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판 에이나르손
Stefán Einarsson스테판 에이나르손(Stefan Einarsson, 1897년 6월 9일 ~ 1972년 4월 9일)은 아이슬란드어 언어학자 및 문학사학자로 미국 볼티모어의 존스홉킨스 대학교 교수였다.
인생과 경력
스테판은 브라이스달루르의 ö스쿨스스타지르 농장에서 태어나 자랐다. 그의 부모는 Einar Gunnlaugsson과 그의 아내 Margrett Johnsdotir이다.[1] 아쿠레이리에서 학교를 다니고 1917년 레이캬비크의 멘타스코린(Menntaskolinn)을 졸업한 뒤 아이슬란드 대학에 입학해 1923~24년 아이슬란드어 석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학생으로 아이슬란드어 사전에서 시그푸스 블랑달과 존 우페이그손(Jon Ofeigsson)[3]을 4년간 보좌했다.[2] 이후 1924~25년 헬싱키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음성학을 공부했으며, 오슬로 대학에서 아이슬란드어의 음성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마쳤다.[4]
그는 1927년 켐프 말론의 초청으로 존스 홉킨스에서 교직원이 되었고, 켐프 말론은 아이슬란드어로 연구 교재를 기록했으며,[5] 1962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서 일했다. 그는 주로 영어과, 고대 노르웨이와 고대 영어의 분야에서 가르쳤고, 1945년부터는 스칸디나비아 문학에서 시작했다. 그는 1945년에 스칸디나비아의 언어학 교수가 되었다.[6][7] 그는 아이슬란드에 관한 기사를 참고용으로 기고하는 모든 초청을 수락하고 아이슬란드 애국 협회의 창립 임원 중 한 명이 되는 등 아이슬란드에 대한 충성심을 유지했다.[8] 그는 위니펙에서 발행되는 아이슬란드 신문인 Heimskringla를 편집했다. 1942년에 그는 볼티모어의 아이슬란드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1952년부터 1962년까지 존스 홉킨스에서 은퇴했을 때, 그는 집정관으로 일했다.[7][9] 은퇴 후, 그는 아이슬란드로 돌아와 죽을 때까지 레이캬비크에서 살았다.[10] 그는 1962-63년에 구겐하임 펠로우쉽을 받았다.[11]
그는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연주했고 그림을 그리고 그림을 잘 그렸다;[2] 그의 작품들 중 몇몇은 그의 삽화를 포함한다.[12] 그는 두 번 결혼했다. 그의 첫 번째 부인 마르가레테 슈바르첸베르크[13](1892년 5월 26일~1953년 1월 7일)는 에스토니아의 역사학자였다. 그들은 자식이 없었다. 그녀의 유골은 그의 가족과 함께 가족 농장에 묻혔다.[4][14][15] 1954년 12월 결혼한 그의 두 번째 부인은 코넬대 피스케 아이슬란드어 콜렉션의 사서인 할도르 헤르만손의 친척인 나자르비크 출신 잉기브예르크 아르나도티르(1896~1980)이다.[16] 그녀는 전 결혼에서 낳은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출판물
스테판 에이나르손은 모두 500권이 넘는 책과 기사를 다작적으로 출판했다.[17] , 문학적 언어적 주제에 책과 기사들에 게다가, 영어로 그는 아이슬란드어(그것은 전시의 국군이 과정에서 및 가 들어 있습니다. 근대 아이슬란드어 단어의 중요한 용어 사전에서 자랐다)[18][19]와 아이슬란드 문학의 두 역사, 한개의 아이슬란드 문학 경우에는 20의 첫번째 치료에 대한 문법을 출판했다.해결과는 o에미그레 문학을 포함한 정착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가 문학 전반에 걸친 첫 조사.[21] 그는 아이슬란드 음성학에 구조주의적인 접근을 한 최초의 아이슬란드인이었으며, 스키드 계와 라틴 계량기의 연결에 대한 발상의 초기 탐험가였다.[22]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아이슬란드 문학에 관한 두 권의 추가 저서와 더불어,[23] 그 중 한 권은 영어로 출판된 그의 일반 조사의 확대, 그는 또한 그의 모국인 브라이드달루르의 역사에 관한 책의 상당 부분을 공동 편집하고 집필했으며, 동부 지역을 아우르는 페라페라그 아이슬란드 연 2회의 책임을 맡았다. 그의 출판물은 세 가지 중점 분야를 보여준다. 문학에서 드러난 아이슬란드 언어와 문화, 그리고 위대한 살아있는 아이슬란드인들, 특히 그와 함께 공부한 시구르 노르달, 뫼르베르구르 오르르바르손, 그리고 할도르 락스네스.[24] 경력 초기에 시구르슈르의 권유로 외삼촌이었던 에리크르 마그누손의 전기를 썼다.[25] 하지만, 그는 "중세 라틴어에서 스트린드버그와 아이슬란드 전화 번호부까지"라는 평론에서 아주 폭넓게 다루었다.[26]
그는 또한 영어와 게르만어 언어학 저널, 현대 언어 노트, 스칸디나비아 연구(및 노트)의 편집국에도 올랐다.[27]
명예
