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퀘어 푸셔

Squarepusher
스퀘어 푸셔
2012 Squarepusher @ Royale Bostno (8148077592).jpg
2012년 Squarepusher
배경 정보
생년월일토머스 러셀 젠킨슨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혼돈 A.
해링게이 공작
톰 젠킨슨
태어난 (1975-01-17) 1975년 1월 17일(47세)
기원.영국, 에식스 주, 첼름스포드
장르
직업
  • 음악가
  • 음반 제작자
  • DJ
기기
액티브 년수1993년 ~ 현재
라벨
웹 사이트www.squarepusher.net

젠킨슨(Tom Jenkinson, 1975년 1월 17일 ~ )은 영국의 일렉트로닉 뮤지션, 음반 프로듀서, 베이시스트, 멀티 인스트루멘털리스트, DJ로 드럼과 베이스, IDM, 애시드 하우스, 재즈, 일렉트로 어쿠스틱 음악여러 장르에 걸쳐 있다.그의 녹음은 종종 복잡한 드럼 프로그래밍, 라이브 악기 연주, 디지털 신호 처리의 조합으로 나타난다.1995년부터 그는 Warp Records와 렙플렉스 Records를 포함한 소규모 레이블에서 음반을 녹음하고 있습니다.그는 Ceephax Acid Crew(앤디 젠킨슨)의 형이다.

초기 생활

톰 젠킨슨은 에식스주 첼름스포드에서 자랐다.그가 다닌 첫 번째 학교는 첼름스포드 대성당 부속학교로 오르간 음악을 접할 수 있었다.그는 이것과 다른 음악에 관심을 가지면서 동시에 음악 재생장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986년 젠킨슨은 첼름스포드에 있는에드워드 6세 그래머 스쿨에 진학했다.그의 형성적인 음악적 경험 중 하나는 기타 연주자인 거스리 고반이 학교 간 음악 콩쿠르에서 연주하는 것을 본 것이다.그는 고반과 [1]오랜 우정을 쌓았다.젠킨슨은 12살에 그의 첫 번째 밴드에 가입했는데, 메탈리카의 영향을 받은 스래시 메탈 그룹은 학교의 다른 몇몇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이후 수년간 젠킨슨은 다양한 지역 밴드에서 베이스 기타를 연주하며 이스트 앵글리아와 런던을 돌며 수많은 공연을 했으며 스튜디오 [2]녹음에도 참여했다.

1991년 젠킨슨은 하우스 뮤직, 하드코어, 애시드 하우스, [3]테크노관심을 갖게 되었다.

직업

1993~1995년 : 초기 경력

1993년 8월, 젠킨슨은 "O'Brien"이라는 곡을 녹음했고, 그의 친구 하디 핀과 함께 비닐 12에 추가 재료를 넣어 발매할 수 있는 충분한 돈을 모았다.젠킨슨과 그의 친구들은 이 음반의 복사본을 여러 지역 음반 가게로 가져갔지만 반응은 실망스러웠다.1995년까지 그는 1995년 턴밀스에서 열린 유로비트 2000 공연을 포함한 라이브 세트를 연주했고, "O'Brien"은 그의 세트 [citation needed]리스트에 포함되었다.

1994년 말 젠킨슨은 브레이크 비트전자음악에 접목시키는 것에 대한 그의 매력을 추구하기 시작했다.젠킨슨의 새로운 설정을 사용한 첫 녹음은 Spymania 레이블에 공개되었다.첫 번째 EP는 "The Duke of Harringay"[3]라는 필명으로 Conumber, 두 번째 Alroy Road Tracks로 불렸다.젠킨슨은 핀즈베리 [citation needed]파크의 조지 로비 경을 포함한 클럽들로부터 정규 세트를 연주하기 위한 초대를 받기 시작했다.그리고 나서 그는 웜 인터페이스 발매에 "드래곤 디스크 2"와 "버블 앤 스퀵" EP 두 곡을 실었다.

시기에 젠킨슨은 드럼과 베이스에 "다크 사이키델리아"를 도입하는 데 집착하기 시작했다.이 기간 동안 젠킨슨은 Ninja Tune의 DJ Food의 리믹스를 만들었으며, 이는 EP "Refried Food"에 수록되었다.이 리믹스는 Ninja Tune이 Jenkinson에게 음반 계약을 제안하도록 이끌었지만, 벨기에의 R&S 레코드의 제안과 함께 그는 Warp Records가 제안한 계약에 찬성하지 않았고, Richard D에 의해 부분적으로 선동되었다. 제임스입니다.[3] 제임스와 젠킨슨 사이의 서신 교환은 조지 로비에서 만난 후에 시작되었습니다.그 결과, 젠킨슨은 리처드가 가지고 온 행거블 오토 벌브 EP에 대한 첫 공청회를 갖게 되었습니다.그러나 이 만남은 1996년 [3]렙플렉스 레코드에서 발매된 Feed Me Weard Things 앨범을 형성하기 위해 Jenkinson의 트랙을 처음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했다.

