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칠리아 (테마)

Sicily (theme)
시칠리아 테마
【α】【μα】【α】【α】
비잔틴 제국의 테마
687/695–902
ByzantineEmpire717+extrainfo+themes.svg
비잔틴 제국과 그 테마c. 717
자본의시라쿠사, 레기온
역사
역사 시대중세 시대
• 설립
687/695
902
• '칼라브리아의 테마'로 이름을 바꾼 잔재
10세기 중반
선행
에 의해 성공자
Simple Labarum.svg 시칠리아(로마 주)
시칠리아 토후국
칼라브리아 테마 Simple Labarum.svg
오늘의 일부이탈리아
몰타

시칠리아 테마(그리스어: μα μα δα δα δα δα δ테마 시켈리아스)는 7세기 후반부터 10세기까지 시칠리아 이탈리아 본토칼라브리아 지역을 둘러싸고 있었던 비잔틴의 주(테마)이다.무슬림의 시칠리아 정복 이후, 902년부터 주제는 칼라브리아로 제한되었지만, 10세기 중반까지 원래의 이름을 유지했다.

역사

535-536년 벨리사리우스에 의해 동고트로부터 재탈환된 이후, 시칠리아는 군부가 [1][2]혼란에 빠진 반면, 프리터 휘하에 별개의 주를 형성했다.687년에서 695년 사이에 아랍의 자료에서 스트래티고스(군정)가 이 섬에 전해지고 있으며,[3] 이 섬이 테마로 만들어진 것은 아마도 그 때였을 것이다.

그 주제는 전통적으로 시칠리아의 주요 도시인 시라쿠사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이 섬은 투르마이라고 불리는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대략적으로 [3][4][5]크라티 강까지 뻗어 있는 칼라브리아 본토 공국(그리스어: οαυαυαρα dou, doukaton Kalavrias)도 포함하고 있었다.게다가 시칠리아의 스트래티지오들은 나폴리, 가에타, 아말피[6]자치 공작들에 대해 지배적인 지역 정파에 따라 달라지는 권한을 행사했다.

무슬림의 섬 정복은 826년에 시작되었다.878년 시러큐스 함락과 902년 타오르미나 정복 이후 스트래티고스는 칼라브리아의 수도 레기온으로 이동했다.10세기 전반 동안, 비잔틴인들은 섬을 되찾기 위해 여러 번의 원정을 감행했고, 마지막 비잔틴의 전초기지였던 로메타가 함락된 965년까지 메시나 근처에 고립된 거점들을 유지했다.이에 따라 시칠리아의 스트래티고스는 [1][7][8]칼라브리아의 스트래티고가 목록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10세기 중반까지 공식 칭호로 유지됐다.

시칠리아의 알려진 스트래티고이 목록

주의: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는 봉인만 알고 있는 사무실의 소유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불확실한 항목 또는 추측 항목은 이탤릭체로 표시됩니다.

