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지와 아이들
Seo Taiji and Boys서태지와 아이들 | |
---|---|
![]() 1990년대 초반의 서태지와 아이들.왼쪽부터: 양현석, 서태지, 이준오. | |
배경 정보 | |
기원. | 한국, 서울 |
장르 | |
액티브 년수 | 1992년 1996년 |
라벨 |
|
과거 멤버 | 서태지 양현석 이주노 |
한국이름 | |
한글 | 서태지와 아이들 |
---|---|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 | 서태지와 아이둘 |
맥쿤-라이샤우어 | 서태지와 에이델 |
서태지와 아이들(So Taiji and Boys)은 1992년부터 1996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보이 밴드의 세 멤버인 서태지, 양현석, 이주노는 많은 다른 장르의 서양 [1]음악을 실험했다.서태지와 아이들은 매우 성공적이었고 윤리와 검열 [2][3]위원회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한국 대중음악에 랩을 사용하고 사회비판을 활용함으로써 한국 음악 산업을 변화시킨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밴드는 1992년과 [4]1993년 서울가요대상에서 대상을 받았다.1996년 4월, 빌보드는 이 밴드의 첫 세 개의 앨범이 각각 160만 장 이상 팔렸고, 네 번째 앨범은 거의 200만 [5]장 가까이 팔렸으며, 네 번째 앨범은 모두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가 되었다고 보고했다.
역사
1991년 헤비메탈 밴드 시나위가 해체된 후, 서태지는 기어를 바꾸고 댄서이자 보조 보컬인 양현석과 이준오와 함께 서태지와 소년 그룹을 결성했다.양씨는 서태지가 춤을 배우러 왔을 때 처음 만났다고 말했다.그의 음악에 "감동"한 양씨는 그룹에 합류하겠다고 제안했고, 그들은 나중에 한국 최고의 댄서 중 한 명인 이씨를 영입하여 "감동"[6]한 음악에 대한 그의 권리는 높이 평가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백그라운드 댄서로 합류시켰다.서태지는 1990년대 초 국내 최초로 MIDI 기술을 접해 대중들에게 들리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음악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MIDI 사운드를 실험하기 시작했다.그는 처음에 댄스/팝 보이 그룹으로 데뷔할 계획이 없었고, 서태지와 소년들의 주류 성공은 놀라웠다.
1992년: "I Know"
이 3인방은 1992년 4월 11일 MBC 장기자랑에서 그들의 노래 "난아라요"로 데뷔하였고 [7]심사위원들로부터 최저 평점을 받았다.하지만, MTV 이기(Iggy)에 따르면, 이 노래와 그들의 자칭 데뷔 앨범은 매우 성공적이어서 "K-pop" 음악은 다시는 [8]예전 같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최초의 한국 랩 [9]곡 중 하나인 "난아라요"는 큰 [10]성공을 거두었다. 새로운 잭 스윙에서 영감을 받은 비트, 신나는 랩 구절, 새로운 춤 동작에 초점을 맞춘 팝 스타일의 합창곡은 한국 관객들을 [8][9]열광시켰다.테크노트로닉의 '펌프 업 더 잼'과 스냅의 '더 파워'[11]의 뮤직비디오에 영향을 받은 '난아라요'의 뮤직비디오는 다양한 색채도와 채도 키 편집이 특징이며 댄서들의 신체 각도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이 그룹은 발매 [11]한 달 만에 150만 장 이상의 앨범을 팔았고,[12]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2년 "난아라요"로 골든 디스크 상을 받았다.스핀은 2012년 역사상 [13]가장 위대한 K-Pop 노래 21곡에서 "난아라요"를 4위로 선정하였다.2015년 롤링 스톤은 그것을 [14]역사상 가장 위대한 보이 밴드 노래 50곡 중 36위로 선정하였다."난아라요"는 또한 K-pop에서 랩의 인기를 확립하고 한국 발라드 스타일에 랩, 록,[9] 테크노를 혼합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1993년 : 하이어가
그들의 1993년 2집 앨범은 다른 국면을 맞이했다.대부분 댄스 앨범으로 남아있지만, "하이어가"와 같은 몇몇 곡들은 이중 리드 관악기인 태평소와 선율 [3]구조를 통해 헤비메탈과 한국 전통 민속 음악의 요소를 결합했다.노래 중간 기타 솔로가 성경의 '첫 스트라이크가 치명적'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일었던 가운데 솔로 기타리스트 이태섭은 인터뷰에서[15][16] 솔로의 아르페지오들이 저작권이 없던 스칸디나비아 민요를 재해석했다고 언급했다."하이어가"는 그들에게 두 번째 골든 디스크 [12]상을 안겨주었다.더구나 앨범 홍보 과정에서 귀걸이를 하고 청바지를 찢고 레게, 저항운동, 사회규범 거부 등과 관련된 윤리위원회(95년 밝게 염색한 긴머리)의 출연이 금지됐다.이는 [3][17][18]서태지와 아이들을 둘러싼 수많은 논란 중 첫 번째였다.이 밴드의 두 번째 앨범은 한국 역사상 최초의 '더블 밀리언셀러' 앨범이 되었다.
