가 뒤따랐지만 이번에는 윔블던의 주 무승부로 1라운드에서 상대는 미국인 셰나이 페리였다. 1세트 타이브레이크(결국 11-13패)에서 용맹스러운 활약에도 불구하고 2세트 만에 패했다. 그녀의 남은 1년은 ITF 토너먼트를 하면서 보냈고, 그녀는 한 번의 8강에 올랐다. 하지만 그녀는 11월에 캐나다 퀘벡시에서 열린 Tier III Bell Challenge에 참가하기 위해 자신보다 순위가 높은 두 명의 여성을 물리쳤다. 그녀는 1라운드에서 핀란드의 엠마 레인에게 졌다. 2005년은 보르웰이 331위를 차지하며 막을 내렸다.[4]
2006
2006년 2월 보웰은 인도에서 열린 Tier III 대회인 뱅갈로어 오픈에 출전하려고 시도했다. 그녀는 Akgul Amanmuradova에게 2–6, 1–6으로 패했다. 3월 보웰은 ITF Sunderland에서 준결승에 올랐다가 Gaelle Widmer에게 1–6, 3–6으로 졌다. 이것은 셰필드에서의 그녀의 첫 번째 우승에 이어 곧바로 그녀는 결승전에 진출하는 동안 단 한 세트도 떨어뜨리지 않았고, 그녀는 나르다 로마를 3세츠로 물리쳤다. 마드라스에서 열린 ITF 토너먼트에서 앤 케오타봉에게 8강전 패배에 앞서 1라운드 2연패가 이어졌다. 메이 총리는 1세트를 요네무라 도모코에게 7-5로 완패한 뒤 은퇴할 수밖에 없었던 나가노에서 보르웰의 또 다른 ITF 최종 출전을 보았다. 보르웰은 6월 버밍엄에서 열린 DFS 클래식에 와일드카드를 받고 동료 브리튼 멜라니 남부를 3세트 만에 꺾은 뒤 WTA 대회 본선 무승부에서 첫 승을 거뒀다. 제이미 잭슨이 2라운드에서 그녀를 이겼다. 와일드카드가 2회 연속 뒤를 이었고, 1회째인 이스트본에서 열린 국제여자오픈(그녀는 1회전을 통과하지 못했다) 본선 무승부, 2회째인 윔블던 본선 무승부. 그녀는 세계 66위 마르타 도마초스카와의 1라운드 경기에서 6-3, 6-7, 6-4로 승리함으로써 한국에서 충격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세계랭킹 1위 아나 이바노비치(미국)는 1-6, 2-6으로 패했다. 보르웰은 윔블던에 이어 그해 ITF 1개 대회 8강까지 올라 스테파니 코헨 알로로에게 US오픈 예선 1차전에서 패했다. 그녀의 랭킹은 올 시즌 말에 218위였다.[4]
2007
2007년 1월부터 6월까지 보웰은 ITF 서킷에서 뛰었다. 그녀는 이번 대회에서 3강에 올랐다 그 후 그녀는 프랑스 오픈 예선 대회에 참가하여 스테파니 두부아에게 패했다. 그녀는 DFS 클래식, 국제여자오픈, 윔블던 예선전에서 패한 뒤 펠릭스스토우에서 열린 ITF 토너먼트 8강에 올랐다. 그녀의 다음 대회는 또 다른 ITF 대회였는데, 이 대회는 그녀가 결승전에서 브리트 제이드 커티스를 6–4, 1–6, 6–3으로 물리친 대회였다. 그녀의 생애 두 번째 ITF 타이틀. 이것은 그녀가 3회 연속 WTA 토너먼트 예선전에서 패배하기 전에 ITF 토너먼트에서 8강 진출에 이은 것이었다. ITF 종목에서 8강전을 한 번 더 치른 결과 2007년 그녀의 성적은 반토막 났다. 그녀는 264위로 한 해를 마쳤다.[4]
2008
