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semi-protected

반달 왕국

Vandal Kingdom
반달족과 알란족 왕국
레그넘 반달로룸 외 알라노룸
반달리릭
435–534
Coin depicting Gelimer (530–534) of Vandal Kingdom
Gelimer를 묘사한 동전 (530–534)
자본의히포 레지우스
435–439[1]
카르타고
439–534[2][3]
공용어 라틴어(엘리트와 성직자의 말)
저속한 라틴어와 아프리카 로맨스(서민들이 말하는)
반달릭(엘리트들 사이에서 말함)
푸닉(서민들 사이에서 말함)
알라닉(Alanic 엘리트들 사이에서 말함)
누미디언(농촌의 서민들 사이에서 말함)
중세 그리스어(서민들 사이에서 말함)
종교
아리아교 (엘리트들 사이에서)
니스 기독교
그리고나서칼케도니아 기독교
정부봉건 이전의 군주제
• 435–477
가이세릭
• 477–484
휴네릭
• 484–496
군타문트
• 496–523
스라사문트
• 523–530
힐데릭
• 530–534
겔리머
역사
435
534
앞에
성공자
아프리카 (로마 지방)
시칠리아 (로마 속주)
아프리카의 프레토리아 현
오레스 왕국
오늘 일부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알제리
튀니지

반달 왕국(라틴어: Regnum Vandalum) 또는 반달족과 알란족의 왕국(라틴어: Regnum Vandalorum et alanorum)은 반달족알란족의 연합국으로, 반달족 전사인 가이세릭 아래 세워진 야만족 왕국 중 하나입니다. 그것은 서기 435년부터 534년까지 북아프리카지중해에서 통치했습니다.

서기 429년, 8만 명으로 추정되는 반달족은 히스파니아에서 북아프리카로 배를 타고 건너갔습니다. 그들은 동쪽으로 진격하여 지금의 튀니지와 알제리의 해안 지역을 정복했습니다. 435년, 당시 북아프리카를 지배하던 로마 제국은 반달 군대가 로마의 군사력에 의해 패배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지자 반달족이 누미디아모레타니아 지방에 정착하는 것을 허락했습니다. 439년 반달족은 다시 동쪽으로 진격하여 북아프리카의 가장 중요한 도시인 카르타고를 점령했습니다. 그 신생 왕국은 그 후 서부 지중해에 있는 로마의 지배하에 있는 마요르카,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 섬들을 정복했습니다. 460년대에 로마인들은 반달족을 타도하고 북아프리카를 되찾기 위해 해상으로 두 번의 군사 원정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반달족의 북아프리카 정복은 북아프리카가 주요 수입원이자 로마시곡물(주로 밀)을 공급하는 곳이었기 때문에 궁지에 몰린 서로마 제국에 타격을 주었습니다.

반달족은 455년 로마가 함락되고 니케네 기독교인들아리아 기독교를 지지하는 박해를 받은 것으로 주로 기억되지만, 학습의 후원자이기도 했습니다. 웅장한 건축 프로젝트가 계속되었고, 학교들이 번창했으며, 북아프리카는 라틴어를 사용하는 후기 서로마 제국의 가장 혁신적인 작가들과 자연 과학자들을 많이 육성했습니다.[4]

반달 왕국은 반달 전쟁에서 벨리사리우스에 의해 정복되고 동로마 제국(또는 비잔틴 제국)으로 통합되면서 534년에 끝이 났습니다. 살아남은 반달족들은 아프리카 원주민들에게 동화되거나 비잔티움 영토에 분산되었습니다.[5]

역사

설립

반달족이 아프리카로 건너간 지브롤터 해협에서 북아프리카까지 전경.