이름. 종신 재직권 임명자 메모들 참조
살벤티우스 c.687–695 유스티니아누스 2세(?) 7세기 후반의 국새 두 개를 통해서만 알려져 있는데, 국새는 지리학적 자격 없이 패트리코스트래티지오라는 직함을 부여하고 있다.그의 라틴어 이름은 아마도 로마의 원로원 귀족에서 유래한 서양의 기원을 가리키고 있다; 그 당시 유일한 서양의 주제가 시칠리아였기 때문에, 그는 아마도 그의 첫 번째 통치 기간 동안 유스티니아누스 2세에 의해 임명된, 그곳에서 전략가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9]
시오필락트 c. 700 티베리오스 3세 4개의 인장은 그 이름을 가진 시칠리아의 쿠비쿨라리오, 파라코이모메노, 스트래티지오의 존재를 증명한다.인장의 연대는 동일 인물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확실치 않지만, 몇몇 학자들(예: 비탈리앙 로랑과 니콜라스 오이코노미데스)은 그를 701년 10월에 임명되어 시칠리아에서 온 라벤나의 총장동일인물로 간주한다.이 귀속은 또한 그를 최초의 파라코이모네로 알려지게 할 것이다. [10][11]
테오도르 c.710–713 유스티니아누스 2세 710년 10월 콘스탄틴 교황이 그를 병에서 낫게 했을 때 처음 증언되었다.711년 요한 3세 리조코푸스가 살해된 후, 그는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보내졌다.그는 라벤나의 펠릭스 대주교 등 많은 반란군들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유배시켰다.그는 아마도 713년 스콜라스티쿠스라는 새로운 총사령관이 도착할 때까지 총사령관을 맡았을 것이다. [12][13]
세르지오 717–718 레오 3세 717년 시칠리아에 콘스탄티노플우마이야드에게 함락되었다는 잘못된 소식이 전해졌을 때, 파트리아키오스 세르지오들은 시칠리아의 전략가였다.그리고 그는 그의 보좌관 중 한 명인 바질 오노마굴로스를 황제로 선포했다.레오 3세 황제는 의도치 않게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신속하게 새로운 스트래티지를 섬에 파견했다.세르지오스는 롬바르드족에게 도망쳤지만, 나중에 사면을 받고 비잔틴 영토로 돌아갔습니다.몇몇 학자들은 731년의 동명 스트래티고스와 동일성을 제안했다. [14][15]
폴. 718–723 (?) 레오 3세 원래 황제의 개인 차툴라리오였던 그는 세르지오스와 바실 오노마굴로스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그는 보통 723년에 라벤나의 총대신이 된 바오로 알려져 있으며, 그 때까지 시칠리아에 남아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어느 쪽도 확실치 않다.폴 총경은 726/27년 라벤나에서 일어난 반란 중에 살해되었다. [16][17]
세르지오 c.730–735 레오 3세 때때로 717의 전략과 동일시된다.그는 시칠리아와 칼라브리아에서 교황과 함께 레오의 우상 파괴 정책을 홍보하고 그의 행정 및 재정 개혁을 시행하는 데 관여했다.그는 아마도 734/35년 우베이드 알라 이븐하바브 알 마윌리 치하의 우마이야드족에게 해군을 패배시킨 비잔틴의 사령관이었을 것이고, 728년에 체결된 휴전의 저자였을 것이다. [18][19]
안티오코스 c. 760~763(?) 콘스탄티누스 5세 그는 시칠리아의 스트래티고스였고, 아마도 760-763년에, 아마도 766년까지 이탈리아의 최고 황실 사령관이었다.그는 또한 이례적으로 스트래티지들의 직책과 함께 드로모우에서 로고테의 직책을 맡았다.그는 StrategiosConstantine Podopagouros 형제가 이끄는 19명의 국가 고위 관리들의 콘스탄틴 5세에 대한 음모에 연루되었다.음모가 발견된 후, 공모자들은 766년 8월 25일 콘스탄티노플의 하마드롬에서 공개적으로 행진하고 굴욕을 당했으며, 이에 따라 안티오코스와 다른 공모자들 대부분이 이 멀고 추방되었다. [20][21]
엘피디오스 c. 778~780(?)
781–782
레오 4세
이레네
781년 2월 아테네의 황후 이레네에 의해 시칠리아의 전략가로 임명되었습니다.그는 아마도 770년대 후반에 그 직책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이린의 임명은 단순히 재확인이었을 것이다.그는 곧 지난 10월 아이린을 폐위시키고 레오 4세의 동생 나이키포로스를 왕위에 올리려는 음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았다.아이린은 시칠리아에 특사를 보냈지만, 지역 주민들은 그를 넘겨주기를 거부했고, 그래서 782년 황후는 그를 상대로 원정대를 파견해야 했다.엘피디오스는 아그라비드에게 도망쳤고, 아그라비드는 그를 비잔틴 황제(바실레오스)로 추대했다. [22][23]
테오도르 782–788 이레네 내시였던 그는 엘피디오스를 폐위시키기 위해 이레네 황후로부터 보내졌다.그는 지역 전략가로 시칠리아에 남아 이탈리아 문제에 적극적이었다.그는 샤를마뉴로부터 자신의 왕국을 되찾으려는 아델키스 롬바르드족 왕을 지원하기 위해 원생대원들사켈라리오스 존의 지휘 아래 원정대에 참가했다.원정은 프랑크족에게 패배했고, 테오도르는 "잔인한 방식으로" 처형되었다. [24][25]
