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해군의 제복

Uniforms of the United States Navy
1917년 하워드 챈들러 크리스티가 그린 미 해군 모집 포스터. 가장 널리 알려진 군복인 사병복 블루스를 입은 여성이 등장한다.

미국 해군의 제복에는 예복, 일상복, 근무복, 특수상황용 제복이 포함되는데, 이것은 해군 역사를 통해 다양했다.이 기사에서 간단히 말하자면, 장교장교장교 모두를 지칭한다.

예복

미 해군은 최소한의 예복부터 가장 격식을 갖춘 예복까지 세 가지 범주가 있다: 서비스, 풀, 디너 드레스.

서비스 드레스

서비스 드레스 유니폼은 정장이나 디너 드레스 수준으로 올라가지 않는 공식적인 기능을 위해 착용한다.또한 공식 자격으로 이동하거나 지휘부에 보고할 때 일반적으로 착용합니다.일반 시민은 양복이다.서비스 드레스 블루는 연중 착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드레스 화이트는 여름 또는 열대 지역 전용입니다.리본은 서비스 드레스 유니폼의 모든 변형에서 왼쪽 가슴 주머니에 착용합니다.춥거나 험한 날씨에는 서비스 드레스 유니폼과 함께 전천후 코트 또는 리퍼 코트를 입을 수 있습니다.

장교 및 소령

서비스 드레스 블루
한 장교가 서비스 드레스 블루(2008)를 입고 사병들을 검사하고 있다.
파란색 군복 입은 미 해군 여성 장교(2012년)

Service Dress Blue(SDB; 서비스 드레스 블루) 유니폼은 검은색에 가까운 짙은 감색 정장 코트와 바지(또는 여성용 옵션 스커트), 흰색 셔츠, 남성용 검은색 4인핸드 넥타이 또는 여성용 목 탭으로 구성됩니다.소재는 벤더에 따라 일반적으로 울 또는 울 블렌드입니다.남성 재킷은 6개의 금색 단추가 있는 더블 가슴, 여성 재킷은 1열 4개의 금색 단추가 있는 싱글 가슴.계급장은 장교들을 위한 금색 소매 줄무늬이고, 등급 배지와 복무 줄무늬는 최고 하사관(CPO)이 왼쪽 소매에 착용한다.규정된 헤드기어는 흰색 콤비네이션 캡이지만, 규정 당국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재킷을 착용하지 않은 일부 상황에서는 네이비 블루 개리슨 캡이 선택 사항입니다.해군은 2016년부터 구별되는 여성 콤비네이션 캡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 시작했고, 현재 여성 장교와 CFO를 위한 남성용 커버와 유사한 커버를 처방하고 있다. 이전 여성 버전은 [1]2018년 10월까지 착용이 허용되었다.W-2급 이상 장교는 미국 방패의 모자 배지를 달고 금색 교차 앵커에는 은색 독수리를 착용하고 W-1급 장교는 교차 앵커 한 쌍, CPO는 파울 앵커 한 벌을 착용한다.콤비네이션 커버의 턱스트랩은 장교와 육군사관에게는 금색, 육군사관 및 육군사관에게는 금색, 육군사관에게는 검정색입니다.여성들은 일반적으로 SDB와 함께 벨트리스 슬랙스를 착용하지만,[2] 2017년 1월부터 벨트가 달린 슬랙스를 대체복으로 착용할 수 있다.

서비스 드레스 화이트
한 부관이 흰색 군복 모델(2015년)

서비스 드레스 화이트 유니폼은 최근까지 남성과 여성의 종류가 달랐다.남성들은 높은 깃이 있는 흰색 튜닉을 착용하고, 장교용 어깨 보드와 CPO용 금속 앵커 칼라 장치, 흰색 바지 및 흰색 신발을 착용합니다.이 유니폼은 깃이 서 있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초커"라고 불립니다.이전에는 면이었던 이 소재는 오늘날 "Certified Navy Twill"로 알려진 폴리에스테르 직물입니다.흰색 콤비네이션 캡은 처방된 [3]헤드기어입니다.

이전에 여성들은 서비스 드레스 블루 유니폼과 비슷한 유니폼을 입었지만 흰색 코트와 스커트 또는 바지를 입었다.장교 계급장은 청색 제복과 같은 방식으로 소매에 끈을 매고 있었고, CPO는 재킷의 옷깃에 계급장 핀을 달았다.그러나 해군은 남성복과 비슷하게 여성복 교체를 발표했고, 여성 장교와 CPO는 2017년 초부터 남성복과 유사한 깃이 있는 튜닉을 착용하기 시작해 2020년 1월 말까지 구식 제복을 전면 교체했다([4]최초 2019년 12월에서 연기).

하급 사병

2006년 하사관들은 빨간색과 금색 등급 배지와 군복무 줄무늬가 표시된 파란색 유니폼을 입고 있다.

남성 하급 사병들을 위한 서비스 드레스 블루는 크래커 잭 과자의 포장을 장식하는 세일러복의 형태 때문에 흔히 "크래커잭"이라고 불리는 감색 세일러복을 기반으로 한다.칼라와 커프스에 흰색 줄무늬가 세 줄로 장식된 타르 플랩 칼라가 달린 네이비 블루 울 풀오버 점퍼와 칼라의 각 모서리에 하나씩 있는 흰색 별 두 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검은색 실크 또는 합성 섬유 네커치프는 대각선으로 감겨져 목둘레와 옷깃 아래에 착용되며, 끝은 가슴 중앙의 정사각형 매듭으로 묶인다.유니폼 바지는 "벨 하의"로 플레어된다.이 바지는 전통적으로 폭이 넓은 개구부가 특징이었지만, 2012년에 발표된 바지에 지퍼가 달린 파리가 추가되어 단추가 [5]장식용으로만 만들어졌다.전통적인 흰색 '딕시 컵' 모자, 검은색 가죽 신발도 착용한다.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잠깐 동안, E-1에서 E-6까지 급여 등급의 남성 사병들은 장교들과 CPO들이 착용한 버전에 바탕을 둔 이중 가슴의 파란색 유니폼을 입었지만, 회색 단추와 은색 독수리와 "USN"[6]자로 구성된 엠블럼이 있는 조합 덮개가 있었다.

흰색 정장 교복을 입은 미 해군 대장급(2018년)

여군 하급 사병들의 군복 블루는 1970년대 [7][8]단명한 남성 군복과 비슷했다.이 유니폼은 2016년 10월부터 전환이 시작되어 2020년 1월 말(초기일 2019년 [4][9][10]12월에서 연기)까지 완성되면서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크래커잭"의 여성형 변형으로 대체되었다.

2016년까지만 해도 군 복무복 화이트 유니폼은 남녀노소 모두 흰색 점퍼, 앞부분이 플라이(또는 여성용 옵션 스커트), 검은색 가죽 슈즈, 검은색 네커치프로 구성돼 있었다.남성들은 흰색 "딕시 컵" 모자를 썼고, 여성들은 서비스 드레스 블루 유니폼과 같은 모자를 썼다.그 서비스 드레스 화이트 점퍼는 사실 이전의 언드레스 화이트에서 유래한 것으로 소매가 넓고 파이프가 없습니다.그러나 2015년 10월부터 서비스 드레스 화이트 점퍼는 커프가 달린 소매에 네이비 블루 파이핑, 칼라에 별과 네이비 블루 파이핑, 그리고 요크가 적용되도록 변경되어 서비스 드레스 블루 [11]점퍼의 '포토 네거티브'가 되었습니다.

