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보 오다지안
Shavo Odadjian샤보 오다지안 | |
---|---|
![]() 오다지안 라이브 인 콘서트 | |
배경정보 | |
생명 | 샤바르시 오다지안 |
일명 | 디제이 전술 DJ 디컴포즈R |
태어난 | 예레반, 아르메니아 SSR, 소비에트 연방 | 1974년 4월 22일
기원.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장르 | |
직업 |
|
계측기 | 베이스 |
활동년수 | 1992년~현재 |
배우자 | 소니아 오다지안 |
샤바르쉬 "샤보" 오다지안(,[1] 1974년 4월 22일 ~ )은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음악가로, 헤비 메탈 밴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의 베이시스트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그는 또한 노스 킹슬리라는 트랩 그룹에서 베이스를 연주합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밴드 활동이 중단된 동안 오다지안은 우탱클랜의 설립자인 RZA와 함께 AcHoZeN이라는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이 프로젝트는 영화 바빌론 A.D.에 많은 곡을 기고했습니다.2015년 컴필레이션 앨범이 발매되었습니다.Odadjian은 The Rza와 Hans Zimmer와 함께 영화의 음악적인 점수를 매긴 것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젊은 시절
소련 예레반에서 태어났습니다.그는 5살[2] 때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훗날 밴드 동료인 다론 말라키안, 세르즈 탄키안과 함께 아르메니아 교구 학교인 알렉스 필리보스 초등학교에 다녔습니다.[3]
젊은 시절 오다지안은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펑크 록과 헤비 메탈 음악을 들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고 말했습니다.그 중에서도, 그는 데드 케네디스, 슬레이어, 블랙 사바스, 메탈리카를 그가 가장 좋아하는 밴드로 꼽으며, 그의 음악적 발전과 경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합니다.[4]
레코딩 커리어
시스템 오브 어 다운
대학 재학 중(심리학 전공, 미술 부전공) 은행에서 일하는 동안 오다지안은 1993년 밴드 다론 말라키안과 세르지 탄키안이 소속된 소일을 관리하기 시작했습니다.오다지안은 녹음실에서 그들을 만났고, 그곳에서 리허설을 하고 있었습니다.[2]두 멤버는 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그는 밴드의 매니저가 되었습니다.Odadjian은 초기 인터뷰에서 시스템의 첫 번째 지역 공연을 확보하는 것은 힘든 일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밴드를 관리하고 있었고 데모 테이프도 없었고 돈도 없었지만 공연을 하고 싶었습니다.저는 은행에서 일을 하고 있었고, 송금 사이에 록시에 전화를 걸었습니다.'이봐, 쇼 좀 해줄래, 임마?에디, 우리에게 보여줘요.'그는 '데모 테이프가 필요해요. 그냥 보여줄 수는 없어요.'라고 말했습니다.5분 후에 다시 전화할게요.어느 날 록시가 갑자기 폭발해서 '좋아요!가서 75장을 팔아라.'150개를 팔았습니다."[5]

1995년, 오다지안은 밴드의 영구 베이시스트가 되었습니다.그들은 밴드 동료 다론 말라키안(Daron Malakian)이 쓴 "다운의 희생자들(Victims of a Down)"이라는 제목의 시를 따서 자신들을 "다운의 시스템(System of a Down)"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오다지안(Odadjian)은 "희생자들(Victims)"이라는 꼬리표가 붙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시스템(System)"이라는 단어가 훨씬 더 많은 청중들에게 호소한다고 생각했습니다.그 밴드는 또한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밴드인 슬레이어와 함께 그들의 CD를 상점에 보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오다지안이 벨벳 해머 뮤직에 원래의 경영 책임을 떠넘긴 것은 이때였습니다.그들의 첫 번째 발매는 "Sugar" 라는 제목이었습니다.얼마 지나지 않아 드러머 앤디 카차투리안이 밴드에 합류했지만 1997년 손 부상으로 인해 현재 드러머 존 돌마얀으로 교체되었습니다.[6]