그들의 새로운 왕 가이세리크 (Gaiseric 또는 Gaiseric으로도 알려져 있음)의 통치하에 있던 반달족은 429년에 아프리카로 건너갔고, 로마 아프리카의 반달족 정복을 시작했습니다.[6][7] 비록 그들의 숫자는 알려지지 않았고 일부 역사가들은 추정치의 타당성에 대해 논쟁을 벌였지만, 반달족과 알란족이 북아프리카로 이주했을 때 80,000명이었다는 프로코피우스의 주장에 근거하여 [8]피터 헤더는 그들이 약 15,000-20,000명의 군대를 배치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합니다.[9]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반달족은 이 지역의 군사적인 통치자 보니파키우스의 요청으로 아프리카에 왔다고 합니다.[10] 그러나 반달족이 안전을 찾아 아프리카로 이주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들은 422년 로마군의 공격을 받아 그들과 조약을 맺지 못했습니다.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동쪽으로 진격한 반달족은 430년에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 히포 레지우스포위했습니다.[6] 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사제들은 도시의 붕괴가 많은 니케네 기독교인들에게 개종이나 죽음을 초래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아리아 기독교 침략자들로부터 구원을 위해 기도했습니다. 430년 8월 28일, 포위 3개월 만에 75세의 세인트루이스. 아우구스티누스는 도시 외곽의 밀밭들이 휴면 상태에 있고 수확되지 않았기 때문에 굶주림이나 스트레스 때문에 사망했습니다[11]. 14개월 후, 굶주림과 질병은 도시의 주민들과 성벽 밖의 반달족 모두를 황폐하게 만들고 있었습니다. 그 도시는 결국 반달족에게 함락되었고, 반달족은 그들의 첫 번째 수도로 삼았습니다.[1] 435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가이세리크 사이의 조약을 통해 로마와 반달족 사이에 평화가 이루어졌고, 반달족은 누미디아 해안과 모레타니아의 일부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습니다. 가이세리크는 439년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 지방을 침공하여 카르타고포위했을 때 조약을 파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12] 도시는 싸움 없이 함락되었고, 반달족은 대부분의 주민들이 하마드롬에서 열리는 경주에 참가하는 동안 도시에 들어갔습니다.[citation needed] 가이세리크는 자신의 수도로 삼았고, 자신을 반달족과 알란족의 왕으로 칭했습니다. 이는 알란족 동맹국이 자신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 몰타 그리고 발레아레스 제도를 정복하면서, 그는 그의 왕국을 강력한 국가로 만들었습니다. Averil Cameron은 이전의 토지 소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반달 규칙이 북아프리카의 인구에게 달갑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제안합니다.[13]

서기 5세기 반달족 침입자들이 이동한 경로

비타의 빅터, 포시디우스,[14] 쿠드불트데우스, 루스페의 풀젠티우스와 같은 자료들이 준 인상은 카르타고와 북아프리카의 반달 점령이 광범위한 파괴를 가져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고고학 조사는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카르타고의 오데온은 파괴되었지만, 도로망은 그대로였고, 일부 공공 건물은 개조되었습니다. 카르타고의 정치적 중심지는 비르사 언덕이었습니다. 이 시기에 도시에 새로운 산업 중심지가 나타났습니다.[15] 역사학자 Andy Merrills는 북아프리카의 반달 시대부터 지중해 전역에서 발견된 다량의 아프리카 붉은 슬립웨어를 사용하여 북아프리카의 반달 통치가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였다는 가정에 이의를 제기합니다.[16] 440년 반달족이 시칠리아를 침공했을 때, 서로마 제국은 갈리아에서 전쟁에 몰두해 대응하기 어려웠습니다. 동로마 제국의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441년에 반달족을 상대하기 위해 원정대를 파견했지만 시칠리아까지만 진행되었습니다. 발렌티니아누스 3세 치하의 서부 제국은 442년에 반달족과 평화를 얻었습니다.[17] 조약에 따라 반달족은 바이자세나, 트리폴리타니아, 누미디아의 일부를 획득하고 프로콘술라 아프리카의 지배권을 확인했습니다.[18]

곡물무역.

에드워드 기번 이후의 역사학자들은 반달족과 알란족이 북아프리카를 점령한 것을 서로마 제국의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죽음의 타격"[19]이자 "가장 큰 단일 타격"[20]으로 보고 있습니다. 반달족 이전에 북부 아프리카는 번영하고 평화로웠으며, 로마 제국의 군사력의 극히 일부만을 필요로 했고, 로마 시의 중요한 세금과 곡물 공급원이었습니다.[20] 서기 1세기의 학자 요셉푸스는 북아프리카가 일년 중 8개월 동안 로마에 식량을 공급했고, 나머지 4개월 동안 필요한 곡물은 이집트에서 왔다고 말했습니다.[21]

북아프리카의 곡물에 대한 로마인의 수요는 5세기까지 감소했을 수도 있는데, 이는 로마 도시의 인구가 감소하고 로마 군인의 수가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442년 로마와 반달족 사이의 조약은 곡물 수송이 계속되는 것을 보장한 것으로 보입니다.[22] 그러나 로마와 반달족 사이의 적대관계를 중단시키는 데 있어서는 그 조약이 준수보다 위반에서 더 존중되었고, 로마인들은 북아프리카를 회복하고 반달 왕국으로부터 곡물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는 데 높은 우선순위를 두었습니다.[20]

로마의 자루

칼 브리울로프가 1830년대에 그린 로마의 자루.