1995~1999년: Warp

젠킨슨은 1995년 [3]12월 워프 레코드와의 5개 앨범 계약을 수락했다.이로 인해 그는 첼시 예술 대학에서의 공부를 연기하게 되었다.1996년 초, 제임스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녹음된 젠킨슨이 DAT에서 에게 준 50곡 이상의 트랙으로 만든 Feed Me Weaker Things의 편집 과정을 완성했다.비슷한 시기에 제임스와 젠킨슨은 두 곡을 함께 녹음했는데, 그 중 하나는 젠킨슨에 의해 편집되어 1998년 "Freeman Hardy & Willis Acid"라는 이름으로 We Are Reasonable People 컴필레이션 앨범에 수록되었다.젠킨슨의 다른 트랙에 대한 기여는 Alt에서 "Happy Little Wilberforce"로 재해석되어 발표되었습니다. 1996년 Worm Interface에서 출시된 주파수 컴파일은 Jenkinson이 영국과 유럽 대륙 모두에서 공연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을 보여줍니다.

그해 초 젠킨슨은 탤빈 싱과 알게 되었고, 그는 런던 헉스턴 스퀘어의 블루노트 클럽에서 열린 클럽 나이트 "아노카"에서 그에게 자리를 제공했다.젠킨슨과 싱은 이 기간 동안 기타 연주자 구트리 고반이 출연했던 아노카에서의 마지막 날 즉흥 연주와 1996년 제1회 페스티벌을 포함한 여러 차례 함께 연주했다.

"Feed Me Wrezard Things"가 발매된 직후 "Port Rhombus"가 나왔는데, 이는 젠킨슨(현재는 스퀘어 푸셔로 알려짐)이 워프 [3]레코드에서 처음 발매한 것이다.타이틀곡은 실제로 벨기에의 R&S 레코드의 의뢰를 받아 Ken Ishii의 곡을 리믹스한 것으로 시작되었다.그러나 리믹스는 이시이의 작품과 유사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Significant Others"는 스프링 리버브에서 작동하는 DR660 드럼 머신을 사용했습니다. 이 드럼 머신은 스퀘어 푸셔가 잡동사니 세일에서 발견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Feed Me Weakrise Things를 제작한 세션에서 나온 것과 동일한 장비를 사용하여, Squarepusher는 이제 그의 첫 번째 Warp 앨범의 소재를 작업하기 시작했다.이 음반에 대한 그의 넓은 개념은 "그 당시 느꼈던 재즈 영향에서 벗어나 사운드트랙 타입의 사운드로 나아가는 것"이었다.스퀘어푸셔에 따르면 이 시기에 그는 초기 랄로 쉬프린과 허비 핸콕의 "죽음의 소원" 사운드트랙을 듣고 있었다고 한다.그렇긴 하지만, 이 앨범은 스퀘어푸셔가 "친 히피"와 "러스틱 레이버"의 "인더스트리얼 사이키델리아"라고 부르는 것에서 증명된, 상당히 다른 음악 영역으로 갑작스럽게 전환한 것도 포함하고 있다.

스퀘어 푸셔의 일렉트릭 베이스 작업은 이 기록에서 두드러진다.그는 "아직도 (야코) 파스토리우스의 영향과 싸우고 있다"고 말한다.그는 "한 트랙이 다른 트랙의 전제에 의문을 가질 수 있도록, 그리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그런 점에서 나는 그것이 성급함을 나타낼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당시 나는 양식적으로 다른 요소들을 서로 부딪쳐 음악적 가정들을 문제 삼는 것을 좋아했다.[citation needed]이 점에서 그는 프랭크 자파가 만든 선례를 따르는데, 그는 스퀘어푸셔가 그를 [citation needed]위해 "항상 뒤에서 맴돌고 있다"고 주장했다.

소매 작품은 스퀘어 푸셔가 첼름스포드 시내 중심가를 돌아다니며 찍은 이미지 세트로부터 만들어졌다.표지 이미지는 그가 10대 때 살았던 곳 근처인 워프 로드에 위치한 가스계의 전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8비트 그래픽스는 당시 구형 비디오 콘솔과 가정용 컴퓨터에 대한 Squarepusher의 관심이 되살아난 것을 반영했다. 장소는 이후 Hello Everything 판촉 캠페인의 일부 프레스 샷에 사용되었습니다.

1997년 1월, 스퀘어 푸셔는 런던 스토크 뉴잉턴의 알비온 로드에 있는 아파트로 이사했다.이 특별한 주거지는 그 해 기수 슬럿 "All Back to Mine" 기사에 소개되었고, 스퀘어 푸셔의 다큐멘터리 "xxx" 출연이 촬영된 곳이기도 하다.