리본은 이 유니폼과 함께 왼쪽 상단 주머니가 열리게 되어 있고, 자격증이나 전투용 휘장을 달고 있다.추우거나 악천후에는 전천후 코트나 피코트를 이 유니폼과 함께 입을 수 있다.Service Dress Blues의 등록 요금 배지와 서비스 줄무늬의 색상은 착용자의 근속 연수를 기준으로 빨간색 또는 금색입니다(2019년 이전에는 징계 이력에 따라 결정됨). Service Dress White의 색상은 항상 검은색입니다.

정장

정장 제복은 지휘권 교체, 퇴역, 임관 및 폐관, 장례식, 결혼식 또는 기타 적절한 경우에 착용한다.풀드레스는 리본 대신 왼쪽 가슴 주머니 위에 풀사이즈 메달을 달고 반대편에는 리본이 달려 있어 훈장 없이 장식을 한다는 점이 서비스 드레스와 유사하다.칼이나 은 장교와 [12]소장이 착용할 수 있으며, 중위가 착용해야 할 수도 있다.사령관 이상.

워싱턴 D.C. 의례 경비대에서, 하급 사병들은 흰색 권총 벨트, 애스콧, 드레스 아이구엘레트(겨울에는 흰색, 여름은 남색)와 흰색 캔버스 레깅스를 착용함으로써 더 많은 변화를 준다.다른 의장대는 공인 레깅스와 흰색 권총 벨트만 착용할 수 있습니다.

디너드레스

파란 옷을 입은 해군 장교 (2017년)

미 해군의 디너 드레스 제복은 가장 격식을 차리고 변형이 많다.장교용으로는 디너 드레스 블루와 디너 드레스 화이트, 디너 드레스 블루 재킷과 디너 드레스 화이트 재킷, 포멀 드레스가 있습니다.바지는 허가되어 있지만, 여성들은 적절한 색상의 치마를 자주 입는다.

디너 드레스 블루와 화이트는 서비스 드레스 버전과 동일하지만 리본이 없는 미니어처 메달과 배지가 부착되어 있습니다.디너 드레스 블루는 와이셔츠와 검은색 나비넥타이와 함께 추가로 착용합니다.이러한 변형은 많은 하급 장교와 사병들이 중령 이상에서만 처방할 수 있고 중령 이하에서는 선택 가능한 보다 격식을 갖춘 디너 드레스 재킷 변형 대신 일반적으로 착용합니다.

디너 드레스 블루/화이트 재킷은 양쪽에 단추가 3개 달린 짧은 메쉬 재킷으로 검은색 나비 넥타이와 골드 커머번드(여성은 나비 넥타이를 넥 탭으로 대체한다)와 함께 착용한다.남성 장교는 재킷 소매에 파란색, 숄더보드에 흰색 줄무늬를, 여성 장교는 소매 줄무늬만 입는다.이 유니폼은 검은색 넥타이에 해당합니다.

포멀 드레스는 디너 드레스 블루 재킷의 유니폼과 동일하지만, 컴머번드 대신 금색 단추가 달린 흰색 조끼, 흰색 나비 넥타이, 그리고 자개 스터드와 커프스 링크와 매치한 조끼와 함께 착용합니다.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남성들은 이 유니폼으로 표준 디너 드레스 재킷을 테일코트로 대체할 수도 있다.여성 버전은 디너 드레스 블루 재킷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골드 대신 자개 스터드와 커프스 링크로 대체됩니다.이 유니폼은 흰색 넥타이에 해당합니다.게다가, 이 유니폼은 오직 서장과 장교들에게만 규정되어 있다.

디너 드레스 유니폼은 겉옷을 착용하지 않으면 헤드기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중위 이하 계급의 사람들은 디너 드레스 재킷이 처방될 때 디너 드레스 유니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하사관 이상의 사병들은 장교들과 비슷한 제복을 입지만, 왼쪽 소매에는 계급장과 복무용 줄무늬가 있다.일등병 이하 사병은 장교나 서장과 유사한 디너 드레스 재킷을 옵션으로 착용하지만, 전통적인 군복인 디너 드레스 유니폼에 리본 대신 미니어처 훈장을 달 수도 있다.

군복

군복이란 미 해군의 일상복으로 여러 가지 변형으로 존재한다.사무실 환경, 대중과 소통하는 위치 및 감시 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치마는 모든 군복의 여성들에게 허용된다.

장교 및 소령

서비스 카키

2006년 9월, 미 해군 소령들은 카키색 군복에 "버킷 스타일"의 여성 콤비네이션 커버를 착용했다.

해군은 1913년 초기 해군 비행사들의 실용적인 의복으로 카키색 제복을 처음으로 승인했다.; 그들은 비행이나 [13]비행기에서 일할 때 해군 기장이 달린 해병대 카키색 제복을 입도록 허락받았다.카키스는 1931년 잠수함에 승선하고 1941년 모든 선박에서 장교 근무복으로 승인받았다.

오늘 카키 군복은 하사관 이상의 장교와 사병들을 위한 것이다.반팔 카키색 버튼업 셔츠와 매치 팬츠로, 금색 벨트 버클이 붙어 있습니다.이 셔츠는 앞면 플랩 포켓 2개와 열린 칼라가 특징입니다.셔츠의 왼쪽 주머니 위에는 리본이 달려 있고, 그 위에는 전투용 휘장이 달려 있다.오른쪽 주머니 위에는 네임태그를, 깃에는 계급장을 달 수 있습니다.리본 규정에는 상위 3개 상 또는 모든 리본을 한 번에 착용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헤드기어는 카키색 커버가 있는 콤비네이션 캡 또는 카키색 수비 [14]캡으로 구성됩니다.현재 검은색과 갈색 옥스퍼드 신발은 모든 장교와 CFO에게 [15]허용되지만, 전통적으로 갈색 신발은 비행사만 신는다.여성들은 하급 사병들과 같은 오버블라우스를 입을 수 있다.해군 주니어 [16]ROTC의 사관후보생과 소령후보생들도 이 제복을 입는다.

서머 화이트 서비스

썸머 화이트를 입고 시찰 중인 미 해군사관학교 소장(2010년)

서머 화이트 서비스 유니폼(이전에는 트로피컬 화이트 롱으로 알려졌으며 "우유맨"과 "굿 유머" 유니폼)은 반팔 오픈 칼라 화이트 버튼업 셔츠, 흰색 바지와 벨트, 그리고 흰색 정장 구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공인 헤드웨어는 콤비네이션 캡입니다.경찰관들은 이 군복과 함께 숄더 보드를 착용하고, 추장들은 금속 칼라 휘장을 착용한다.모든 계급의 여성 셔츠에는 어깨끈이 있지만, 장교가 착용하는 어깨 보드를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다.Service Kakis와 마찬가지로 Summer White는 여러 가지 소재(폴리/면 및 Certified Navy Twill)로 제공됩니다.오늘의 유니폼으로 지정되면 요일/요일 계획에는 "여름의 흰색"이 표시됩니다.전천후 코트, 블루 재킷, 피코트 중 하나를 이 유니폼과 함께 입을 수 있습니다.한때 하급 사병으로 인정받았으나 지금은 장교와 소장만 출입할 수 있다.E-6 이하 회원들은 이전에 왼쪽 소매에 비율 표시가 있는 반팔 여름 흰색 유니폼을 입었으나 2010년 12월 해군에 의해 단종되었다.

주니어 사병

하급 사병들을 위한 해군 군복(2008)

해군 군복

미 해군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모든 군복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모든 군인의 근무복과 계절복무를 하사 이하 하급 사병 1년 근무복으로 대체하기로 했다.해군 제복은 새로운 군복의 롤아웃이 완료된 2010년 12월 31일에 단계적으로 폐지된 겨울 청색 제복과 여름 백색 제복을 대체했습니다.사병들은 이제 하나의 서비스 유니폼을 갖게 되었다.해군 주니어 ROTC 부대도 미국 해군 본대와 달리 사관후보생과 사관후보생 모두 착용하는 이 새로운 군복을 받았다.