442년의 평화 조약은 지중해 서부의 반달족 습격을 막지 못했습니다. 그 후 35년 동안, 가이세릭은 그의 대규모 해군 함대를 동 제국과 서 제국의 해안을 약탈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453년에 훈족 아틸라가 죽은 후, 로마인들은 반달족에게 관심을 돌렸습니다. 반달족은 이전에 로마에 의해 지배되었던 가장 부유한 땅들 중 일부를 지배했습니다.[citation needed]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에우도키아와 후네리키아가 어린 시절에 가이세리크의 아들 후네리크와 결혼하면서 자신의 딸 에우도키아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455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제국의 지배권을 노리는 약탈자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의 공범자들에 의해 살해되었을 때 아직 결혼하지 않았습니다. 막시무스는 즉시 발렌티니아누스의 미망인인 황후 리키니아 에우독시아와 결혼했고, 에우도키아가 후네리쿠스에게 한 혼례를 취소하고 대신 그녀를 자신의 아들 팔라디우스와 결혼시켰습니다. 로마와 반달 왕국 사이의 외교는 결렬되었습니다. 에우독시아는 가이세릭에게 편지를 써서 그녀를 도우러 와달라고 간청했습니다. 가이세리크는 후네리크와 에우도키아 사이의 타협이 발렌티니아누스와의 평화협정을 무효화했다고 주장하면서 로마를 약탈하고 에우독시아, 에우독시아, 그리고 에우독시아의 작은 딸 플라시디아(후네리크는 훗날 인정받지 못하는 황제 올리브리우스와 결혼)를 구출했습니다. 막시무스와 팔라디우스는 도시를 탈출하던 중 성난 군중에게 살해당했습니다.[citation needed]

아키텐[23] 프로스페르는 455년 6월 2일 교황 레오 1세가 가이세리크를 맞아 그에게 살인과 불살해를 금하고 약탈에 만족하라고 간청했다는 유일한 5세기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반달족은 티투스가 로마로 가져온 예루살렘 성전의 전리품을 포함해 수많은 귀중품을 가지고 떠났습니다. 에우독시아와 그녀의 딸들은 카르타고로 끌려갔고,[18] 에우독시아는 얼마 지나지 않아 후네릭과 결혼했습니다.[citation needed]

로마의 약탈은 반달 협회가 명사 반달리즘을 통해 무의미한 파괴를 하게 만들었습니다.

만년

반달릭 전쟁의 작전 지도입니다.

로마의 반달족 약탈, 지중해에서의 해적 행위, 그리고 곡물 무역에 대한 로마의 통제권을 회복하기 위한 로마의 필요는 반달 왕국의 파괴를 로마 제국의 우선순위로 만들었습니다. 458년 여름, 서로마 제국의 황제 마요리아누스는 공세를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히스파니아카르타헤나에서 출발한 해상군은 마우레타니아를 점령한 뒤 카르타고로 진군했고, 동시에 마르첼리누스가 지휘하는 공격으로 시칠리아를 탈환했습니다. 황제는 460년에 함대를 모았지만, 가이세리크는 공격이 임박했음을 알고 "마우레타니아에서 불에 탄 땅 정책을 시행하여 계획된 제국의 공격에 앞서 땅을 샅샅이 뒤지고 우물을 독살했습니다." 또한 가이세리크는 자신의 함대를 이끌고 마요르족의 군대에 맞서 카르타헤나에서 로마군을 격파했습니다.[24][20]