Odadjian은 System of a Down에서 베이스를 연주하고 라이브 백 보컬도 부릅니다.그의 보통 베이스 연주 스타일은 픽(pick)이지만, 그는 특정 노래를 부르는 동안 손가락을 고르는 것도 목격되었습니다.오다지안은 "Toxicity", "Sugar", "Jet Pilot", "Bounce", "Mind", "Dreaming", 그리고 "U-Fig"와 같은 유명한 시스템 오브 어 다운 곡들을 작곡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그는 밴드의 뮤직 비디오의 대부분을 감독했으며, 각 라이브 공연의 무대 디자인과 조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7]
2001년 10월 21일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에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이 슬립노트로 헤드라인을 장식한 쇼에서 오다지안은 백스테이지에 들어가려고 할 때 보안 요원들에 의해 폭행과 인종 프로파일, 밴 안델 아레나 밖으로 호송되었습니다.그는 2003년 3월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8]
신체적으로 오다지안은 그의 스케일링, 땋은 수염, 그리고 스파이크가 달린 팔 팔찌를 통해 시선을 사로잡습니다.특히 오다지안의 수염은 빠르게 그의 특징적인 외모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Odadjian은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이 사회적, 정치적으로 비난을 받는 가사에 대해 논평하면서 인터뷰에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을 "정치적 밴드"라고 부르는 것을 거절했습니다.[9]그는 다음과 같이 진술했습니다.
"우리는 정치적 밴드가 아닙니다.[…] 저희는 라이프 밴드입니다.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정치는 우리의 모든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물론 우리는 정치에 대해 이야기 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성, 마약, 웃고 울고 슬퍼하는 것, 그리고 죽음과 삶에 대해서도 이야기 할 것입니다.뉴올리언스에 대한 노래를 쓴다면, 4일 동안 그들의 나라에서 도움이 오지 않았기 때문에, 당신은 그것에 대해 말할 것입니다.그건 뭔가 강한 거에요.엄청나요, 엄청나요, 그런 일이 지금 일어나고 있어요.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정치적 밴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그것이 우리를 특정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밴드로 만듭니다."[10]
이 밴드는 2006년과 2010년 사이에 활동을 중단했고, 멤버들은 외부 프로젝트에 집중했습니다.2010년 11월 23일, 시스템은 2011년 유럽의 여러 축제들을 공연할 것이라고 공식적인 성명을 발표했고, 그들은 북미 서부 지역에서도 많은 공연을 했습니다.
최근 공연을 위해 재결합
2009년 10월 31일, 오다지안은 더 록시(The Roxy)에서 "할로윈(Halloween)"이라는 행사를 개최했고, 그 행사에서 그와 시스템의 동료 밴드 동료인 다론 말라키안(Daron Malakian)과 존 돌마얀(John Dolmayan)은 무대에서 잼을 하고 시스템 오브 어 다운(System of a Down)의 "Suite-Pee"를 포함한 다양한 노래를 함께 공연했습니다.[11]시스템 오브 어 다운 트리오 또한 2009년 11월 20일에 함께 모여 혼수상태에 빠진 데프톤스의 치청을 기리기 위해 시스템 노래를 함께 공연했고 데프톤스의 치노 모레노가 리드 보컬을 맡았습니다.[12]
AcHoZeN
오다지안은 2006년 5월 AcHoZeN이라는 이름의 부대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AcHoZeN은 우탱클랜 설립자인 오다지안, 키네틱 9(일명: 킬라미 출신의 베레타 9), 시카고 출신의 떠오르는 윌리엄 버크 목사 사이의 음악적 동맹입니다.아초젠의 진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올 것이고, 소수만 아초젠이 될 것입니다."