니케타스 모노마코스 c. 797 이레네 파플라고니아에서 태어난 그는 어렸을 때 거세되었다.그는 797년 샤를마뉴 대사관에서 테옥티스토스와 동행했을 때 시칠리아의 스트래티지로 증명되었다.그는 그의 후계자가 지명되는 798/9까지 재임했다.811년 이후 그는 수도사이자 수도원장이 되었고 우상 숭배의 옹호자가 되었다.그는 836년에 죽었고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26][27]
마이클 강글리아노스 c.798/9 이레네 프랑크의 자료에서 프리기아의 전 총독(아나톨리아 테마의 스트래티지오스인 듯)으로 언급되며, 그는 798년 장로 테오필로스와 함께 샤를마뉴 궁정으로 대사관을 이끌었다.그는 몇몇 학자들, 특히 폴 스펙에 의해 799년 샤를마뉴의 사신으로 Annales Regni Francorum에 언급된 "Michael Siciliae praefectus"와 "미카엘, 파트리카오스, 프라이포시토, 시칠리아의 스트래티고스"와 동일시된다.그렇다면 프라이포시토라는 호칭은 그가 내시였음을 나타낸다. [28][29]
콘스탄틴 c.804/5 나이키포로스 1세 콘스탄티누스는 813년 교황 레오 3세가 보낸 편지에서만 알려져 있으며, 804년 봄 아랍인들과 10년 간의 휴전을 체결했으나 후자에 의해 깨졌다.그는 아마도 802년 10월 아이린이 전복된 직후에 그녀가 임명한 총독의 후임으로 섬으로 보내졌을 것이다.시칠리아의 콘스탄틴, 파트리아키오, 스트래티고스를 언급하는 많은 국새들은 키프로스에서 발견된 국새들을 포함하여 그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마도 805년부터 806년까지 나이키포로스 1세 치하의 섬이 단명하게 회복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30][31]
테오그노스토스 c. 812 미카엘 1세 란가베 811/2년 미카엘 1세가 아헨에 보낸 사절 중 하나로 언급되어 평화를 협상하고 그의 아들 테오필락트와 프랑크 공주 사이의 결혼을 주선했다.시칠리아의 스트라테고이가 그러한 대사관에 배치되는 빈도를 볼 때, 그는 "시칠리아의 테오노스토스, 파트리아키오, 스트라테고스"라고 언급되는 미공개 인장의 소유자일 수 있으며, 양식적 근거로는 9세기 초로 추정됩니다. [32][33]
그레고리 813–821 레오 5세 교황 레오 3세가 813년 8월과 11월에 쓴 두 개의 편지에 언급되어 있다.그는 아랍의 공격을 격퇴하기 위해 함대를 이끌고 시칠리아로 갔지만, 곧 이프리키야의 아랍인들과 휴전을 맺었다.그는 나폴리 공국에 대한 제국 지배권을 회복했고, 자신의 지명자 테옥티투스테오도르를 공작으로 임명했다.820년 12월 레오 5세가 살해된 후, 그는 그의 후계자인 아모리아인 미카엘 2세를 인정하지 않았고, 에우페미우스가 이끄는 지역 귀족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34][35]
콘스탄틴 수다스 826 미카엘 2세 826년 미카엘 2세에 의해 임명된 콘스탄티누스는 에우페미우스를 그의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콘스탄티노플로부터 체포 명령이 내려오자 후자에 의해 전복되고 처형되었다.섬의 저항에 직면한 에우페미우스는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아그라비드에게 의지했다.그 사건은 무슬림의 시칠리아 정복의 시작을 알렸다. [36]
Palata 또는 Balata 826–827 미카엘 2세 아랍어 자료에서만 알려진 그의 실제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팔라타는 아마도 타락된 형태의 칭호일 것이다.처음에 유페미오스의 빨치산이었던 그는 그에게 등을 돌려 시러큐스에서 그를 쫓아냈다.그렇지 않으면 그는 콘스탄티노플에서 파견된 장군이었을지도 모른다.에우페미오스가 아그라비드 군대와 함께 돌아왔을 때, 사실상 시칠리아의 통치자였던 팔라타는 패배하고 칼라브리아로 물러났고, 그곳에서 죽었다. [37]
포테이노 c. 826/7(?) 미카엘 2세 아나톨리아 테마의 전략가로서, 그는 사라센족으로부터 크레타를 되찾기 위한 원정을 이끌었으나 패배했다.그 후 그는 시칠리아에서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그곳에서 그의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38]
콘스탄틴 콘토미테스 859 미카엘 3세 파트리아키오스 콘스탄틴 콘토미테스는 트라키아 테마의 전 전략가였고 테오도라 황후총대주교 포토이오스와의 결혼으로 친척이었다.859년, 미카엘 3세 황제는 그를 300척의 배를 이끌고 시칠리아로 보냈다.그러나, 비잔틴은 압바스 이븐 파들 치하의 아랍인들에게 큰 패배를 당했고, 그들의 배로 다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39]
유프라시오스 c. 880 바실리오 1세 880년 시칠리아 총독으로서 로고테인 시메온의 연대기에서만 언급되며, 프로코피오스 휘하의 증원군을 이탈리아 남부로 파견한 것과 관련이 있다. [40]
바르사키오스 c. 881 바실리오 1세 아르메니아 태생인 황실 원생들스트래티고스 바르사키오스는 881년 봄 타오르미나 근처에서 아그라브족의 지휘관 알 하산 이븐 알-아바스에 의해 패배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소환되었다.아마도 894/5년에 이탈리아 남부 롱기바르디아전략가가 된 동명의 패트리코와 같을 이다. [41]