1994년 '교실 아이디어'
세 번째 앨범은 좀 더 헤비메탈과 록 스타일로 바뀌었다.댄스곡은 남북 통일의 희망을 나타내는 얼터너티브 록곡인 "발해를 꿈꾸며"를 제외하고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이 곡은 이 그룹이 세 번째 [12]골든 디스크 상을 받았다.대신 크래시의 안흥찬의 '야수소년'과 '기계반박 분노' 같은 밴드들의 영향을 받아 죽음의 으르렁거리는 보컬로 논란을 빚었던 '교실아이디어'(교실사상)와 같은 노래가 무대에 [19]올랐다."교실 아이디어"는 한국의 교육 시스템과 대학 [17]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과 같은 청소년들의 학업적 성공에 대한 압박에 대해 극도로 비판적이었다.이 노래는 가사에서 교육 시스템을 비판한다는 이유로 TV와 라디오에서 방영이 금지되었다(그러나 윤리 위원회에서 통과되었다.
매일 아침 당신은 우리를 7시 30분까지 작은 교실로 인도하고, 똑같은 것들을 전국의 7백만 어린이 머리들에게 강요합니다.이 어둡고 폐쇄적인 교실들이 우리를 집어삼키고 있다.여기서 [3]낭비하기에는 내 목숨이 너무 소중해.
또한, 이 밴드는 "교실 아이디어"에서 사탄적인 메시지를 백마스크한 혐의로 기소되었다.비록 주류 뉴스 매체들이 나중에 이러한 비난들이 근거 없는 것이라고 증명했지만, 도덕적 공황은 완전히 [20]없애기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1995년 : 《시대유감'
물러서지 않고, 서태지와 아이들의 네 번째 앨범은 더욱 논란이 많은 곡들로 폭발했다.'컴 백 홈'은 갱스터 랩에 도전한 곡으로, '인센 인 더 브레인'의 사이프레스 힐의 B-Real과 '하우스 오브 [3]페인'의 영향을 받은 고음의 콧소리가 특징이다.'필승'도 하우스 오브 페인(House of Pain)의 '점프 어라운드'를 연상케 하는 얼터너티브 록 사운드와 함성으로 히트했다.그러나 "시대유감"은 정부를 [21]비판하는 가사가 있다는 이유로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의해 금지되었다.이 앨범에 수록된 곡의 버전은 서태지가 윤리위원회가 변경하라고 요구한 원래의 세 줄을 다시 쓰거나 삭제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중요한 것일 뿐이다.[3][17]
교육받은 어르신들이 예쁜 인형을 들고 거리를 걷고 있다.모두가 남몰래 바라던 날이 오늘로 다가오고 있는 것 같다.입술이 검게 물들었다.정직한 사람들의 시대는 지났다.[...] 나는 모든 것을 뒤엎을 새로운 세상을 원한다.[...] 나는 내 마음의 원한을 갚을 수 있기를 바란다.오늘 밤![3]
팬들의 반발이 컸고, 1996년 6월 이 반응의 일환으로 사전 검열 제도가 폐지되었다.이 제도가 폐지된 지 한 달 만에 이 노래의 원곡을 포함한 시대유감이라는 EP가 발매되었다.
1996: 은퇴
서태지와 아이들은 전성기였던 1996년 1월 한국의 대중음악계에서 은퇴했다.이씨는 나중에 서태지가 그들의 4집 앨범을 녹음하면서 해체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는데, 이는 양씨와 그 [20]자신에게는 매우 놀라운 일이었다.이 밴드의 은퇴 발표는 한국의 수백만 팬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컴필레이션 앨범 Goodbye Best Album이 그 해 말에 발매되었습니다.