네 명의 주요 멤버들은 그들의 독특한 사운드가 본질적으로 영적일 뿐만 아니라 "랩 메탈"이 아닌 "헤비 힙합"의 새로운 장르라고 느낍니다.앨범에 무거운 기타는 없지만, 장르적으로 잘 섞인 사운드입니다.아초젠 앨범의 대부분은 오다지안의 두 스튜디오 중 한 곳에서 녹음되었고 또한 그가 프로듀싱했습니다.대부분의 비트는 Odadjian(전체 음반에 한두 개의 샘플만 사용됨)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그들은 베이스와 시타르를 포함하여 라이브 악기를 연주하기도 했습니다.그의 비트에 기여한 RZA, Kinetic 9와 William Burke 목사는 대부분의 보컬과 가사를 부르는데, Odadjian에 따르면, "내가 들어본 것 중 가장 혁신적이고, 시적이고, 정의로운 단어와 보컬"입니다.오다지안의 보컬은 AcHoZeN의 수록곡인 "Duces", "Galute/Sacrifice"와 앨범에 수록된 다른 곡들에서도 들을 수 있습니다.[13]

아초젠의 데뷔는 펑크의 거장 조지 클린턴,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기타리스트 존 프루시안테, 우-탕 제휴사 킬라 프리스트, 우-탕 창립 멤버 GZA, 싸이코 리얼름의 엠씨 식 자켄, 앙골라 래퍼 레게진 핀을 포함한 다양한 게스트 공연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 작가는 아초젠의 음악을 힙합의 우주적인 경험으로 묘사했습니다.
AcHoZeN은 해안이나 심지어 행성이 없는 우주 힙합, 랩입니다.대신에, 각각의 노래는 태양계의 느낌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이 앨범은 각 트랙이 고통, 황홀경, 증오 또는 희망에 대해 깊이 연구하면서 다양한 감정의 스펙트럼을 탐색하고 퇴마시킵니다.시타르와 바이올린을 사용하여 샤보는 우주적인 유동성을 가진 비트를 구성하면서 앨범 전반에 걸쳐 라이브 악기를 연주하면서 틀을 깨트립니다.[14]
오다지안은 AcHoZeN을 "음악적 혁명"이라고 묘사했습니다.단순한 밴드가 아니라 사고방식입니다." RZA와 오다지안은 곧 있을 투어를 기대하고 있습니다.Achozen은 주요 영화인 Babylon A.D.에도 등장하는데, 이 영화의 도입부에서 AcHoZeN 노래 "Ducees"가 크게 들립니다.[15]아크호제N의 첫 라이브 쇼는 L의 Key Club에서였습니다.2006년 12월 1일 A.[16]
2009년 11월 13일 금요일, 두 번째 AcHoZeN 수록곡 "경례/희생"이 다가오는 AcHoZeN 데뷔 앨범에서 오다지안의 온라인 아트 디스트릭트와 네트워킹 사이트인 urSESSION.com 에서 무료 다운로드로 독점적으로 공개되었습니다.AcHoZeN 앨범은 2010년 중반에 발매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부분적으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에 대한 오다지안의 약속 때문에 아직 발매되지 않았습니다.[17]
2015년, 이 앨범은 붐박스 디지털 포맷을 기반으로 8곡의 모음곡으로 발매되었습니다.더 많은 곡들이 섞이고 녹음되었다고 언급되면서 더 많은 곡들이 나올 것입니다.
노스킹슬리
2019년에 결성된 오다지안은 레이 호손과 사로 파파리안의 프로젝트에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했습니다.몇 달 후, 그는 밴드의 멤버로 합류했고, 그 후 그룹 이름을 노스 킹슬리(North Kingsley)[18]로 바꿨습니다.
Shavo는 Wall of Sound와 밴드의 이름의 기원이 지난 1979년 아르메니아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처음 이사했을 때 살았던 첫 번째 거리에서 왔다고 밝혔습니다.[19]라인업:오다지안, 레이 호손, 그리고 사로 파파리안.
