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래더리 병장

Sergeant Reckless
스태프 언더런드 하사
Sgt reckless in pasture.jpg
'랜덤' 병장 은퇴.
품종몽골어
규율짐마차
섹스여성
포울드c. 1948
죽은1968년 5월 13일
나라몽골
밤나무
소유자김흑문/美 해병대
군경력
얼리전스 미국
나뭇가지미국 해병대
근속년수1952 - 1960
순위하사
전투/와이어아웃포저스 베가스 전투
수상
아이들.네 명의 아이들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2020년 4월 4일.

미군에서 공식 직위를 차지한 훈장을 받은 군마(軍馬) '랜덤 하사'(1948년 ~ 1968년 5월 13일)는 몽골사육암말이었다.[2]경주마 댐에서 나온 그녀는 1952년 10월 서울 경마장의 한국인 마부로부터 250달러에 구입되었는데, 여동생의 인공 다리를 사기 위해 돈이 필요했다.[3]무모함은 미 해병대원들에 의해 구입되어 무반동 소총 소대, 대전차 중대, 제5 해병 연대, 제1 해병 사단짐마차 훈련을 받았다.[2]그녀는 곧 부대의 일원이 되어 캠프를 통해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게 되었고, 추운 밤에 잠을 잘 수 있는 해병대의 텐트로 들어갔으며, 스크램블 에그, 맥주, 코카콜라와 한때 약 30달러 상당의 포커칩을 포함한 거의 모든 것을 기꺼이 먹기로 유명했다.

그녀는 한국전쟁 당시 물자와 탄약을 나르는 등 수많은 전투작전에 참전했으며 부상자 대피에도 동원됐다.겨우 두어 번 여행한 후에 각 보급로를 익힌 그녀는 종종 취급자의 도움 없이 혼자서 부대에 보급품을 전달하기 위해 여행을 했다.9개월간의 군생활의 하이라이트는 1953년 3월 말 라스베이거스 전초기지를 위한 전투 중 하루 만에 51개의 단독여행을 통해 복수의 전선 부대를 재충전했다.그녀는 1953년에 전장 계급인 상병을 받은 뒤, 전쟁이 끝난 지 몇 달 후인 1954년에 하사로 전장 승진을 한 뒤 전투에서 두 차례 부상을 입었다.그녀는 또한 수륙양용 상륙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해병대의 첫 말이 되었고, 전쟁에 이어 두 개의 퍼플하츠가 수여되었으며, 두 개의 해병대 선행훈장이 그녀의 부대 대통령 표창에 포함되었고, 다른 군상들도 수여되었다.

그녀의 전시 복무 기록은 The Saturday Evening Post에 실렸고, LIFE 잡지는 그녀를 미국의 100대 영웅 중 하나로 인정했다.그녀는 전쟁 후 은퇴하여 미국으로 끌려갔고, 그곳에서 텔레비전에 출연하고 미 해병대 생일 무도회에 참가했다.그녀는 1959년 해병대사령부에 의해 정식으로 하사관으로 진급되었다.[4]그녀는 미국에서 네 마리의 새끼를 낳았고 1968년 5월에 죽었다.2013년 7월 26일 버지니아주 콴티코에 있는 해병대 국립박물관에서 해병대 기지 캠프 펜들턴 마구간에서 명패와 사진이 그녀의 명예를 위해 헌납되었고 그녀의 동상이 헌납되었다.2018년 5월 12일 켄터키주 렉싱턴 켄터키주 켄터키 말공원에 언더그라운드 하사의 동상이 세워지고 헌납되었다.[5][6]

