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영국의 관계

Serbia–
영국-세르비아 관계
Map indicating locations of United Kingdom and Serbia

영국

세르비아

영국-세르비아 관계는 영국과 세르비아 사이의 대외 관계입니다. 양국은 1837년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1] 영국은 베오그라드[2] 대사관과 영사관을 두고 있고 세르비아는 런던에 대사관을 두고 있습니다.[3] 영국 주재 세르비아 대사는 데얀 포포비치[4] 박사이고 세르비아 주재 영국 대사는 사이안 맥레오드입니다.[2]

2004년 양국 간 무역액은 2억 4,580만 달러였습니다. 2005년 첫 10개월 동안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대 영국 수출은 6,820만 달러(2004년 동기 대비 110.6% 증가)를 차지했고, 영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억 4,420만 달러(2004년 동기 대비 85% 증가)를 차지했습니다.[1]

2001년 영국 인구조사는 현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독립국인 옛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주에서 태어난 31,244명을 기록한 반면 코소보의 세르비아로부터의 독립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5]

역사

2017년 세르비아 우편 우표에 세르비아-영국 관계 수립 180주년 기념식,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1세와 조지 로이드 호지스 경.
영국 외무부에 있는 지기스문트 괴체의 벽화 브리타니아 퍼시픽아트릭스. 그 벽화는 영국과 연합국을 묘사하고 있고, 세르비아는 어린 소녀들 중 한 명으로 보여집니다.

1885년부터 1886년까지 가스코인-세실의 첫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그의 내각은 세르비아 왕국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대신 불가리아 왕국을 지지했습니다. 타임스의 한 특파원은 세르비아가 발칸반도의 평화에 가장 큰 위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고고학자 아서 에반스(Arthur Evans) 코소보와 메토히야의 세르비아인들이 알바니아 현지 주민들의 손에 의해 공포에 직면하고 있으며, 살인은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6]

세르비아 왕국과 영국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동맹국이었습니다. 세르비아에서의 영국의 영향력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더욱 관련성이 높아졌습니다.[7] 약 350명의 세르비아 학생들과 학생들이 이 시기와 그 후 킹스 칼리지의 초빙 교수였던 대학 교수 파블레 포포비치의 지도 아래 영국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8] 세르비아 구호 기금과 세르비아 장관 기금은 영국에 있는 세르비아 학생들에게 재정적인 지원 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세르비아 학생들을 위한 호스텔이 개설되었습니다.[9] 1920년대에 세르비아인들은 은행, 금융, 경제를 공부하기 위해 영국으로 갔고, 1930년대에는 광산 공학이 주요 연구 분야였습니다.[10]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영국은 우호적인 나라이자 동맹국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슬로보단 요바노비치나 보그단 보그다노비치와 같은 대부분 베오그라드에 기반을 둔 세르비아 엘리트들은 세르비아인들과 영국인들이 자유에 대한 공동의 사랑과 치열한 애국심을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했고, 그들은 영국의 민주주의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 영국을 바라보는 것을 지지했습니다.[11]

1920년대 초, 런던은 주로 은행을 통해 세르비아로 진출했습니다. 1920년 베오그라드에서 영국 무역 회사가 설립되었습니다. 이 은행은 1928년까지만 운영되었지만, 그 업무는 주로 광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 산업의 심각한 개선으로 이어졌습니다. 같은 시기에 세르비아 정교회영국 국교회 사이의 관계가 수립되었습니다.[8][12] 1920년대에 영국인들이 세르비아 도서관에 기증한 많은 책들이 있었습니다. 영국 시민들은 전간기에 과학 연구의 주요 외국 후원자들이었습니다. 빈차의 고고학 발굴은 찰스 하이드 경에 의해 자금이 지원되었습니다.[13]

니콜라이 벨리미로비치 주교는 양국의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런던에서 높은 존경을 받았고 벨리미로비치는 성(聖)에서 설교한 최초의 정교회 성직자였습니다. 바오로 대성당. 그는 세르비아 정교회영국 국교회 사이에 확고한 관계를 맺었습니다.[14]

1929년 베오그라드에 영어 문학부가 설립되었습니다.[15] 문화 및 기타 교류는 전간기에 인기가 있었습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1930년대 베오그라드에는 유고슬라비아-영국 우정의 많은 사회들이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이시도라 세쿨리치, 라샤 플라오비치, 빅토르 노박과 같은 몇몇 중요한 지역 문화 인사들이 우정 사회의 일부였습니다. 1935년 현재, 영어는 세르비아의 학교에서 가르쳤으나, 교사 부족과 정치적인 이유로 프랑스어와 독일어에 비해 적은 정도로 가르쳤습니다.[8] 유고슬라비아 시민권을 가진 총 75명의 학생들이 전쟁 기간 동안 영국 학부에 등록했고, 그 중 6명이 영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대부분이 영문학입니다.

