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행복의 6요소 모델
Six-factor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심리적 웰빙의 6요소 모델은 개인의 심리적 웰빙, 만족, 행복에 기여하는 6가지 요소를 결정하는 캐롤 라이프가 개발한 이론이다.[1] 심리적 행복은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 개인적 숙달, 자율성, 삶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느낌, 개인적 성장과 발전으로 이루어진다.[2] 심리적인 행복은 도전적이고 보람 있는 삶의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균형 상태를 달성함으로써 얻어진다.[3]
측정
측정의 라이프 척도는 응답자가 1에서 6까지의 척도로 진술을 평가하는 두 가지 형태(54 또는 84개 항목)로 구성된 심리측정학 재고로, 1은 강한 의견 불일치를 나타내고 6은 강한 합의를 나타낸다.[1] 라이프의 모델은 단순히 행복을 느끼는 것에만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 "삶의 목표가 기분 좋게 느껴지지 않고 대신 거창하게 사는 데 있다"[4]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체안 윤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라이프 척도는 자율성, 환경적 숙달성, 개인적 성장,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삶의 목적, 자기 수용성의 6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한다.[1] 총점수가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높아진다. 다음은 각 기준에 대한 설명과 각 기준을 측정하기 위한 Ryff 인벤토리의 예문이다.
- 자율성: 높은 점수는 응답자가 독립적이며 사회적 압력과 무관하게 자신의 행동을 규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기준에 대한 예시문은 "내 의견이 일반적인 합의와 반대되더라도 나는 내 의견을 신뢰한다"[1]이다.
- 환경 마스터: 높은 점수는 응답자가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일상 업무를 관리하고 개인의 필요에 도움이 되는 상황을 조성하는 등 환경 요소와 활동을 관리하는 데 숙달된 감각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기준에 대한 예시문은 "일반적으로 내가 살고 있는 상황을 내가 책임지고 있다고 느낀다"[1]이다.
- 개인적 성장: 높은 점수는 응답자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새로운 경험을 환영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행동과 자기자신의 향상을 인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기준에 대한 예시문은 "자신과 세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도전하는 새로운 경험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1]이다.
-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높은 점수는 응답자가 호혜적 공감, 친밀감, 애정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의 의미 있는 관계에서의 참여를 반영한다. 이 기준에 대한 예시문은 "사람들은 나를 다른 사람들과 기꺼이 시간을 나눌 수 있는, 주는 사람으로 묘사할 것"[1]이다.
- 삶의 목적: 높은 점수는 응답자들의 강한 목표 지향과 삶이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확신을 반영한다. 이 기준에 대한 예시문은 "일부 사람들은 인생을 목적 없이 방황하지만 나는 그들 중 하나가 아니다"[1]이다.
- 자체 수락: 높은 점수는 응답자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반영한다. 이 기준에 대한 예시문은 "나는 내 성격의 대부분의 면을 좋아한다"[1]이다.
