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먼 디너스타인

Simon Dinnerstein
사이먼 디너스타인
태어난 (1943-02-16) 1943년 2월 16일 (79세)
국적미국인의
교육뉴욕 시립대학, 브루클린 박물관 미술학교, 독일 카셀의 Hochschule 모피 Bildende Künste
로 알려져 있다.그림 그리기, 그림 그리기, 인쇄하기
주목할 만한 작품
풀브라이트 트리피치, 수면 , 달의 통로
움직임조형 예술
수상독일 풀브라이트 펠로우십;
로마상, 로마에 있는 미국 아카데미
웹사이트simondinnerstein.com

시몬 디너스타인(Simon Dinnerstein, 1943년 2월 16일 출생)은 미국의 화가로서, 그림 작품 《풀브라이트 트립티치》(1971년)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초년기

디너스타인은 1943년 뉴욕 브루클린 브라운스빌에서 약사 루이스와 주부 사라 디너스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두 아이 중 한 명인 그의 형 하비 디너스타인 역시 예술가다.[1]

교육과 경력

디너스타인은 뉴욕 시립대학에서 역사학 학사학위를 받고 있다.그는 루이 그레베낙, 데이비드 레빈, 리처드 메이휴와 함께 브루클린 미술학교에서 그림과 그림을 공부했다.[2][3]는 뉴 스쿨 사회 연구, 파슨스 디자인 스쿨, 뉴욕기술 대학의 교수진이었다.그는 널리 강의하고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에서 강의했다.[4]

스타일과 영향

디너스타인의 예술은 대부분 비유적 양식으로,[5] 민요, 표현주의, 초현실주의적인 영향을 받아,[6][7][8] '해외적'[6]과 '심리학적 에지'[9]를 가지고 있다.그는 다양한 매체, 연필, , 유화 물감을 사용한다.디너스타인은 정물화를 렌더링하지만, 그의 작품 대부분은 초상화나 인간상을 포함한다.그는 종종 " 인물에 대해 예상치 못한 풍경이나 내부 요소와 조화를 이룬다"[2]고 말하는데, 이 중 딥스타인은 이렇게 말한다.

내가 흥미를 끄는 것은 드가, 발투스, 루시안 프로이드, 안토니오 로페스 가르시아의 예술 창작 능력이다.스케일이 풍부하지만 추상적인 모험적이고 실험적인... 깊은 인간... 모더니즘과 기술 매체의 전통의 결합 그리고... 예술에 있어서 인간의 형태에 대한 신선하고 개인적인 반응...바라건대 내 작품이 이 문제들을 말해주길 바란다.[2]

종종 인간의 모습은 초현실적인 배경이나 [7]몽환적인 초현실적인 풍경 속에서 그려진다.[10]빛은 "내성"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그 물체로부터 방사되어 신비롭게 렌더링하는 빛의 놀이에서."[11] 또는 "일반적인 바닥의 브루클린 햇빛은 초자연적인 것처럼 보이게 한다."[12]빛의 사용은 딥스타인의 그림이 "마법적인 사실주의"[13]로 묘사되는 데 기여한다.초기 디너스타인 작품에서는 강한 좌우 대칭이 우세하지만, 이후 작품들은 비대칭성으로 주목받는다.[12]디너스타인은 다양한 영감을 얻는다.북유럽 미술(알브레히트 뒤러, 히에로니무스 보쉬[8][14]), 멕시코 미술(프리다 칼로, 디에고 리베라[12][15]), 문학(D. H. 로렌스, 어거스트 스트린드버그[16][17]), 영화(잉마르 베르그만, 알프레드 히치콕[11][17]) 등이 있다.

풀브라이트 트리피치

딥스타인의 가장 주목할 만한 그림인 풀브라이트 트리피치는 그가 그래픽 분야의 풀브라이트 학자로 재직하던 1971년[16] 독일에서 시작되었다.1974년에 완공되었다.[14]대체로 자전적인 작품인 [17]이 작품은 삭막한 현실주의와[6] 미국의 비유적 전통이 결합되어 대게 종교적인 형식인 삼두의 세속적인 연출을 연출한다.