서태지는 곧 미국으로 향했고, 이주노와 양현석은 은퇴 직후 음반사를 설립했다.양현석은 국내 [6]3대 음반사 중 하나인 YG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는데 성공했다.서태지는 2년 후 매우 성공적인 솔로 활동을 하며 음악계에 복귀했다; 그는 현재 한국에서 "[6]문화의 대통령"으로 불린다.2007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앨범 4개가 경향신문 100대 팝 앨범에 모두 포함되었고, 그들의 첫 번째 앨범은 [22][23][24][25]24위로 가장 높았다.
2014년 서태지와 소년들의 재결합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서태지는 세 멤버가 자주 그것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밝혔다.하지만 그는 말했다:
가장 큰 걸림돌은 예전엔 팬들이 기억하는 정말 아름다운 공연을 했는데 지금 다시 모이면 실망할까봐 자신이 없어요.나이가 들수록 자신감이 없어진다.예전처럼 [26]격렬하게 춤을 출 수는 없을 것 같아요.
영향과 유산
이러한 음악적 요소를 한국의 발라드 음악과 접목시킴으로써, 서태지와 아이들은 한국의 음악과 서양의 음악이 혼합되는 기반을 마련했고, 현대 K-pop의 토대를 마련하였다.이러한 음악의 혼합과 춤 동작의 전경은 특히 10대와 20대 초반의 청취자들 사이에서 한국 대중음악이 인기를 끌게 된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였는데,[9] 이는 또한 한류로 알려지게 된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한국 대중음악의 능력을 촉진시켰기 때문이다.아시아 문화 연구자인 심두보는 [27]서태지와 아이들이 일상화된 "특이한 한국 팝 스타일"을 만들어냈다고 말한다.게다가,[3] 이 밴드는 1997년 삼성 경제 연구소가 실시한 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한국 문화 상품으로 뽑혔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한국 내에서 검열법과 음반 시장에 대한 텔레비전 네트워크의 패권에 도전하며 변화의 수단으로 작용했다.1995년 한국방송윤리위원회는 서태지와 소년들에게 "시대유감"의 가사를 바꾸라고 요구했다.이것은 시위를 불러일으켰고 한국에서 사전 검열을 폐지하는 결과를 낳았다.서태지는 또한 자신의 스튜디오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텔레비전 네트워크에 의존할 필요가 없었다.이러한 자율성은 서태지가 헤비메탈과 같은 한국의 하위 문화를 대중문화의 선두로 끌어올리고 널리 퍼진 [3]사회 규범에 도전할 수 있게 했다.이 밴드의 독립적 성공은 어떤 아티스트가 쇼에 출연하는지를 결정하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의 힘을 약화시켰고 음반사와 탤런트 [27][28]에이전시의 영향력을 낳았다.이러한 회사들은 H.O.T., 젝스키스, 업타운, [27]신화 같은 밴드들의 결성을 이끌었다.
게다가, 서태지와 소년들의 패션은 당시의 관습과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밴드 멤버들의 스타일은 맞춤 재킷과 깔끔한 와이셔츠를 입는 것에서부터 스트리트 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그들은 다양한 문화를 보여주며 한국의 전통 민속 의상과 스코틀랜드 킬트를 접목시켰다.서태지와 아이들은 짙은 선글라스, 스키 모자, 대형 파카를 포함한 "스노보드 룩"을 개척했다.게다가 1993년 밴드 멤버들의 레게머리 착용은 이 밴드의 반동적인 방송 [3]금지를 야기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영향을 준 또 다른 한국 가요의 모습은 춤이었다.이 밴드는 브레이크댄스 루틴을 [3][29]포함시킴으로써 댄스를 공연에서 지배적인 특징으로 바꾼 최초의 밴드였다.댄서 남현준은 서태지와 아이들을 주된 영향력으로 꼽았고, 밴드 멤버인 이주노의 뮤직비디오 [30]중 하나에 출연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25주년 기념 프로젝트 "타임: 트래블러"[31]를 기념하여, 밴드 BTS는 2017년에 서태지가 노래에서 주장했던 사회적 변화와 비슷한 감정을 반영하여 "컴 백 홈"을 리메이크했다.갱스터 랩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제이홉은 "내 인생에서 숨이 막힐 것 같다.내 인생을 가로막고 있는 것은 내일에 대한 두려움입니다라고 RM은 덧붙인다.우리는 아직 젊기 때문에 좋은 미래가 있습니다.이제 옛 눈물을 닦고 [32][33]집으로 돌아와라.서태지의 한국 문화에 대한 사회적 비판은 박정희 정권 시절 정치적 폭력에 초점을 맞춘 김민기의 노래가 선행된 반면, 서태지의 노래는 더 직접적인 가사를 포함하고 그 [3]시대의 사전 검열 정책을 묵인함으로써 그의 음악적 정체성을 유지했다.사실, 그의 예술성은 마케팅과 광고 캠페인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았고, 이것은 밴드의 [3]성공에 기여했을지도 모른다.
