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세르비아 관계

Italy–Serbia relations
이탈리아-세르비아 관계
Map indicating locations of Italy and Serbia

이탈리아

세르비아

이탈리아-세르비아 관계이탈리아세르비아의 외교 관계입니다. 이탈리아 왕국은 1879년 1월 18일 세르비아 공국과 공식적인 양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1] 세르비아 공화국과 이탈리아 공화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는 2009년 11월 13일 로마에서 수립되었습니다.[1] 이탈리아는 세르비아의 유럽 연합 가입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유럽 연합 회원국 중 하나입니다.[2] 두 나라는 모두 중앙유럽 이니셔티브, OSCE, 유럽 평의회 및 세계 무역 기구의 회원국입니다.

역사

공식적인 양국관계가 수립되기 전에

트리에스테 성 스피리돈 교회

이탈리아 반도발칸 반도 사이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상호작용은 역사적으로 긴 두레(longue durée)이며 로마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한 이래로 집중적이었습니다. 세르비아 대공 스테판 1세(1165–1228) 대관식은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사절단에 의해 행해졌으며, 이로 인해 일부 세르비아 역사학자들은 스테판이 가톨릭 대관식과 정교회 대관식을 모두 거쳤다고 결론지었지만, 현대 학자들은 스테판 1세의 대관식만 치렀다고 동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스테판의 세 번째 부인인 베네치아의 귀족 여성 안나 단돌로는 세르비아의 여왕이 되었고 스테판 우로시 1세의 어머니였습니다. 유명한 전설에 따르면 1219년에서 1253년 사이에 세르비아 정교회소재지인 ž티차 수도원이 의도적으로 로마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중간에 지어졌다고 합니다.

세르비아 공국사르데냐 왕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고, 사르데냐 왕국이 중요한 역할을 한 이탈리아 통일로부터 세르비아 통일에 대한 영감과 교훈을 끌어냈습니다.[4] 이탈리아 운동은 마지니운동에서 영감을 얻은 연합 세르비아 청년의 주요 사례가 되었습니다.[4] 1860년대까지 세르비아와 이탈리아는 둘 다 반오스트리아 정치를 추구했고, 이것은 두 나라를 더 가깝게 만들었습니다.[4]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타협 이후 이탈리아는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왕자를 지도자로 하여 남슬라브피에몬테로서 세르비아의 지도력을 지지했습니다.[4] 베를린 회의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세르비아의 독립 요청을 지지했지만 세르비아 지도부의 다른 요청은 지지하지 않았습니다.[4]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탄생할 때까지의 관계

이탈리아 왕국은 1879년 1월 18일 세르비아 공국과 공식적인 양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1]

WWI가 이탈리아 FM Antonino Pattern ò Castello를 시작했을 때, Marchese di San Giuliano는 다양한 투자와 철도 건설을 통해 이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신중한 정책과 이탈리아의 더 큰 존재감을 추구했습니다. 차기 외교부 장관 시드니 소니노는 자신의 정책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오히려 세르비아의 통일 정책에 반대하는 아드리아해(주로 몬테네그로, 달마티아, 알바니아)에 대한 이탈리아의 영토를 확장하기를 원했습니다.[4]

유고슬라비아 시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1999년 3월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작전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아비아노 공군기지에서 이륙하기 전 미 F-117 나이트호크

유고슬라비아 해체의 초기 단계에서 유럽 경제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잠재적으로 모순되는 자기 결정권영토 보전 원칙에 부여해야 할 중요성에 대해 의견이 갈렸습니다.[5] 헬무트 콜 독일 총리는 자결권을 강하게 강조했고,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은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즉각적인 원조 중단을 주장했고, 스페인과 이탈리아, 영국은 유고슬라비아의 영토 보전을 주장했습니다.[5]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된 후 이탈리아는 베오그라드를 독립한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에 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맹국으로 인식하고, 또한 이탈리아 좌파는 국제 제재 하에 있는 이 나라에 동정심을 보였습니다.[6] 베오그라드에 있는 이탈리아 대사관의 직원 규모는 1990년과 2010년 사이에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6]