"Journey To Reedham"은 8비트의 컴퓨터 영향력을 전면에 부각시킵니다.이 작품은 세트를 녹음한 최초의 작품이며 원래 컴퓨터 게임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되었지만, 스퀘어푸셔는 다른 누군가의 프로젝트에 넘겨주는 것이 너무 중요하다고 결정했다.이 트랙은 즉시 공연에서 인기를 끌었고 2013년 톰의 라이브 쇼에서 앙코르로 여전히 등장했습니다."The Body Builder"는 톰이 세트장에서 가장 좋아하는 영화였다.이는 의도적으로 컴퓨터 게임 사운드 효과와 비슷하게 구성된 사운드를 통해 8비트 미학에 대한 보다 추상적인 관점을 보여줍니다."Come on My Selector"는 부분적으로 크리스 커닝햄 감독의 비디오가 있기 때문에 스퀘어 푸셔의 가장 잘 알려진 곡 중 하나가 되었다.영상을 찍으면서 스퀘어푸셔는 크리스 커닝햄과 우정을 쌓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톰의 Spymania 발매를 모은 Burning'n Tree [3]앨범도 발매되었습니다.이 세트에는 1995년 말 스파이매니아에서 발매되지 않은 'Feed Me Wrezard Things' 세션에서 녹음된 3곡이 포함되어 있다.

Squarepusher는 음악을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고려하기 시작했다.이 시기에 제임스는 주로 테이프 편집을 통해 작곡을 실현하며 1960년대에 광범위하게 활동한 미국인 작곡가 토드 독스타더의 음악을 스퀘어 푸셔에게 소개했다.이와 함께 스퀘어푸셔는 스톡하우젠리게티와 같은 20세기 작곡가들의 작품, 특히 그들의 전자 및 전기 음향 작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98년 5월 부다칸 마인드폰이 완성되자 스퀘어푸셔는 두 달 동안 동남아로 건너가 이번 여행에서 엄선된 가믈란 악기를 손에 넣었다.그는 "Music Is Rotted One Note"의 "추상 재즈" 요소를 만들면서 그가 개발한 음악을 만드는 방법을 계속하고 싶다고 말했다.톰이 보기에 "추상 재즈/뮤지크 콩트" 아이디어는 Music Is Rotted One Note에 의해 증명되었다.그는 초점을 약간 바꾸고 덜 엄격한 미학을 염두에 두고 다음 단계로 접근하기로 결정했다.

이 레코드는 Squarepusher가 이펙트 프로세서를 사용하기 시작한 첫 번째 기록으로, 작업 진행에 따라 사용 가능한 파라미터의 값이 모두 달라집니다.Squarepusher는 "Iambic 5 Poety"가 "분명히 Björk가 가장 좋아하는 노래 중 하나"라고 말한다.이 시기에는 "Maximum Priest" EP도 제작되었다. "Our Underwater Torch"는 부분적으로 그가 물소리에 대해 가지고 있던 강박관념에서 영감을 받았다.그는 이 작품이 러시아 감독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영화 '솔라리스'와 '스토커'에서 우회적으로 영감을 받았다고 말했다.이 곡의 오르간은 전기 베이스에서 직접 발동됩니다.10종 산화물은 부닥한 민드폰의 플라이 스트리트와 바르카톱에서 시작된 아이디어를 그대로 이어받아 가믈란 징을 울리는 것이 특징이다.이 음반에는 루크 비버트, 오토크, 매튜 이 의 리믹스도 포함되어 있다.Squarepusher는 사실 발표 없이 꽤 많은 공연을 했다고 주장하지만, 이 무렵에는 라이브 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그는 "스퀘어 푸셔 앙상블"로 알려진 일시적인 조직을 위해 두 개의 쇼를 기획했는데, 그중에서도 보컬은 제이미 리델, 색소폰은 믹 벡, 베이스는 스퀘어 푸셔가 출연했습니다.이 그룹의 아이디어는 Music Is Rotted One Note와 Budakhan Mindphone의 심미적 측면에 접근하기 위한 것이었다.즉흥 연주는 지침 없이 이루어졌다.

1999년 3월, 부다칸 마인드폰과 "맥시멈 프리스트" 세션이 끝난 후, 그는 자신의 상황이 완전히 바뀌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는 셰필드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었고 셰필드 주변의 다양한 클럽 나이트에서 DJ와 펀터가 된 자신을 발견했다.이 시점에서 그는 테이프 편집에 상당히 능숙해졌다.그가 다시 가져오고 싶어했던 또 다른 요소는 샘플 브레이크 비트의 사용이었다.이 시기에 스퀘어푸셔는 "Schizm"이라고 불리는 맨체스터 소재 클럽 나이트에 자주 참석하고 있었다.오테크르의 션 부스 브라운의 친구들에 의해 운영되었는데, 그들은 가끔 그곳에서 연주했었다.

