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

So Gone
"So Gone"
Monicasogone.jpg
싱글 바이 모니카
앨범 After the Storm에서
방출된2003년 4월 8일(2003-04-08)
스튜디오히트 공장 기준(Miami)
장르.
길이4:02
라벨J
작곡가
프로듀서
  • 미시 엘리엇
  • Spike & Jamahl (공동프로드)
모니카 싱글 연대기
"투후드"
(2002)
"So Gone"
(2003)
"노크 노크"
(2003)

'So Gone'은 미국의 R&B 레코딩 아티스트 모니카의 곡이다.그것은 여러 트랙에서 rapper-producer 미시 엘리엇과 케네스 커닝햄과 Jamahl 호밀과 함께 생산에서 스파이크 및 듀오를 썼다;Jamahl 모니카의 네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스톰(2003년)후에, 그녀의 2002년 앨범, 모든 Eyez 나의 지연과 그에 따른 재건에 따르는 것. 힙합과 197의 요소를 도입한다면.0s-부드러운 재즈물론 소울 뮤직까지 스타일링하며, 1976년 작 'You Are Number One'의 샘플로 지야 아모뉴엘이 펜으로 쓰고 The Whispers가 공연한 것이 특징이다.

J Records는 이전 싱글 "All Eyez on Me"와 "Too Hood"의 차트 성적에 이어 2003년 4월 8일 미국 애프터 스톰의 리드 싱글로 이 곡을 발표했다.이 곡은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는데, 비평가들은 이 곡의 빈티지한 터치와 희박한 힙합 영향에 대해 칭찬했다.'소 고'는 미국 빌보드 100에서 10위에 오르며 모니카의 몇 년 만에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Hot R&B/Hip-Hop Singles & TracksHot Dance Club Play 차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1999년 "Angel of Mine" 이후 그녀의 첫 차트 1위에 올랐다.

2003년 4월 크리스 로빈슨 감독이 연출하고 마이애미 사우스비치에서 촬영된 이 곡의 뮤직비디오에는 모니카가 자신을 속이기 위해 남자에게 편견을 갖게 하는 역기능 관계의 한 부분으로 등장한다.클리프행거로 끝나 앨범의 두 번째 싱글인 "Knock Knock"의 비디오로 이어진다.소울 트레인 뮤직 어워드 최우수 R&B/Soul Single 후보에 오른 모니카는 106 & Park, The Today Show, The Tonight Show with Jay Leno, MTVTotal Request Live를 포함한 여러 TV 행사에서 이 곡을 선보였다.

배경 및 기록

미시 엘리엇은 제작 듀오 스파이크 & 자말과 함께 "So Gone"을 제작했다.[1]

'소 고'는 래퍼 미시 엘리엇이 케네스 커닝햄, 듀오 스파이크&자말의 자말 려와 함께 작사, 제작했다.[1]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히트팩토리 기준에서 데마시오 카스텔론이 녹음한 이 곡은 스콧 키에클락(Scot Kieklak)이 믹스한 곡으로 마르셀라 아라이카와 하비에르 발레베데(Javier Valeverde)가 모두 'So Gone'[1]오디오 엔지니어링을 도왔다.트랙의 백 보컬은 모니카가 녹음했고, 추가 보컬은 동료 R&B 가수 트윗이 제공했다.[1]1976년 미국 보컬 그룹 더 위스퍼즈가 부른 "You Are Number One"의 저명한 샘플로 만들어진 작가 Zyah Ahmonuel은 이 곡에 부분적인 작사가 크레딧을 가지고 있다.[1]

