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플 역
Siple Station이 기사는 대체로 또는 전적으로 단일 출처에 의존한다. – · · · · (1919년 8월) |
시플 역 | |
---|---|
남극 시플 스테이션의 위치 | |
좌표: 75°55′00″S 83°55′00″w / 75.916667°S 83.916667°W좌표: 75°55′00″S 83°55′00″W / 75.916667°S 83.916667°W/ | |
나라 | ![]() |
남극의 위치 | 엘즈워스 랜드 서남극 |
관리 대상 | 스탠퍼드 스타 랩 |
확립된 | 1973[1] |
닫힌 | 1988[1] |
에 대해 명명됨 | 폴 시플 |
인구 | |
• 합계 |
|
유형 | 연중무휴 |
기간 | 연간 |
상태 | 버려진 |
시플 스테이션은 남극대륙에 있는 연구소(75°550000sS 83°550000wW / 75.916667°S 83.916667°W / )로, 매우 낮은 주파수(VLF파)를 사용하여 자기권을 적극적으로 탐사하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스탠포드 연구소에 설립되었다.[1] 그것의 위치는 지구의 남극 부근으로 선택되었고 두꺼운 얼음판은 VLF(매우 저주파 – 3kHz 범위) 주파수에서 비교적 효율적인 쌍극 안테나를 허용했다. 스탠포드 대학의 존 카츠프라키스는 스탠포드가 후원한 방송국과 VLF 실험의 '아버지'였다.
시플 1호와 1979년 경의 시플 2호 정거장이 원상 위에 세워졌고, 결국 얼음으로 부서졌다. 원래 시플 1호 역은 승무원보다 4인 겨울, 후기 시플 2호 역은 승무원보다 8인 겨울이었다.
시플 II 스테이션은 캐터필러 D353 엔진으로 구동되는 300kW의 가토 사각 상처 발전기를 사용하여 캐나다 로베르발의 수신기로 전송되는 VLF(Jupiter)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했다. 당시 시플 2호 스테이션은 세계에서 가장 긴 쌍극 안테나를 가지고 있었다. 원래 길이 19km(12마일)로 12마일(39km)로 증가했고 그 후 90도로 작동하는 두 번째 24마일(39km) 안테나가 추가되어 총 안테나 길이가 약 50마일(약 50마일)에 이르고 단계별 VLF 전송이 가능해졌다. 유타주 역시 시플2역에서 몇 년 동안 고주파 레이더 실험을 했다.
시플Ⅱ 기지의 집전력은 3306 캐터필러 엔진으로 구동되는 110kW 발전기 2대(활성 1대, 대기 1대)가 제공했다. 시플 II 빌딩 단지는 길이가 약 280피트(85m), 너비가 44피트(13m), 높이가 24피트(7.3m)인 금속 원더아치 구조였다. 동절기 가동 중 이 설비는 25,000 갤런(95,000 l; 21,000 imf gal) 연료 블래드에 최대 약 80,000 US 갤런(30만 l; 67,000 imp gal)의 DFA(디젤 연료 북극)를 저장했다.
시플 스테이션은 보이 스카우트로서 두 번의 Byrd 탐험과 다른 남극 탐험의 일원이었던 폴 시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역은 1988년 프로그램 완료 후 폐쇄되었다.[1]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Siple St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