애플리케이션 및 연구 결과
기여요인자
긍정적 기여 요인
긍정적인 심리적 행복은 수많은 근원에서 나타날 수 있다. 행복한 결혼은 예를 들어 만족스러운 직업이나 다른 사람과의 의미 있는 관계처럼 기여한다.[5] 결혼이 용서, 낙관적 기대, 배우자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 친절함 등을 포함할 때 결혼은 심리적 행복을 크게 향상시킨다.[6] 비현실적인 낙관주의와 지나친 자기 평가의 경향이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환상은 개인이 위협적인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때 특히 중요하다. 그 환상은 심리적 행복과 자신감을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상황에서 적응을 허용하기 때문이다(Taylor & Brown, 1988) 낙관주의는 또한 개인이 그들의 행복에 대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7]
부정적 기여 요인
심리적인 행복은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품위 없고 보상이 되지 않는 업무 환경,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의무, 그리고 만족하지 못하는 관계 등이 이에 해당된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보다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가 웰빙과 더 강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웰빙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8] 어린 시절의 충격적인 경험은 성인 생활 전반에 걸쳐 심리적 행복을 떨어뜨리고, 아동, 청소년, 성인의 심리적 회복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9] 인식된 오명은 또한 심리적 행복, 특히 비만과 다른 신체적 질병 또는 장애와 관련된 오명을 감소시켰다.[10]
외적, 내재적 심리적 욕구
Ryff의 모델에 제시된 웰빙과 긍정적인 기능의 측면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 1990년대 초에 실시된 연구는 다른 사람들 또는 그들의 공동체와의 관계에 비해 재정적인 성공을 더 열망한 사람들이 웰빙의 다양한 척도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1]
소속, 친밀감, 자신의 공동체에 기여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삶을 위해 노력하는 개인은 자신의 본질적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열망으로 묘사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부와 물질, 사회적 인식, 명성, 이미지 또는 매력을 열망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외적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 중요도 순위에 의해 제시된 개인의 본질적인 (외부적인 것에 상대적인) 열망의 강도는 일련의 심리적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다. 긍정적인 상관관계는 긍정적인 영향, 활력, 그리고 자기실현이라는 심리적 행복의 징후와 함께 발견되었다. 부정적인 상관관계는 부정적인 영향, 우울증, 불안감 등 심리적 병폐의 지표와 함께 발견되었다.[12]
타인과의 관계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는 라이프의 생각을 확인하는 최근의 연구는 자기 보고된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인 행복(긍정적/부정적 영향)의 수준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했다. 결과는 자기 보고에 의해 지적된 행동의 이상적 경향(예: "나는 나의 기술과 능력에 도전하는 상황을 찾는다")을 가진 개개인이 그렇지 않은 참가자에 비해 주관적 웰빙과 삶의 만족도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3] 개인은 행복 지향 설문지의 답변에 따라 선택한 행복에 대한 경로/전략에 따라 그룹화되었다.[14] 설문지는 일부 개인이 추구하지 않지만 추구할 수 있는 행복에 대한 세 가지 지향을 바탕으로 개인을 설명하고 차별화한다. "즐거움" 지향은 자신의 외적 욕구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쾌락주의적 삶의 목표를 채택하는 것과 관련된 행복으로의 길을 묘사한다. 포용과 의미 지향은 두 가지 긍정적인 심리 구조인 "흐름/참여"와 "우다이모니아/의미"를 통합하는 행복 추구를 묘사한다. 후자의 두 방향 모두 소속과 공동체에 대한 본질적인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열망과도 관련이 있으며, 아니치와 톤치치에 의해 행복에 대한 하나의 "유다이모닉" 경로로 통합되어 행복과 삶의 만족의 모든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이끌어냈다. 중요한 것은 그녀가 정신건강을 평가하는 척도도 제작했다는 것이다.[2] 이 요소 구조는 논의되어 왔지만,[15][16] 웰빙, 건강, 그리고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많은 연구를 만들어냈다.
상속성
자기 통제로 느슨하게 식별된 전반적인 에우다이모니아와 에우다이모니아 면에서의 개인 차이는 유전적이다. 한 연구에서 나온 증거는 이 성질의 Ryff 면에 기초하고 있는 5가지 독립적인 유전 메커니즘을 지원하여 일반적인 자기 통제라는 관점에서 유다이모니아의 유전적 구조를 유도하고 목적, 기관, 성장 및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심리적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4가지 부차적인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가능하게 한다.[17]
웰빙 요법
셀리그먼에 따르면, 긍정적인 인간 경험을 얻기 위한 긍정적인 개입은 인간의 고통, 약점, 무질서를 무시하는 대가를 치르지 말아야 한다. 라이프의 6가지 원소를 바탕으로 한 치료법은 이와 관련하여 파바 등에 의해 개발되었다.[18]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세이퍼트, T. A. (2005) Ryff는 심리적인 행복의 척도다. 평가 참고 사항
- ^ a b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6): 1069–1081. doi:10.1037/0022-3514.57.6.1069. S2CID 29135711.