2000-2013: 플라스틱에서 Ufabulum으로 이동

2000년 초에 스퀘어푸셔는 "과격한 전술"을 고려했다.그는 1997년 말부터 그가 채택해 온 라이브 플레이 방식을 버리고 시퀀서로 돌아갈 때가 되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말한다.이 무렵 그는 크리스 커닝햄을 더 많이 만나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그의 초기 발매에 영감을 준 1990년대 중반 드럼과 베이스의 많은 부분을 다시 방문하고 있었다.는 Go Plastic 설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액체 효과 처리 아이디어의 다음 단계였습니다.""저에게는 액체 LSD처럼 완전히 액체적이고 사이키델릭하게 들리도록 하는 것이 전부였습니다.하지만 악은 아니지만, 제게 사악한 음악은 어리석고 연극적으로만 들립니다.난 항상 프랑켄슈타인 같은 걸 갖고 있었어 내가 어렸을 때부터 전자제품을 가지고 놀았거든복잡한 수준의 내부 활동을 하고 있어서 마치 살아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생각이 마음에 듭니다." "나의 빨간 핫카"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입니다.그리고 "Boneville Occident"는 이 세션의 초기 작품 중 두 개였다."Tommib"이라는 곡은 스퀘어 푸셔가 "Aphex [Twin]가 빅 애시드의 트랙 편집을 도와줬고 프로젝트 이름을 'Tommib'로 지었고 저는 항상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것을 기억했습니다."라고 회상하면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스퀘어푸셔는 "My Chucking Sound"가 크리스 커닝햄을 염두에 두고 쓰여졌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그 기간 동안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고, 많은 아이디어가 날아다녔다.그 트랙은 크리스가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고, 그 프로젝트는 "Spectral Musicians"라고 불렸다.그는 "아펙스[트윈]가 트랙을 마치고 있을 때 울렸다"고 회상한다.그는 나에게 무엇을 하고 있냐고 물었고 나는 "내가 하고 있는 이 트랙에 쓸 31개의 막대가 남아 있다"고 말했다.그는 웃기 시작했고 음악을 그런 식으로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좀 이상하고 임상적으로 들릴 것 같아요."

2000년 12월 세션이 끝난 후, 그는 스티브 베켓에게 전화를 걸어 레코드를 틀었다. "우리는 그가 셰필드를 떠난 지 1년도 더 된 이후 대화를 나누지 못했다.내가 그에게 돌아오라고 했더니 머리가 날아갔다." 스퀘어푸셔는 이 시점에서 다시 라이브로 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난 쉐퍼드 부시 엠파이어에서 거북이를 응원하는 모든 새로운 곡을 연주했어요.100클럽에서 공연을 했는데 크리스[커닝햄]에게 DJ 세트를 지원받았어요.

그는 이 시점에서 미국에서 첫 공연을 했고, 그 중 하나는 코첼라 축제였다.크리스 커닝햄과 협력하려는 계획도 당연히 중단되었다.

2001년 여름, 워프는 트랙 "Do You Know Square pusher"의 일방적인 프로모션을 잘라냈다.2001년 후반기에 잠시 휴식을 취한 후, 그는 새 집에 스튜디오를 차렸다.그가 컴퓨터 기반 합성과 신호 처리를 하기 시작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Love Will Tear Us Apart"의 표지판에는 특별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워프의 롭 미첼이 죽은 것은 이 무렵입니다.나는 롭을 정말 좋아했다.내가 그와 보낸 마지막 저녁은 셰필드에서였고 그는 나에게 조이 디비전의 음악을 들려주었다.그를 추모하기 위해 그 노래를 녹음하기로 결심했지만 동시에 그의 죽음에 대한 비극에서 제 음반으로 관심을 돌리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그것은 혐오스러울 것입니다.그래서 나는 그 이야기를 혼자만 알고 있었다.이 세트에는 2001년 여름 톰이 일본 후지 록 페스티벌에 출연했을 때의 편집 녹음도 포함되어 있다.그는 2002년의 남은 시간을 소프트웨어 패치 작업에 소비했고 2009년 셰필드에서 열린 Warp의 20주년 기념 파티에서 그의 쇼에 등장할 예정이었던 많은 곡들을 녹음했다.

2003년 런던 신포니에타에서 사우스뱅크 에테르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스퀘어푸셔의 두 작품이 공연되는 것을 보았다: "재미있는 아이디어였다.그들은 "Port Rhombus"와 "The Tread"를 선택했다.