작가 조나단 레테먼은 "시몬 디너스타인의 풀브라이트 트리피치는 단 한 순간의 세심한 시선으로 전 세계를 묘사하는 것을 암시하는 것 같은 특이하고 놀라운 예술 작품들 중 하나이다"[10]라고 평했다.이 유화 온 우드 그림은 약 14피트 넓이의 3개의 판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래픽 화가의 작업실을 묘사하고 있다.[18]디너스타인 가문을 대표하는 세 인물이 외판을 차지하고 있다.중앙 패널은 화가의 책상, 판화 도구, 의뢰된 풀브라이트 판화 프로젝트의 구리 원반, 헤시슈 리히테나우(카셀 근처)의 원근으로 외관으로 구성되어 있다.[16][19]식물, 사진, 옛 석사 그림, 아동 학년 쓰기, 러시아로부터의 퇴학 비자 등이 스튜디오 벽에 붙어 있다.[7][16][17][20]트립티치는 대칭성, 꼼꼼한 디테일,[6] 질감, 공간감각이 어우러져 유명하다.

각 관객이 각기 다른 감성과 작품 해석을 가져오고 있는 이 그림은 2011년 출간된 다니엘 슬래거가 편집한 <시몬 디너스타인의 <풀브라이트 트리피치>를 비롯해 수많은 에세이, 기사, 책의 소재다.이 그림에 대해 언급한 많은 사람들 중에는 미술 평론가 존 러셀, 구겐하임 재단 이사 토마스 M이 있다. 메서, 미술사학자 앨버트 보임, 미술가 조지 테이커, 작가 앤서니 도어, 작곡가 조지 크럼브, 시인비치 퀵, 배우투루로, 퓰리처상 수상자 줄파 라히리.

사생활

1965년, 딥스타인은 유명한 교육 컨설턴트인 르네 수들러와 결혼했다.[4]르네 디너스타인은 Choice Time의 저자다. 2016년 8월 출간된 PreK-2는 조회와 놀이를 통한 학습 심화 방법.[21]그녀는 인기 있는 블로그인 Insurvey Choice Time: Inquiry, Discovery and Play를 운영하고 있다.[22]그들에게는 콘서트 피아니스트 시몬 디너스타인이라는 딸이 있다.아내와 딸 모두 다른 작품들뿐만 아니라 풀브라이트 트리피치에서도 두드러지게 등장한다.

디너스타인은 브룩클린에 거주하며, 그곳에서 자신의 예술을 연습하는 것 외에도 미술사와 감상에 관한 수업을 한다.[4]

비디오 및 팟캐스트

  • 시몬 디너스틴과 시몬 디너스타인 대화:2011년[23] 독일 총영사관 로빈 퀴버와의 인터뷰
  • 트립티치: 회화와 음악의 밤 (치아라 현악 4중주단이 공연한 시몬 디너스타인, 풀브라이트 트립티치, 로버트 시로타)[24]
  • 텐리 갤러리에서 열린 시몬 디너스타인 전시회: 프랜시스 커닝햄과의 산책, 2011년[25]
  • 사이먼 디너스타인과 풀브라이트 트립티치, 2013년[26] 4월 1일 허핑턴 포스트 제임스 맥엘히니와의 오디오캐스트 인터뷰
  • 시몬 디너스타인과 사이먼 디너스타인: 예술과 가족의 신비에 관한 대화, 2018년[27]