- ^ Dodge, Rachel; Daly, Annette; Huyton, Jan; Sanders, Lalage (2012). "The challenge of defining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2 (3): 222–235. doi:10.5502/ijw.v2i3.4.
- ^ 캐롤 라이프의 심리적 웰빙 모델 웰빙 6가지 기준
- ^ Diener, Ed (1994).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2): 103–157. doi:10.1007/BF01207052.
- ^ McNulty, James K.; Fincham, Frank D. (2012). "Beyond positive psychology? Toward a contextual view of psychological processes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67 (2): 101–110. doi:10.1037/a0024572. PMC 4112753. PMID 21787036.
- ^ Scheier, Michael F.; Carver, Charles S.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 (2): 201–228. doi:10.1007/BF01173489.
- ^ Rook, Karen S. (1984). "The negative side of social interaction: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5): 1097–1108. doi:10.1037/0022-3514.46.5.1097. PMID 6737206. S2CID 8214665.
- ^ Nurius, Paula S.; Green, Sara; Logan-Greene, Patricia; Borja, Sharon (2015). "Life course pathway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toward adult psychological well-being: A stress process analysis". Child Abuse & Neglect. 45: 143–153. doi:10.1016/j.chiabu.2015.03.008. PMC 4470711. PMID 25846195.
- ^ Jackson, Sarah E.; Beeken, Rebecca J.; Wardle, Jane (2015). "Obesity, perceived weight discrimin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adults in England". Obesity. 23 (5): 1105–1111. doi:10.1002/oby.21052. PMC 4414736. PMID 25809860.
- ^ Kasser, Tim; Ryan, Richard M. (1993). "A Dark Side of the American Dream: Correlates of Financial Success as a Central Life Aspi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2): 410–422. doi:10.1037/0022-3514.65.2.410. PMID 8366427.
- ^ Kasser, Tim; Ryan, Richard M. (1996-03-01).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 (3): 280–287. doi:10.1177/0146167296223006. ISSN 0146-1672.
- ^ Anic, Petra; Tončić, Marko (2013). "Orientations to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Goals". Psihologijske Teme. 22 (1): 135–153.
- ^ Peterson, Christopher; Park, Nansook; Seligman, Martin E. P. (2005-03-01).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PDF).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6 (1): 25–41. doi:10.1007/s10902-004-1278-z. hdl:2027.42/43062. ISSN 1389-4978.
- ^ Springer, K. W.; Hauser, R. M.; Freese, J. (2006). "Bad news indeed for Ryff's six-factor model of well-being". Social Science Research. 35 (4): 1120–1131. doi:10.1016/j.ssresearch.2006.01.003.
- ^ Ryff, C. D.; Singer, B. H. (2006). "Best news yet on the six-factor model of well-being". Social Science Research. 35 (4): 1103–1119. doi:10.1016/j.ssresearch.2006.01.002.
- ^ Archontaki, Despina; Lewis, Gary J.; Bates, Timothy C. (1 March 2012). "Genetic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twin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81 (2): 221–230. CiteSeerX 10.1.1.407.1613. doi:10.1111/j.1467-6494.2012.00787.x. PMID 22432931.
- ^ Fava, Giovanni A.; Ruini, Chiara (2003).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 well-being enhancing psychotherapeutic strategy: well-being therap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34 (1): 45–63. doi:10.1016/S0005-7916(03)00019-3. PMID 12763392.
추가 읽기
- Ryff, Carol D. (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2: 35–55, doi:10.1177/016502548901200102
- Ryff, Carol D. (1 January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PD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6): 1069–1081. doi:10.1037/0022-3514.57.6.1069.
- Ryff, Carol D.; Keyes, Corey Lee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PD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4): 719–727, doi:10.1037/0022-3514.69.4.719, PMID 7473027
외부 링크
- Caroll Ryff의 대표 출판물(일부 다운로드 가능)
- 캐롤 라이프의 심리적 행복 모델. 웰빙의 여섯 가지 기준
- 트리샤 A. 세이퍼트, 심리학적 웰빙의 라이프 척도
-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PWB), 42 아이템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