그는 "Mutilation Colony"에서 시작된 아이디어, 즉 DSP 알고리즘 접근법과 Music Is Rotted One Note의 라이브 인스트루멘테이션 기반 접근법을 결합하는 것이 그의 머릿속의 최전선에 있었다고 주장한다.당시 그의 스튜디오 설치에는 그가 지금까지 쌓아온 모든 장비가 포함되어 있었다.Ultravisitor의 일부 트랙과 4곡 전체가 2003년 여름 영국과 미국의 쇼에서 녹음되었다.Squarepusher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울트라비지터의 시작은 L.A.의 쇼에서 연주되는 것과 동일한 곡에서 나오는 앰비언트 사운드가 특징이며 아웃로는 셰필드리드밀에서 공연된 앰비언트 사운드가 특징입니다."Menelec"은 노팅엄에서 열린 쇼에서 소개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아웃트로는 토론토에서 온 것 같습니다."Steinbolt"의 시작은 L.A.에서 녹음되었고, 라이브 일렉트릭 베이스를 포함한 많은 테트라 싱크는 몬트리올에서 나오는 인트로와 별도로 뉴욕의 바우어리 볼룸에서 녹음되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울트라비저는 나에게 큰 논쟁처럼 보인다.사실 저는 항상 이 아이디어를 좋아했습니다. 앨범과 노래를 구성하는 방식은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입니다.그것은 흥미롭다고 생각합니다만, Ultravisitor는 전혀 일관성이 없는 위험을 감수할 정도로 그렇게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하지만 그것이 그것의 재미이기도 하다.마음에 들어요.

소매 예술품, 최초로 스퀘어 푸셔의 초상화를 담았습니다.그는 런던 신포니에타와 함께 순회공연을 하며 "툰드라 4"를 라이브로 공연했다.신포니에타 투어 후 그는 미국과 일본을 투어했다.

2005년 글레이드 페스티벌에서 스퀘어 푸셔 공연

그는 현시점에서는 기록을 만들 즉각적인 계획이 없으며 다른 기록을 만들지 않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작품들은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일련의 산성 트랙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 일부는 톰이 셰필드 2009에서 열린 워프의 20주년 기념식에서 사용되었습니다."Welcome To Europe"와 "The Modern Bass Guitar" 또한 스퀘어 푸셔가 울트라비저를 만들 때 디자인한 것과 같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The Modern Bass Guitar"의 신스 베이스라인은 미디 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한 전기 베이스에서 촉발되었다.2005년 1월 에식스에 있는 톰의 집에 스튜디오가 다시 설립되었습니다.'테마 프롬 사이다', '버블 라이프', '진공이든', '서클웨이브2', '오리엔트 오렌지'는 모두 2005년 초에 만들어졌다.

이 모든 트랙은 Music Is Rotted One Note의 트랙과 달리 Squarepusher가 사전에 상당히 꼼꼼하게 계획한 라이브 드럼 트랙에 기반을 두고 있다.'안녕하세요', '플라네타리움', '회전 전해질', '플로티누스'는 2005년 여름과 가을에 제작되었습니다.'Hello Mayow'는 2005년 11월 Koko에서 촬영되어 2006년 Hello Everything 홍보 비디오로 편집되었다.Planetarium은 1991년 '레이브 마스터즈 1권'이라는 아멘 브레이크 비트의 특정 변형을 샘플링했다.

Hello Everything을 만드는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그는 "지금까지 했던 많은 일들과 달리 실제로 Hello Everything 세션은 없었다"고 말한다.이 앨범의 일부 에디션에는 "Vacuum Tracks"라는 제목의 추가 CD가 포함되어 있었다.

스퀘어 푸셔는 2005년 여름 글래스턴베리글레이드 페스티벌에 등장했다.그 후 2005년 11월, 그는 Luke Vibert와 Cassette Boy와 함께 런던, 노리치, 팔머스, 버밍엄, 뉴캐슬, 리즈, 글래스고에서의 데이트를 주제로 영국 투어를 했다.이번 투어는 그가 라이브 비주얼로 콘서트에 출연한 첫 번째 기회였다.

Hello Everything 발매 당시 스퀘어푸셔는 BBC의 컬처쇼에 출연하여 로렌 라번과 인터뷰를 하고 솔로 일렉트릭 베이스에서 작품 중 하나가 되는 것을 짧게 들려주기도 했다.또한 그가 출연을 요청한 이유 중 하나는 역시 에 출연했던 안드레 3000이 톰과 함께 일하고 싶을 정도로 톰의 작품에 감탄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그는 또한 음반이 발매될 무렵 캠든의 일렉트릭 볼룸에서 열린 존 필 헌정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다.2006년 말에 그는 결국 2009년에 Numbers Lucent로 발행될 자료를 제작했습니다.

2006년 말 Numbers Lucent로 구성된 자료가 완성되자 톰은 일렉트로닉 음악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그 당시 저는 어떤 형태로든 거의 쉬지 않고 15년 동안 일렉트로닉 음악 작업을 해왔습니다.말씀드렸듯이, 제 문제 중 하나는 아이디어가 어떤 식으로든 유효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 일반적으로는 그걸로 충분하다는 것입니다.시간이 얼마나 제한적인지 잘 알고 있고, 위험을 감수하고 실험을 하는 내가 가장 잘하는 일을 하면서 보내는 게 더 나을 것 같다." "저는 제가 지난 12년 동안 미친 삶을 얼마나 잔인하게 살아왔는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덜 파괴적인 음악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잠을 얼마나 적게 잤는지 등등.나는 더 많은 연주와 베이스 음악을 하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시작했다.스튜디오에서 모든 혼란이 일어날 때 베이스 연주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은 항상 힘들었습니다.그래서 톰은 그의 모든 관심을 베이스로 바꾸고 스튜디오를 닫기로 결정했다.

