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레이스 매듭
Shoelace knot신발레이스 매듭 | |
---|---|
![]() | |
이름 | 신발끈, 활 |
카테고리 | 바인딩 |
카테고리 2 | 루프 |
관련 | 암초 매듭 |
해제 | 비재밍 |
일반적인 용법 | 신발끈 묶기, 나비 넥타이, 장식용 활 |
ABOK | #1212, #2403, #2404, #2411 |
신발끈 매듭 또는 나비 매듭은 보통 신발끈과 나비 넥타이를 묶는데 사용된다.
신발끈 매듭은 반고리로 묶고 있는 모든 것의 끝을 결합하고, 노출된 각각의 끝을 루프(Bight)로 접고, 두 번째 반고리로 루프를 결합하여 형성된 이중으로 미끄러진 암초 매듭이다.루프의 크기와 노출된 끝의 길이는 매듭이 묶일 때 조정된다.그것은 암초 매듭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지만, 매듭의 중앙에서 끝부분을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쉽게 풀 수 있다.
루프는 때때로 "버니 귀"라고 불리는데, 특히 매듭이 아이들에게 가르쳐질 때 그렇다.
기술
신발끈 매듭을 묶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각 매듭은 반 히치 매듭을 묶는 것으로 시작하며, 할머니 매듭보다는 암초 매듭(또는 네모) 매듭을 정교하게 다듬은 매듭에 도달하기 위한 주의나 어떤 습관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활이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수평인 경우 활은 정확하고 안전하게 묶이지만 수직이 미끄러지기 쉽다.한 가지 접근방법은 양손에 신발의 옆구리의 가장 윗눈꺼풀에서 나오는 레이스 끝을 잡고, 다른 쪽 끝 아래, 앞쪽에서 뒤쪽으로 우세한 손끝을 지나 각 레이스를 시작점에서 반대쪽으로 떨어뜨리는 것부터 시작하여 마무리 단계에서 각 레이스를 잡고 다시 각 레이스를 잡는 것이다.그 쪽의 손을 옆으로 하고(이전에 각 끝이 신발 위를 가로지르기 때문에 끈이 바뀌었거나 또는 반대로 손이 끈을 바꾸었음을 알아채는 데 시간이 걸리고), 다시 반대쪽 끝 아래에서 앞쪽에서 뒤쪽으로 지배적인 손끝을 지나간다.
- 또한 설명해야 할 가장 간단한 접근법은 각 레이스 끝을 동일한 레이스의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 다시 구부려 루프를 형성한 다음, 이 총알 포인트 이전에 설명한 두 번째 패스백 언더에서 두 개의 루프를 다른 절반 히치로 결합하는 것이다.
- 또 다른 일반적인 절차(특히 나비넥타이의 경우)[1]는 초기 하프히트의 한쪽 끝에서 고리를 형성하고 다른 쪽 끝과 원을 그리며, 동시에 접혀 매듭을 통해 밀리는 두 번째 고리로 된다.
- 가장 빠른 접근법은 각 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에 하나의 고리를 만들고 다른 손의 고리를 통해 각각의 고리를 잡아당기는 것이라고 한다; 속도는 아마도 일련의 이미지에 의해 유도되는 반복을 통한 근육 기억력 획득을 필요로 할 것이다.[2]
더 안전한 신발끈
절차의 변화에는 매듭의 윗부분을 한 번이 아닌 두 번 느슨하게 하는 것이 포함되며, 그 결과 거의 같은 모양의 마무리 활이 나타나지만 끈은 가운데를 두 번 감았다.이 더블 슬립 매듭은 신발끈을 좀 더 단단히 묶은 채 느슨한 끝부분을 살짝 잡아당겨 풀 수 있도록 한다.[3]미국 특허의 주제인 한 변형은 외과의사 매듭에서 시작되며 그 위에 위쪽 쌍슬립 매듭이 있다.[4]레이스 잠금은 추가적인 보안을 위해 추가될 수 있다.[5]
안전성이 떨어지는 신발끈 매듭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두 번 연속 반노트(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두 번 연속 반노트)를 묶으면 네모꼴의 나비코트 대신, 그르누니 매듭에 해당하는 훨씬 덜 안전한 버전이 나온다.[6]이 버전은 또한 비대칭적인 전표를 만들 것이다; 하나는 아래로, 다른 하나는 위로.
코르셋 활
반쪽 히치를 쌓아 긴 매듭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 매번 반대 방향을 기억하는 - 이것은 다른 쪽 암초 매듭을 묶는 것과 같기 때문에 코르셋 테이프와 같이 링 길이를 줄여야 하는 활은 서로 위로 묶어서 다른 층을 미끄러뜨릴 수 있다.
참조
- ^ "How to Tie a Bow Tie". WikiHo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14. Retrieved 24 July 2014.
- ^ "Ian's Shoelace Site - Ian Knot, Ian's Fast Shoelace Knot". www.fiegge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15. Retrieved 2013-02-03.
- ^ Ashley, Clifford W. (1944). "Knot #1219". The Ashley Book of Knots. Doubleday. p. 221. ISBN 978-0-385-04025-9.
- ^ 미국 특허 5997051, 키스너, 폴 J. & 키스너, 마조리, "쇼엘라스 타이잉 시스템" 1999년 12월 7일 발행
- ^ "Ian's Shoelace Site - Lock Lacing". www.fiegge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5-15. Retrieved 2015-05-13.
- ^ Ashley, Clifford W. (1944). The Ashley Book of Knots. Doubleday. p. 75. ISBN 978-0-385-04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