오리진스

레인저 병장은 밤색불꽃과 세 개의 하얀 스타킹이 칠해져 있었다.[4]생년월일과 모태 등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1952년 10월 미 해병대원들에 의해 구입됐을 때는 서너 살 정도로 추정됐다.그녀는 실명은 아니었지만 주인인 김흑문(金문文 또는 金 h文)에 의해 해병대에 팔렸다.[7][8]그 말 Korean,[9]하거나"Sun-of-the-Morning""모닝 선."으로 번역이 원래 이름"아침해"(아 Chim 하이, 한국어 발음:[한tsim hæ]),도 한국어,"아침 불꽃"또는"Flame-of-the-Morning"[10][11][12]또한 그녀의 댐, raceho의 이름이라도"새벽의 빛"으로 번역에"여명"(여 씨 명 씨)으로 알려져 알려져 있었다.그 달하에서 rse서울의 ck김억문은 지뢰를 밟은 여동생의 다리 보형물을 사기 위해 '불꽃'이라는 별명을 붙였던 이 말을 에릭 페더슨[b] 중위에게 250달러에 팔았다.[3]말의 사육은 비록 그녀가 Therbred 혈통의 말들과 비슷한 특징들, 특히 그녀의 머리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주로 몽골인이라고 생각되었다.그녀는 몸집이 작아서 14개의 (56인치, 142cm)에 몸무게가 900파운드(410kg)에 불과했다.[14][15]

병역

1차 훈련병인 조셉 라담 소대 병장과의 무모함

1952년 10월 페더슨은 유스티스 P 대령으로부터 허가를 받았다.Smoak은 소대를 위해 말을 사려고 한다.[4]산악 지형에 기반을 둔 페더슨은 자신의 부대인 제5해병연대의 무반동 소총 소대(Rockillerless Sunfle Squits)가 사용하는 무반동 소총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24파운드 무게의 포탄 중 최대 9개를 운반할 수 있는 짐짐승이 필요했다.[4][10][11]허락을 받은 다음 날인 1952년 10월 26일 페더슨, 윌러드 베리 병장, 필립 카터 상병이 트레일러가 달린 지프를 몰고 서울 경마장으로 향했다.[10][16]페더슨은 자신의 돈으로 말값을 지불했다.[17]문씨는 필요하긴 했지만 말을 팔기를 꺼렸고,[3] '불꽃'이 떠나자 눈물을 흘렸다.[18]해병대는 그녀의 이름을 "Reckless"로 개칭하여 리코빌리스 소총의 이름을 수축시키고 총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연관된 무모한 태도에 고개를 끄덕여 주었다.[19]

그녀의 일등 훈련사와 래이블이 가장 가까이 있었던 사람은 소대원 조셉 라담 하사였다.[20]일등병 먼로 콜먼 일병은 그녀의 일등병이었다.[4]페데르센, 라담, 콜먼 외에도 빌 라일리 중위와 엘머 라이블리 하사 등이 러블리한 훈련과 돌봄에 관여했다.[14][4][8]페더슨은 아내로 하여금 캘리포니아에 있는 그들의 집에서 짐꾸러기 안장을 실어 보내게 하여, 무모함이 짐꾸러기 동물로서 자신의 주된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게 했다.[21]무반동 소총 소대에는 자체 의병대원인 해군병원병원의 조지 '닥' 미첼이 있었는데, 그는 '런던트'에게 대다수의 의료를 제공했다.[22]

해병, 특히 라담은 철조망에 얽히지 않는 법, 포격을 받았을 때 누울 수 있는 법 등 '무방탕한 전쟁터 생존 기술'을 가르쳤다.[14]그녀는 "들어온다!"[4]는 외침을 듣고 벙커로 도망치는 법을 배웠다.소대는 그것을 그녀의 "후프 훈련"과 "후프 캠프"라고 불렀다.그 말은 처음에 야영지 근처의 목초지에 보관되었다.[14]무모함은 온화한 기질을 지녔고 곧 부대와 그런 친밀감을 갖게 되어 그녀는 자유롭게 진을 돌아다닐 수 있게 되어 마음대로 천막으로 들어갔고,[23] 때로는 부대와 함께 안에서 잠을 잤으며, 심지어 추운 밤에 라담의 따뜻한 천막 난로 옆에 눕기까지 했다.[4]그녀는 스크램블드 에그를 먹고 코카콜라와 맥주를 마시며 소대원들을 즐겁게 하는 등 다양한 음식들을 좋아했다.[23]그녀의 주위에 음식을 방치할 수는 없었다.[24]그녀는 베이컨, 버터 바른 토스트, 초콜릿 바, 딱딱한 사탕, 잘게 썬 밀, 땅콩버터 샌드위치, 으깬 감자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그러나 미첼은 소대원들에게 하루에 콜라 2병 이상은 주지 말라고 충고했다.[4]그녀의 취향은 식료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그녀는 한때 말 담요를 먹었고,[11] 또 다른 경우에는 30달러어치의 라담의 우승 포커칩을 먹었다.[4][23]