이 기록은 엘리엇이 2002년 4집 앨범 언더건설로 엘리어트가 성공을 거둔 후 제이레코드 대표 겸 총괄 프로듀서 클라이브 데이비스가 의뢰해 부분적으로 재작업한 애프터스톰(After The Storm) 앨범에 엘리엇이 추가한 3개 중 1개, 모니카의 원곡 3집 앨범인 올아이즈 온 미(All Eyz On Me)가 그 전년도 지연된 것이다.그것은 2003년 초 마이애미에 있는 골드마인드 녹음 스튜디오에서 스튜디오 세션 주간 동안 구상되었는데, 대부분은 "아마 서너 시간 안에 완성되었을 것"[2]이다.그것의 소리에 대해 말하면서, 모니카는 MTV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So Gone"은 사람들이 처음 내 말을 들었을 때 당신을 다시 데려간다.그 어떤 관객도 만족시키려 하지 않고, 노홀드(no holds)가 금지된 듯한 느낌을 받고 있다."[2]처음에 All Eyez on Me의 미국 재출시를 위해 녹음된 이 앨범은 나중에 리툴링된 After the Storm 앨범에만 수록되었다.[3]

서정적으로, "So Gone"의 주인공은 불성실한 남자에 대해 거의 정신을 잃은 것에 대해 노래한다.모니카는 젯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노래는 내가 너무 가버려서 생각이 똑바로 안 난다고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난 꽤 힘들어서 가끔 그렇게 해.그녀[미시 엘리엇]는 내게서 실제 생활의 일부를 빼앗아 노래에 넣었을지도 모른다."[4]엘리엇은 "미시는 내가 랩퍼처럼 행동한다고 계속 말해 '소 고'와 '노크 노크 노크'를 랩하도록 격려했다"고 말했다.그녀는 리듬을 맞추곤 했다."[5]엘리엇 프로토제, 가수 트윗, 그리고 자주 함께 하는 래퍼 부스타 라임스가 녹음 시간에 합류하여 이 의 리믹스 버전을 위한 보컬을 제공하였고, 이후 이 곡은 애프터 더 스톰의 '아웃로'로도 포함되었다.[1]

임계수신호

"So Gone"은 일반적으로 현대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그들은 그것의 빈티지한 사운드를 칭찬했다.척 아놀드 사람들은 잡지에서 그의 앨범 리뷰에서"그래서 사라지다", 한"3에 띄는 트랙과 미시 엘리엇에 의해 co-written, 표본 속삭임의 1977년 노래를 만들"You도 번호 One"의 아테나 Fran의 retro-soul 몽상을을 이룩하기 위해 썼다 루이스 딘 BBC음악의"전염성 70년대 영혼 홈"[6]들은 노래를 설명했다.kl1972년 히트작 "Day Dreaming"에서.[7]로스앤젤레스 타임즈 작가 나탈리 니콜스는 " 짝사랑하는 여성 구혼자와 이 곡의 강박적인 러브콜은 뿔과 비닐 표면 노이즈 등 펑키한 구식 터치와 함께 미시 엘리엇 연출의 힙합 비트를 자랑한다"[8]고 언급했다.빌보드 매거진의 척 테일러는 "희박하고 힙합에 영향을 받은" 연출과 "빈티지 터치"라는 곡이 "당장 전염성이 있다"[9]고 느꼈다.그는 그녀에게 "우리가 사랑하게 성장한 여자친구는 온전히 전시되고 있다. [...] '소 고'는 모니카가 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일 수도 있다."[9]고 썼다.

차트실적

"So Gone"은 66위로 데뷔하여 미국 빌보드 100에서 10위에 오르는 등 몇 년 만에 모니카의 가장 큰 상업적 성공작 중 하나이다.이 곡이 Hot 100에서 비교적 높은 정점을 보인 것은 1999년에서 2003년 사이에 발매된 대부분의 이전 싱글 앨범들의 차트 성적과 대비되는데, 이 앨범들 중 일부는 Hot 100이나 심지어 Bubbling Under 차트에서도 차트에 오르지 못했다.하지만, 이 곡은 모니카가 1999년 초 "Angel of Mine" 이후 그녀의 생애 10번째 국내 톱 10 싱글이 되었다."So Gone"은 20주 동안 상위 40위 안에 머물렀고 Hot 100 2003년 연말 차트에서 39위에 올랐다.