468년, 서부 제국과 동부 제국 모두 "반달 국가에 대항하여 시작된 가장 야심찬 캠페인"으로 아프리카 정복을 다시 시도했습니다. 주요 자료에 따르면 함대의 수는 1,113척이며 10만 명의 병력을 수송했다고 하지만, 이 수치는 현대 역사학에서 거부되었습니다. 헤더는 532년에 500척의 배에 수송된 16,000명의 로마 병사들을 바탕으로 3만 명의 병력과 5만 명의 병사와 선원을 합칠 것을 제안했습니다. Andy Merrills와 Richard Miles는 이 작전이 의심할 여지 없이 광범위하고 "물류적인 탁월함에 감탄할 만하다"고 주장했습니다.[25] 튀니지 케이프 본에서 벌어진 해전에서 반달족은 소방선을 이용해 서양 함대와 동양 함대의 일부를 파괴했습니다.[17] 공격 이후, 반달족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침공하려 했으나, 케냐폴리스에서 마니오트족에게 큰 손실을 입고 쫓겨났습니다.[26] 이에 대한 보복으로 반달족은 자킨토스에서 500명의 인질을 잡고, 그들을 조각조각 해킹하여 카르타고로 돌아오는 길에 그 조각들을 배 밖으로 던졌습니다.[26]

반달의 수도 카르타고의 위치.

470년대에 로마인들은 반달족에 대한 전쟁 정책을 포기했습니다. 서게르만 장군 리시머는 반달족과 조약을 맺었고,[17] 476년 가이세리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영구적인 평화"를 맺을 수 있었습니다. 두 국가 사이의 관계는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27] 477년부터 반달족은 청동과 은으로 된 저금전으로 제한되었지만, 그들만의 동전을 만들었습니다. 비록 낮은 명목의 황실 화폐가 대체되었지만, 높은 명목은 그렇지 않았으며, 메릴의 말에서 "황실의 특권을 찬탈하는 것을 꺼린다"고 증명했습니다.[28]

게이세릭은 477년 1월 25일 8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가 공표한 왕위 계승법에 따르면, 왕가의 가장 나이가 많은 남성이 왕위를 계승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처음에는 니케네 기독교인들을 용인했지만, 482년 이후에는 마니교인들과 니케네인들을 박해하기 시작한 그의 아들 후네릭(477–484)이 그의 뒤를 이었습니다.[29] 그는 또한 반달릭 왕조의 많은 경쟁자들을 살해했습니다.[30] 가이세릭의 통치 기간 동안 줄을 섰던 북아프리카 원주민 베르베르인들은 가이세릭의 죽음과 후네릭의 엄격한 종교법 이후 곧 반달족에 대한 반란과 침략을 시작했습니다. 반달족은 오늘날 알제리 서부에서 알타바 왕국에 빠르게 영토를 잃기 시작했고, 후네리크의 통치가 끝날 무렵 는 아우레 산맥에 대한 지배권을 483–484년 아우레 왕국을 세운 마스티스 왕에게 완전히 빼앗겼습니다.[30][31]

그의 사촌이자 후계자인 Gunthamund (484–496)는 니케네스족과 국내 평화를 추구했고 다시 박해를 중단했습니다. 대외적으로 가이세리크가 죽은 이후 반달의 세력은 쇠퇴하고 있었고, 군타문트는 테오도릭의 오스트로고스에게 시칠리아의 대부분을 빼앗겼고, 내륙의 모든 것을 해안으로 급습한 토착 베르베르인들의 압박을 견뎌야 했습니다.[32]

군타문트의 후계자 트라사문트(496–523)는 종교적 광신자이자 니케네스에 적대적이었지만, 그는 무혈 박해로 만족했습니다.[29] 510년, 구엔판 왕의 프렉센시스 베르베르 부족은 투르가 남쪽의 영토 일부를 점령하고 도르살 왕국을 세웠고, 반달족을 내륙에서 더 밀어냈습니다.[33] 510년대경, 카바온 왕이 이끄는 라구아탄베르족오에아(현대의 트리폴리)와 사브라타를 점령하고 그곳에 왕국을 세웠고, 반달족의 영토를 약탈하기 시작했고, 반달족의 여러 정착지를 파괴했습니다.[33] 트라사문트는 그를 분쇄하고 그의 영토를 탈환하려고 시도했지만, 523년의 원정은 참담한 반달릭 패배로 끝났습니다.[34] 그는 또한 서고트족과 동맹을 맺었지만, 이 동맹에도 불구하고 트라사문트는 비잔티움 해군이 이탈리아 남부 해안을 파괴했을 때 테오데릭을 돕는데 실패했고, 그로 인해 그는 부이예 전투에서 서고트족알라릭 왕의 도움을 받지 못했고, 이는 알라릭의 패배의 원인이 되었습니다.[35]