한국에서 무모한 포격을 받고 있다.

장단 마을과 곽찬 마을 근처, 헤들리의 가랑이라는 곳에서 불이 난 무모한 세례가 왔다.[25]비록 6발의 무반동 소총 포탄을 장전했지만, 그녀는 처음에는 "바로 위로" 돌았고, 처음으로 무반동 소총이 발사되었을 때 네 발 모두 땅을 떠났다.그녀가 착지하자 그녀는 흔들리기 시작했지만, 그녀의 핸들러인 콜맨은 그녀를 진정시켰다.두 번째로 총을 발사했을 때 그녀는 코웃음을 칠 뿐이었고, 그날의 임무가 끝날 무렵에는 침착해 보였고 버려진 헬멧 라이너를 먹으려 하는 모습이 보였다.[4]그녀는 심지어 무기 운용에 관심을 갖는 것처럼 보였다.[25]새로운 배달 경로를 배울 때, 무모함은 그녀를 이끌 사람이 몇 번 필요할 뿐이다.그 후에 그녀는 혼자서 여행을 할 것이다.[26]무모함을 타지 말라는 기립 명령이 있었지만, 1952년 12월 초 누군가가 그 명령을 어기고 무모함을 기뢰밭을 질주하는 것이 포함된 놀이기구를 탔다.[27]그녀는 무단으로 탑승하는 동안 부상을 입지 않았다.[28]

그녀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1953년 3월 26~28일 판문점-베가스 전투(일명 전초기지 베가스 힐 전투)에서 그녀가 하루에 51차례나 단독 여행을 하면서 총 386발의 무반동탄(매 여행마다 4~824파운드 포탄을 운반)을 싣고 35마일을 날아간 것이다.라스베가스의 전투는 3일동안 계속되었어.[14][4][23][29][c]그녀는 전투 중에 왼쪽 눈 위의 파편에 맞았을 때와 왼쪽 옆구리에 맞았을 때 두 번 부상을 입었다.[11]라스베이거스 힐 전투에서 이룬 업적으로, 무모함은 상병으로 진급되었다.[30]