해군 복무복은 평상시 근무복을 입는 일상적인 교실이나 사무실 같은 환경에도 견딜 수 있는 연중 근무복입니다.남성용 반팔 카키 셔츠와 여성용 카키 웨스킷 스타일의 블라우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75%, 양모 25%, 군용 영구 주름, 여성용 벨트리스 슬랙스와 옵션인 벨트리스 스커트가 있는 남성용 블랙 팬츠, 블랙 유니섹스 개리슨 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은색 알루마이트 메탈 랭크 배지는 셔츠/블라우스 칼라 및 모자에 착용합니다.서비스 유니폼에는 니트 스탠드업 칼라가 달린 검은색 릴랙스 핏 재킷과 견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위에 하급 경찰관들은 커다란 은색 양극 산화 금속 비율 휘장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작업복

해군은 작업복이 다른 제복이 지나치게 더러워지거나 수중에 있는 업무에 적합하지 않을 때 입는 것으로 묘사한다.이것은 바다나 산업 환경에서 착용합니다.2010년 7월, 해군 근무복과 복장이 유일하게 승인된 근무복이 되었다.브이넥 스웨터는 [17]2015년까지 커버올이 허가되었습니다.

해군 근무복

AOR-2에서 NWU 타입 III를 착용한 여성 장교(2016년)
NWU 타입 III에서 사용되는 위장 패턴인 AOR-2의 스왓치의 디지털 표시.
NWU 타입 II에서 사용되는 위장 패턴인 AOR-1의 스왓치를 디지털화한 것입니다.

NWU(Navy Working Uniform)는 셔츠와 바지에 여러 개의 주머니가 달린 유틸리티 유니폼입니다.유니폼에는 3가지 버전이 있으며, 각 버전은 다른 서비스에서 도입한 것과 유사한 다색 디지털 위장 인쇄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I형은 대부분 파란색이고 대부분의 선원들이 회색이다.원래는 선상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선상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어 2019년에 단종되었습니다.타입 II는 현재 SEAL과 사막 환경에 있을 때 해군 특수전 부대에 배치되는 Seabee와 같은 다른 선원들에게 제한된 사막 디지털 패턴이다.타입 III는 해안 지휘부와 하천 유닛의 선원들을 위한 삼림 디지털 패턴이다.위장 무늬는 미 해병대 전투유틸리티복에 착용한 MARPAT와 유사하다.

미 해군에 따르면 NWU 타입 I의 색상은 해군의 전통과 해상 [18]작전과의 연관성을 반영하고, 이전에 [19]사용되었던 유틸리티와 작업용 카키색으로는 피할 수 없는 마모와 얼룩을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이 색상은 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인트 색상과 일치하도록 선택되었으며, 유니폼이 종종 새로 칠해진 표면에 접촉하는 긴 배치에서 유니폼의 수명을 연장했습니다.모든 타입 I NWU의 왼쪽 가슴 주머니에는 앵커, USS Constitution 및 Eagle(ACE) 엠블럼이 수놓여 있습니다.액세서리는 감색 면 티셔츠, 8포인트 유틸리티 커버, 버클이 닫힌 웹 벨트 등이었다.이 제복은 칼라 포인트와 유틸리티 커버의 전면 패널 양쪽에 계급장을 달고 있었고, 새로운 디지털 배경 패턴에도 장교, 사병, 사병들을 위한 금색 글씨가 있는 "미 해군" 테이프가 있었다.CPO 이하의 모든 계급은 은글씨로 된 이름 테이프를 착용하고 있었다.NWU Type I은 2009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되었으나 2019년 10월 1일부터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다.[20]

유형 II 및 III 패턴은 각각의 MARPAT 이전 패턴보다 전체적으로 어둡고, 다양한 색조 및 (숲 [21]MARPAT의 수평 정렬과 비교하여) 숲 버전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픽셀 패턴으로 수정된다.추가 패턴은 파란색과 회색 타입 I 패턴이 전술적 환경을 [22]위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다루었습니다.계급장은 몸통 중앙에 있는 탭에 수놓아 착용하고 이름은 갈색(타입 II) 또는 검은색(타입 III)으로 수놓는다.콘웨이 사령관의 반대 등 해병대의 반발은 2010년 [23]착용규정이 발표되면서 제한으로 이어졌다.타입 II는 해군 특수전 요원의 착용이 제한되었고 타입 III는 [24]2016년 말까지 해군 지상 부대로 제한되었다.

유니폼은 주로 50/50 나일론과 면 혼방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녹말과 프레스" 외관이 필요하지 않으며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얼룩이나 찢김(이 때문에 의류가 더 오래 지속됩니다)의 가능성을 줄여줍니다.그러나 이 혼합물은 높은 가연성과 연소 [25][26]중에 선원의 몸을 붙잡을 수 있는 강도를 결합합니다.

2016년 8월, 미 해군은 2019년 10월 1일까지 [27][28]모든 해군 요원의 표준 작업복으로 착용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도입된 타입 III에 대해 NWU 타입 I을 제거한다고 발표했다.타입 III는 2017년 10월부터 새로운 해군 신병들에게 발행될 예정이다.타입 II는 사막 환경에서 해군 특수전 장병들의 착용이 제한될 것이다.NWU 타입이 달성해야 할 모든 계급과 비율에 따라 배와 해안에서 착용할 수 있는 단일 작업복을 개발하려는 해군의 목표는 I 타입에 의해 실현되지 못했다.도입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내화성이 부족하여 선상에서의 착용이 금지되어 해안에서만 착용할 수 있는 유니폼이 되었습니다.해안에서만 입는 유니폼으로서, 선상에서의 얼룩을 감추기 위한 무늬는 육지에서의 사람을 감추기 위한 무늬만큼 은폐에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III를 해안에서 사용한다.해군은 새로운 선상 근무복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해군 제복이 전통적으로 표지에 계급 표시를 해 온 반면, 타입 III 제복은 "8개항 유틸리티 캡의 디자인은 등급 장치를 A로 대체할 디자인 변경을 위해 예정되어 있다"는 지침에 따라 계급장을 앵커, 컨스티튜션, 이글(ACE) 기장으로 대체하도록 지정되었다.CE 로고"

전천후 의류에는 남녀 공용 풀오버 스웨터, 양털 재킷, 파카 등이 있으며 모두 위장 [30]패턴으로 제공됩니다.2016년부터 해군은 NWU 타입 I의 경량화 버전도 더운 환경에 [1]더 적합하도록 할 계획이었다.

미국 해안경비대 직원이 작전복과 함께 착용하는 것과 동일한 검은색 안전 부츠는 NWU 타입 I과 함께 착용한다.갈색 또는 황갈색 부츠는 타입 II 및 III와 함께 착용할 수 있지만, 검은색은 미국 인접 지역에 위치한 선원들의 표준 색상입니다.부츠는 검정색 부드러운 가죽 부츠와 검정색 스웨이드 노샤인 부츠의 두 가지 버전이 있으며, 비선박 명령어로 옵션으로 착용할 수 있습니다.

선상 작업복

2015년 내화성 "FRV" 커버올을 착용한 해군 수병.
폴리/면 커버올을 착용한 2014년 네이비 쿼터마스터.폴리/면 커버올은 대부분 내화성 변형으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해군이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승인되었습니다.