동로마 제국의 정복

트라사문트의 후계자 힐데릭 (523–530)은 삼위일체의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관대한 반달 왕이었습니다. 그는 종교의 자유를 허락했고, 그 결과 칼케도니아 시노드가 북아프리카에서 다시 개최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전쟁에 관심이 별로 없었고, 그것을 조카 호아머에게 맡겼습니다. 반달족과 도르살레의 베르베르 왕국이 다시 분쟁을 일으키자 호아머는 구엔판과 그의 아들 안탈라스가 이끄는 베르베르족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습니다.[33] 이에 따라 왕실 내의 아리아파가 반란을 일으켰고, 호아머의 사촌인 겔리머(530–534)가 왕이 되었습니다. 힐데릭, 호아머 그리고 그들의 친척들은 감옥에 던져졌습니다. 533년, 힐데릭은 비잔틴 군대가 카르타고에 접근했을 때 처형당했습니다.[36]

원고에 묘사된 16세기 반달족에 대한 인식. 루카스 데히어가 그린. 겐트 대학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습니다.[37]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힐데릭을 반달 왕위에 복귀시킬 의도로 선전포고를 했습니다. 탐험이 진행되는 동안, 겔리메르의 형 차조(Tzazo)는 고딕 귀족 고다스(Godas)의 반란을 처리하기 위해 반달 군대와 해군의 상당 부분을 사르데냐로 이끌었습니다. 이것은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비잔티움 제국의 군대가 카르타고로부터 10마일(16km) 떨어진 곳에 아무 반대도 없이 상륙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겔리메르는 재빨리 군대를[38] 모아 아드 데시멈 전투에서 벨리사리우스를 만났습니다. 반달족은 겔리메르의 형제 암마타스와 조카 기바문트가 전투에서 쓰러질 때까지 우세했습니다. 그 후 겔리머는 마음을 잃고 도망쳤습니다. 벨리사리우스는 살아남은 반달족들이 전투를 벌일 때 카르타고를 재빨리 점령했습니다.[39]

533년 12월 15일, Gelimer와 Belisarius는 카르타고에서 약 32킬로미터 떨어진 Tricamarum 전투에서 다시 한번 충돌했습니다. 이번에도 반달족은 잘 싸웠지만 이번에는 짜조가 전투에서 쓰러지면서 부서졌습니다. 벨리사리우스는 재빨리 반달 왕국의 두 번째 도시인 히포로 진격했습니다. 534년 헤룰리아 장군 파라스에 의해 파푸아 산에 포위된 겔리메르는 비잔티움에 항복하여 반달 왕국을 끝내고 비잔티움 북아프리카로 가는 길을 열었습니다.

반달족의 북아프리카 영토(현재 튀니지 북부와 알제리 동부)는 비잔티움의 속주가 되었습니다. 최고의 반달 전사들은 반달리 유스티니아니(Vandali Iustiniani)로 알려진 5개의 기병 연대로 구성되어 페르시아 국경에 주둔했습니다. 몇몇은 벨리사리우스의 개인적인 봉사활동에 들어갔습니다.[40] 겔리머 자신은 명예로운 대우를 받았고, 그가 노인이 되기 위해 살았던 갈라티아에 큰 영지를 수여 받았습니다. 그는 귀족 계급도 제안받았지만 아리아교에서 니케네 기독교로 개종할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습니다.[29] 역사학자 로저 콜린스(Roger Collins)의 말에 따르면, "남은 반달들은 그 후 제국 군대에 흡수되기 위해 콘스탄티노플로 다시 이송되었습니다."[38] 그들은 스페인으로 도망치거나 북아프리카의 인구에 흡수되어 뚜렷한 민족 단위로 사라졌습니다.[41]