75mm 무반동 소총 옆에 무모함

일선에 있지 않을 때, 무모함은 소대를 위해 다른 물건들을 챙겼으며, 특히 전화선을 끈으로 묶는 데 유용했다.걸을 때 흘러나온 철사 릴을 짐짝에 메고, 그녀는 걸어서 12명의 남자들만큼 많은 철사를 실을 수 있었다.[4]그녀는 제5기가 캠프 케이시에서 인천으로 이동하면서 인천에서 남쪽으로 수백 마일 떨어진 수륙양용 상륙작전을 계획하면서 수륙양용 상륙작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해병대의 첫 말이 되었다.[23]운수대장은 드레이블과 함께 선착장에 있는 소대를 보고 하역작업을 중단했다.그는 지난 2년 동안 가장 깨끗한 배로 상을 받은 그녀를 자신의 깨끗한 배에 태우기를 거부했다.[31][32]그녀는 해병대가 하역 계획을 제작한 후 승선할 수 있게 되었고, 그의 승인을 받았으며, 이 계획에는 "Random"과 그녀의 장비가 명시되어 있었다.[31]일단 배가 진행되자 그녀는 병이 나서 항해 첫 부분 동안 배의 갑판을 어지럽혔다.그녀는 폭풍으로 인해 하선할 수 없었지만, 곧 해상에서 배의 움직임에 익숙해져 더 이상 문제가 없었다.[4]해병 1사단은 이동 직후 휴게소로 이동했고, 그 사이 일부 소대원들은 '런던'과 '러버드 네이티브 댄서'에게 경주를 도전하는 팻말을 들고 포즈를 취했다.그들은 그들의 경주를 "패디 더비"라고 불렀고, "업산 다운스"라고 불렀고, 그 조건은 논과 언덕을 1.5마일 넘고, 192파운드의 탄약을 운반하고, 기수는 타지 않는 전형적인 경마와는 달랐다.마린스는 한 번도 응답을 받지 못했다. 네이티브 댄서는 켄터키 더비에서 2위를 차지했고, 프리크니스 스테이크벨몬트 스테이크에서 우승했다.[33][34]

당시 제1해병사단장이었던 랜돌프 M.파이트는 전쟁이 끝난 지 몇 달 뒤인 1954년 4월 10일 평의 스탠드 완성을 마치고 정식 예식장에서 하사관으로 전장 진급했다.[35]그녀는 또한 휘장이 달린 빨간색과 금색 담요를 받았다.[36]무모함은 1959년 8월 31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펜들턴의 하사(E-6)로 다시 승진했다.이 승진은 당시 해병대의 특전사였던 파이트가 수여하기도 했다.페이트가 직접 기념식을 주재했고, 릴리전드는 전시 부대에서 19발의 예포와 1700명의 해병대 퍼레이드를 하는 영예를 안았다.[37]그녀는 미군 부대에서 관직을 맡고 있는 동물의 초기 사례였다.[24]

은퇴

1954년 주정부 교대식에서 무모 하사님PFC 윌리엄 무어가 그녀를 붙잡고 있다.그는 미국 여행에 그녀와 동행했다.

릴리틀은 해병대에 대한 모범적인 봉사로 퍼플 하트 2개(베가스 전투 중 받은 상처에 대한 상), 해병대 선행훈장, 동스타와의 대통령부대 표창, 국방훈장, 대한민국 봉사훈장, 유엔한국훈장, 해군부대 표창, 레푸를 받았다.한국 대통령 부대 표창장 수여식 [4]행사그녀는 이 상을 말 담요에 걸치고, 제5차 세계대전에서 해병대가 벌어들인 프랑스산 포레지르에 걸치곤 했다.[10]

1954년 4월 17일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에 실린 글에서, 《런던트》가 아직 한국에 있을 때,[8] 미국 지지자들에 의해 해병대가 그녀를 미국으로 데려오도록 하는 캠페인을 벌였다.퍼시픽 트랜스포트 라인의 임원인 스탠 코펠은 이 기사를 읽고, 요코하마에서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그의 회사의 배들 중 한 척에서 라블을 무료로 탈 수 있게 해 주겠다고 제안했다.[4]그녀가 미국으로 떠나기 전, 해병대와 육군의 축구 경기 하프타임 동안 밴드를 포함한 미국 로테이션을 위한 기념식이 열렸다.무모함이 제1의 해상항공기 날개 수송기를 타고 한국을 일본으로 떠났다.[35]그 후 그녀는 1954년 11월 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예정되어 있는 SS 태평양 수송선을 타고 10월 22일 요코하마에서 출항했다.[11]태풍으로 인해 선박 도착이 11월 9일 저녁으로 연기되었다.무모한 사람들과 그녀의 관리인들은 다음날 아침까지 승선했다.무모한 사람은 폭풍우 중에 병이 났고, 여행이 끝날 무렵에 일어난 폭풍에 의해 그녀의 노점에서 갑판으로 쫓겨난 적이 있다.