수상 목록

  • 퍼핀 재단 그랜트, 2011
  • 로버트 리먼 재단 그랜트, 1999-2000
  • 폴과 마가렛 버텔슨 상, 1998년 뉴욕 국립 디자인 아카데미 제173회 연례 전시회에서 초상화 부문 수상
  • 랄프 파브리상, 1997년 뉴욕 국립 디자인 아카데미 제172회 연례 전시회 그래픽 부문 수상
  • 1992년 뉴욕 국립 디자인 아카데미에서 선출된 회원
  • 1988년 제163회 뉴욕 디자인 아카데미 연례 전시회 캐논상
  • 1987년 뉴욕, 아티스트 스페이스 그랜트
  • 1987년 뉴욕 미술 펠로우쉽 재단
  • 아티스트 스페이스 그랜트, 1985년 뉴욕
  • Stefan Hirsch Memorial Award, Audubon Artists, New York, 1984년
  • 1983년 뉴욕, 아티스트 스페이스 그랜트
  • 맥도웰 콜로니 펠로우십, 1979년
  • Childe Hassam 구매상, 미국 예술 및 편지 아카데미, 1978
  • E.D. 재단 그랜트, 1978년 로마에 있는 미국 아카데미에서 공부하기 위해
  • 잉그램 메릴상, 잉그램 메릴 재단, 1978-79년
  • 로마상 펠로우십, 1976–78(Lazarus Fellow, Metropolitan Museum of Artum)
  • E.D. 재단 1977년 로마에 있는 미국 아카데미에서 공부하기 위한 보조금
  • 루이 컴포트 티파니 재단 그랜트, 1976
  • Childe Hassam 구매상, 1976년 미국 예술 및 편지 아카데미 회화상
  • 구매상, DESIGHS USA, 미네소타 미술관, 1975
  • 1975년 에드윈 오스틴 애비 벽화 그리기 펠로우쉽 뉴욕 국립 디자인 아카데미(National Academy of Design)
  • 독일 풀브라이트 펠로우십, 1970-71년 그래픽스
  • 맥도웰 콜로니 펠로우십, 1969
  • 구매상, DESIGHS USA, 미네소타 미술관, 1968년
  • 브루클린 미술관 1등상, 1967년
  • 장학금, 브루클린 박물관 미술학교, 1964-67

전시회

  • 2018년 영원한 세계: 뉴욕 엘미라 아르노 미술관 사이먼 디너스타인과 풀브라이트 트리피치
  • 2017 The Lasting World: Simon Dinnerstein and The Fulbright Triptych, Missouri, Columbia, Missouri 대학교 미술 고고학 박물관
  • 2014~2015년, 아칸소 주 파예트빌 아칸소 대학교의 푸브라이트 트리피치(The Fubright Triptych), 아칸소 주 파예트빌(Fayettville)에서 펜에 있는 팔머 미술관으로부터 연장 대출을 받았다.주립 대학교
  • 2011~2014년 뉴욕주 독일 영사관 풀브라이트 트립티치(The Pulbright Triptych)가 펜에 있는 파머 미술관으로부터 연장 대여를 받고 있다.주립 대학교
  • 2011년 뉴욕 텐리 갤러리 풀브라이트 트립티치와 엄선된 그림들
  • 2010년 Simon Dinnerstein – Loupe Digital Studio의 Giclee Prints
  • 2010년 사이먼 디너스타인-기클렌지 인쇄, 오픈 스튜디오, 파크 슬로프, 브루클린, 뉴욕
  • 2008년 사이먼 디너스타인:뉴욕 레인보우 룸의 원맨 전시회
  • 2006년 사이먼 디너스타인, 오픈 스튜디오:12월 뉴욕 브루클린, 파크 슬로프, 팔레트 그림
  • 1999년 ACA 갤러리, 뉴욕, 최근 그림 및 그림
  • 1999년 브레드 앤 로지스 갤러리, 마틴 루터 킹 주니어뉴욕 노동 센터
  • 1999년 뉴욕 세인트 피터스 교회(풀브라이트 트리피치 및 플라워 마켓, 로마)
  • 1999-2000년 미국 아칸소 주 페이엣빌의 조이 프랫 마크햄 갤러리 월튼 아트센터
  • 2000 Texarkana 지역 예술 센터, Texarkana, Texarkana, Texarkana/Arkansas
  • 버지니아 리치몬드 대학교 2000 하넷 미술관
  • 1993년 뉴욕 새 사회 연구 학교
  • 1991년 뉴햄프셔 콩코드 하게이트 센터 세인트 폴스쿨
  • 1988년 뉴욕 스탬프플리 갤러리
  • 1987년 뉴욕 브루클린 프랫 인스티튜트
  • 1985년 갤러리 1199, 마틴 루터 킹 주니어.뉴욕 노동 센터
  • 1981년 뉴욕 새 사회 연구 학교
  • 1979년 뉴욕 국제교육원; 뉴욕 스탬프플리 갤러리
  • 1977년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미국 아카데미
  • 1976–1977 뉴욕 국제 교육 연구소 풀브라이트 트리피치
  • 1975년 뉴욕 스탬프플리 갤러리