종교정책

429년 이후 북아프리카를 침공한 이후, 아리아교의 추종자들이 대부분이었던 반달족은 니케네 기독교인들을 박해했습니다. 이러한 박해는 가이세릭의 침략 기간 동안 교회에 가해진 자유로운 폭력에서 시작되었지만, 반달 왕국이 합법화되면서 억압은 "더 일관된 종교 정책"으로 고착화되었습니다. [42] 비타의 반달 박해 역사의 빅토르는 정복의 첫 해에 교회 재산과 "많은… 저명한 주교들과 고귀한 성직자들"에 대한 공격에 대해 "악랄한 잔인함"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마찬가지로, 호노라투스 주교는 "우리의 남성들이 살해되기 전에, 여성들은 강간을 당하고 우리 자신은 고문으로 쓰러집니다"[43][44]라고 썼습니다. 메릴은 이들과 다른 확증적인 소식통을 인용해 최초의 침입이 "극도적으로 폭력적이었다"는 것에 대해 "거의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45] 그는 또한 Richard Miles와 함께 반달족이 처음에는 Nicene 교회를 종교적인 이유보다는 재정적인 이유로 표적으로 삼았고, Nicene 교회의 부를 빼앗으려 한다고 주장했습니다.[44]

가이세리크는 435년의 조약에서 누미디아와 마우레타니아에 대한 그의 지배권을 확보하자 "그들의 새로운 영토에서 가장 비타협적인 주교들 중 세 명의 바실리카를 점령하고 그들을 그들의 도시에서 추방함으로써 니케네 교회의 권력을 파괴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46] 439년 카르타고를 함락시키면서 반달 왕이 아리아 교회를 전진시키고 니케네의 관습을 탄압하기 위해 동시에 노력하면서 비슷한 정책이 이어졌습니다. 히더는 도시 성벽 안에 있던 4개의 주요 교회가 아리아인들을 위해 몰수되었고, 반달들이 정착한 지역의 모든 니케네 예배가 금지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가이세리크는 또한 카르타고의 주교 쿠드불트데우스와 그의 성직자들 중 많은 이들이 아프리카에서 추방당했고, "대체자들이 서품을 받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거절했습니다. 그래서 반달 왕국 내의 니케네 주교들의 총 수가 감소했습니다."[42] 평신도들은 공직에서 배제되고 재산 몰수를 당하는 일이 잦았습니다.[47]

하지만 외교적 고려가 종교 정책보다 우선이었습니다. 454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요청으로 가이세리크는 데오그라티우스를 카르타고의 새 주교로 임명했습니다. 히더는 가이세리크가 에우도키아 공주와 그의 아들 후네리크의 결혼을 협상했기 때문에 반달-로마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합니다.[48] 그러나 발렌티니아누스가 죽고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반달 관계가 악화되자 가이세리크는 억압적인 종교 정책을 다시 펼쳤고, 데오그라티우스가 457년에 죽자 주교좌를 다시 비워두었습니다.[citation needed]

히더는 가이세릭이 아리안 교회를 추진한 것과 함께 니케네 교회에 대한 박해가 동반된 것은 정치적 동기가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프로콘술라리스에서 가이세리크의 행동에 대한 "반니케인 성격"과 그의 왕국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핵심적인 차이"에 주목합니다; 박해는 그의 아리아 추종자들과 가까웠을 때 가장 극심했습니다.[42] 히더는 아리우스주의가 가이세릭이 추종자들을 단결시키고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고 제안했습니다. 그의 백성들이 니케네스와 교류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이 전략은 위협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헤더는 "개인적인 믿음도 게이세릭의 의사결정에 상당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합니다.[42]

가이세릭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후네릭은 니케네 교회의 탄압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아리아교를 북아프리카의 주요 종교로 만들려고 시도했습니다. 실제로 비타의 빅토르의 이야기 중 많은 부분이 후네릭의 통치 기간 동안 자행된 잔혹행위와 박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49] 성직자들은 전례를 행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호모우시안 책들은 파괴되었고, 거의 5,000명의 성직자들이 사막으로 추방되었습니다.[50] 폭력사태는 "남성과 여성들은… 화상, 강제 노동, 칼과 불에 의한 처형을 포함한 일련의 고통을 겪었습니다"와 함께 계속되었습니다.[50] 483년, 후네리크는 아프리카의 모든 칼케도니아 주교들에게 아리아 대표들과 토론을 하도록 명령하는 칙령을 발표했습니다. 이 회의의 여파로 그는 니케네의 성직자들이 세례예배를 집전하거나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모든 니케네 교회를 폐쇄하고 니케네 재산을 몰수하라고 명령했습니다.[50] 그리고 나서 이 교회들은 왕실 재정이나 아리아인 성직자들의 용도로 넘겨졌습니다.[citation needed]