미 해군은 2014년 초부터 선상 작업복으로 사용할 새로운 모델 커버올을 발행했다.새로운 내화성 변종(FRV) 커버올은 모든 선박에서 사용됩니다.부적절한 방화 기능을 갖춘 폴리에스테르 면 혼방 커버올과 같은 이유로 NWU 타입 I을 사용하는 선상용으로 대체되었습니다.면 소재의 FRV는 모두 어두운 파란색이며,[31][32] 이전 커버올은 더 가볍습니다.이전 커버의 네임테이프 대신 승무원복에 착용한 것과 유사한 직사각형 벨크로 백의 네임태그를 사용합니다.

미 함대군사령부(FFC)는 개량된 내화성 변종(IFRV) 작업 유니폼 부품의 다상 마모 테스트를 계속하고 있습니다.FFC는 가장 최근에 IFRV [33]커버올의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해 함대 선원들과 함께 심층 포커스 그룹을 실시했다.IFRV 커버올은 2017년 1월 17일에 발행이 승인되었다.포커스 그룹의 추가 피드백은 이후 상급 작업 그룹에 의해 검증되었으며, 해안 및 운영 지원 작업 모두에서 착용할 수 있는 보다 전문적으로 보이는 2피스 유틸리티 선상 유니폼의 예비 설계로 귀결되었습니다.시제품 투피스 모델의 마모 테스트는 [34][35]2017년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코트

모든 사병들은 왼쪽 소매에 계급장이 달린 감색 완두콩 코트, 깃에 계급장이 달린 감색 "올 웨더 코트" 또는 깃에 계급장이 달린 감색 작업복 재킷을 착용할 수 있다.

장교와 하사관은 종아리 길이의 모직 "브릿지 코트" 또는 허리 길이의 리퍼를 착용할 수 있으며, 어깨 보드에 금색 단추와 계급장을 착용할 수 있으며, 계급장에 따라 어깨나 옷깃에 계급장을 착용할 수도 있다.

모든 선원은 "아이젠하워" 재킷어깨 보드에 적절한 계급 장치가 있는 반팔 군복 착용이 허용됩니다."아이젠하워" 재킷은 허리 길이와 니트 커프가 달린 검은색 재킷으로 드와이트 D와의 연관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아이젠하워.카키색 윈드브레이커는 2016년 9월 30일에 단종되었다.

해군 비행사, 해군 비행 장교, 해군 비행 외과의사, 해군 항공 생리학사, 해군 항공 승무원 등은 G-1 바다표범 갈색 염소 가죽 비행 재킷을 착용할 수 있으며, 왼쪽 가슴 주머니에 있는 이름표(등급 선택)에 전투 기장이 부착되어 있으며, 가죽에 영구적으로 꿰매거나 벨크로 후크 앤드로 부착되어 있다.루프 패스너이 재킷들은 이전에 착용자가 봉사한 곳을 나타내는 다양한 "미션 패치"로 장식되어 있었다.오늘날 G-1의 패치는 이름표, 즉 오른쪽 가슴 주머니에 있는 단위 휘장, 오른쪽 소매에 있는 항공기 형식 휘장, 왼쪽 소매에 있는 항공기 형식 휘장 또는 자수 미국 국기에 추가하여 최대 3개로 제한된다.

또한, 해군은 환경에 적합한 악천후나 한랭한 날씨의 재킷을 지급하는데, 일반적으로 올리브색이나 네이비 블루 색상의 재킷을 지급한다.이 재킷은 "조직복"으로 간주됩니다.선원 소유가 아니므로 배 근처에서 작업하지 않는 한 선외에서 마모될 수 없습니다.

특수한 균일한 상황

해군 밴드

미 해군 밴드, 워싱턴 D.C. 및 미 해군 사관학교 밴드의 모든 사병들은 비율에 관계없이 최고 하급 장교 스타일의 예복(예: 군복무 및 정장 블루스 앤 화이트, 디너 드레스)[36]을 입는다.

해병대 부대 소속 해군 요원들

2007년 해병대 복무복을 입은 병장.

해병대에는 의료인, 성직자, 특정 변호사, 잠수부 등이 [a]없어 해군이 제공한다.이들 장교와 해병대의 사병은 해병대 장교로 선발된 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병원병, 의료선원, 성직자, 종교프로그램 전문가, 해군 총기연락관, 잠수사, 변호사, 법조인, 해군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 이다.이러한 관계 때문에, 이러한 직원들은 사병들을 위한 해병대 계급장(해군과 해병대 장교 계급장은 동일) 대신 해군 계급장이 있는 미 해병대 유틸리티(사막/임야) 군복을 입고 "미 해병"을 대체하는 "미 해군" 패치를 사용할 수 있다.그들은 8개의 유틸리티 커버를 착용하고 있지만, 그것은 해병대의 엠블럼이 없다.또한, 해병 부대에 소속된 해군 요원들은 해군 휘장이 있는 해병 군복 착용을 선택할 수 있다.해병대의 군복 착용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해군 기준보다 엄격한 해병대의 몸매와 몸매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이것은 MARPAT 유니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유니폼은 해병대의 그루밍 표준에 관계없이 해병 부대에 부착될 때 현장에서 착용해야 하기 때문이다.해군 병사들은 해병대 정장 파란색 제복을 입을 수 없습니다. 대신 해군 정장 파란색과 [37]흰색 제복을 입습니다.

기타 전투 설비 마모

육군 ACU의 해군 계급장 및 마크

해병대 부대 외에, 전투 유틸리티는 네이비 씰 팀과 씰 플래툰과 SOF 셀을 지원하는 비밀 해상 작전을 수행하는 SWCC 대원들이 착용한다.전투 유틸리티 유니폼(CUU)은 폭발물 처리(EOD) 및 함대 다이버 커뮤니티에 있는 사람들에게 인가됩니다.전투 유틸리티는 해군 건설군(NCF), 해군 원정 물류 그룹 또는 해군 원정 전투 사령부(NECC)에 소속된 사람들에게도 허용된다.또한 카타르와 이라크 중부사령부와 같은 일부 합동본부 부대에 배치된 해군 요원들은 사막유틸리티제복(DUU)을 입는다.개인 증강자, 전투 카메라 그룹, 억류자 OPS, 그리고 특수전 커뮤니티의 일부 해군 요원들은 육군 [38]지휘부와 밀접하게 협력하거나 부대 지휘부에 소속될 때 육군 ACU(Army Combat Uniform)를 착용해왔다.

해군 항공 요원

비행사, 해군 비행 장교 및 해군 항공 승무원은 녹색 또는 사막 비행복(화재 방어를 위한 nomex제)을 착용할 수 있으며, 어깨에는 장교 계급장이, 왼쪽 가슴 주머니에는 명찰/전투 휘장이 부착되어 있습니다.사령부/해군 볼캡 또는 카키 게리슨 캡(임관 및 CPO용)을 이 유니폼과 함께 착용한다.녹색 비행복은 표준 착용이지만, 날개 사령관은 더운 기후에 있는 직원들을 위해 사막 비행복을 승인할 수 있습니다.2012년부터 비행복은 해군 근무복과 같은 방식으로 기지에서 착용할 수 있다.

커버올은 전천후 코트 또는 유틸리티 재킷(하급 경찰관 전용)과 함께 착용할 수 있습니다.

비행 갑판

항공모함에 탑승한 비행 갑판 직원은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다른 색상의 저고리를 착용한다. (미 해군) (2004)

비행 갑판 승무원은 [39]육안으로 각 직원의 기능을 구분하는 색상의 저고리를 입는다.