보르웰은 2008년 대부분을 ITF 서킷에서 뛰며 3월 디종과 배스에서 2회 연속 결승에 진출했다. 그녀는 올가 브루즈다에게 1위를 빼앗겼고 스테파니 봉수누니를 물리침으로써 2위를 차지했다. 7월에 그녀는 펠릭스스토웨 토너먼트에서 ITF 시즌의 유일한 단식 결승전에 진출하여 뉴자 실바에게 3-6, 2-6으로 패했다. 그해 WTA투어 출전은 DFS클래식, 뱅카코퍼 슬로베니아 오픈, 노르데아 노르딕 라이트 오픈, 벨 챌린지 등 4차례의 패배를 맛봤다. 보르웰은 윔블던 예선전에서 야로슬라바 슈베도바에게 6–4, 6–7, 6–4로 패하며 와일드카드를 받았다. 11월에 보웰은 싱글 경기를 중단하고 복식 전문가가 되기로 결정했다.[4]
2009–2010
복식 랭킹이 높은 그녀는 예선 없이 많은 WTA 토너먼트의 주 무승부에 들어갈 수 있다. 그녀는 ASB Classic, Hobart International, Abierto Mexicano Telcel, Monterrey Open의 4개 국제 대회에서 8강에 올랐다. 그녀는 또한 Bad Gastein에서 열린 메인 투어 대회 준결승에 진출했다. 2010년 보르웰은 미국의 라켈 콥스존스와 풀타임으로 팀을 이루었다. 지금까지, 그들은 세 번의 8강전을 치렀지만, 그들의 하이라이트는 폰테 베드라 비치와 스탠포드에서의 WTA 경기에서 준결승전이었다.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모두 보르웰과 콥스 존스에게 좌절감을 주는 경험이었다. 비록 두 대회 사이에 끼어있었지만, 그들은 노팅엄에서 ITF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들은 두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모두 1라운드 패배를 당했다. 프랑스전에서 그들은 최후의 결승전 진출자인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크바타 페슈케와 맞붙어 6-0, 6-1로 완패했다. 윔블던에서 그들은 5번 시드의 리젤 휴버와 베사니 마테크-샌즈를 상대로 수준 높은 경기를 펼쳤다. 그들은 첫 번째 두 개의 중앙 코트를 치렀고, 나쁜 빛 때문에 다음날 경기는 한 세트 만에 재개되었다. 이 경기에서 휴버와 마테크가 7 대 5로 이겼다. 그러나 보르웰은 혼합복식에서 콜린 플레밍과 한 라운드에서 우승한 뒤 2라운드에서 톱시드 네나드 지몬지치와 샘 스토수르에게 패했다.
7월에 보르웰은 마르티나 힝기스, 스코빌 젠킨스와 팀을 이뤄 세계 팀테니스 챔피언십에서 뉴욕 버즈 팀을 구성했다. 비록 그들이 고전하고 가장 덜 성공한 팀이었지만, 보웰과 젠킨스는 존 맥켄로와 킴 클라이스터스를 상대로 매우 인상적인 혼합 복식의 성공을 기록했다.
웨스트 클래식 뱅크 오브 더 웨스트 클래식 보웰과 존스는 리사 레이먼드와 렌네 스터브스를 6-0, 4–6, [12–10]으로 꺾으면서 1라운드에서 큰 반전을 일으켰다. 보르웰은 우승에 대해 '우리는 그럴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5] 보르웰은 보르웰이 릴리아 오스테를루와 리자 잘라메다에게 10-6으로 동점골을 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승리가 1라운드 승리보다 이번 승리가 더 중요하다고 보르웰은 이번 승리가 그들의 1라운드 승리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6] 보웰이 그 경기에서 받은 머리에 맞은 타격은 그녀가 약 한 달 동안 활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뇌출혈로 밝혀져 그녀가 US 오픈을 놓치게 만들었다.