주요 자료들은 군타문트의 종교 정책에 대해 거의 밝히지 않지만, 기존의 증거들은 새로운 왕이 "그의 전임자인 후네리쿠스가 그랬던 것보다 칼케도니아 신앙에 대해 전반적으로 더 나은 태도를 보였고" 관용의 기간을 유지했음을 시사합니다.[51] 군타문트는 에우제니우스라는 주교의 사막 유배를 끝내고 카르타고에 있는 성 아가일로스의 니케네 신전도 복원했습니다.[51]

트라사문트는 496년 왕위에 오르자 고인이 된 형의 관용 정책을 끝냈습니다. 그는 "가톨릭 교회 계급에 대한 가혹한 조치"를 재도입했지만 "로마-아프리카 평신도 엘리트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두 집단의 충성을 나누려는 의도였습니다.[51]

힐데리크를 제외한 대부분의 반달 왕들은 니케네스(도나트파 뿐만 아니라 도나트파)를 다소 박해하여 반달에 대한 개종과 주교들의 유배를 금지했습니다.[52][53]

행정부.

반달 왕국의 행정부는 로마의 아프리카 지방 행정부와 매우 유사합니다. 지역 아프리카인들이 고용했지만, 화폐와 세금 체계는 로마 모델을 창조적으로 개조한 것이었고 로마인들이 관리하는 것과 비슷했습니다. 반달 부대도 로마 모델과 유사하게 제작되었습니다. 반달 주의 권력과 부는 군대가 귀족을 소유하는 것에 의해 주도되었고 정치 엘리트들은 대체로 부재했던 상원 귀족을 대체하고 수용했습니다. 다른 주요 수입원은 지금까지 로마의 주요 도시의 식량 공급원이었던 로마의 주요 곡물 및 석유 수출 지역을 장악한 것을 포함합니다. 문헌 자료와 고고학에 따르면 반달 지도자들이 축적한 재산은 호화로운 타운 하우스와 종교 건물에 사용되었습니다.[14]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Andrew Merrills and Richard Miles, The Vandals (Blackwell Publishing, 2007), 60.
  2. ^ 도시의 제국 페넬로페 M. Allison,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the Roman World, Ed. Greg Woolf 지음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23
  3. ^ 앤드루 메릴과 리처드 마일스, 반달스, 3.
  4. ^ Miles 2007, p. 1 CITEREF Miles (
  5. ^ Lawrence, Thomas Christopher (2012-10-26), "Vandals",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Hoboken, NJ, USA: John Wiley & Sons, Inc., doi:10.1002/9781444338386.wbeah12213, ISBN 978-1-4443-3838-6, retrieved 2021-03-26
  6. ^ a b 콜린스 2000, 페이지 124
  7. ^ "The Vandal conque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5-13. Retrieved 2021-06-15.
  8. ^ 프로코피우스 전쟁 3.5.18-19 in Heather 2005, 512쪽
  9. ^ Heather 2005, pp. 197–198
  10. ^ 콜린스 2000년 프로코피우스 전쟁 3.5.23-24, 페이지 124
  11. ^ "Newadvent.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0-20. Retrieved 2013-03-02.
  12. ^ 콜린스 2000, 124-125쪽
  13. ^ 카메론 2000, 페이지 553–554
  14. ^ a b Wickham, Chris (2009). "Chapter 4". The Inheritance of Rome: A History of Europe from 400 to 1000. Penguin UK. ISBN 978-0-14-190853-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0-11. Retrieved 2022-10-01.
  15. ^ Merrills 2004, 10페이지
  16. ^ Merrills 2004, p.11
  17. ^ a b c 콜린스 2000, 125쪽
  18. ^ a b 카메론 2000, 페이지 553
  19. ^ Linn, Jason (2012). "The Roman Grain Supply, 442–455". Journal of Late Antiquity. 5 (2): 298–321. doi:10.1353/jla.2012.0015. S2CID 161127852.
  20. ^ a b c d Goldsworthy, Adrian (2009). How Rome Fell: Death of a Superpower.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p. 358–59. ISBN 978-0-300-13719-4.
  21. ^ 릭먼, G.E. (1980), "로마 제국 하의 곡물 무역", 로마에 있는 미국 아카데미 회고록, 제36권, 고대 로마의 시보른 상업, 264쪽. JSTOR에서 다운로드됨; Heather, pp. 275–276.
  22. ^ Linn, pp. 298–299, 317–321
  23. ^ 프로스퍼의 이 사건에 대한 설명은 6세기 그의 계속자인 툰누나의 빅토르에 의해 이어졌는데, 그는 레오를 매우 존경하고 날짜를 조정하거나 포인트를 구부릴 의향이 꽤 있었습니다(스티븐 뮐버거, "프로스퍼의 에피토마 연대기: 443판이 있었나요?" 고전 문헌학 81.3 (1986년 7월), 페이지 240–244).