"사우스 뱅크의 큐레이터인 글렌 맥스는 정말 고무적이었고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 멋진 공연을 제안했습니다."톰은 계속해서 솔로곡을 연주하고, 그것들을 다시 쓰고, 연습했습니다: "결국 그것은 생활습관이 되었고, 그것이 제가 원했던 것입니다.톰은 또한 이렇게 말한다. "나는 그 모든 거장이 완전히 편했던 적이 없다.그것들은 그것과 관련된 많은 위험요소이다.너무 쉽게 연주할 수 있어서 이상하게도 결국 그 거장 캠프에 빠지고 말았어요.하지만 만약 내가 거기 있다면, 난 거기서 문제를 일으킬 거야.그래서 저는 너무 빨리 연주하면서 어떻게 보면 가지고 놀기 시작했어요.티끌 한 점 없는 세련미보다는 좀 더 펑크하고 지저분하게 만들려고 노력했어요."

Cité de la Musique의 솔로 베이스 녹음은 밤에 연주되었기 때문에 편집되지 않고 제공됩니다.이 녹음은 2009년에 발매되었습니다.톰은 계속해서 그의 솔로 일렉트릭 베이스 쇼로 파리의 퀸 엘리자베스 홀과 시테 드 라 뮤지크를 매진시켰다.둘 다 녹음되었고 색소폰 연주자 에반 파커가 출연했습니다.

2007년 말, Squarepusher는 솔로 베이스 프로젝트의 막바지에 다다랐습니다."저는 여전히 매일 경기를 하고 있었어요.그래서 다시 녹음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보였지만, 재생 중심으로 라이브로 하는 것이 타당해 보였어요."그는 솔로 베이스 소재의 컨셉에 얽매여 있는 베이스의 가공되지 않은 사운드에 질려 베이스 전용의 새로운 DSP 알고리즘을 실험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한다.또한 그는 지난 몇 년 동안 밴드 라이트닝 볼트의 팬이 되었고 "절대 얼굴을 찢는 듯한 왜곡"의 일렉트릭 베이스 사운드를 개발하도록 영감을 받았다.

Squarepusher가 이 앨범을 투어하러 왔을 때, 그는 드러머가 필요하다고 결정했다: "는 사우스 뱅크에 있는 글렌[맥스]에게 전화해서 그에게 좋은 드러머를 알고 있는지 물었습니다.그는 알렉스 토마스를 제안했다.스퀘어 푸셔와 토마스는 2008년 11월과 12월에 투어를 떠났고 2009년 4월부터 여름까지 다양한 축제를 열었습니다.이번 투어에서 스퀘어푸셔는 무대 위에서 알렉스의 드럼 키트 뒤에 커다란 스크린이 있을 정도로 그의 공연의 LED 측면을 발전시켰다.

이 앨범이 이전 발매에서 갑자기 스타일리시하게 바뀐 것에 대해 톰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본능적인 차원에서, 나는 당신이 특정한 버튼, 특히 어른들이 당신에게 누르지 말라고 하는 것을 보지 않을 수 없다.말씀드렸듯이 제게는 실험의 전부입니다."2011년 4월, 스퀘어 푸셔는 2011년 3월 11일 일본을 강타한 쓰나미의 여파로 일본 적십자 자선 공연에서 연주했다.

일반적인 방향에 대해 그는 "기타 과부하 상태에 도달했다.순수 일렉트로닉 음악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아주 선율적이고 공격적인 곡이죠.그는 이 자료의 라이브 프레젠테이션의 일부로 맞춤형 LED 마스크를 사용했습니다.당시 그는 6월 소나르 축제 때 브라질에서의 첫 공연을 비롯해 세계 각지의 축제에 여러 번 출연했다.

2013-2021: Music for Robots to Be Up a Hello

2014년 2월 13일, 그가 작곡하고 Z-Machines를 구성하는 3개의 로봇이 공연하는 합작 프로젝트인 Music for Robots라는 EP가 발표되었습니다.스퀘어 푸셔는 2013년에 Z-머신의 배후에 있는 일본 로보틱스 팀과 함께 일하기 시작했습니다.그 팀은 그에게 [4]최첨단 뮤지션의 능력 이상으로 연주할 수 있는 로봇을 위한 작곡을 의뢰했습니다."Sad Robot Goes Funny"라는 제목의 첫 번째 음악이 성공을 거둔 후, 스퀘어푸셔는 2014년 [5][needs update]4월 7일(북미에서는 4월 8일)에 발매된 로봇용 EP Music for Robots를 구성하는 4개의 곡을 작곡했다.

