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더하미샤라

Seder ha-Mishmarah

세데르 하 미슈마라(Seder ha-Mishmarah)는 벤 이시스 쟈이가 고안하고 일부 미즈라히 유대인(근동·중동 출신 유대인)이 히브리 성경 전체미슈나(Misshnah)를 1년 만에 읽는 데 사용하는 연구 사이클이다.그것은 회당에서 읽은 매주 토라 부분의 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지역사회는 대중 독서의 관습을 가지고 있는데, 샤브밧의 오후마다 이어지는 샤브밧의 모든 불상사가 소리내어 읽힌다.다른 사람들은, 개인들이 그것을 사교육의 기초로 사용한다.일반적인 사이클의 형태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

주간 토라 부분 네비임 케투빔 미슈나
베레싯 장군 1:1–6:8 조슈아 1-11 시편 1-11 자기가 [1]
노아제, 6:9–11:32 장군 조슈아 12-19 시편 12-20편 긴림 [2]
레흐 레카 장군, 12:1–17:27 조슈아 20-엔드 시편 21~34편 마아세롯[3] 마아세르 셰니[4]
바예라, 18:1–22:24 심판 1-11 시편 35-42 페아 [5]
23장 1–25장 18절 심판 12-end 시편 43-51 키두신 [6]
톨레도트, 25:19–28:9 장군 I Samuel 1-8 시편 52-65편 베라코트 [7]
바예체, 28:10–32:3 장군 I 사무엘 9-13 시편 66-73 케투봇 [8]
바이샤라프, 32:4–36:43 장군 I Samuel 14-25 시편 74-79 모에드 카탄[9]호레이엇[10]
바예셰프, 37:1–40:23 장군 I Samuel 26-end, II Samuel 1-7 시편 80-90편 예바못 [11]
미케츠, 41:1–44:17 장군 사무엘 8-18 시편 91-106 미크바오트 [12]
바이가시, 44:18–47:27 사무엘 19-엔드 시편 107-119 켈림 [13]
바예지, 젠 47:28–50:26 I 킹스 1-6 시편 120-136편 벡호롯 [14]
셰모트, 전 1:1–6:1 I 킹스 7-10 시편 137–150 타아닛[15]메길라[16]
바에라,6:2–9:35 I 킹스 11-19 1-6 막코트 [17]
, 10:1–13:16 I Kings 20 to II Kings 5 7-12 네가임 [18]
베스할라슈, 전 13:17–17:16 II 킹스 6-12 13-20 에루빈 [19]
이트로, 전 18:1–20:23 II 킹스 13-18 21-25 [20] 및 [21] 아보다 사라
미쉬파팀, 전 21:1–24:18 II 킹스 19-엔드 26-28 바바 캄마 [22]
테루마, 엑스포 25:1-27:19 예레미야 1-8 29-38 미드닷 [23]
테자베, 전 27:20–30:10 예레미야 9-17 잡 39-엔드 테불 염 [24]
키 티사, 전 30:11–34:35 예레미야 18-31 에스더 1-엔드 셰칼림 [25]
바야켈, 전 35:1–38:20 예레미야 32-37 송의 노래 1-끝 샤브밭 [26]
페쿠데, 전 38:21–40:38 예레미야 38-48 속담 1-6 토호롯[27]야다[28]
바이크라, 레브 1:1-5:26 예레미야 49-엔드 속담 7-12 제바심 [29]
츠자브, 레위 6:1-8:36 에스겔 1-9 속담 13-17 메나쇼트 [30]
세미니, 레프 9:1–11:47 에스겔 10-17 속담 18-22 술린 [31]
타즈리아, 레위 12:1–13:59 에스겔 18-22 속담 23-27 니다 [32]
메조라, 레프. 14:1–15:33 이즈키엘 23-27 속담 28~30 자빔 [33]
아자레 모트, 레브 16:1–18:30 에스겔 28-30 속담 31-끝 케리토트 [34]
게도심, 레위 19:1-20:27 에스겔 31-40 다니엘 1-3 오르라 [35]
에모르, 레위 21:1–24:23 에스겔 41-43 대니얼 4 베차[36]요마[37]
베하르, 레위 25:1-26:2 에스겔 44-46 다니엘 7-8 셰비잇 [38]
베죽코타이, 레위 26:3–27:34 에스겔 47-엔드 대니얼 9-엔드 아라킨 [39]
베미드바, 번호 1:1–4:20 이사야 1-5 에즈라 1-5 막시린 [40]
나소, 숫자 4:21–7:89 이사야 6-9 루스 1-엔드 나치르 [41]소타 [42]
베하알로테차, 8:1–12:16 이사야 10-13 에즈라 6-엔드 타미드 [43]
셀라우 레카, 번호 13:1–15:41 이사야 14-20 네헤미야 1-5 얄라 [44]
코라슈, 16:1–18:32 이사야 21-24 네헤미야 6-엔드 테루못 [45]
uk카트, 번호 19:1–22:1 이사야 25-29 I 크로니클스 1-5 파라 [46]
발락, 22:2–25:9 이사야 30-33 I 크로니클스 6-11 오홀롯 [47]
피냐스, 숫자 25:10–30:1 이사야 34-40 I 크로니클스 12-17 바바 바트라 [48]
마돗, 숫자 30:2–32:42 이사야 41-44 I 크로니클스 18-23 네다림 [49]
미사, 33:1–36:13 이사야 45-49 I 크로니클레스 24-엔드 에듀요트 [50]
데바림, 더트. 1:1–3:22 이사야 50-58 한탄 1-끝 바바 메치아 [51]
베트한난, 듀트.3:23–7:11 이사야 59-엔드 II 크로니클스 1-4 셰부오트 [52]
에케프, 더트. 7:12–11:25 호사 1-6 II 크로니클스 5-8 킬아임 [53]
레, 더트. 11:26–16:17 호사 7-12 II 크로니클스 9-14 페사힘 [54], 로시 하사 [55], 수카 [56]
쇼페팀, 더트 16:18–21:9 호세아 13-엔드 II 크로니클 15-24 산헤드린 [57]
키 테체, 더트 21:10–25:19 조엘 1-엔드 및 아모스 1-엔드 II 크로니클스 25-27 기틴 [58]
기 타보, 더트 26:1–29:8 오바디야 1-엔드, 요나 1-엔드, 미카 1-엔드 II 크로니클스 28-34 비쿠림 [59]
니차빔, 더트. 29:9–30:20 나금 1-엔드, 하박국 1-엔드, 스파냐 1-엔드, 하가이 1-엔드 II 크로니클스 35-엔드 메일라 [60]
바일렉, 더트 31:1–31:30 스가랴 1-11 에클레시아스테스 1-5 데마이 [61]
더트, 하치누 32:1-32:52 스가랴 12-끝 에클레시아스테스 6-9 우크진 [62]
베조트 하베라하, 더트. 33:1–34:12 말라치 1-엔드 에클레시아스테스 10-엔드 테무라 [63]