회원들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제목 | 앨범 상세 | 판매의 |
---|---|---|
서태지와 아이들 |
| |
서태지와 아이들 II |
|
|
서태지와 아이들 III |
|
|
서태지와 아이들 IV |
|
|
싱글
제목 | 연도 | 앨범 | |
---|---|---|---|
'알고 있어요' (알고 있어요) | 1992 | 서태지와 아이들 | |
"환상 속의 당신" | |||
'어쨌든 노래' | 1993 | 서태지와 아이들 II | |
'교실 아이디어'(교실 아이디어) | 1994 | 서태지와 아이들 III | |
발해의 꿈 | |||
'컴백 홈' | 1995 | 서태지와 아이들 IV | |
시대의 회한(시 ") | |||
싱글 차트 위치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
기타 릴리즈
- 라이브 앨범과 리믹스 앨범
- Taiji Boys Live & Techno Mix (1992년)
- 93년 마지막 축제(1994년)
- 95년 태지보이스 콘서트: 하늘로 가는 길 (1995년)
- 컴파일
- 서태지와 아이들(1994년, 일본 독점)
- 굿바이 베스트 앨범 (1996년)
- DVD
- 서태지 [&] 20: We Are Here : 93년 마지막 축제 / 95년 태지보이스 콘서트 : 하늘로 안녕 (2012년)
어워드
상 | 연도 | 카테고리 | Nominee/work | 결과 | 휴식. |
---|---|---|---|---|---|
골든 디스크 시상식 | 1992 | 메인 상(Bonsang) | "난 알아요" | 수상해 | |
1993 | "Hayeoga" | 수상해 | [35] | ||
1994 | "Bal-hae을 꿈꾸는 것" | 수상해 | [36] | ||
1995 | 인기상 | "컴백 홈" | 수상해 | ||
KBS뮤직 어워드 | 1992 | 가수의(Bonsang). | 서태지와 아이들 | 수상해 | |
1993 | 수상해 | ||||
1995 | 수상해 | ||||
MBC가요 대제전 | 1992 | 베스트 인기쟁이 송 | "난 알아요" | 수상해 | [36] |
최우수 신인상 | 서태지와 아이들 | 수상해 | |||
1995 | 최고 인기곡 | '컴백 홈' | 수상해 |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 1996 | 아시아 뷰어 초이스 어워드 | '컴백 홈' | 수상해 | [37] |
서울가요대상 | 1992 | 대상 (대상) | "알고 있습니다" | 수상해 | [38] |
본상 (본상) | 서태지와 아이들 | 수상해 | [36] | ||
최우수 신인상 | 수상해 | ||||
1993 | 대상 (대상) | '하이어가' | 수상해 | [38] | |
본상 (본상) | 서태지와 아이들 | 수상해 | [36] | ||
1995 | 수상해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Sohn, Ji-young (May 20, 2014). "[Newsmaker] K-pop legend Seo Taiji to return". The Korea Herald. Retrieved July 5, 2015.
- ^ Suh, Hye-rim (July 3, 2013). "Seo Taiji and Boys chosen as K-pop icons". The Korea Herald. Retrieved July 5, 201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Maliangkay, Roald (January 21, 2014). "The Popularity of Individualism". The Korean Popular Culture Reader. Duke University Press. pp. 296–313. doi:10.1215/9780822377566-018. ISBN 9780822377566.
- ^ "제23회서울가요대상". Seoul Music Awards (in Korean). July 3,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8, 2014. Retrieved June 16, 2017.
- ^ Seoul Music: Rockin' in Korea; April 20, 1996. Billboard. p. 18.
- ^ a b c Cho, Chung-un (March 23, 2012). "K-pop still feels impact of Seo Taiji & Boys". The Korea Herald. Retrieved July 5, 2015.
- ^ K-Pop: 팝 음악의 새로운 힘, 페이지 63-66
- ^ a b "What Is K-pop? (Page 3)". MTV Ig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6, 2012. Retrieved March 5, 2012.
- ^ a b c d Jin, Dal Yong (December 13, 2012). "Critical Interpretation of Hybrid K-Pop: The Global-Local Paradigm of English Mixing in Lyrics". Popular Music and Society. 37 (2): 113–131. doi:10.1080/03007766.2012.731721. S2CID 143689845.
- ^ Jackson, Julie (October 19, 2014). "[Herald Review] Seo Taiji induces '90s nostalgia with lavish 'Christmalowin' return". The Korea Herald. Retrieved July 5, 2015.