슬로보단 밀로세비치의 통치하에 있던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몬테네그로) 사이의 관계는 냉랭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되었습니다. 이탈리아 정부는 텔레콤 세르비아의 주식을 사들였지만, 1999년 나토 회원국들이 군용기가 유고슬라비아에 폭탄을 투하한 이탈리아의 아비아노 공군기지를 사용했을 때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나토의 폭격에 참여했습니다. 이탈리아의 참여는 관계의 주요한 황홀경으로 여겨졌지만, 전쟁의 여파로 이탈리아가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로마는 NATO 폭격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6] 1999년 NATO의 유고슬라비아 폭격은 이탈리아 관리들에 의해 주도된 첫 번째 NATO 개입이었고 NATO 코소보군의 두 번째로 큰 기여 국가였습니다.[6] 이는 이탈리아가 특히 UNIFIL 레바논에서 구체화된 지중해 외교에서 보다 중심적인 역할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6] 이탈리아와 세르비아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타도와 로마가 세르비아의 유럽 통합을 지지하는 최초의 인물이 된 이후 빠르게 관계를 정상화했습니다.[6]

세르비아의 대학 교수이자 학자인 니키샤 스티프체비치는 19세기 세르비아-이탈리아 관계 연구와 일반적인 관계의 역사에 다양한 기여를 했습니다.[4]

2006년 이후의 관계

2008년 2월 21일, 이탈리아는 일방적인 코소보 독립 선언을 인정했고, 이전에는 프랑스, 영국, 미국, 독일도 인정했습니다. 이것은 1999년 개입 이후 관계에 대한 두 번째 큰 타격으로 인식되었고 세르비아는 두 달 동안 대사를 소환했지만 이후 관계를 정상화했습니다.[6] 전 이탈리아 외교부 장관이자 당시 외교안보정책연합고위대표였던 페데리카 모게리니는 베오그라드-프리스티나 협상을 용이하게 했습니다. 양측의 최종적인 포괄적인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으로 모게리니는 코소보 분할안에 대해 열려 있었지만 코소보가 세르비아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로부터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10%의 관세와 10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7] 2016년 이탈리아는 25명의 외교관으로 베오그라드에 대표로 참여했는데, 는 러시아(54명), 미국(40명), 중국(37명), 독일(33명), 리비아(27명) 다음이지만 오스트리아, 프랑스, 튀르키예, 헝가리, 영국 또는 그리스, 스페인과 같은 유럽의 세르비아 외교 동맹국보다 많습니다. [6] 이탈리아의 상대적으로 높은 존재감은 증가하는 경제적 유대, 비정상적으로 높은 리비아 외교적 존재감, 서부 발칸 반도에서의 세르비아의 역할, 그리고 회원국이 부족한 북대서양조약기구-세르비아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이탈리아의 주도적인 역할과 함께 설명되었습니다.

이탈리아와 세르비아는 2005년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와 2011년 여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를 공동 개최했습니다.

이탈리아는 세르비아의 주요 무역 파트너 중 하나입니다. 2019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에게 네 번째로 큰 수입원이자 두 번째로 큰 수출 대상국이었습니다.[8]

2020년 4월 25일, 세르비아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이탈리아에 의료 지원과 함께 8대의 비행기를 보냈습니다. 세르비아는 200만 개의 역학 마스크, 200만 개의 수술용 마스크, 400만 개의 장갑, 10만 벌의 슈트를 보냈습니다.[6]

갤러리

공관

참고 항목

원천

  • Kalić, Jovanka (2006). "La Serbie et l'Italie au XII siécle". Глас САНУ. 404 (13): 85–94.

외부 링크

참고문헌

  1. ^ a b c "Political relations:Ital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erbia). Retrieved 16 April 2020.
  2. ^ "Il Ministro per gli Affari Europei Vincenzo Amendola in visita a Belgrad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taly). Retrieved 16 April 2020.
  3. ^ Živanov, Dragan (6 January 2019). "Manastir Žiča". Srbija izbliza. Retrieved 16 April 2020.
  4. ^ a b c d e f g Vučetić, Bojana (2016). "An overview of Serbian historiography on Serbian-Italian relations". Collection of Works - the Institute of History Belgrade. 28.
  5. ^ a b Riding, Alan. "Conflict in Yugoslavia; EUROPEANS SEND HIGH--LEVEL TEAM".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6 April 2020.
  6. ^ a b c d e f g h i Albertini, Matteo; Deliso, Chris. "Italian Security in the MENA and Balkans, Part 6: Relations with Serbia". Balkanalysis. Retrieved 16 April 2020.
  7. ^ Maksimović, Marina (18 July 2018). "Bez približavanja stavova Beograda i Prištine". Deutsche Welle. Retrieved 16 April 2020.
  8. ^ "Serbia trade balance, exports and imports by country and region 2019".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Retrieved 9 July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