2015년 4월 20일, 새로운 LP 「Damogen Furies」가 발매되었습니다.리뷰어들은 과거 작품보다 덜 펑키하지만 더 명확하게 구성되었다고 평했다.'Damogen Furies'의 모든 녹음은 한 번에 이루어졌으며, Squarepusher가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탄생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라이브를 즉흥적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레코드를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이 모든 것이 다모겐 퓨리에스를 진정한 라이브 일렉트로닉 음악으로서 가장 이상적인 음악으로 만들고 있으며, 변화의 역량이 가장 큰 목표입니다.이 앨범의 공개로 그는 Troxy에서 그의 사상 최대 규모의 런던 쇼에서 공연하고 일본 [6]후지록스 페스티벌에서 The White 스테이지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2016년, Squarepusher는 다시 한번 Shobalader One 밴드를 순회공연에 참가시켜, 프로젝트 투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그는 또한 제임스 맥비니가 2016년 전국 투어 "The Secret Life of Organs"의 일환으로 연주한 짧은 오르간 모음곡을 썼는데, 이는 전자 오르간보다 수 세기 전에 발명된 최초의 '합성가'로서 카운티의 위대한 오르간들을 축하하는 것이었다.

2018년에는 올리비아 콜먼[7]내레이션을 맡은 CBeebies hour long-wind-down 프로그램 Daydreams의 앰비언트 사운드트랙을 제공했다.

2020년, 스퀘어 푸셔는 2020년 1월 31일에 발매된 앨범 Be Up a Hello로 그의 산성 드럼과 베이스 루트로 돌아왔다."Vortrack", "Vortrack" (Fracture Remix), "Nervelevers"는 앨범 발매 전 몇 주 동안 발매되었습니다.

음반 목록

앨범

연도 제목 피크 위치
영국
[8]

(FL)

[9]
미국

[10]
1996 이상한 것들 먹여줘
1997 하드 노멀 아빠 115
불타는 나무
1998 Buzz Caner (카오스 서기)
음악은 한 음으로 회전한다.
1999 선택 16
2001 플라스틱으로 하다 100
2002 Do You Know Square pusher 192
2004 울트라바이저 90 9
2006 안녕하세요 에브리원 89 16
2008 그냥 기념품 17
2009 솔로 전기 베이스 1
2010 쇼바레더 1: 데모스트레이터[11] (스퀘어 푸셔의 프레젠테이션:쇼바레더 원)
2012 우파불럼[12] 101 83 14
2015 다모겐후리스[13] 110 96 8
2017 Elektrac (쇼빌러더 원)
2019 올나이트 크로마(James McVinnie, Tom Jenkinson 역)
2020 Be Up a Hello 77 70

EP, 싱글, 프로모션

연도 제목 메모들 피크 위치
영국
[8]

(FL)

[9]
1994 크로트 EP 톰 젠킨슨 덕분이에요
고정관념 EP 톰 젠킨슨 [14]덕분이에요
1995 콘넘버 E:p Spymania에서 공개되었습니다.부분적으로 Burnnn'n Tree로 컴파일되었습니다.
알로이 로드 트랙스 Spymania에서 The Duke of Harringay라는 가명으로 발매되었으며, 이후 모든 트랙이 Squarepusher 컴필레이션 Burnnn'n Tree에 수록되었다.
1996 버블 앤 스퀵 톰 젠킨슨 [15]덕분이에요
드래곤 디스크 2 [16]젠킨슨에게 인정된 스플릿 EP.
스퀘어 푸셔 플레이... "Theme From Goodbye Renald"와 "Deep Fried Pizza"는 모두 "Feed Me Wrezy Things"의 일본 발매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다.
포트롬버스 EP 미국판 Big Loada on Nothing Records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182
1997 황산 156
빅 로다 1998년 'Nothing Records'에도 발매되었습니다. 134
1998 리믹스 12인치 렙플렉스에 카오스 A.D.라는 가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1999

부다칸 민드폰

183

최대 사제 EP

안티 그리로드 보호 계획의 서막 Selection 16의 대부분의 복사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001 '나의 빨간 핫카' UK Budget Albums [8]Chart 1위 달성.
"Do You Know Square Pusher" 동명의 앨범의 싱글로, 이 발매에는 타이틀은 없고, 「Do You Know Square pusher」라고 하는 곡만 수록되어 있습니다.
2003 "Ultravisitor" UltraVisitor용 [17][18]싱글.
2004 정사각형 창 UltraVisitor 프로모션.
금성 17호 수록곡의 산성 믹스인 '비너스 No.17'과 'Feed Me Wrise Things' 앨범의 2번 트랙을 재작업한 '툰드라 4'가 수록되어 있다. 103
2006 "유럽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디지털 싱글 #1 : 9월 4일 발매 (Hello Everything에서도 이용 가능)
"해닝필드 창" 독점 디지털 싱글 #2: 9월 18일 발매.
"흥분" 디지털 싱글 #3 : 10월 2일 발매.
진공 트랙 Hello Everything 일부 에디션과 함께 출시되었습니다.
"유럽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2인치 비닐 싱글.
2009 숫자 루센트 EP
2010 쇼바레더 원: 크립틱 모션[19] 싱글 by Shobalader
2013 엔스트로비아 Ufabulum 스페셜 에디션 포함 보너스 EP
2014 로봇을 위한 음악 Z-Machines 171
2020 비탄 Be Up a Hello에 이은 EP
  • "Lost in Space Drum n Bass 2000" 또는 간단히 "Drum n Bass 2000"이라는 제목의 트랙은 스퀘어 푸셔나 아몬 토빈이 아티스트로 널리 알려진 Last.fm과 같은 다양한 음악 스트리밍 웹사이트에 있습니다.그러나 이 트랙은 사실 그룹 Outernational Meltdown의 "Hungry on Arrival"(스프링 힐 잭 리믹스)이며 Lost in Space Drum 'n' Bass Phase 00:03이라는 제목의 컴필레이션에서 발견되었다.