기사 및 리뷰

  • 특징:2014년[28] 12월 컬러 펜슬 잡지 사이먼 디너스타인
  • 인류를 추구하는 엘라나 하글러:2013년 4월 21일 사이먼 디너스타인과의 인터뷰, 인류애 추구:사이먼 디너스타인과의 인터뷰
  • Cynthia Maris Dantzic 100 뉴욕 화가 출판사: Schiffer 출판사, (2006년 11월) ISBN978-0764325434, 85페이지
  • Gabriela Lena Frank, Ghosts in the Dream Machine for Piano Quintet, (Composer's Statement), 2005년 3월 14일 작곡자 성명
  • Ilana Abramovitch, From Brownsville to Park Slope: Brandeis University Press, Brooklyn의 유대인 Simon Dinnerstein과의 인터뷰; 제1판(2001년 11월 1일) ISBN 978-1584650034
  • 데보라 맥레오드, 내장 초상화에서 낭만화된 님프, 작업체, 리치몬드 타임즈, 2000년 9월 1일
  • Edward Sullivan, The Urban View in the Art of Simon Dinnerstein, Simon Dinnerstein: 그림과 드로잉, Hudson Hills Press, 2000년
  • 로이 프록터, 가장자리 탐험:패션의 노예가 아니라, 예술가는 우리를 다른 마음의 상태로 끌어들인다, 리치몬드 타임즈-디스패치, 2000년 8월 20일
  • Joe Maniscalco, An Artist at Work: Park Slope 화가는 2000년 1월 31일 Park Slope Courier의 창작 과정에 당신을 참여하게 한다.
  • 루돌프 아르하임, 영속적인 세계의 그림들, 사이먼 디너스타인: 회화와 그림들, 허드슨 힐즈 프레스 (1999년 10월 12일) ISBN 978-0965048545
  • 리처드 머텐스, 본질적 현실:1991년 10월 25일, 공통의 장소인 콩코드 모니터에서 예술의 본질을 그린 사이먼 디너스타인
  • 알버트 보임, 소개:시몬 디너스타인의 가족 로맨스, 시몬 디너스타인의 예술, 아칸소 프레스 대학, 1990년
  • 토마스 M.메서, 포워드, 시몬 디너스타인의 예술, 아칸소 주립대학교 출판부, 1990, ISBN 978-1557281425
  • 시어도어 울프, 그러한 예술을 위한 친절한 단어는 '보수적'이다.기독교 과학 모니터, 1988년 4월 25일
  • 1986년 4월, 시몬 디너스타인, 미국 예술가, 자신의 작품을 보는 것
  • 더그 투레츠키, 사이먼 디너스타인:1985년 4월 브루클린 어페어스 라운드에서 예술가
  • 베넷 쉬프, 1978년 3월 스미스소니언, 마음의 소유지에 살고 있는 로마 언덕의 학자들
  • 1975년 3월, 마이클 안드레, 사이먼 디너스타인(스탬프플리), 아트 뉴스,
  • John Gruen, "On Art: Freilicher, Fish, Dinnerstein, Peterson, Baber" , SoHo Weekly News, 1975년 2월 6일
  • 조지 스탬프플리, 카탈로그 에세이, 1인 전시, 스탬프플리 갤러리, 1975년 1월 14일 - 2월 8일

책들

  • 시간의 중단: Simon Dinnerstein과 'The Pulbright Triptych', Daniel Slager(편집자), 출판사: Milkweed Editions; 퍼스트 에디션(2011년 6월 14일).풀브라이트 트리피치에 관한 45편의 에세이.
  • 사이먼 디너스타인: 그림들과 그림들, 뉴욕 허드슨 힐즈 프레스, 1999. 루돌프 아르하임, 가이 데이븐포트, 로버트 L. 맥그래스, 존 러셀, 에드워드 J. 설리번, 밀러 윌람스의 에세이.
  • 1990년 런던 파예트빌 아칸소 프레스 대학교의 사이먼 디너스타인의 예술알버트 보이메의 에세이, 토마스 M.메서, 조지 테이커