2020년, 오다지안은 새 밴드 노스 킹슬리를 출범시켰는데, 이 밴드에는 사로 파파리안과 레이 호손이 참여했습니다.그들은 8월 6일 데뷔 싱글 "Like That"을 발표했습니다.[20][21]2020년 12월 4일, 밴드는 Vol.2라는 제목의 두 번째 EP를 발매했습니다.[citation needed]
urSession
2008년 초, Odadjian은 전세계의 모든 장르와 스타일의 예술가들을 통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가상 온라인 예술 지구이자 네트워킹 사이트인 urSESSION을 설립했습니다.이 웹사이트는 오다지안의 오랜 친구이자 연예계 변호사인 나르브 아베디시안에 의해서도 설립되었습니다.파워 106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웨이크업 쇼 스웨이 & 킹 테크(MTV 상주 비제이)는 이 사이트의 파트너이며 에미넴, 닥터 드레 및 기타 저명한 래퍼들이 업계에 처음 진출했을 때 이전에 본 적이 없는 독점적인 아카이브 영상을 제공합니다.[22]
2008년 초, urSession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위한 대회인 10만 배틀을 발표했는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아티스트가 다른 상들과 함께 파워 106의 세계 유명 웨이크업 쇼에서 공연할 수 있는 로스앤젤레스 왕복 티켓을 획득했습니다.[23]
디제잉 및 기타 프로젝트
![]() |
게다가 Odadjian은 LA 지역에서 인기 있는 DJ로, 2001년 3월 2일 캘리포니아 할리우드의 The Roxy에서 열린 "Rock/DJ Explosion"과 시스템 오브 어 다운 밴드 동료 Serj Tankian과 Seart의 공동 작업에 참여했습니다. Serart는 다재다능한 아르메니아 음악가 Arto Tunçboyac ıyan과 함께한 공동 작업 앨범입니다.Odadjian은 DJ 택틱스(DJ Tactics)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힙합, 테크 하우스, 클래식 록, 메탈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돌립니다.
최근[when?] 오다지안은 조지 클린턴의 후원 밴드(의회/펑카델릭)의 일원으로 출연했습니다.2008년 9월, 그는 클린턴과 함께 더 투나잇 쇼에서 제이 레노와 함께 라이브 공연에 출연했습니다.오다지안은 또한 클린턴의 2008년 앨범인 조지 클린턴과 히즈 갱스터즈 오브 러브에 출연하는데, 이 앨범에는 오다지안의 아초젠 밴드 동료인 RZA,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기타리스트 존 프루시안테, 카를로스 산타나 등 많은 게스트 뮤지션들이 출연합니다.그는 팝 음악에도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Odadjian은 Onesidezero, Snot, Soulfly의 멤버들의 부대 프로젝트인 Abloom의 총괄 프로듀서였습니다.오다지안은 현재 밴드 카멜레온 컨덕터의 데뷔 앨범을 멘토링하고 있습니다.오다지안의 남동생 데이브 오다지안은 기타를 치는 사촌 해리 마르카리안과 함께 밴드에서 베이스를 연주합니다.[24]
디코ZeR
2009년 9월, 오다지안은 10월 유럽에서 디포ZeR로 라이브 공연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그는 Rza와 동행할 것입니다.디코ZeR은 오다지안의 제작자 가명입니다.그는[needs update] 2010년에 완성된 곡들이 발매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그 중에는 Frukwanaka가 포함된 새로운 GraveDiggaz 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게이트키퍼.그 외에도 60초 어쌔신, 킬라 프리스트 등의 콜라보레이션 작품들이 있습니다.[17]
타작
연출 및 편집
오다지안은 "아주 시각적인 사람"이라고 말하면서, "Aerials"와 "Toxicity"를 포함한 System of a Down의 광범위한 뮤직 비디오를 감독하고 편집했습니다."Question!"의 비디오 컨셉은 그의 꿈 중 하나에서 비롯되었습니다.[25]
Odadjian의 연출 스타일은 Rod Serling (Twilight Zone)에서 영감을 받아 초현실적인 분위기의 테마를 구현하고 촬영에 혁신적인 방법을 통합합니다.[26]Odadjian의 Serling-esque 스타일은 System of a Down 뮤직 비디오인 Aerials, Question, 그리고 Taproot의 비디오인 Odadjian이 감독한 Mine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2007년 5월 15일, 오다지안이 Bad Brains의 앨범 Build a Nation의 첫 번째 비디오를 감독할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27]오다지안은 프런트맨 H.R.과 함께 콘서트 영상 말미에 등장합니다.두 사람은 카리스마 있게 무대 옆을 걸으며 대화를 나누고 담배를 피우는 모습이 보입니다.오다지안은 또한 2015년 비디오 게임 모탈 컴뱃 X의 TV 스팟과 출시 트레일러를 감독했는데, 이 트레일러에는 그의 밴드의 대표곡인 "첩 수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채점 영화
