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루떡
Siru-tteok원산지 | 한국 |
---|---|
지역 또는 주 | 한국어를 사용하는 지역 |
주성분 | 찹쌀가루, 곡물 및 콩(아즈키콩, 녹두콩 및 깨, 밀가루 또는 전분 등) |
변형 | 설기떡, 계토떡 |
100g /183kcal kcal | |
시루떡 | |
한글 | 시루떡 |
---|---|
한자 |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시루떡 |
매쿠네-라이샤워 | 시루떡 |
시루떡(시루떡)은 전통적으로 시루(시루)에 쌀이나 찹쌀가루를 쪄서 만든 한국의 떡(떡)의 일종이다.
시루는 한반도 북반도의 청동기 말기로 거슬러 올라가고, 삼국시대(기원전 57년)까지 한반도 전 지역에 전파된 기구 사용이 가능한 찜통이다.시루떡의 인기가 높아진 E-676).[3] 시루는 무속 의식에도 사용되며, 대감신(大監神, 국가관료신)의 식탁에 오르기도 한다. 시루는 일상적인 도구는 아니지만 제사를 지낼 때 제사를 준비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것이다[3]. 이는 시루떡이 매일 즐길 수 있는 일상적인 음식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시루떡은 떡의 가장 오래된 형태라고 한다.
가루 밥을 쪄서 반죽을 두드리거나 말아 만든 떡(딱) 즉, 떡은 시루와 함께 기원전 5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루떡 요리는 콩이나 팥(팥, 팥)으로 채워지는 찹쌀을 층층이 쌓아 올린 케이크로서, 가신을 위한 의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고 기본적인 희생[4]이다.이 케이크는 일반적으로 재물, 행운, 건강을 가정에 가져다주는 악운예방의식에 사용된다. The red beans/ fillings is believed to chase away bad spirits, and the another type of siru-tteok cake is the Baekseolgi, which is pure white, and is offered to the higher gods, including Cheonsin (천신,Celestial God), Sansin (산신,Mountain God) and Yongsin (용신,Dragon God), reflecting the folk belief that the latter two are considered to be as high up 천신[4]처럼 신성하다.
준비
시루떡은 쌀이나 찹쌀을 물에 담가 갈아서 만든다. 따라서 쌀가루를 시루에 넣고 찐다. 찜질방법에 따라 시루떡은 설기떡(설氣teok)과 계토떡(켜켜teok)의 두 부류로 세분된다. 설기떡은 시루떡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쌀로만 만들어진다. '계떡'은 아즈키콩이나 다른 콩가루를 여러 겹으로 층을 이루고 찹쌀을 섞어 만든 것이다.[1]
재료
'시루떡'의 주재료는 쌀(한국어로 찹쌀 메스살)이나 찹쌀(찹쌀 찹쌀)이 있는데, 이 쌀은 가끔 섞이기도 한다. 다른 곡물과 콩(아즈키콩, 녹두콩과 깨, 밀가루 또는 전분 등)도 밥과 함께 섞을 수 있다. 각종 과일과 견과류는 감, 복숭아 또는 살구, 밤, 호두, 잣 등 부대 재료로 쓰인다. 게다가, 야채나 허브는 떡의 맛을 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당귀잎(당gw잎; Ostericum grosseserratum), 서기버섯(만나이끼), 무, 아르테미시아, 후추, 한국주 등을 예로 들며 꿀과 설탕을 감미료로 사용한다.[1]
품종
- 백설기 - 다양한 시루떡. 그것은 문자 그대로 흰 쌀로 만든 흰 눈떡을 의미한다.
- 콩떡(콩떡) - 다양한 콩으로 만든 떡
- 증편(증pyeon) - 막걸리로 만든 떡(청주)
- 무지개떡[1] - 문자 그대로 "레인보우떡"; 이 종류의 떡은 화려한 줄무늬가 있다. 떡은 특히 잔치, 잔치, 잔치, 돌(아기 돌잔치), 황압(60세 돌잔치), 견혼잔치 등 잔치에 쓰인다.
- 호박떡
참고 항목
참조
- ^ a b "Ttuk, Hangwa > Kinds of Rice Cakes".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Retrieved 2008-05-23.
3. 장, 상교. 토기 찜통. 한국 민속 문화 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en/topic/detail/2450에서 2021년 12월 9일 검색.
4. 김 상보. 떡찜. 한국 민속 문화 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en/topic/detail/2033에서 2021년 12월 9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