이 주기는 랍비 하임조셉 바이탈의 작품을 바탕으로 하고 랍비 차임 조셉 데이비드 아줄라이가 수정한 연구 주기인 쵸크라이이스라엘의 그것과는 무관하다.이 역시 책 형태로 출판되는 경우가 많고 근동 유대인과 중동 유대인들 사이에서 널리 인기가 있다.둘 사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Seder ha-Mishmarah는 Targum이나 Torah 부분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Chok l'Yisrael은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한다.
  • Chok l'Yisrael은 Nevi'im, Ketuvim 또는 Misshnah 전체를 포함하지 않으며, 발췌문을 연중 연속적인 순서로 제시하지 않는다.
  • Chok l'Yisrael은 또한 탈무드, 조하르, 유대인 법과 도덕의 저작물에서 발췌한 것을 포함한다.
  • Chok l'Yesrael은 주간 독서보다는 매일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기타 용도

미쉬나어 히브리어에서 미쉬마라(또는 미쉬메레트)는 "시계"를 의미하는데, 즉 밤의 분열(보통 3분의 1)을 말한다.템플 타임즈에서, 불상사는 또한 주례를 맡을 차례인 사제단을 가리켰다.

위에서 설명한 연구 사이클 외에도, 미쉬마라라는 용어는 결혼식이나 브릿밀라와 같은 축제에 앞서 야행성 기도나 스터디 세션이나 호사나 랍바와 같은 축제나 죽음 뒤에 오는 것을 일컫는다.이러한 용법은 밤중에 시계로서 위와 같은 뜻에서 유래했거나 시체를 감시하는 관습에서 유래되었다.그러나 민간 어원에 의해 이 단어는 때때로 연구된 문헌을 가리키기 위해 "미슈나"와 "게마라"의 포트만토로 해석되기도 한다.[1]

참고 항목

외부 링크 및 참조

내주

참조 및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