참조

  1. ^ "Simon and Simone Dinnerstein in Conversation: An Interview with Robin Quivers at the German Consulate of New York".
  2. ^ a b c Dantzic, Cynthia Maris (November 2006). 100 New York Painters. Schiffer Publishing. p. 85. ISBN 978-0764325434.
  3. ^ Micchelli, Thomas (2019-05-11). "Encountering "The Fulbright Triptych"". Hyperallergic. Retrieved 2020-11-09.
  4. ^ a b c "Chronology of Simon Dinnerstein". Retrieved 17 May 2014.
  5. ^ Mertens, Richard (October 25, 1991). "Essential Realities: Simon Dinnerstein Draws the Essence of Art from the Commonplace". The Concord Monitor.
  6. ^ a b c d Messer, Thomas M. (November 1990). The Art of Simon Dinnerstein. Foreword: The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ISBN 978-1557281425.
  7. ^ a b c Smith, Roberta (August 11, 2011). "Rediscovered at the Altar of Ar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7 May 2014.
  8. ^ a b Hagler, Elana. "Pursuing Humanity: An Interview with Simon Dinnerstein". Painting Perceptions. Retrieved 18 May 2014.
  9. ^ Proctor, Roy (August 20, 2000). "Exploring the Edge: No Slave to Fashion, Artist Draws Us Into Other States of Mind". Richmond Times-Dispatch.
  10. ^ a b Slager, Daniel, ed. (June 14, 2011). The Suspension of Time: Reflections on Simon Dinnerstein and The Fulbright Triptych. Milkweed Editions. ISBN 978-1571313263.
  11. ^ a b Abramovitch, Ilana (2002). Jews of Brooklyn. Brandeis University Press. p. 169. ISBN 978-1584650034.
  12. ^ a b c Davenport, Guy, essayist (2000). The Art of Simon Dinnerstein, Simon Dinnerstein: Paintings and Drawings. Hudson Hills Press. ISBN 0965048543.
  13. ^ Arnheim, Rudolph, essayist (2000). Simon Dinnerstein: Painting and Drawing. Hudson Hills Press.
  14. ^ a b "Triptych: An Evening of Painting and Music: Simon Dinnerstein & Robert Sirota". Retrieved 17 May 2014.
  15. ^ McLeod, Deborah (September 1, 2000). "Bodies of Work: From Visceral Portraits to Romanticized Nymphs, Simon Dinnerstein's Retrospective at the Marsh Gallery Shows a Stylistic Niche through Every Turn of the Artist's Evolution". Richmond Style Weekly. Retrieved 17 May 2014.
  16. ^ a b c d Dinnerstein, Simon (April 1986). "Looking At One's Own Artwork". American Artist.
  17. ^ a b c d Boime, Albert (November 1990). The Art of Simon Dinnerstein. The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ISBN 978-1557281425.
  18. ^ Dinnerstein, Simon. "The Fulbright Triptych". Retrieved 17 May 2014.
  19. ^ Russell, John (February 8, 1975). "In Dinnerstein's Painting, An Echo Chamber". The New York Times.
  20. ^ André, Michael (March 1975). "Simon Dinnerstein (Staempfli)". Art News.
  21. ^ "Author Bio: Renee Dinnerstein". Heinemann Publishing, of Houghton, Mifflin, Harcourt. Retrieved 10 September 2016.
  22. ^ "About Renée Dinnerstein". Investigating Choice Time: Inquiry, Exploration, and Play. Retrieved 17 May 2014.
  23. ^ "• Simone Dinnerstein • Simon Dinnerstein • In Conversation on Vimeo". Retrieved 30 October 2016.
  24. ^ "Triptych: An Evening of Painting and Music: Simon Dinnerstein & Robert Sirota". Retrieved 30 October 2016.
  25. ^ YouTube
  26. ^ "Simon Dinnerstein". Retrieved 30 October 2016.
  27. ^ "Simone Dinnerstein and Simon Dinnerstein: A Conversation on the Mysteries of Art and Family". Vimeo. Retrieved 5 November 2018.
  28. ^ simondinnerstein.com/email/cpm1412_02.pdf "Simon Dinnerstain", 컬러 연필, 2014년 12월

외부 링크

풀브라이트 트리피치 기사와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