2007-2008년, 오다지안과 Rza는 빈 디젤이 주연한 여름 블록버스터 영화 바빌론 A.D.의 주요 영화인 영화에서 한스 짐머와 함께 득점을 했습니다.[28]"Ducees"라는 곡과 함께 오다지안은 "A Single Moment", "Foreshadow", "Blade Runner 0.8", "Rollin DissgEyes", "Build Your Enemones", "Digital Slaps", 그리고 "Immaculate"라는 곡을 작곡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29]
연기
오다지안은 1993년 AC/DC의 "Big Gun" 비디오에 처음 등장하면서, 거꾸로 된 야구 모자와 하얀 티셔츠를 자랑하는 관중 속에서 아놀드 슈왈제네거와 함께 서 있었고, 슈왈제네거는 다이너마이트 막대기를 잡고 있었습니다.Loudwire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슈워제네거 옆에서 그가 눈에 띄게 등장한 것은 의도하지 않은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사용한 총은 군중 속의 다른 어떤 엑스트라들보다 그를 더 많이 때렸기 때문입니다.[30]그는 또한 영화 Zoolander에서 Hansel의 Posse 멤버로 카메오로 출연했습니다.
2006년, 오다지안은 국제적으로 유명한 감독 칼라 가라피디안의 다큐멘터리 영화인 크리머즈에 출연했습니다.이 영화는 오다지안과 록 밴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의 나머지 멤버들이 유럽과 미국을 순회하면서 오늘날 다르푸르를 거쳐 1915년 아르메니아에서 시작된 현대 대량학살의 참상을 지적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31]
그림과 미술작품

오다지안은 음악 이외의 열성적이고 열정적인 화가입니다.그의 작품은 "Hypnotize" 비디오에서 강조된 추상적인 작품을 포함하여 많은 System of a Down 뮤직 비디오와 라이브 쇼에 등장했습니다.[32]오다지안의 화풍은 서로 피가 흐르는 크고 밝은 색으로 추상적입니다.2006년 Ozzfest 기간 동안, Odadjian은 Ozzfest에서 System의 헤드라이닝 무대 배경으로 사용된 27개의 추상적인 모자이크 그림을 만들었습니다. (System of a Down 공연에서의 무대 디자인 역시 Odadjian 덕분입니다.)한 평론가는 오즈페스트 공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법안에 나와 있는 다른 밴드들 대부분이 무대를 강화하기 위해 두개골, 혈액, 고어 등의 전통적인 금속 이미지를 고수했지만, 시스템은 그 반대의 방향으로 나아가 거대한 비디오 화면을 휩쓴 일련의 추상화를 제공했습니다."[33]
2006년 오즈페스트 공연을 위해 오다지안이 그린 각각의 그림은 오다지안이 직접 손으로 직접 고른 것입니다.Odadjian은 그의 작품들/백드롭들 각각을 노래들과 짝지어, 그가 특정한 노래의 각각의 독특한 감정을 그의 그림들과 어울리는 분위기에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합니다.[34][35]
자선활동과 행동주의

Odadjian은 전세계적인 대량학살을 인정하고 예방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그것에 국한되지 않는, 인간의 만행에 항의하는 열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권 운동가입니다.[36]그는 또한 청소년 멘토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암에 걸린 어린이들을 위해 더 많은 연구를 할 수 있는 자선 행사를 자주 개최하고 있습니다.[37]2009년 2월 27일, 오다지안은 AGBU의 GenNEXT "Community Hero Award"를 받았는데, 이 상은 젊은 아르메니아계 미국인들의 롤모델로서 그의 뛰어난 업적에 경의를 표하는 상입니다.오다지안은 지역 사회의 어린 아이들에 의해 수상 후보로 지명되었습니다.수상 연설에서 오다지안은 지역 사회에서 활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38]
"오늘날 사회에서 목소리를 가진 사람이 있다면, 그들은 그 목소리를 정당하고 친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39]
오다지안은 나중에 지역 사회의 아이들이 그 상을 수상하도록 지명한 것의 개인적 가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그래미에서 우승한 것보다 더 좋았습니다.그래미는 단지 산업일 뿐입니다. 그것은 기업입니다.애들한테 받은 거예요.이는 차이가 발생했음을 보여줍니다.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은 누군가에게 차이를 알아차리게 할 때입니다.그것은 놀라운 느낌이었습니다.어디서 왔는지 압니다아이들이 저를 지명했고, 최고였습니다."[40]
개인생활
오다지안은 소니아 오다지안과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41]