보르웰은 델리에서 열린 커먼웰스 게임에서 여자복식과 혼합복식에서 모두 잉글랜드와 경쟁하면서 다시 경기에 나섰다. 안나 스미스와 켄 스킵스키는 각각의 파트너였다. 보르웰과 스미스는 2번 시드를 받았지만 4분기 연속 결승전에서 패한 랭킹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보르웰과 스킵스키가 잘 어우러져 결국 스미스와 파트너인 로스 허친스를 물리치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1–2012
2011년 보르웰은 호주오픈과 윔블던선수권대회 모두 1라운드에 올랐으나 모두 패했다.
ITF 결승전
싱글: 7(3–4)
레전설 |
---|
5만 달러 토너먼트 |
$25,000 토너먼트 |
1만 달러 토너먼트 |
결과 | 아니요. | 날짜 | 토너먼트 | 표면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1. | 2003년 3월 30일 | ITF 앨버리, 오스트레일리아 | 잔디 | ![]() | 1–6, 4–6 |
위너 | 1. | 2006년 3월 19일 | ITF 셰필드, 영국 | 하드(i) | ![]() | 4–6, 6–1, 6–4 |
준우승 | 2. | 2006년 5월 28일 | ITF 나가노, 일본 | 카펫 | ![]() | 7 대 5로, 리트. |
위너 | 2. | 2007년 7월 21일 | ITF 프리튼, 영국 | 잔디 | ![]() | 6–4, 1–6, 6–3 |
준우승 | 3. | 2008년 3월 16일 | 프랑스 ITF 디종 | 하드(i) | ![]() | 5–7, 6–4, 4–6 |
위너 | 3. | 2008년 3월 23일 | ITF 배스, 영국 | 하드(i) | ![]() | 6–4, 7–6(7–5) |
준우승 | 4. | 2008년 7월 13일 | ITF 펠릭스스토우, 영국 | 잔디 | ![]() | 3–6, 2–6 |
복식: 13(8–5)
레전설 |
---|
$10,000 토너먼트 |
7만 5천 달러 토너먼트 |
5만 달러 토너먼트 |
$25,000 토너먼트 |
1만 달러 토너먼트 |
결과 | 아니요. | 날짜 | 토너먼트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준우승 | 1. | 2003년 3월 30일 | ITF 앨버리, 오스트레일리아 | 잔디 | ![]() | ![]() ![]() | 1–6, 5–7 |
위너 | 1. | 2004년 10월 24일 | ITF 볼턴, 영국 | 딱딱한 | ![]() | ![]() ![]() | 7–5, 1–6, 6–2 |
위너 | 2. | 2005년 8월 7일 | 캐나다 ITF 밴쿠버 | 딱딱한 | ![]() | ![]() ![]() | 6–4, 3–6, 7–6(7–0) |
준우승 | 2. | 2006년 7월 15일 | ITF 펠릭스스토우, 영국 | 잔디 | ![]() | ![]() ![]() | 2–6, 4–6 |
위너 | 3. | 2007년 11월 9일 | ITF 포트피리, 오스트레일리아 | 딱딱한 | ![]() | ![]() ![]() | 6–2, 6–2 |
위너 | 4. | 2008년 2월 22일 | ITF 카프리올로, 이탈리아 | 카펫 (i) | ![]() | ![]() ![]() | 7–6(9–7), 6–4 |
준우승 | 3. | 2008년 3월 22일 | ITF 배스, 영국 | 딱딱한 | ![]() | ![]() ![]() | 1–6, 7–5, [1–10] |
위너 | 5. | 2008년 5월 10일 | ITF 이라푸아토, 멕시코 | 딱딱한 | ![]() | ![]() ![]() | 6–4, 3–6, [10–4] |
준우승 | 4. | 2008년 6월 6일 | ITF 서비턴, 영국 | 잔디 | ![]() | ![]() ![]() | 6–7(2–7), 2–6 |
위너 | 6. | 2008년 7월 12일 | ITF 펠릭스스토우, 영국 | 잔디 | ![]() | ![]() ![]() | 7–5, 6–3 |
준우승 | 5. | 2008년 9월 28일 | ITF 슈러즈베리, 영국 | 딱딱한 | ![]() | ![]() ![]() | 6–7(6–8), 4–6 |
위너 | 7. | 2008년 11월 23일 | ITF 오덴세, 덴마크 | 카펫 (i) | ![]() | ![]() ![]() | 6–4, 6–4 |
위너 | 8. | 2010년 5월 31일 | ITF 노팅엄, 영국 | 잔디 | ![]() | ![]() ![]() | 6–3, 2–6, [10–7] |
성능 타임라인
W | F | SF | QF | #R | RR | Q# | DNQ | A | NH |
싱글스
토너먼트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커리어 W-L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A | A | A | A | A | A | 0–0 |