유고슬라비아 쿠데타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연합국 측에서 제2차 세계 대전에 들어갔습니다.

상주공관

  • 세르비아에는 런던에 대사관이 있습니다.
  • 영국은 베오그라드에 대사관을 두고 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Bilateral Political Relations". mfa.gov.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11.
  2. ^ a b 우리 대사관
  3. ^ 홈페이지 - 영국 런던 주재 세르비아 공화국 대사관
  4. ^ "About The Embassy - Embassy of the Republic of Serbia in London, Great Brita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18. Retrieved 2010-03-25.
  5. ^ "Country-of-birth databas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Retrieved 2008-09-20.
  6. ^ Marković, Slobodan G. (2006). Grof Čedomilj Mijatović: Viktorijanac među Srbima. Belgrade: Pravni fakultet Univerziteta u Beogradu, Dositej. pp. 130–131.
  7. ^ 가시치 2005, 7쪽.
  8. ^ a b c 가시치 2005, 페이지 170–171.
  9. ^ 가시치 2005, pp. 173–174.
  10. ^ 가시치 2005, p. 184
  11. ^ 가시치 2005.
  12. ^ Чалија, Ј. "СПЦ и англиканци – век пријатељства". Politika Online. Retrieved 2020-04-25.
  13. ^ 가시치 2005, 페이지 226.
  14. ^ Markovich, Slobodan G. (2017). "Activities of Father Nikolai Velimirovich in Great Britain during the Great War". Balcanica (XLVIII): 143–190. doi:10.2298/BALC1748143M.
  15. ^ "English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Faculty of Philology" (in Serbian). Retrieved 2020-04-25.

출처 및 추가 판독

  • 안티치, 체도미르 D. "위기와 군비: 영국과 세르비아의 경제적 관계 1910-1912." 발카니카 36 (2005): 151-163 온라인.
  • 바타코비치, 두샨 T. "제1차 세계 대전의 세르비아와 그리스: 개요" 발칸 연구 45.1 (2004): 59-80 온라인.
  • Antić, Čedomir. Ralph Paget: 세르비아 주재 외교관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2006) 온라인 무료.
  • 보이드, 제임스. "서발칸반도를 대표하는 전후 이해: 영국 언론매체에서의 보스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의 현대적 표상에 대한 담론 분석."(2018) 온라인
  • Gašić, Ranka (2005). Beograd u hodu ka Evropi: Kulturni uticaji Britanije i Nemačke na beogradsku elitu 1918–1941. Belgrade: Institut za savremenu istoriju. ISBN 86-7403-085-8.
  • 가브릴로비치, 마이클 "영국과 세르비아의 초기 외교 관계" 슬라보닉 리뷰 (1922): 온라인 1#186-109.
    • 가브릴로비치, 마이클 "영국과 세르비아의 초기 외교 관계.II)", 슬라보닉 리뷰 (1922): 333-351 온라인.
    • 가브릴로비치, 마이클 "영국과 세르비아의 초기 외교 관계.(III)" 슬라보닉 리뷰 (1923): 552-560 온라인.
  • 글라우르디치, 요시프. 유럽의 시간: 서구 열강과 유고슬라비아의 분열 (Yale UP, 2011).
  • 호지, 캐롤. 영국과 발칸반도: 1991년부터 현재까지 (Routledge, 2006).
  • 맥코트, 데이빗. "인도주의적 개입을 수용합니다. 대서양주의와 영국이 보스니아와 코소보에 개입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치 국제 관계 저널 15.2 (2013): 온라인[dead link] 246-262.
  • Markovich, Slobodan G., ed.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의 영국-세르비아 관계 (베오그라드 대학교 정치학과 [그리고] Zepter Book World, 2018) 온라인 링크
  • 폴로위치, 스테반 K. 1837년-1839년 세르비아에서의 영-러 경쟁 (1961년)
  • 심스, 브렌단. 가장 나쁜 시간: 영국과 보스니아의 파괴 (Penguin UK, 200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