이 곡은 빌보드 컴포넌트 Hot R&B/Hip-Hop Singles & Tracks 차트에서도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1998년 '첫밤' 이후 모니카의 첫 차트 토퍼이자 총 6번째 차트 1위에 올랐다.[10]Hot R&B/Hip-Hop Singles 2003 연말 차트에서 50센트의 "In da Club", R. Kellya의 "Ignition (Remix)", Aliyah의 "Miss You"[10]에 이어 4위에 올랐다.이 곡의 '스컴 개구리 클럽 믹스'도 핫댄스 클럽 플레이 차트에서 1주일 동안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북미 이외 지역에서는 'So Gone'이 한정된 비닐(12개) 출시만 받았고, 그 결과 미국 이외 시장에서는 작은 성공을 거두었다.캐나다 차트에서 17위에 올랐지만, 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82위에 정점을 찍었다.

뮤직비디오

'So Gone'의 뮤직비디오는 마이애미 사우스 비치 인근 곳곳에서 촬영되었다.[11]

'So Gone' 뮤직비디오는 크리스 로빈슨 감독이 촬영했고, 던 로즈(Dawn Rose)가 파르티잔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제작했다.2003년 4월 1일과 2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사우스 비치 인근 곳곳에서 촬영되었다.[11]배우 데릭 루크가 모니카의 연애 관심사로 공동 출연하고, 프로듀서 미시 엘리엇이 한 줌의 장면에 출연한다.[11]

줄거리는 모니카를 상처입은 여자 친구로 묘사하고 있는데, 그녀는 자신의 남자의 숨겨진 비밀을 발견했다고 믿고 있다.모니카는 MTV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영상은 [루크]와 같고 나는 연애 중이다"라고 말했다."내 마음으로는 그가 바람을 피우고 있는 것 같소.비디오에서 보듯이, 내 마음은 나에게 장난을 친다.내가 아무 이유 없이 그의 집과 이 모든 것들을 파괴했어.나는 실생활에서 너처럼 체포당해."이 동영상은 모니카가 경찰 순양함에 끌려가 클리프행거를 소개하면서 마무리되는데, 이는 앨범의 두 번째 싱글인 '노크 노크'의 영상으로 이어진다.[2]

"So Gone" 비디오는 2003년 4월 23일 BET's Access Granted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초연되었다.[12]그것은 BET 106 & Park에서 2위, MTVTRL에서 6위의 최고 위치를 포함한 몇 개의 비디오 차트 카운트다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트랙 목록

맥시-CD[13] 싱글
No.제목작성자프로듀서길이
1."So Gone"(라디오 편집)
3:26
2."So Gone"(앨범 버전)
  • 엘리엇
  • 아모뉴엘
  • 커닝엄
  • 호밀
  • 엘리엇
  • 스파이크 & 자말[a]
4:02
3."So Gone"(부스타 라임이 나오는 리믹스)
  • 엘리엇
  • 스파이크 & 자말[a]
4:46
4."So Gone"(Scumfrog Remix, Part II)
  • 엘리엇
  • 아모뉴엘
  • 커닝엄
  • 호밀
3:40
5."U가 더알았어야 했어"4:17
US CD 싱글 II
No.제목작성자프로듀서길이
1."So Gone"(라디오 믹스)
  • 엘리엇
  • 아모뉴엘
  • 커닝엄
  • 호밀
  • 엘리엇
  • 스파이크 & 자말[a]
3:26
2."All Eyez on Me"(라디오 편집 - 어반 믹스)
  • 저킨스
  • 다니엘스[c]
3:58