스테판은 미국철학회를 포함한 수많은 학회들의 명예회원으로 선출된 두 번째 아이슬란드인이었다.[4] 1939년 아이슬란드 최고 영예인 팔콘 기사단장을 수여받았고,[28] 1962년에는 아이슬란드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27]
브라이드달스비크에 있는 브라이드달루르 연구소에 그의 업무를 전담하는 방이 있다.[15][23]
선택한 작품
영어에서
- 아이슬란드어: 문법, 텍스트, 용어집. 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1945년. OCLC43095499. 2차 개정판 2000. ISBN9780801863578
- 아이슬란드 산문 작가들의 역사, 1800–1940. 아일랜티카 32-33 이타카, 뉴욕: 코넬 대학교, 1948. OCLC 1465586
- 아이슬란드 문학의 역사. 미국-스칸디나비아 재단. 뉴욕: 존스 홉킨스, 1957. OCLC 296324 제3쇄 1969. ISBN 97808018060
아이슬란드어로
- 스칼다싱 레이캬비크: G. O. 구존손, 1948. OCLC 2076523
- 이스렌스크 보크멘타사가 874–1960. 레이캬비크: S. 존슨, [1961년] OCLC 2050896
- 존 헬가슨, 에드, 기고자와 함께요 Breiðdæa: 드뢰그에서 Sögu Breiðdals까지. 레이캬비크, 1948년 OCLC 2915592
- 오스트피르시르 순난 게르피스. 아르보크 페라페라그스 제도. [레이캬비크]: 페라펠라그 이스랜드, 1955년 OCLC 256958732
- 토마스 트렉바손과 함께 말이야 오스트피르시르 노르샨 게르피스. 아르보크 페라페라그스 제도. [레이캬비크]: 페라펠라그 이스랜드, 1957년 OCLC 55778776
- 오스트피르츠크 스카알드 오 리트외펀다르. 오스트레일리아 사프란 오스트피르츠크라 프르ð아 6. [레이캬비크]: 보카폴라그 오즈 비외른소나르, 1964년 OCLC 1806111
참조
- ^ 아나톨리 리버먼 "스테판 에이나르손: 슈테판 에이나르손의 오스트피르싱구르 이 후아흐 오흐흐흐르"는 게르만어 문어학 연구, 에드. 아나톨리 리버먼, 함부르크: 1986년 버스케, ISBN 9783871187551, 페이지 ix–xlii, 페이지 ix.
- ^ a b 리버먼, 페이지 xv.
- ^ 리버만, 페이지 16.
- ^ a b c d 스테판 에이나르손 박사: Eini Breiðdælingurn 은 Aljota doktorsnabot á 20. 2002년까지 Beiðdæla, Beiðdla. 2013년 3월 9일 회수(아이슬란드어)
- ^ 리버먼, 페이지 xxi, xxi.
- ^ 리버먼, 페이지 xxix.
- ^ a b c 인명록 – Einarsson (Stefan) 1897–1972: Papers 1942–1959, Special Collections, The Milton S. 존스 홉킨스 대학의 아이젠하워 도서관.
- ^ 리버먼, 페이지 xxv.
- ^ 리버먼, 페이지 xxvi.
- ^ 리버먼, 페이지 xxxii.
- ^ 리버먼, 페이지 xxx.
- ^ 존 G. 알레 주니어, "스테판 에이나르손", 노르디카 외 영국 성공회: 스테판 에이나르손에 대한 연구, 에드 알란 H. 오릭, 야누아 언어 시리즈 마이오르 22, 헤이그: 무톤, 1968, OCLC 631499, 페이지 7–9, 페이지 8.
- ^ 리버만, p. xx; 다른 소식통들은 그녀의 이름을 Margarete Schwarzenburg라고 부른다.
- ^ 리버만, 페이지 xxxi, xxxii.
- ^ a b 호스쿨즈스타디르의 역사, 오딘 투어 아이슬란드. 2013년 3월 8일 검색됨
- ^ 리버먼, p. xxxi.
- ^ 알레, 페이지 7, "5백에 도달함"; "스테판 에이나르손의 글", 노르디카 외 영국 성공회, 페이지 175–96을 참조하라. 리베르만의 성경적 부록, 페이지 xliii–xlvi는 그 숫자를 525까지 가져온다.
- ^ 프리츠 프라우치거의 리뷰, 도서 해외 21.3, 1947년 여름, 페이지 352.
- ^ 가브리엘 터빌-페트르의 리뷰, The Modern Language Review 41.2, 1946년 4월 페이지 219–20.
- ^ 스테판 에이나르손의 평론. 아이슬란드 산문 작가들의 역사, 1800–1940년 크누트 버그스랜드, 도서 해외 24.4, 1950년 가을, 415–16페이지.
- ^ 스테판 에이나르손의 평론. Raymond E. Lindgren의 아이슬란드 문학사, 도서 해외 32.3, 1958년 여름, 페이지 322.
- ^ 리버먼, 페이지 xxxvi-xxxvii.
- ^ a b 말싱 엄 umvi og Stefáns Einarssonar, Austur.is, [2012년]. 2013년 3월 9일 회수(아이슬란드어)
- ^ 알레, 8, 9페이지
- ^ 리버먼, p. xi.
- ^ 리버먼, 페이지 xl.
- ^ a b 리버먼, 페이지 xxxv.
- ^ "탐구해 달라고 애원하는 것: 2011년 9월, 아이슬란드 타임즈 "Breiðdalur Valley of East Island", "The Islandic Times, 2011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