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타운
Silvertown실버타운 | |
---|---|
![]() 브리타니아 마을의 웨슬리 애비뉴, 실버타운 퀘이 재개발 사업의 일부분이다. | |
그레이트런던 내 위치 | |
OS 그리드 참조 | TQ415795 |
런던 자치구 | |
의례군 | 대런던 |
지역 | |
나라 | 잉글랜드 |
소버린 주 | 영국 |
포스트타운 | 런던 |
우편 번호 구 | E16 |
디알링 코드 | 020 |
경찰 | 메트로폴리탄 |
불 | 런던 |
구급차 | 런던 |
영국 의회 | |
런던 의회 | |
실버타운(Silvertown)은 영국 런던 동부에 있는 뉴햄의 런던 자치구에 있는 지역이다. 테임즈 강 북쪽 둑에 있으며 역사적으로 웨스트햄의 교구와 자치구, 베콘트리 백 명, 그리고 역사적인 에섹스 군의 일부였다. 1965년부터 실버타운은 대런던의 지방 자치구인 뉴햄의 런던 자치구에 속해 있었다. 캐닝 타운, 커스텀 하우스와 함께 런던 E16 우편 번호 구역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이 지역은 1852년 스티븐 윌리엄 실버에 의해 설립된 공장들의 이름을 따서 지었으며,[1] 현재는 테이트 & 라일 설탕 정제소와 존 나이트 ABP 동물 렌더링 공장이 지배하고 있다.
2015년 35억 파운드의 지구 일부 재개발이 승인되었다.[2]
역사
1852년 S.W.실버와 코는 그리니치에서 그 지역으로 이주하여 고무공장을 설립하였는데, 원래는 방수복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이것은 이후 많은 해저 케이블을 건설하고 깔았던 인도 고무, 구타 페르차, 텔레그래프 작업 회사의 작품으로 발전했다. 1860년대까지 많은 거름과 화학공장과 석유저장소가 세워졌다.[3] 1864년, 이 지역은 성 마크의 교회를 중심으로 한 교회 교구가 되었다.
이 지역의 슈가 정유사들은 1877년 헨리 테이트와 1881년 아브람 라일이 합류했는데, 이 회사의 회사는 1921년 합병해 테이트 & 라일을 형성했다.[4] 두 사람은 비록 만나본 적은 없지만, 죽은 뒤 일어난 합병 이전에 비지니스 라이벌이었다.[5] 테이트 & 라일은 여전히 그 지역에 두 개의 큰 정유소를 가지고 있다.
1889년 실버의 공장은 3천 명의 노동자 대다수가 12주 동안 파업한 현장이었다. 파업자들은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었고 최근 런던 이스트 엔드에서 뉴 유니온주의가 성공한 것에 고무되었다. 경영진은 막대한 대중의 지지를 받고 있는 파업자들과의 협상을 거부했다. 파업의 주요 인물로는 톰 만과 엘리너 막스가 있었다. 노동자들은 결국 굶주려 다시 일을 하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역할로 인해 희생되었다. 파업의 여파로 실버는 반기별 5%의 배당을 선언했다. 실버의 경영진은 뉴 유니온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한 나머지 업계의 축하를 받았다.[6]
1917년 1월 19일, Silvertown의 일부 지역은 Brunner-Mond 군수품 공장에서 대규모 TNT 폭발로 황폐화되었다. 이것은 Silvertown 폭발로 알려져 있다. 영국령 섬에서 일어난 가장 큰 폭발 중 하나로 73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7]
20세기 초 이 지역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붐비는 항구 그룹 중 하나인 템즈강과 왕립 부두 사이에 위치했기 때문에 도로 정체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 지역은 부두 출입구 위의 다리를 들어 올리면서 상당 기간 단절되었고, 열차 이동으로 매 시간의 4분의 3까지 폐쇄되었다. 이것은 1930년대 초반에 가장 초기의 도시 저공비행의 하나인 높은 실버타운의 건설로 이어졌다.[8]