메모들

  • ^a 공동 결합을 나타냄
  • ^b 추가 생산자를 나타냄
  • ^c 보컬 프로듀서를 나타냄

샘플 크레딧

학점 및 인원

After the Storm의 라이너 노트에서 각색된 크레딧.[1]

차트

발매이력

지역, 릴리스 형식, 레이블 및 참조를 표시하는 릴리스 날짜 목록
지역 날짜 형식 레이블 Ref.
월드와이드 2003년 3월 21일 인터넷 유출 J 레코드 [3]
미국 2003년 3월 31일 현대 히트 라디오
2003년 4월 8일 CD 싱글
호주. 2003년 9월 2일
캐나다 2003년 10월 21일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After the Storm (Media notes). Monica. J Records. 2003.{{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2. ^ a b c Reid, Shaheem (April 17, 2003). "Monica Revises Leaked LP With Help From Missy Elliott". MTV News. MTV.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9, 2014. Retrieved May 20, 2013.
  3. ^ a b Salomon, Yves Erwin (March 21, 2003). "Monica Is 'So Gone'". Yahoo! Music. Yaho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 2012. Retrieved May 20, 2013.
  4. ^ Christian, Margena A. (2003). "Monica: shares life's lessons on new CD 'After The Storm'". Jet Magazine. Retrieved July 28, 2003.
  5. ^ "Monica: Portrait". EJam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6, 2006. Retrieved January 27, 2007.
  6. ^ Dene, Lewis (2003-08-04). "After The Storm presents a different aspect of Monica's musicality". BBC Music. BBC.co.uk. Retrieved 2013-01-27.
  7. ^ Arnold, Chuck (2003-06-30). "Picks and Pans Review: After the Storm". People. People.com. Retrieved 2013-01-27.
  8. ^ 니콜스, 나탈리(2003년 6월 22일)."드라이브인 요금 이상"로스앤젤레스 타임즈.2010-03-12년에 검색됨.
  9. ^ a b Taylor, Chuck (2003-05-03). "Reviews & Previews".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Retrieved 2013-01-27.
  10. ^ a b c "2003 Year End Chart: R&B/Hip-Hop Songs".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Retrieved 2012-01-27.[영구적 데드링크]
  11. ^ a b c Wiederhorn, Jon (March 31, 2003). "Missy, DMX, Tyrese To Give Monica's New LP Extra Oomph". MTV News. MTV.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9, 2014. Retrieved May 20, 2013.
  12. ^ 액세스 허용 - 에피소드 세부 정보AOL.com.2007년 1월 24일 회수.
  13. ^ "Monica – So Gone (CD, Maxi-Single)". Discogs. Retrieved 2013-05-15.
  14. ^ "So Gone" {{cite journal}}: Cite 저널은 (도움)을 필요로 한다.
  15. ^ "이슈 705" ARIA TOP 40 Urban Singles.오스트레일리아의 국립도서관.2022년 2월 27일 회수
  16. ^ "Monica - Chart history - Billboard". March 26, 2018.
  17. ^ "모니카: 아티스트 차트 기록".공식 차트 회사.2017-12-08년 회수
  18. ^ "공식 R&B 싱글 차트 상위 40위"공식 차트 회사.2017-12-08년 회수
  19. ^ "Monica Chart History (Hot 100)"빌보드.2021년 5월 26일 회수
  20. ^ "Monica Chart History (Dance Club Songs)"빌보드.20213년 5월 26일 회수.
  21. ^ "Monica Chart History (Hot R&B/Hip-Hop Songs)"빌보드.2021년 5월 26일 회수
  22. ^ "Monica Chart History(리듬)"빌보드.2021년 5월 26일 회수
  23. ^ "2003 Year End Charts – The Billboard Hot 100 Singles & Tracks".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Retrieved January 3, 2012.
  24. ^ "Most Played Rhythmic Top 40 Songs Of 2003" (PDF). Billboard. Vol. 11, no. 51. December 19, 2003. p. 26. Retrieved March 29,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