- ^ a b Maliangkay, Roald (January 21, 2014). The Korean Popular Culture Reader. Duke University Press. pp. 296–313. doi:10.1215/9780822377566-018. ISBN 9780822377566.
- ^ a b c "역대수상자 골든디스크". Golden Disc Awards (in Korean). Retrieved June 16, 2017.
- ^ "The 21 Greatest K-Pop Songs of All Time". Spin. June 1, 2012. Retrieved June 30, 2016.
- ^ "50 Greatest Boy Band Songs of All Time". Rolling Stone. September 24, 2015. Retrieved June 28, 2016.
- ^ "재개장 준비 중 : 네이버 블로그". scorwitch.blog.me (in Korean). Retrieved May 8, 2018.
- ^ "기역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keyaa.blog.me (in Korean). Retrieved May 8, 2018.
- ^ a b c Mitchell, Tony (January 1, 2002). Global Noise: Rap and Hip Hop Outside the USA. Wesleyan University Press. p. 251.
- ^ The Korean Popular Culture Reader. Duke University Press. 2014. p. 301.
- ^ Sarah, Leung (2012). Catching the K-Pop Wave: Globality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South Korean Popular Music (Thesis). Vassar College.
- ^ a b "Way Back Wednesday: Seo Taiji & Boys - "Nan Arayo"". allkpop.com. November 18, 2010. Retrieved July 5, 2015.
- ^ Tri-Lingual Radio for Malaysia, Censorship Exemption in Korea; August 10, 1996. Billboard. p. 45.
- ^ "[대중음악 100대 명반]24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 Kyunghyang Shinmun (in Korean). November 15, 2007. Retrieved September 24, 2015.
- ^ "[대중음악 100대 명반]30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II'". Kyunghyang Shinmun (in Korean). December 6, 2007. Retrieved September 24, 2015.
- ^ "[대중음악 100대 명반]57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 III'". Kyunghyang Shinmun (in Korean). March 20, 2008. Retrieved September 24, 2015.
- ^ "[대중음악 100대 명반]36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IV'". Kyunghyang Shinmun (in Korean). December 27, 2007. Retrieved September 24, 2015.
- ^ "Seo Taiji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a Seo Taiji and Boys reunion". allkpop.com. October 20, 2014. Retrieved July 13, 2016.
- ^ a b c Shim, Doobo (2006).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Media, Culture & Society. 28: 25–44. doi:10.1177/0163443706059278. S2CID 204327176.
- ^ Oh, Ingyu. "The Globalization of K-Pop: Korea's Place in the Global Music Industry". The Institution of Korean Studies. 44: 389–409.
- ^ 대중가요 1988 (April 11, 2016), [1993] 서태지와 아이들 - 하여가 (요청),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1, 2021, retrieved May 13, 2018
- ^ EBN. "팝핀현준 "스승 이주노, 일본·미국 유학 직접 보내줘"" (in Korean). Retrieved May 13, 2018.
- ^ "Listen: BTS's Remake Of Seo Taiji And Boys' Classic "Come Back Home" Is Here, And It's Hot Soompi". www.soompi.com. Retrieved May 8, 2018.
- ^ "BTS Remakes Iconic Seo Taiji & Boys' 'Come Back Home': Watch". Billboard. Retrieved May 8, 2018.
- ^ "Seo Taiji & Boys Pioneered Socially Conscious K-Pop for Groups Like BTS". Noisey. August 1, 2017. Retrieved May 8, 2018.
- ^ a b c d Lee, Seung-ryun (January 31, 2018). "이주노와 양현석...이들 활동했던 '서태지와 아이들'에 관심 집중". Kookje Shinmun (in Kore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6, 2021. Retrieved August 30, 2018.
- ^ "각종 시상식 잇달아". Yonhap News (in Korean). December 13, 1993. Retrieved October 22, 20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a b c d "[Who Is ?] 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대주주". Business Post (in Korean). January 25, 2017. Retrieved October 22, 20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서태지와 아이들, MTV 비디오음악상 수상" [Seo Taiji and Boys win award at MTV Video Music Awards]. Yonhap News (in Korean). August 31, 1996. Retrieved October 22, 20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a b "소녀시대 2년 연속 서울가요대상 '서태지 이후 최초'" [Girls' Generation wins grand prize Seoul Music Awards for two years in a row, a first since Seo Taiji and Boys]. Maeil Business Newspaper (in Korean). January 20, 2011. Retrieved October 22, 20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