나는 그녀의 아름다움과 지성에 놀랐고, 믿거나 말거나, 그녀의 에스프리 드 군단에 놀랐다.여느 해병처럼 그녀는 동료들과 맥주 한 병을 즐기고 있었다.그녀는 끊임없이 매력의 중심이었고 자신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만약 그녀가 받아야 한다고 느꼈던 관심을 받지 못한다면, 그녀는 의도적으로 해병대 한 무리로 걸어 들어가 사실상 대화에 들어가곤 했다.해병대가 그녀를 사랑하는 것은 분명했다.

—Lieutenant General Randolph McC. Pate[4]

무모함의 미국 진출은 도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관세청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미 농무부는 그녀가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면 그녀가 선상에서 내리기 전에 건강 검사와 실험실 검사를 마쳐야 한다고 주장했다.미 해병대는 워싱턴 D.C.의 농업부 관리들과 연락을 취했는데, 그녀는 선글러나 두린이 있으면 파괴되거나 일본으로 돌려보낼 것이라는 이해로 그녀의 혈흔이 채취된 후 배에서 내릴 수 있도록 허락했다.실제로 그녀를 알고 있던 많은 해병대원들은 두린이 성적으로 전염되는 병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 그들이 그녀의 명예에 대한 모욕이라고 여기는 것에 격분했다.[38]도착하기 전날 밤 다시 한 번 이불을 먹었지만, 하선 시간에 맞춰 리본과 휘장이 달린 새 모포가 만들어졌다.그녀는 1954년 11월 10일 페더슨 중위에 의해 배에서 인도되어 샌프란시스코에서 미국 땅에 발을 디뎠는데,[39] 공교롭게도 해병대의 생일이었다.이날 열린 해병대 생일 무도회에서 그녀는 엘리베이터를 탄 뒤 케이크와 꽃장식을 모두 먹었다.[4]

1959년 병장으로 진급할 때 무모 하사

무모함은 잠시 페더슨의 가족이 보관한 뒤 캠프 펜들턴의 해병대 5사단, 해병 1사단과 함께 보다 영구적인 보금자리로 이동했다.1955년 10월 22일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에 《Randle》에 대한 두 번째 기사가 실렸다.이 두 글과 책 "Randle: Pride of Marineers"(1955)는 전쟁 중 Randle에 대한 메모를 보관했던 2대대대 사령관 앤드루 기어가 썼다.[4]아트 링크레터의 쇼 하우스 파티 등 여러 차례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냈지만 태풍으로 인해 에드 설리번출연을 취소해야 했다.[24]Ed Sullivan은 그녀가 그의 11월 7일 쇼에 출연하기를 원했고 11월 5일 도착 예정일 직후에 그곳에 도착하기 위해 기꺼이 비용을 지불했다.무모함은 설리반의 쇼에 출연하지 않았다.[38]

무모함은 캠프 펜들턴에 있는 동안 VIP로서 잘 보살핌과 대우를 받았다.해병대도 그녀가 상업적 이익에 이용당하지 않도록 조심했다.[40]그녀는 그곳에서 네 마리의 새끼를 낳았다: 콜트 프라우드(1957년), 던트리스(1959년), 체스티(1964년), 1965년~1966년 경에 태어난 그녀의 마지막 새끼는 태어난 지 한 달 후에 죽었고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14][4]그녀의 자손인 체스티는 체스티 풀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이 체스티 풀러는 지금까지 레이어드 탑승을 허락받은 몇 안 되는 해병 중 한 명이었다.[4]풀러는 해병대 중장이자 역대 가장 훈장을 받은 미 해병이었다.[41]무모한 사람은 1960년 11월 10일 캠프 펜들턴에서 전군예우를 받으며 현역에서 은퇴했다.[4][24]그녀는 해병대 서류에 따라 퇴직금 대신 무료 숙소와 식량을 제공받았다.[37]

1959년, 무모의 아들, Fearless.