색. 작업
노란 색
  • 항공기 취급 책임자
  • 투석기 및 체포 장비 담당
  • 플레인 디렉터 – 비행/격납고 갑판에서 모든 항공기의 이동을 책임집니다.
초록의
  • 투석 및 체포 장비 승무원
  • 시각 착륙 보조 전기 기사
  • 에어윙 메인터너
  • 에어윙 품질 제어기
  • 화물 취급자
  • 지상지원장치(GSE) 트러블 슈팅
  • 훅 러너
  • 포토그래퍼 메이트
  • 헬리콥터 착륙 신호 병사(LSE)
빨간.
  • 무기 핸들러
  • 추락 및 구조대원
  • 폭발물 처리(EOD)
  • 소방대원 및 피해대책대
보라색
  • 항공 연료 취급기
파랑색
  • 연습생 비행기 핸들러
  • 초크와 체인 – 옐로셔츠를 입은 초급 비행 갑판 직원
  • 항공기 엘리베이터 운영자
  • 트랙터 드라이버
  • 메신저 및 전화 통화자
갈색
  • 항공 날개 비행기 기장 – 항공기를 비행용으로 준비하는 항공 날개 비행대원
  • 공군 비행선 선도 하사관
하얀색
  • 품질보증(QA)
  • 비행대 비행기 검사관
  • 착륙신호관(LSO)
  • 항공 운송 책임자(ATO)
  • 액체산소(LOX) 승무원
  • 안전 옵서버
  • 의료진(흰색에 적십자 엠블럼 포함)

USS 헌법

USS 헌법(2005)의 임원 및 승무원

USS 컨스티튜션호는 미 해군에서 가장 오래된 취역함이며, 현존하는 6척의 프리깃함 중 유일한 것이다.헌법1812년 전쟁 당시 배가 등장하면서 일반에 공개되고 있으며, 1813년 제정된 규정에 따라 헌법에 입각한 사람들은 여전히 제복을 입고 있다.이 유니폼들은 매년 [43]독립기념일마다 보스턴에서 열리는 턴어라운드 크루즈와 같은 의례적인 행사에서 착용한다.

미국 해군사관학교

퍼레이드 드레스를 입은 USNA 하사관(2003)

해군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 [44]사관학교 사관학교 사관학교는 19세기 전통 군복을 입고 칼라가 달린 허리까지 오는 튜닉과

죄수

해군 해안 교정 시설에 수감된 죄수들은 일반 근무복 대신 특수복을 입어야 한다.군부에 관계없이 모든 죄수들은 같은 유니폼을 입고 있으며, 재판 전 감금은 진한 파란색, 재판[45]감금은 카키색이다.

구식 유니폼

NWU 타입 I

NWU Type I(2008)를 착용한 남성 해군 장교. 이 제복은 2019년에 퇴역했다.

2008년 도입된 해군 작업복은 난연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을 때 이미 선상 사용이 금지돼 2019년까지만 사용됐다.해군 안팎에서 '아쿠아플라주' '배틀드레스오세아닉'이라는 조롱을 받아왔으며 함정 승무원들에게 [46]위장술의 효용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선탠과 녹색 타입 II와 III는 해안에서 해군 병사들을 위해 계속 복무하고 있다.

항공 워킹 카키

1917년 6월 22일 발표된 해군 제복 규정 변경 제11호는 해군 비행사들에게 장교들의 군복인 흰색 군복 튜닉과 바지와 같은 패턴의 해병대 카키색 여름 군복 비행복을 입도록 허가했다.이 신발은 "비행기와 함께 즉시 현역으로 근무할 때"에만 끈이 달린 높은 황갈색 가죽 구두와 함께 착용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작업복"[47]으로 비슷한 색상의 두더지가죽이나 카키색 캔버스 커버올과 함께 착용할 수 있었다.

해군 비행사들은 1922년 3월 20일 미국 최초항공모함 USS 랭글리가 취역할 때까지 해안 기지에서 순찰 폭격기를 조종했다.1922년 10월 13일 항법국 서한은 "항공용 유니폼은 1923년 6월 1일까지 착용할 수 있는 녹색과 카키색을 없애면서 다른 해군 장교들과 같을 것이다."카키색 항공복은 1925년 4월 [47]8일에 복원되었다.

서비스 드레스 카키

두 명의 해군 장교가 2007년 9월 현재 중단된 카키색 군복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긴 소매 면 셔츠에 검은 넥타이가 달린 면직물 바지 위에 어깨 보드가 달린 홑가슴 굵은 면직물 재킷을 입어 선상 세탁소에서 청소할 수 있었다.나중에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바지와 재킷은 드라이클리닝 시설에 일상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종종 가벼운 양털이나 양털 소재의 천으로 만들어졌다.이 제복은 1975년 당시 해군 작전사령관 제임스 할로웨이에 의해 장교의 해저 물품 수를 줄이기 위해 폐기되었다.부활된 유니폼은 2006년에 시험적으로 발표되었다.2008년에는 여름 및 열대 [48]기후에서 장교와 CPO에 의해 착용이 승인되었습니다.이 유니폼은 검은색 넥타이와 어깨 보드와 함께 착용한 카키색 서비스 코트를 다시 도입했다.그것은 서비스 드레스 화이트에 대한 보다 실용적인 대안과 서비스 카키스에 대한 보다 공식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이 유니폼은 Adm에 의해 공공장소에서 자주 착용되었다.마이크 멀런 해군작전총장과 합참의장 시절, 멀렌은 이 군복을 입고 있었고, 백악관 상황실 사진에서 오사마라덴 영내에 대한 해군 특공대 공습 때 재킷을 벗은 채 목격되었다.2012년 10월 비용 문제로 전면 재도입이 취소되고 해군에서 [49][50]퇴역했다.

서비스 드레스 블루 양키

미 해군 제복:파란색 Yankee, 해군 장교, 1983년.

보기 드문 서비스 드레스 블루 양키 유니폼은 서비스 드레스 블루의 어두운 바지와 검은색 신발을 흰색 바지와 흰색 유니폼의 신발로 대체했다.장교들을 [51]위해 처방되었다.

윈터 블루

윈터블루 유니폼은 모든 계급에 대해 승인되었다.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색깔 때문에, 그것은 "조니 캐시" 유니폼이라고 불렸다.[52][53]그것은 긴 소매의 검은색 버튼업 셔츠와 검은색 벨트와 바지(여성용 옵션 스커트)였고, 헤드기어는 콤비네이션 커버(모두 E-7 이상, 여성 E-6 이하) 또는 흰색 딕시 컵(남성 E-6 이하) 중 하나였다.수비대 모자는 모든 [54][55]계급에서 착용할 수 있는 선택적인 보조 헤드기어였다.

군복으로 리본과 배지를 달았고, 장교와 하사관은 금속 칼라 휘장을 달았고, E-6 이하 사병은 왼쪽 팔에 등급 배지만 달았다.모든 남성은 넥타이를 매고 여성 넥탭을 착용했으며, 일등병 이하의 선원을 위한 은색 클립을 옵션으로 착용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금색 클립을 착용했다.Working Blue 변종에서는 넥타이와 리본을 생략했습니다.

현용 카키

작업용 카키색 제복은 주로 배에 탑승하거나 해안의 기지에 있는 선별된 작업 구역에서 장교와 소령들이 입었다.원래는 단순히 코트와 넥타이를 매지 않고 입는 서비스 드레스 카키 유니폼이었다.서비스 카키와 비슷하지만 격식을 차리지 않은 반팔 카키색 유니폼 셔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 주머니 상단에 전투용 휘장과 배지(즉, 명령 핀, 이름 태그 등, 리본은 없음)가 부착되어 있으며, 칼라에 핀온 금속 등급 장치가 장착되어 있습니다.또한 카키색 바지 세트, 금색 벨트 버클이 달린 카키색 벨트, 커맨드 또는 "미 해군" 볼캡(가리슨 캡 옵션), 검은색 또는 갈색 로우 쿼터 슈즈, 검은색 또는 갈색 부츠 또는 검은색 가죽 안전화가 함께 제공되었습니다.세탁은 가능하지만 다림질이 필요한 면 100% 유니폼이었기 때문에 종종 "워시 카키" 유니폼이라고 불렸습니다. 이는 CNT(Certified Navy Twill)로 만들어진 서비스 카키 또는 해안에서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드라이클리닝이 필요한 폴리 울 블렌드와 차별화되었습니다.2011년 1월 초, 해군 주니어 ROTC는 2017년 [16]현재도 카키를 사용하고 있지만, 작업복은 해군 작업복으로 대체되었다.