더 블리츠 첫날 밤, 테이트와 라일의 설탕 정제소, 존 나이트의 프림로즈 비누웍스, 실버타운 고무공장이 모두 폭격으로 심하게 파손되었다.[9]
실버는 후에 BTR 인더스트리즈로 알려진 브리티시 타이어 앤드 러버사에 의해 결국 인수되었다. 이 부지는 1960년대에 문을 닫았고 지금은 템즈강 공업단지가 되었다.[10] 또 다른 주요 지역 고용주는 전통적인 항구 올레오 산업이자 이전에는 유니레버의 일부였던 케언 밀스의 로더스와 누콜린 공장이었다. 이것은 원래 씨앗을 제분했지만 나중에는 팜 커널 오일의 지방 생산에 집중했다.[citation needed]
이 지역은 12세기 이후 에식스 주의 웨스트햄의 고대 교구의 일부였다. 웨스트햄은 1900년에 카운티 자치구가 되었고, 1965년에 뉴햄의 새로운 런던 자치구가 되기 위해 이웃 지역과 합병했다.[11]
재생
브리타니아 마을의 거주 지역은 1990년대에 개발되었다.[12]
2015년 4월 21일, 뉴햄 의회는 실버타운 파트너십에 35억 파운드의 새로운 재개발을 위한 계획을 승인했다. 700만 평방 피트의 개발로 사무실, 기술 허브, 3,000개의 새로운 집, 그리고 브랜드 체험관이 제공될 것이다. 학교, 보건소, 상점들도 계획에 포함되며, 사람들을 커스텀 하우스 역과[13] 크로스 레일에 데려다 주기 위해 새로운 혁신적인 다리가 로얄 부두를 건널 것이다.

실버타운 파트너십이 개발 파트너로 선정돼 부지 재생을 앞당겼다.
실버타운 파트너십의 계획은 런던의 주택, 식당, 상업용 건물, 지역 편의 소매 시설 및 지역 공동체를 위한 중요한 공공 영역과 함께 활기찬 새로운 목적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왕립 부두에서 기업의 유산은 21,000개의 새로운 일자리, 3,000개의 주택, 그리고 매년 2억 6천만 파운드의 총가치를 런던 경제에 기부하면서 활성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번 재개발에는 옛 밀가루 공장 밀레니엄 밀스의 복원도 포함될 예정이다.[14]
2015년 1월, 런던 시장은 밀레니엄 밀스의 일부를 철거하고 석면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정부 자금 1,200만 파운드를 초기 발표했다.[15] 이 최근의 개발에 앞서 이 지역은 1970년대에 인접한 공원인 테임즈 배리어와 새로운 주택 구역, 런던 시티 공항의 건설로 변모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 지역의 사업 활동의 대부분은 양조 회사인 배스에 집중되었다. 2007년, 글로스터 공작은 Silvertown을 방문하여 North Woolwich Road에 새로운 Silvertown 앰뷸런스 스테이션을 정식으로 열었다.
교육
해양
테이트 앤 라일 템즈 정유소는 런던 항구에 있는 안전 부두다. 연간 120만 톤의 용량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설탕 정제소 중 하나이다. 생설탕, 정제 및 쇼어 정박 제트기에는 두 개의 대량 취급 크레인이 포함된다. 말단 상품으로는 설탕, 마른 불룩, 식용 식물성 기름 등이 있는데, 액상 불룩은 세계적으로 수출하고 피지, 카리브해, 아프리카, 남미에서 수입한다.[16][17]
운송
이 절은 대체로 또는 전적으로 단일 출처에 의존한다. – · · 책 · · (2017년 11월) |
2020/21년부터 커스텀 하우스 역의 새로운 역이 구 북런던 선의 선로를 이용하여 그 지역으로의 왕복 교통을 제공할 것이다. 실버타운에 대한 서비스 중단에 대한 수동적 조항이 향후 건설될 예정이다.
가장 가까운 도클랜드 경전철 역은 웨스트 실버타운이다. 2005년 12월 2일 개통된 캐닝 타운에서 울리치 아스널까지 도클랜드 경전철이 연장되면서 접속이 크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북런던 선의 옛 실버타운 철도역은 2006년에 폐쇄되었다.