프렌치 오픈 | A | A | A | A | Q1 | A | 0–0 |
윔블던 | Q1 | A | 1R | 2R | Q2 | Q1 | 1–2 |
US 오픈 | A | A | A | Q1 | A | A | 0–0 |
연말순위 | 349 | 417 | 331 | 218 | 264 | 363 | 1–2 |
복식
토너먼트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커리어 W-L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2R | 1R | 1–2 |
프렌치 오픈 | A | A | A | A | A | A | 1R | 1R | A | 0–2 |
윔블던 | 1R | 1R | 1R | 1R | 1R | 1R | 1R | 1R | 1R | 0–9 |
US 오픈 | A | A | A | A | A | A | 1R | A | A | 0–1 |
연말순위 | 556 | 441 | 343 | 244 | 482 | 123 | 78 | 69 | 325 | 1–14 |
남녀 혼합 복식
토너먼트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경력상실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A | 0–0 |
프렌치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A | 0–0 |
윔블던 | 1R | A | A | A | 1R | 1R | 2R | 2R | 2–5 |
US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A | 0–0 |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그룹 I | ||||||||
날짜 | 장소 | 표면 | 둥글다 | 반대자 | 결승전 점수 | 매치 | 상대 | 고무점수 |
---|---|---|---|---|---|---|---|---|
2월 4일-7일 2009 | 탈린 | 하드(i) | RR | ![]() | 3–0 | 복식 (멜라니 남부 포함) | 마로시/사베이 | 6–4, 6–3(W) |
![]() | 3–0 | 복식 (앤 케오타봉과 함께) | 티젠/원 | 6–4, 6–0(W) | ||||
![]() | 3–0 | 복식 (멜라니 남부 포함) | 미넬라/틸 | w/o (W) | ||||
PO (프로모션) | ![]() | 1–2 | 복식 (앤 케오타봉과 함께) | 얀스이냐시크/로솔스카 | 5–7, 3–6 (L) | |||
2월 3일-6일 2010 | 리스본 | 하드(i) | RR | ![]() | 3–0 | 복식 (엘레나 발타차 포함) | 후사리치/마르티노비치 | 6–3, 6–2 (W) |
![]() | 0–3 | 복식 (앤 케오타봉과 함께) | 메이어클라이트너/뮤스버거 | 4–6, 4–6 (L) | ||||
![]() | 2–1 | 복식 (엘레나 발타차 포함) | 고보르트소바/푸체크 | 3–6, 7–5, 6–2 (W) | ||||
PO (5~8위) | ![]() | 1–2 | 복식 (Katie O'Brien과 함께) | 호겐캄프/티젠 | 2–6, 4–6 (L) |
참조
- ^ a b c d "Sarah Borwell". Top Player Profiles. L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08. Retrieved 18 July 2008.
- ^ a b c Goodhart, Benjie (20 June 2008). "Grounded Borwell still enjoying the ride". guardian.co.uk.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Retrieved 18 July 2008.
- ^ "Sarah Borwell". Borwell Ranked Top 10 Nationally. uhcougars.com. Retrieved 20 July 2014.
- ^ a b c d e f g "Singles Results – Sarah Borwell". sonyericssonwtatou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February 2009.
- ^ "Sarah Borwell & Raquel Kops-Jones stun top seeds". BBC Sport. 27 July 2010. Retrieved 30 July 2010.
- ^ "Sarah Borwell and Raquel Kops-Jones reach semi-final". BBC Sport. 30 July 2010. Retrieved 30 July 201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사라 보웰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