디스코그래피
|
|
- 기타등장
연도 | 예술가. | 송 | 풀어주다 | ||||||||
---|---|---|---|---|---|---|---|---|---|---|---|
앨범 및 사운드트랙 | |||||||||||
2003 | 세라트 | 나리나 | 세라트 | ||||||||
2007 | 우당씨 | "예측 불가능" | 8 다이어그램[42] | ||||||||
"스타터" | |||||||||||
2009 | 순즈 오브 맨 & 샤보 오다지안 | 데드 버드 | RZA 선물: 아프로 사무라이 부활 OST | ||||||||
브루클린 주 | "내게 총이 있다면" | 체임버#9, 32절[43] | |||||||||
래권 | "기하드" | 단 4개의 쿠바 링스를 지었습니다.제2부 | |||||||||
참회소 |
시상식
![]() |
- 2002년, System of a Down은 그들의 노래 Chop Suey!로 최고 메탈 퍼포먼스 부문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지만, Schism by Tool에게 졌습니다.
- 2003년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최우수 하드 록 퍼포먼스 부문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으나 푸 파이터스에 의해 올 마이 라이프에 패했습니다.
- 2005년,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최우수 얼터너티브 액트 상을 수상했습니다.
- 2006년 System of a Down은 BYOB를 위한 최고의 하드 록 퍼포먼스로 그래미상을 처음 수상했습니다.
- 2006년, System of a Down은 그들의 노래 Question!으로 MTV Good Woodie Award를 수상했습니다.
- 2006년,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의 노래 독성은 VH1 Top 40 Metal Songs 목록에서 14위를 차지했습니다.
- 2007년,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그들의 노래 Lonely Day로 최고의 하드 록 공연 부문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지만 Woman by Wolfmother에게 패배했습니다.
참고문헌
- ^ Larkin, Colin (2011).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5th concise ed.). Omnibus Press. p. 2005. ISBN 9780857125958.
- ^ a b Hartmann, Graham (September 16, 2020). "System of a Down's Shavo Odadjian Plays 'Wikipedia: Fact or Fiction?'". Loudwire. Retrieved September 16, 2020.
- ^ "Last FM: System of a Down Biography". Music-city.org. Retrieved July 18, 2011.
- ^ "Interview with System of a Down". "NYRo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8, 2011. Retrieved July 18, 2011.
- ^ "Interview: System of A Down Continues to Rage with Hypnotize". Campuscircle.com. Retrieved July 18, 2011.
- ^ "Singing with a Purpose". Electrictex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0, 2011. Retrieved July 18, 2011.
- ^ "Shavo's Yerevan Magazine 인터뷰 12월 09일" Wayback Machine에서 2010년 3월 25일 아카이브
- ^ "System of a Down Bassist Sues Security Team for Humiliating Him in Front of Fans". MTV.
- ^ "Interview: System of a Down". Campuscircle.com. Retrieved July 18, 2011.
- ^ Benson, John. "System of a Down: Not a Political Band". Plan9music.com. Retrieved July 18, 2011.
- ^ "Hallow9een Show hosted by Shavo" 2010년 2월 26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 ^ "Chi Benefit Show를 위한 시스템의 3/4" 2010년 3월 24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 ^ "Blabbermouth: System of a Down Bassist to Perform at WeThePeople Festival". Roadrunnerrecord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31, 2011. Retrieved July 18, 2011.