1968년 5월 13일 철조망에 걸려 늙어 자해하면서 무모하게 등에 관절염이 생겼다.그녀는 상처를 치료하는 동안 진정제를 맞고 죽었다.[42]사망 당시 만 19세, 만 20세로 추정됐다.[4]캠프 펜들턴 마구간에는 그녀를 기념하는 명패와 사진이 있다.[10]1989년 11월 10일 뉴욕 아쿠아드레인지 경마장에서 열린 1차 경주는 "The Got Reliant"로 지정되었다.[4]1997년 라이프 매거진에 의해 미국의 100대 영웅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37]

기념물

6·25전쟁 60주년을 하루 앞둔 2013년 7월 26일 해병대 국립박물관 셈퍼 피델리스기념공원에서 탄약 등 전투장비를 실은 조각가 조슬린 러셀의 기념비가 공개됐다.동상 밑동에는 그녀의 꼬리털이 자물쇠로 채워져 있다.[43]동상 명패에는 얼런드 병장과 함께 전투에 참전했던 해롤드 와들리 병장의 인용구가 들어있다: "위험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외로움과 충성의 정신은 다른 볼거리였다.아프다.단호하다.그리고 혼자.그것이 내가 영원히 머리와 가슴에 각인시킨 이미지야."[44]

예술가인 조슬린 러셀이 전국에 주둔하고 있는 '런던 하사'에는 해병대 기지 캠프 펜들턴(2016년 10월 26일), 켄터키 호스파크, 렉싱턴, KY(2018년 5월 12일), 국립 카우걸 박물관과 명예의 전당, FT 등 5개의 추가 기념물이 있다.워스, TX(2019년 11월 13일), 바링턴힐스, 일리노이주 바링턴힐스팜(2019년 9월), 세계 승마센터 오칼라, FL(2020년 12월) 등이다.[45][46]그것들은 국립 해병대 박물관에 있는 것과 비슷하다.[46]

2018년[47][48] 연천 고랑포구 역사공원(전초 베가스전투의 전장 인근)의 난임 병장 추모비가 헌화됐다.

시상 및 장식

출처:[44]

Gold star
Bronze star
Fourragère CG.png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퍼플 하트(상금 스타 1명 포함) 서비스 스타 1명 포함 해군 대통령 부대 표창장 해군 부대 표창 해병대 선행훈장 프렌치 포레가르
국방훈장 동메달 3/3의 한국 서비스 메달 대한민국 정부 기관 훈장[d][1] 유엔 대한민국 메달

2016년 7월 28일 러블리한 병장은 1952년부터 1953년 사이에 복무한 공로로 디킨 훈장을 추서받았다.[49]2019년 11월 그녀는 디킨 메달을 받은 최초의 미국인이 되었다. 디킨 메달을 받은 것은 전쟁 속의 동물과 용맹의 평화 메달을 받은 것이다.[50]

대중문화에서

  • 무모한 1953:한국마사회 말뮤지컬쇼.
  • 브루클린 나인나인: S01E13의 땅콩버터 중위는 무모함에서 영감을 받았다.
  • "Landy and Terry Google"은 The Technical Efficiences의 게임쇼 Incorporation Need의 S3 E3의 이름과 주제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서비스 메달의 종류:알 수 없는
  2. ^ 때때로 "피더슨"[13]으로 철자가 틀리기도 한다.
  3. ^ 때로는 5일로 잘못 보고되기도 한다.[29]
  4. ^ 서비스 메달의 종류:알 수 없는