항공 환경 보호

1917년 9월 7일 해군 비행사 날개 가슴 기장의 채택과 함께 해군 항공계의 장교와 소령들을 위한 겨울 작업용 녹색 유니폼이 승인되었다.최초의 유니폼 패턴은 장교들의 군복인 흰색 제복 튜닉과 바지와 같았다.여름 카키색 유니폼처럼 끈이 높은 황갈색 가죽 구두와 함께 신어야 했다.항공 카키색 유니폼과 마찬가지로 녹색 유니폼은 1922년부터 1925년 [56]수정된 디자인이 재허가될 때까지 미국 항공모함 운영 초기 몇 년 동안 일시적으로 사라졌다.2011년 1월에 단종된 최종 버전은 절단 및 디자인 면에서 해군의 부활된 군복 카키색 군복과 다소 유사했으며 해병대의 "알파" 녹색 군복과 추가로 유사했다.초록색 모직 코트와 청동 단추가 달린 초록색 모직 바지, 검은색 넥타이가 달린 긴팔 카키색 셔츠로 구성됐다.계급장은 장교용 금팔끈과 비슷한 스타일의 소매에 검은색 자수를 두르고, 군복을 입은 하급 장교용 등급 표시와 복무용 "해시" 표시로 구성되었다.금속 계급장은 라인 임원과 CPO에 의해 카키색 셔츠의 칼라 포인트에 동시에 착용되었다.참모군 장교들의 경우, 계급장은 오른쪽 칼라 포인트에, 참모군 휘장은 셔츠의 왼쪽 칼라 포인트(일반적으로 해군 비행 외과의사 등을 위한 의료 부대 등)에 달았다).전투 휘장 및 해당되는 경우, 해상 사령부 및/또는 해안 사령부 휘장은 재킷과 셔츠에 선택적으로 착용되었다.블라우스 및 셔츠 모두 명령어 이름 태그는 옵션입니다.브라운 슈즈는 일반적으로 착용되었지만, 브라운 슈즈가 단종된 1975년에서 1986년 사이에 블랙으로 전환되었다.1986년 갈색 신발의 복원에 이어, 갈색 신발은 다시 가장 흔한 신발이 되었다.승인된 헤드기어에는 녹색 또는 녹색 수비대 커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과 6·25전쟁 때 리본도 이 군복으로 인정받았고, 이는 사실상의 "복무복" 또는 "자유복"으로 근거지에서 착용할 수 있도록 허가되었다.그러나 1960년대 초에는 기지에서나 배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작업복"으로 제한되었다.AWG가 허가된 작업 환경에서 항공사들은 카키색이나 비행복 착용이 더 편리하다고 느꼈으며, 주로 비용 및 100% 울 원단 때문에 착용하지 않았습니다.

AWG 제복은 광범위한 미 해군 제복 통합의 일환으로 2011년 1월 1일 다른 제복과 함께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제1종 해군 근무복이 [57]그 자리를 차지했다.

열대 유니폼

드물게 볼 수 있는 트로피컬 화이트 유니폼(Tropical White Short라고도 함)은 흰색 무릎 반바지와 무릎 양말을 신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여름 화이트 서비스 유니폼과 유사했다.그것은 러브보트 TV 쇼에 나오는 캐릭터의 이름을 따 "캡틴 스터빙" 유니폼으로 알려져 있다.이 군복을 착용하는 것이 허가되었지만, 예외적으로 거의 착용되지 않은 것은 앞쪽에 해군 장교 휘장이 있고 테두리 위에 있는 피스 헬멧이었다.

열대 근무복은 존재했지만, 근무 중인 카키색 유니폼과 유틸리티 유니폼의 변형이었다.무릎 반바지와 검은색 무릎 양말을 입고 소매가 짧은 버튼업 셔츠를 입는다.

여름 흰색/청색("소금 및 후추")

1970년대 중반부터 전통적인 "까기 인형" 유니폼이 일시적으로 폐지되면서 E-6 이하에 의해 처음 착용되었고, 나중에 상사와 장교로 확대되었다."소금과 고추"라는 별명으로 가장 잘 알려진 이 유니폼은 남성의 경우 여름 흰색 셔츠와 겨울 파란색 (예: 검은색) 바지, 여성의 경우 겨울 파란색 바지 또는 겨울 파란색 치마로 구성되었다.그 유니폼은 검은색 신발과 콤비네이션 커버가 함께 착용되었다.해군 요원들이 여전히 이 군복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1983년에 사용이 중단되었다.미 해군은 1983년 이 군복을 정식으로 폐지했지만 해군 주니어 ROTC 부대는 수십 년 [58][59]동안 계속 착용하다가 2010년 6월 결국 사용을 중단했다.

서비스 드레스 그레이

회색 군복 입은 앨런 맥캔 대위(1944년)

장교와 CPO를 위한 이 짧은 유니폼은 1943년부터 49년까지 허가되었지만, 2차 세계대전 동안 동부 해안과 대서양/유럽 극장에서는 흔한 광경이었다.그것은 서비스 드레스 카키 유니폼과 컷과 소재가 동일하지만, 중간 회색에 검은색 단추가 달려 있고, 밝은 회색 셔츠와 개리슨 또는 콤비네이션 커버와 함께 입습니다.장교들의 어깨판도 마찬가지로 회색이었고, 별/청사 휘장과 검정색 계급장은 있었다."일하는 회색"은 재킷과 넥타이를 매지 않고 입는 것과 같은 유니폼이었다.이 회색 제복은 카키색 제독이 육군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 어니스트 킹 해군 작전사령관이 도입했다. 체스터 W. 니미츠 제독은 카키를 싫어했고 태평양 함대에서 착용하는 것을 막았다.

CPO 화이트

1893년부터 1975년까지, 하급 장교들은 흰색 면바지와 검은색 넥타이가 달린 이중 가슴 리퍼 재킷으로 구성된 군복 흰색 유니폼을 입었다.왼쪽 소매에는 검정색 등급 배지와 서비스 줄무늬가 부착되어 있었습니다.이 군복은 계급에 상관없이 해군 밴드 멤버들도 입었습니다.장교 패턴의 백인은 1981년에 공인된 공인회계사입니다.

둥가리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 포로 석방(1945년)

던가리는 1913년부터 1990년대까지 입었던 주니어 사병(E1-E6) 근무복이었다.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수비대나 콤비네이션 커버가 달린 던가리는 더러운 직업에 종사하는 CPO들도 입었다.이후 근무복과는 달리, 군부대 밖에서는 군복을 입을 수 없었고, 군부대원들은 군복을 차 안에서 입고 다닐 수 있었지만 군복을 입고 있는 동안 사이에 들를 수 있는 권한은 없었다.사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둥가리는 배의 내부 공간, 주 갑판 아래 또는 [citation needed]포탑 안에만 착용할 수 있었다.