  24. ^ Merrills, Andrew H.; Miles, Richard (2010). The Vandals. Chichester, U.K.: Wiley-Blackwell. pp. 119–121. ISBN 9781405160681. OCLC 426065943.
  25. ^ 헤더 2005, 268쪽
  26. ^ a b Greenhalgh & Eliopoulos 1985, p. 21 오류: 없음: CITEREFGreenhalgh 1985 (
  27. ^ 1923, 125쪽을 묻습니다.
  28. ^ Merrills 2004, 11-12쪽
  29. ^ a b c 1913년 가톨릭 백과사전, "반달".
  30. ^ a b 로마 황제 제노: 5세기 콘스탄티노플의 권력정치의 위험, 피터 크로포드, 2019년 221쪽
  31. ^ Michael., Lee, John W. I. North (2016). Globalizing borderlands stud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ISBN 978-0-8032-8562-0. OCLC 1047893984.{{cite book}}: CS1 maint: 다중 이름: 저자 목록 (링크)
  32. ^ Herwig., Wolfram (2005). The Roman Empire and its Germanic peop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24490-7. OCLC 57751591.
  33. ^ a b c Steward., Evans, James Allan (1996). The age of Justinian : the circumstances of imperial power. Routledge. ISBN 0-415-02209-6. OCLC 797873981.{{cite book}}: CS1 maint: 다중 이름: 저자 목록 (링크)
  34. ^ 로마제국의 토지이용, 22권, 34페이지
  35. ^ 토머스 J. 던랩 옮김, 고트족의 역사, 허윅 울프람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1988), p. 308
  36. ^ 매장 1923, 페이지 131
  37. ^ "Théâtre de tous les peuples et nations de la terre avec leurs habits et ornemens divers, tant anciens que modernes, diligemment depeints au naturel par Luc Dheere peintre et sculpteur Gantois[manuscript]". lib.ugent.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0-29. Retrieved 2020-08-25.
  38. ^ a b 콜린스 2000, 페이지 126
  39. ^ 1923, 133-135쪽을 묻습니다.
  40. ^ 매장 1923, 139쪽
  41. ^ Susan Raven (2012). Rome in Africa. Routledge. p. 253. ISBN 978-1-134-89239-6.
  42. ^ a b c d Heather, Peter (2007). "Christianity and the Vandals in the Reign of Geiseric".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 50: 139–140. doi:10.1111/j.2041-5370.2007.tb02384.x.
  43. ^ Victor of Vita (1992). History of the Vandal Persecution. Translated by John Moorhead. Liverpool: Liverpool University Press. p. 4. ISBN 0-85323-127-3.
  44. ^ a b Merrills and Miles, p. 181.
  45. ^ Merrills, Andy (2014). "Kingdoms of North Africa". In Michael Mass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Attil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66. ISBN 9781139128964.
  46. ^ Merrills and Miles (2010), p.180.
  47. ^ 콜린스 2000, 125~126쪽
  48. ^ Heather (2010), p.141.
  49. ^ 카메론 2000, 페이지 555
  50. ^ a b c Merrills and Miles (2010), p. 185.
  51. ^ a b c Merrills and Miles, p. 196.
  52. ^ Swartz, Nico (2009). Historia Persecutionis. AFRICAN SUN MeDIA. p. 33. ISBN 978-1920383008. Retrieved August 22, 2013.
  53. ^ Wace, Henry (1911).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p. 38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4, 2014. Retrieved August 22, 2013.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