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틴 스티치
Satin stitch바느질이나 자수에서 새틴 바느질이나 다마스크 바느질이란 일련의 납작한 바느질로서, 배경 천의 한 부분을 완전히 덮는 데 사용된다.[1] 표준 재봉틀에서는 지그재그 스티치나 특수 새틴 스티치 발을 이용해 좁은 줄의 새틴 스티치를 실행할 수 있다.
부드러운 가장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윤곽을 포함한 전체 모양을 새틴 스티치로 덮기 전에 등, 분할 또는 체인 스티치로 형상을 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기계로 만든 새틴 스티치는 지면의 직물에 윤곽을 드러내고 응용 프로그램을 붙이는 데 종종 사용된다.[2]
변형
새틴 스티치의 변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부르동 스티치 - 일반적으로 모노그램과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촘촘한 간격의 장식 스티치.[3][4]
- 벽돌 스티치. 새틴을 번갈아 가며 꿰매면 길이가 절반으로 상쇄된다. 여러 가지 관련 색상으로 작업한 벽돌 스티치는 계단식 음영을 허용한다.(브릭 스티치는 구슬공법의 명칭이기도 하다.)
- 잠식 새틴 스티치, 앞줄의 실밥 하단 사이에 각 줄의 윗부분이 설정된다.
- 미세한 음영에 사용되는 긴 바느질 및 짧은 바느질; 첫 번째 줄의 새틴 바느질에서 다른 바느질 하나하나가 이웃의 절반 길이다. 관련 색상의 후속 행은 모두 길이가 같다.[5]
- 패딩 처리된 새틴 스티치. 모양은 일련의 작은 런닝 실밥으로 채워지고 그 다음 새틴 실밥으로 덮인다.[6]
나사산
새틴 스티치는 자수 실로 자주 만들어지는데, 일반 봉제 실보다 꼬임이 적다. 이것은 개별 실의 필라멘트가 합쳐지면서 더 균일한 효과를 준다.
좋은 바느질 실이 허용 가능한 새틴 스티치를 만들어내지만, 질 낮은 실밥은 대개 똑바로 앉지 않고, 고르지 못한 결과를 낳는다. 각 실의 색깔은 대개 중요하지 않다.
스티치 갤러리
참고 항목
메모들
- ^ 판독기의 다이제스트 완료 가이드(바늘 작업 가이드) 독자 다이제스트 협회 (1992년 3월) ISBN0-89577-059-8, 페이지 48
- ^ 니들워크에 대한 전체 가이드 196-197
- ^ Maitra, K. K. (2007). Encyclopaedic Dictionary of Clothing and Textiles. Mittal Publishing. p. 44. ISBN 9788183242059.
- ^ Duss, Martena; Sissi Holleis (2011). Sweat Shop Paris: Lessons in Couture from the Sewing Cafe. Andrews McMeel Publishing. p. 158. ISBN 9781449408404.
- ^ 크리스티, 그레이스 (아치발트 부인) : 자수와 태피스트리 위빙, 런던, 존 호그, 1912, 5장
- ^ 니들워크에 대한 전체 가이드, 페이지 49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새틴 스티치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콜필드, S.F.A., B. Saward, The Dictionary of Needlework, 1885년.
- 크리스티, 그레이스(아치발트 H. 부인): 자수와 태피스트리 위빙, 런던, 존 호그, 1912; 프로젝트 구텐베르크의 e-텍스트
- 리더스 다이제스트. Needlework에 대한 전체 가이드. 독자 다이제스트 협회 (1992년 3월) ISBN 0-89577-0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