폴리테스 c.884/5 바실리오 1세 아랍어 출처에서만 알려진 이름입니다.주지사 자신 또는 주지사 특사인 이븐 알-아티르에 따르면 시라쿠사로부터 온 비잔틴 포로들과 맞바꾸는 대가로 3개월간의 휴전과 300명의 무슬림 포로들의 몸수색을 협상했다. [42]
콘스탄틴 카라말로스 c. 902 레오 6세 파트리아키오스 콘스탄틴 카라말로스는 902년 아글라비드가 타오르미나포위했을 때 지휘관으로 증언되었다.그는 함대와 함께 추락을 면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갔고, 그곳에서 그는 과실로 재판을 받고 사형선고를 받았다.그는 사면을 받고 수도승에서 은퇴할 수 있게 되었다.타오르미나 근교의 요새 카스텔몰라(Castel Mola)에서 같은 시기에 속하는 "시칠리아의 콘스탄틴, 파트리아키오, 스트래티고스"를 언급하는 비문에 근거해, 그는 스트래티고스로 확인된다. [43]
유스타시오스 c. 914 콘스탄티누스 7세 아마드 이븐 쿠르허브와 평화협정을 협상한 황제의 시종(따라서 내시)으로 연간 22,000개의 금화를 바치는 대가로 말이다.그의 인장은 "프리미케리오스, 제국 원생, 시칠리아의 스트래티고스"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그는 칼라브리아의 첫 번째 스트래티고스였을 것이다. [44]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ODB, "시실리"(A. 카즈단), 1891–1892페이지.
  2. ^ 네스빗 & 오이코노미데스 1994, 22페이지
  3. ^ a b 오이코노미데스 1972년 페이지 351
  4. ^ 네스빗 & 오이코노미데스 1994, 19, 22페이지
  5. ^ 페르투시 1952, 페이지 179
  6. ^ 브라운 2008, 페이지 457-459.
  7. ^ 오이코노미데스 1972, 페이지 351, 356
  8. ^ 페르투시 1952, 페이지 178-180.
  9. ^ Prigent & Nichanian 2003, 98-99페이지.
  10.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99-101.
  11. ^ PmbZ, Theophylaktos (#8270);Theophylaktos (#8291).
  12.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01-103.
  13. ^ PmbZ, 테오도로스(#7521)
  14.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03-105.
  15. ^ PmbZ, Sergios(#6594)
  16. ^ Prigent & Nichanian 2003, 105~106페이지.
  17. ^ PmbZ, Paulos(#5815).
  18.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07
  19. ^ PmbZ, Sergios(#6596)
  20.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07–114.
  21. ^ PmbZ, 안티오코스(#513), 안티오코스(#518).
  22.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14–117.
  23. ^ PmbZ, Elpidios (#1515/corr.)
  24.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17~122.
  25. ^ PmbZ, 테오도로스(#7578)
  26.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22~125.
  27. ^ PmbZ, Niketas(#5424).
  28.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26-128.
  29. ^ PmbZ, Michael Ganglianos(#5045);마이클(#5046)
  30.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28~129.
  31. ^ PmbZ, Constantinos (#3917)
  32.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29-131.
  33. ^ PmbZ, Theognostos(#8011).
  34. ^ Prigent & Nichanian 2003, 페이지 131.
  35. ^ PmbZ, Gregorios(#2466)
  36. ^ PmbZ, 콘스탄티누스(#3928/corr), 유페미오스(#1701/corr).
  37. ^ PmbZ, Balaaa(#738), Euphemios(#1701/corr.)
  38. ^ PmbZ, 포테이노(#6241)
  39. ^ PmbZ, Constantinos Kontomytes(#3929/corr).
  40. ^ PmbZ, Eupraxios (#21805)
  41. ^ PmbZ, Barsakios(#20819).
  42. ^ PmbZ, Polites (#26710)
  43. ^ PmbZ, 콘스탄티누스 카라말로스(#23816).
  44. ^ PmbZ, Eustathios (#21845)