컴파일 외관

발매일 발매일 추적하다 메모들
1996 법률 및 피고용인 레코드 해피 리틀 윌버포스 아방가르드주의 드럼앤베이스
1998 델은 합리적인 사람들입니다 프리맨 하디와 윌리스 애시드 송씨는 "스퀘어 푸셔/AFX"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2002 자, 보세요!Lo Recordings 샘플러 '라이브 1" "Tom Jenkinson and Friends" 링크 인정
2003 번역 중 분실 '토미브'
2006 마리 앙투아네트 "Tommib 도움말 버스"
2006 버그아웃 믹스 '나의 빨간 핫카'

리믹스

1996 DJ Food - 스크래치 Yer Hed (스퀘어 푸셔 믹스) 리프레드 푸드나 각종 닌자 튠 편집에 등장.
1996 Funki Porcini - Carwreck (스퀘어 푸셔 믹스) Carwreck EP에 등장합니다.
1998 East Flatbush Project - "Tried by 12 (Squarepusher Mix)" Tryed By 12 Remix에 등장합니다.
2001 카오스 AD - "Psultan (스퀘어 푸셔 믹스)" Rephlex Records Braindance Concidence 컴필레이션에 실렸습니다.
2013 Ghostpoet : "멜트다운 (스퀘어 푸셔 리믹스)" 멜트다운 EP에 등장.
2020 데프톤즈: "핑크 매짓(스퀘어 푸셔 리믹스)" 검은 종마에 등장합니다.
2021 고고 펭귄 'F Maj Pixie (스퀘어 푸셔 리믹스)' GGP/RMX 에 표시됩니다.
2021 대니 엘프먼: "We Belong (Squarepusher Remix)" 싱글로 발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Quietus Interview Circuits Have A Life Force: Squarepusher Interviewed".
  2. ^ "Squarepusher".
  3. ^ a b c d e f g Colin Larkin, ed. (1998). The Virgin Encyclopedia of Dance Music (First ed.). Virgin Books. p. 323. ISBN 0-7535-0252-6.
  4. ^ Pangburn, DJ. "A 78-Fingered Robot Guitarist Is the Perfect Accompaniment to Squarepusher". Mother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4. Retrieved 18 February 2014.
  5. ^ Webster, Andrew. "This robot band has a guitarist with 78 fingers". The Verge. Retrieved 18 February 2014.
  6. ^ Cook-Wilson, Winston. "SquarepusherDamogen Furies". Pitchfork. Retrieved 20 April 2015.
  7. ^ Heritage, Stuart (17 April 2018), "Daydreams: can the 'ambient' CBeebies experience really work?", The Guardian, retrieved 4 June 2018
  8. ^ a b c 영국의 피크:
  9. ^ a b "Squarepusher discography". ultratop.be. Hung Medien. Retrieved 26 January 2016.
  10. ^ "Squarepusher Chart History: Dance/Electronic Albums". Billboard. Retrieved 31 January 2020.
  11. ^ "d'Demonstrator page at". Bleep.com. Retrieved 28 October 2011.
  12. ^ "Squarepusher: Announces Ufabulum – new album and live show". Warp.net. 23 February 2012. Retrieved 7 March 2012.
  13. ^ "Squarepusher Announces Damogen Furies". Pitchfork.com. Retrieved 5 May 2016.
  14. ^ "Tom Jenkinson – Stereotype E.P. (Vinyl) at Discogs". Discogs.com. 19 August 2010. Retrieved 28 October 2011.
  15. ^ "Tom Jenkinson – Bubble And Squeak E.P. (Vinyl)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8 October 2011.
  16. ^ "Dunderhead (2) / Tom Jenkinson – Dragon Disc 2 (Vinyl) at Discogs". Discogs.com. 7 September 2011. Retrieved 28 October 2011.
  17. ^ "Squarepusher – Ultravisitor (CD)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8 October 2011.
  18. ^ "Squarepusher – Ultravisitor (Vinyl)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8 October 2011.
  19. ^ "Cryptic Motion page at". Bleep.com. Retrieved 28 October 20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