둥가리는 반팔 또는 긴 소매의 청색 챔브레이 셔츠, 흰색 티셔츠, 그리고 벨 밑단의 데님 청바지로 구성되었다. (문제의 청바지는 민간복 청바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적인 "슬래시" 주머니가 아닌 팬티 다리 전면에 꿰매져 있었다.)헤드기어는 남자에게는 흰색 "딕시 컵" 커버였고, 여자에게는 검은색 게리슨 모자 또는 검은색 베레모의 초기 형태였다. 신병 훈련소를 졸업한 후에는 명령어 볼 모자는 선택 사항이었다(그리고 실제로는 더 흔했다).1995년부터 흰색 모자는 더 이상 던가리와 함께 착용할 수 없게 되었고, 지휘부(또는 해군)의 볼캡이 주요 커버가 되었다.추운 날씨에는 검은색 시계 모자가 허용되었다.

선원의 성은 오른쪽 뒷주머니 바로 위에 흰색으로 스텐실로 새겨져 있었다.오른쪽 가슴 주머니 바로 위 셔츠에도 검은색으로 이름이 새겨져 있었고, 보통 스텐실처럼 쓰여 있었다.이름도 바지와 셔츠에 적절한 색의 자수 실로 보강할 수 있었다.계급장(하급 장교용)과 전투장비는 철로 고정되었다.레이트 배지는 올 블랙 이글('까마귀'라는 별명)과 쉐브론으로 구성되며, 다른 사복의 레이트 배지에 있는 등급 장치를 생략했다.

"분도커"라고 불리는 낮은 검은색 가죽 부츠는 던가리 유니폼과 함께 발행되었다. 그러나 선원들은 검은색 가죽 점프 부츠를 신는 것이 허용되었다.비행 갑판 직원들은 일반적으로 "윙 워커"로 알려진 점프 부츠와 비슷한 디자인의 더 큰 캡토 부츠를 지급받았다.이러한 유형의 부츠는 비행 갑판을 어지럽히고 항공기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능선 사이에 이물질 파편(FOD)이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그재그 모양의 아웃솔을 가지고 있었다.접촉 시 부츠가 얼 경우에 대비하여 리퀴드 산소로 작업하는 직원에게 탄성 면이 있는 "딜러/첼시" 스타일의 앵클 부츠(구어로는 Lox 부츠)를 지급했습니다.

유틸리티

1999년 '둥가리' 제복을 입은 해군 병사

사병 제복은 1990년대부터 NWU를 위해 단계적으로 폐지된 2010년까지 급여 등급 E-1부터 E-6까지 하급 사병들에 의해 착용되었다. 이 제복은 짙은 파란색 치노 천 바지와 폴리에스테르 면 혼방 셔츠로 구성되었으며, 그들이 공유하는 던가레 제복의 최신 버전으로 간주되었다.미적 유사성유틸리티는 작업 환경에서 착용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커버올과 달리 군사 시설 밖에서는 착용할 수 있도록 허가되었습니다.

2009년 '유틸리티' 제복을 입은 해군 선원

추운 날씨에는 검은 시계 모자가 허용되었지만, 보통 선원들은 이 제복과 함께 지휘구 모자를 썼다; 하얀색 "딕시 컵" 모자는 사망자의 위엄 있는 이송과 같은 특별한 의식을 위해 쓰였다.천 이름 테이프는 다른 서비스의 유틸리티 유니폼에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게 착용되었다.1995년부터 왼쪽 가슴 주머니 위에는 '미 해군'이라는 글자가 적힌 테이프가 들어있었고 그 위에는 수놓아진 사병전 휘장과 수놓아진 등급 배지가 부착되어 있었다.이 유니폼의 신발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고 발가락이 둥근 부츠(부도커라고 불림)였으며, 가급적 강철 발가락이 있는 신발이었다.파란색 유틸리티 재킷은 검은색 올웨더 코트를 입어도 좋을 만큼 춥지 않은 기후에서 승인되었습니다.

인게리티드 언드레스 블루스

Winter Blue/Winter Working Blue 유니폼이 도입되기 전에는 사무실 및 교실 환경의 E-6 이하 직원은 Undress Blue 유니폼을 입을 수 있었습니다.이것은 드레스 블루의 "크래커잭" 유니폼과 거의 유사하지만 파이프나 별은 없으며 소매는 넓고 소매가 커프리스로 되어 있었습니다.1941년 이전에는 던가리는 일반인이 볼 수 있는 곳 어디에서도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모든 "갑판 위" 임무의 표준 작업복이었다.리본과 네커치프는 착용되지 않았고 유니폼은 자유를 허락받지 못했다.

사병용 드레스 화이트(전)

1941년까지, 드레스 블루 "크래커잭"에 해당하는 여름과 열대지방은 파란색 타르 플랩과 커프가 달린 흰색 면 점퍼 유니폼이었고, 파란색 유니폼과 같은 흰색 파이프와 별들로 장식되었다.이 제복은 "그 기간 동안" 단종되었고 결코 복직되지 않았다; 대신 리본과 목걸이 치프가 추가된 언드레스 화이트는 선원들을 위한 여름 제복이 되었다.

플랫 모자

미 해군 선원 제임스 R. 플랫 모자를 쓴 병동(1940년 또는 1941년)

1852년부터 1962년까지 (제2차 세계대전 중반 이후 거의 쓰이지 않았지만) 사병들은 영국 해군이 착용한 것과 유사한 리본이 달린 둥글고 납작한 파란색 모직 선원 모자를 받았다.'도날드 덕'은 흰색 '딕시 컵' 대신 좀 더 격식을 갖춘 자리에서 서비스 드레스 블루 유니폼과 함께 입었습니다.이 리본에는 1941년까지 금으로 수놓아진 착용자의 배나 정거장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는데, 그 때 전시 보안 조치로서 일반적인 "미 해군"으로 대체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해군 작전 책임자와 해병대 사령관은 각각 다른 부서의 수장으로 해군과 해병대 사이의 연결고리는 해군 장관에게 보고하고 해군 범죄 수사국이나 해군-해병대 형사 항소 법원 같은 공통 법률 기관을 공유하는 것을 포함한다.