원천

  • Brown, Thomas S. (2008). "Byzantine Italy (680–876)". In Sheppard, Jonath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c. 500–149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33–464. ISBN 978-0-521-83231-1.
  • Kazhdan, Alexander, ed.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4652-8.
  • Lilie, Ralph-Johannes; Ludwig, Claudia; Pratsch, Thomas; Zielke, Beate (2013). Prosopographie der mittelbyzantinischen Zeit Online. Berlin-Brandenburg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Nach Vorarbeiten F. Winkelmanns erstellt (in German). Berlin and Boston: De Gruyter.
  • Nesbitt, John W.; Oikonomides, Nicolas, eds. (1994). Catalogue of Byzantine Seals at Dumbarton Oaks and in the Fogg Museum of Art, Volume 2: South of the Balkans, the Islands, South of Asia Minor.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ISBN 0-88402-226-9.
  • Oikonomides, Nicolas (1972). Les listes de préséance byzantines des IXe et Xe siècles (in French). Paris: Editions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 Pertusi, A. (1952). Constantino Porfirogenito: De Thematibus (in Italian). Rome: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 Prigent, Vivien; Nichanian, Mikaël (2003). "Les stratèges de Sicile. De la naissance du thème au règne de Léon V". Revue des études byzantines (in French). 61: 97–141. doi:10.3406/rebyz.2003.2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