- ^ "Achozen: 기억할 이름" 2011년 5월 30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 ^ "Babylon A.D. Movie Details/Cast". Movies.yahoo.com. Retrieved July 18, 2011.
- ^ "System of a Down's Shavo Odadjian: The Gibson Interview". Gibson.com. June 24,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4, 2011. Retrieved July 18, 2011.
- ^ a b "Shavo Odadjian Releases a New Achozen Song for Free on Friday the 13th". Wuforever.com. November 10,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3, 2014. Retrieved July 18, 2011.
- ^ Aarons, Ricky (November 29, 2020). "Meet System Of A Down's Shavo Odadjian's New Band North Kingsley". Wall Of Sound. Retrieved August 2, 2021.
- ^ Aarons, Ricky (December 17, 2020). "Shavo Odadjian – 'Introducing North Kingsley and Protecting Armenia with System Of A Down'". Wall Of Sound. Retrieved December 17, 2020.
- ^ "Shavo Odadjian Launches His New Band North Kingsley". Bass Magazine - the Future of Bass. bassmagazine.com. August 7, 2020. Retrieved August 20, 2020.
- ^ Aarons, Ricky (November 29, 2020). "Meet System Of A Down's Shavo Odadjian's New Band North Kingsley". Wall Of Sound. Retrieved December 17, 2020.
- ^ "샤보 오다지안: 음악, 영화, 인터넷을 만드는 다운 베이시스트의 시스템" 2009년 3월 7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
- ^ ["아초젠 진행상황 및 UR세션 세부사항에 관한 정보"]
- ^ "샤보는 카멜레온 지휘자와 함께 스튜디오 녹음 중" 2010년 1월 7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 ^ "System of a Down Find Answer to 'Question!' In a Dream". "VH1. Retrieved July 18, 2011.
- ^ Moss, Corey (August 2, 2005). "System of a Down Find Answer To 'Question!' In A Dream". Mtv.com. Retrieved July 18, 2011.
- ^ "Bad Brains Video News And Tour", Paul Tao, AbsolutePunk.net , 2007년 5월 15일
- ^ "The RZA, Hans Zimmer Teamed Up to Score Vin Diesel's Babylon A.D." Slashfilm.com. June 26, 2008. Retrieved July 18, 2011.
- ^ IMDb의 샤보 오다지안
- ^ System of a Down's Shavo Odadjian – Wikipedia: Fact or Fiction?, retrieved January 18, 2022
- ^ IMDb의 비명소리
- ^ "System of a Down's 'Hypnotize'". "MTV. October 24, 2005. Retrieved July 18, 2011.
- ^ Saitowitz, Paul (July 10, 2006). "System of a Down Rises Above the Dross". The Press-Enterprise. Retrieved July 18, 2011.
- ^ "Shavo Odadjian of System of a Down: 'You Always Have To Top Yourself'". Ultimate-guita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5, 2011. Retrieved July 18, 2011.
- ^ "Bassist Odadjian puts band in tuxedos for reincarnation-themed clip". "VH1. Retrieved July 18, 2011.
- ^ Moss, Corey (April 26, 2004). "System of a Down Mark Genocide by Playing, Not Preaching". "MTV. Retrieved July 18, 2011.
- ^ "Shavo and Two Real Heroes" 2009년 11월 4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 ^ "샤보, AGBU로부터 'Community Hero' 상 수상" 2010년 1월 7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
- ^ "Generation Next Mentorship Program Raises $40,000 during its 10th Anniversary Gala". Agbu.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2, 2012. Retrieved July 18, 2011.
- ^ "Shavo and 2 Real Heroes" 2009년 11월 4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 ^ "SHaVo on Instagram: "How was your Christmas? Hope everyone had a great one. . . . . #merrychristmas #family #fyp #sundayvibes"".
- ^ "Shavo Discography at Discogs". Discogs.com. April 22, 1974. Retrieved July 18, 2011.
- ^ "Brooklyn Zu ft. Shavo 'If I Had a Gun'". Nahright.com. July 3, 2008. Retrieved July 18, 2011.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