참조

  1. ^ a b "한국 경주마, 6.25때 美훈장 받아 화제" [Korean racehorse receives the Order of the U.S. Medal]. Naver (in Korean). October 3, 2019.
  2. ^ a b 블랙맨, 2012년 주니어, 페이지 4
  3. ^ a b c Geer 1955 페이지 109–113.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호프만 1992 페이지 78-85.
  5. ^ Dorsey, Marcus (April 16, 2018). "Sergeant Reckless Korean War horse statue going to KY Horse Park". Kentucky.com.
  6. ^ "Statue of heroic Korean War horse Sgt. Reckless to be dedicated at Kentucky Horse Park on May 12". KyForward.com. May 1, 2018.
  7. ^ Geer 1955 페이지 23–108.
  8. ^ a b c 1955년 작가 노트
  9. ^ 지어 1955 페이지 48.
  10. ^ a b c d e 승마 뉴스 2012.
  11. ^ a b c d e 코클리 1991, 23페이지.
  12. ^ Nilsson, Jeff (January 14, 2012). "A War Horse Earns Her Sergeant's Stripes: 1953". The Saturday Evening Post. Retrieved September 9, 2015.
  13. ^ 지어 1955년, 서문
  14. ^ a b c d e f 밀러 2013.
  15. ^ Geer 1955 페이지 7.
  16. ^ Geer 1955 페이지 130–132.
  17. ^ Geer 1955 페이지 124-125.
  18. ^ Geer 1955 페이지 117.
  19. ^ Geer 1955 페이지 134.
  20. ^ Geer 1955 페이지 120.
  21. ^ Geer 1955 페이지 142-143.
  22. ^ Geer 1955, 페이지 120, 161.
  23. ^ a b c d e 리탈리엔 1984, 페이지 30.
  24. ^ a b c d 킬가넌 2012.
  25. ^ a b Geer 1955 페이지 143–144.
  26. ^ Geer 1955 페이지 181–183.
  27. ^ 1955 페이지 154.
  28. ^ Geer 1955 페이지 158.
  29. ^ a b Geer 1955 페이지 172–189.
  30. ^ Geer 1955 페이지 210.
  31. ^ a b Geer 1955 페이지 189–191.
  32. ^ Geer 1955 페이지 191.
  33. ^ Geer 1955 페이지 191–193.
  34. ^ 볼티모어2013.
  35. ^ a b Geer 1955, 소개 페이지 208–210.
  36. ^ 1955년, 소개 페이지 200–202.
  37. ^ a b c 2010년 병장 무모한 비디오.
  38. ^ a b Geer 1955 페이지 211–217.
  39. ^ 1955년 작가 노트 124페이지
  40. ^ Geer 1955 페이지 223–224.
  41. ^ 해병대 뉴스 2013.
  42. ^ 투스칼루사 1968년 뉴스.
  43. ^ 바텔 2013.
  44. ^ a b "Operation Reckless Dedication". Department of Defense 60th Anniversary of Korean War Commemoration Committee. July 26, 2013. Retrieved February 20, 2016.
  45. ^ "Memorial dedication for Marine Pack Horse, Staff Sgt. Reckless". U.S Marine Corps. October 24, 2016.
  46. ^ a b Ritchie, Erika I. (September 2, 2016). "Staff Sgt. Reckless wasn't just a horse, she was a Marine who served in Korean War". Orange County Register.
  47. ^ "경기 연천 - 임진강 따라 만나는 여유로운 여정" [Yeoncheon, Gyeonggi - A leisurely journey along the Imjin River]. Naver (in Korean). November 1, 2018.
  48. ^ "전쟁으로 사라진 연천 고랑포구, 역사공원으로 살아나다" [Yeoncheon Gorangpogu, lost in war, is revived as a historical park]. Naver (in Korean). October 3, 2019.
  49. ^ Bailey, Nancy (July 28, 2016). "U.S. Marine Horse 'Sgt Reckless' Awarded Posthumous Medal Of Valor". The Inquisitr News. Retrieved July 29, 2016.
  50. ^ Tousignant, Marylou (November 18, 2019). "New animal bravery medal honors heroic dogs, pigeons and horse". The Washington Post.

참고 문헌 목록

추가 읽기

외부 링크

외부 이미지
image icon SSGT RAND – Jocelin Russell의 슬라이드쇼 처리 및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