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맥 업
Smack Up스맥 업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60 | |||
녹음된 | 1960년 10월 24일-25일 | |||
장르. | 재즈 | |||
길이 | 51:00 | |||
라벨 | 컨템포러리/OJC | |||
프로듀서 | 레스터 코에니그 | |||
아트 페퍼 연대기 | ||||
|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다운 비트 | ![]() ![]() ![]() ![]() ![]() |
롤링스톤 재즈 레코드 가이드 | ![]() ![]() ![]() ![]() ![]() |
재즈 레코딩의 펭귄 가이드 | ![]() ![]() ![]() ![]() |
스맥 업은 색소폰 연주자 아트 페퍼가 잭 쉘든, 피트 졸리, 지미 본드, 프랭크 버틀러와 함께 연주하는 1960년 재즈 앨범이다.
레너드 페더의 소매 노트에는 페퍼의 두 가지 인용구가 들어 있는데, 이 인용구는 재즈 연주에 대한 그의 접근법에 빛을 던진다.
- "서로에 대한 화음의 관계, 화음이 어떻게 시퀀스에 들어맞는지, 그리고 그 위에 어떻게 쌓이는지를 알게 되면 모두 수학과 음악 사이에 중요한 관계가 있음을 일깨워 준다."
- "사람이 걷는 방식, 말하는 방식, 목소리의 음색, 말투의 차이, 생각의 표현에 있어서의 그의 작은 변화 등 모두 개성과 많은 관련이 있다.남자가 재즈로 연주하는 것도 마찬가지다...그의 어조, 그의 소리가 움직이는 방식, 시간에 대한 그의 느낌.그래서 재즈가 지속적으로 매혹적인 것이다.여섯 명의 남자들에게 똑같은 솔로 연주를 부탁할 수도 있겠지만, 그 결과를 듣고 나면 여섯 개의 다른 솔로곡을 듣게 될 겁니다."
이 앨범은 색소폰 연주자들이 쓴 작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랙리스트
- "스맥 업"(하럴드 랜드) –4:15
- "라스 쿠에바스 데 마리오"(아트페퍼) –6:59
- "A Bit of Basie"(버디 콜렛) –7:21
- "어떻게 질 수 있을까"(베니 카터) –6:53
- "아마도 내년" (듀안 타트로) –4:21
- "Tears Inside"(Ornett Coleman) –7:43
Compact Disc 버전에 대한 보너스 트랙
7. "솔직한 시민"(잭 몽트로즈) -6:29
8. "건전한 시민" (대체로) -6:28
- (1960년 10월 24-25일에 기록됨)
인원
참조
- ^ 다운비트:1962년 8월 16일 제29권 제22호
- ^ Swenson, J., ed. (1985). The Rolling Stone Jazz Record Guide. USA: Random House/Rolling Stone. p. 160. ISBN 0-394-72643-X.
- ^ Cook, Cook; Morton, Brian (2008).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9th ed.). London: Penguin. p. 1142. ISBN 978-0-1410-3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