레퍼런스

  1. ^ a b Faram, Mark D. (9 October 2015). "Sweeping uniform changes emphasize gender neutrality". Navy Times.
  2. ^ Burke, R.P. (January 2017). "NAVADMIN 015/17". United States Navy. Retrieved 3 April 2017. Effective immediately and until further notice, optional wear of male E7 and above SDB trousers is authorized with the female SDB uniform. The manner of wear of male trousers is per current uniform policy.
  3. ^ "UNIFORM COMPONENTS". NAVY PERSONNEL COMMAND. US Navy. Retrieved 15 April 2020.
  4. ^ a b Navy Uniform Matters Office (August 2019). "Summer Uniform Wear and News" (PDF). UNIFORM NEWSGRAM. Arlington, Virginia: Navy Uniform Matters Office. p. 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August 2019. Retrieved 14 August 2019.
  5. ^ Naval Personnel Public Affairs (18 May 2012). "Navy Announces New Uniform Components, Regulations". Department of the Navy.
  6. ^ "Archived copy". www.history.nav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05. Retrieved 12 January 2022.{{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7. ^ 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31 July 1972). "Women's New Dress Blues Aren't Blue". OPNAV Information Bulletin. Notes of Interest. Washington, D.C. 20350: Navy Department. Retrieved 23 November 2015.{{cite web}}: CS1 유지보수: 위치(링크)
  8. ^ Worthington, Rogers (5 July 1986). "Saluting A Return To Navy Tradition: To Rebellion And Back In A Decade". Chicago Tribune. Illinois. Retrieved 23 November 2015.
  9. ^ Chief of Naval Personnel Public Affairs Office (9 October 2015). "Navy Announces Rollout and Wear Dates for Upcoming Uniform Changes". All Hand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Navy. Retrieved 23 November 2015.
  10. ^ Navy Personnel Command (March 2014). "@USNPeople Uniform Newsgram" (PDF). Navy Uniform Matters Off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Nav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6 February 2015. Retrieved 6 February 2015.
  11. ^ "White and blue crackerjacks moving forward". Navy Times. 20 April 2015.
  12. ^ Uniform Changes Include CPO Cutlass, Ball Caps (press release), United States Navy, 2 April 2010, navy.mil
  13. ^ "History of US Navy Uniforms (1776-1981)". The Navy Department Library. 15 June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06. Retrieved 3 July 2006.{{cite web}}: CS1 maint: bot: 원래 URL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링크).
  14. ^ 미국 해군 제복 규정 NAVPRS 15665.2015년 2월 10일에 액세스.
  15. ^ 해군 요원사령부 제복 구성품[dead link], 해군 제복 규정.2010년 4월 갱신.
  16. ^ a b "A field manual for the Navy Junior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NJROTC)". Januar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19. Retrieved 25 November 2019.
  17. ^ "Archived copy" (PDF). www.public.nav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8 August 2018. Retrieved 12 January 2022.{{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18. ^ "Military Photos: The New Navy Work Uniform". Strategy Page. StrategyWorld. 4 May 2006. Retrieved 19 October 2009. The color pattern of the NWU (navy blue, deck gray, haze gray and black)
  19. ^ "Navy Uniform Frequently Asked Questions". New-Navy-Uniform.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10. Retrieved 19 October 2009.
  20. ^ Faram, Mark D (30 October 2008). "Blue cammies coming soon". Army Times Publishing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09. Retrieved 5 November 2009.
  21. ^ McCullough, Amy (20 January 2010). "Your thoughts: Navy may try Corps-like camo". Marine Corp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ne 2010. Retrieved 6 May 2010.
  22. ^ "Navy Working Uniform (NWU) Concepts Frequently Asked Questions". Task Force Uniform Public Affairs. United States Navy. 13 January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05. Retrieved 6 May 2010.
  23. ^ "NAVADMIN 374/09: Navy Working Uniform Type II and III". Chief of Naval Operations. CDR Salamander. 4 January 2010. Retrieved 6 May 2010.
  24. ^ "Sailor Outcry over Desert Camo Denial". Navy Times staff. Marine Corps Times. 22 February 2010.
  25. ^ "Why Is the Marine Corps Fighting With the Navy Over a Camouflage Pattern?". The Atlantic. 17 January 2013. Retrieved 4 October 2014.
  26. ^ "NWU under fire: Report raises concerns". Retrieved 4 October 2014.
  27. ^ "Navy Announces Elimination of NWU Type I". 5 August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16.
  28. ^ "The U.S. military is dumping the dumbest uniform ever". 5 August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16.
  29. ^ "NAVADMIN 17214". Retrieved 12 June 2018.
  30. ^ Foutch, Michael (2 March 2006). "New Navy Working Uniform and Service Uniform Concepts Approved". Navy News Staff. Retrieved 5 November 2009.
  31. ^ US Fleet Forces Public Affairs. "Flame-Resistant Coveralls Coming to the Fleet Soon". US Fleet Forces Command.
  32. ^ "Navy uniform policy: 14 changes start now". Navy Times. 7 September 2015.
  33. ^ "USS Carney Tests Improved Flame-Resistant Variant Coveralls". 7 August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ugust 2016.
  34. ^ "USNSCC Homeport" (PDF). USNSCC Homeport.
  35. ^ "US Navy to Test Two-Piece, Flame-Resistant Organizational Clothing". soldiersystems.net. 5 March 2019. Retrieved 21 August 2020.
  36. ^ "Section 3: U.S. Navy Bands". Special Uniform Situations. 5720 Integrity Drive, Millington, Tennessee: Navy Personnel Command. 26 Februar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20. Retrieved 7 June 2020. Enlisted members shall conform to the designation and composition of uniforms prescribed for chief petty officers, Chapter 3, Section 3, with the exception of service khaki uniform.{{cite web}}: CS1 유지보수: 위치(링크)
  37. ^ "Chapter 2 – Grooming Standards", U.S. Navy Uniform Regulations, United States Nav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April 2009
  38. ^ "Archived copy". www.public.nav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14.{{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39. ^ "Rainbow Wardrobe". U.S. Navy Office of Information. Retrieved 16 May 2007.
  40. ^ John Pike (6 April 2000). "Carrier Design". Globalsecurity.org. Retrieved 13 October 2015.
  41. ^ "Rainbow wardrobe". Official Website of the United States Navy. Retrieved 26 April 2020.
  42. ^ Chivers, C.J. (25 January 2012), "Potent Sting Is Prepared in the Belly of a Warship", The New York Times, nyt.com, retrieved 26 January 2012, A version of this article appeared in print on January 26, 2012, on page A6 of the New York edition with the headline: Potent Sting Is Prepared In the Belly Of a Warship.
  43. ^ "Captain and Crew". Naval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3.
  44. ^ "Infantry Dress". US Naval Academy. Retrieved 3 January 2020.
  45. ^ "Navy Corrections to Mandate New Uniforms". US Navy. 24 April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9. Retrieved 27 April 2019.
  46. ^ Faram, Mark (22 August 2017). "The U.S. military is dumping the dumbest uniform ever". Navy Times.
  47. ^ a b Van Wyen, Adrian O. (1969). Naval Aviation in World War I. Washington, D.C.: Chief of Naval Operations. pp. 9& 74.
  48. ^ Courtney Kube (17 July 2008). "New Navy uniform goes retro". MSNBC Digital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08.
  49. ^ "Navy Announces Service Dress Khaki Cancellation". Military.com. 23 October 2012. Retrieved 10 December 2012.
  50. ^ "NAVADMIN 314/12". 19 October 2012. Retrieved 31 March 2017.
  51. ^ 2009년 4월 23일 Wayback Machine(아카이브 버전) 남성 및 여성(아카이브 버전) 임원용 서비스 드레스 블루 양키
  52. ^ Faram, Mark D (28 March 2005). "New duds for everyone?". Navy Times. Army Times Publishing Company. Retrieved 16 October 2009. They include service khakis, clearly the most used of the trio; summer whites, featuring white pants and shirts and shoulder boards for officers; and the less-visible winter blues, commonly known as the "Johnny Cash" uniform.[영구 데드링크]
  53. ^ Van Avery, Chris (4 October 2004). "The good, bad and ugly of proposed uniforms". Navy Times. Army Times Publishing Company. Retrieved 16 October 2009. Combining a short- or long-sleeved white shirt with the blue trousers already in sailors' seabags eliminates the trouble of keeping summer white trousers white and Johnny Cash shirts unburned by a temperamental iron.
  54. ^ "U.S. Navy Uniform Regulations, Male Enlisted Winter Blue Uniform". 6 Octo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06.{{cite web}}: CS1 maint: bot: 원래 URL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링크).
  55. ^ "U.S. Navy Uniform Regulations, Female Enlisted Winter Blue Uniform". 20 Ma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07.{{cite web}}: CS1 maint: bot: 원래 URL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링크).
  56. ^ Van Wyen, Adrian O. (1969). Naval Aviation in World War I. Washington, D.C.: Chief of Naval Operations. pp. 33& 74.
  57. ^ "On This Date in Naval Aviation History: Aviation Greens Make A Comeback". Naval History Blog. 8 April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10. Retrieved 12 April 2010.
  58. ^ Navy Junior ROTC Cadet Field Manual (PDF) (8th ed.). Naval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June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17. Retrieved 31 March 2017.{{cite book}}: CS1 maint: bot: 원래 URL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링크).
  59. ^ Navy Junior ROTC Cadet Field Manual (6th ed.). Naval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August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18. Retrieved 28 December 2018.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