런던 시티 공항은 실버타운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실버타운과 크로스레일의 커스텀 하우스 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다리는 런던 왕립 부두의 35억 파운드의 재개발 계획의 특징 중 하나이다.[18]
대중문화
실버타운은 마크 노플러의 발라드 곡으로 실버타운 블루스라는 제목으로 이 지역을 재개발 이전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citation needed]
이 지역은 또한 찰리 코넬리의 책인 주의 올 배송에도 등장한다. 첫 장 "바다, 수프, 실버타운"에서 저자는 블리츠 기간 동안 조부모가 이 지역에서 비행한 것과 이 책에 대한 영감을 묘사하고 있다.[19]
멜라니 맥그래스의 책 실버타운은 자신과 남편이 카페를 운영했던 지역에서의 할머니의 삶을 소설적으로 다룬 책이다.[20]
던컨 바렛과 누알라 칼비가 쓴 슈가걸스는 테이트 & 라일의 실버타운 공장에서 일했던 여성들의 실화를 이야기하며, 그 지역에 대한 많은 세부사항을 담고 있다.[5]
저명인사
참고 항목
참조
- ^ "Bearnes Hampton & Littlewood (Exploration and Expedition Auctions): SW Silver & Co". www.bhandl.co.uk. Bearnes Hampton & Littlewood Ltd. Retrieved 1 February 2019.
- ^ "Go-ahead for Silvertown development". BBC News. 22 April 2015 – via www.bbc.co.uk.
- ^ Notes to London Sheet 80, Silvertown 1867 (Map). 1:2500 reduced to 1:4340. Old Ordnance Survey Maps, The Godfrey Edition. Alan Godfrey. ISBN 1-84151-861-1.
- ^ Notes to London Sheet 80, Silvertown 1893 (Map). 1:2500 reduced to 1:4340. Old Ordnance Survey Maps, The Godfrey Edition. Alan Godfrey. ISBN 978-0-85054-073-4.
- ^ a b Duncan Barrett and Nuala Calvi (2012). The Sugar Girls. Collins. ISBN 978-0-00-744847-0.
- ^ Tully, John (2014). Silvertown: The Lost Story of a Strike that Shook London and Helped Launch the Modern Labor Movement.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ISBN 9781907103995.
- ^ "London's explosion was at Silvertown". New York Times. 29 January 1919. Retrieved 12 June 2009.
- ^ Winchester C (Ed) (1937). London's Dockland Highway. Wonders of World Engineering. The Amalgamated Press. pp. 749–756.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 실버타운에 있는 폭격당한 공장에서 나오는 연기(이미지) 2008년 11월 23일에 액세스한 웨이백 머신(포트 시티)에 2008년 12월 2일 보관
- ^ "West Ham: Industries". A History of the County of Essex. 1973. pp. 76–89. Retrieved 14 April 2011.
- ^ '웨스트 햄: 소개' 에식스 카운티의 역사: 제6권, 에드. W R 파월 (London, 1973), 페이지 43-50. 영국 역사 온라인 http://www.british-history.ac.uk/vch/essex/vol6/pp43-50 [2021년 7월 15일]
- ^ 브리타니아 빌리지 초등학교 https://www.britannia-village.newham.sch.uk/history-of-the-local-area/
- ^ "Central and south east stations". Crossrail.com. Retrieved 30 November 2017.
- ^ "TheWharf - News - InYourArea". InYourArea.co.uk. Retrieved 30 November 2017.
- ^ "Renovation of historic mills begins". BBC News. 21 Januar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15. Retrieved 11 June 2015.
- ^ "Historic Sites and Where We Are Based Tate & Lyle Sugars".
- ^ "Terminal Directory".
- ^ "New bridge planned in £3.5bn Silvertown Quays scheme". Nce.co.uk. 24 July 2014. Retrieved 30 November 2017.
- ^ Connelly, Charlie (2006). Attention all shipping : a journey round the shipping forecast. London: Abacus. ISBN 9780349116037.
- ^ Melanie McGrath (2003). Silvertown. 4th Estate. ISBN 978-1-84115-143-4.
- ^ Nicholas, Michael (26 January 2016). "Frank Bailey obituary". The Guardian. Guardian Media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20. Retrieved 26 November 202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실버타운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