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비코나이트

Stibiconite
스티비코나이트
Stibiconite-24369.jpg
스티비코나이트지역: Catorce(Real de Catorce), Munitiio de Catorce, San Luis Potosi, 멕시코(Locality mindat.org)
일반
카테고리산화광물
공식
(기존 단위)
SbBO3+5+26(OH)
스트룬츠 분류4.DH.20
크리스털 시스템등축계
크리스털 클래스헥소옥타헤드랄(m3m)
H-M 기호: (4/m 3 2/m)
스페이스 그룹Fd3m
단위세포a = 10.27 å; Z = 8
식별
공식 질량478.25 g/190
옅은 노랑색에서 노랑색까지, 적갈색, 주황색, 회색, 갈색, 불순할 때 검은색
수정습관거대하고 식물성, 불순물, 분말성
클라바주없음
골절점토 같은
모스 눈금 경도4-5
루스터유리 - 둔탁
스트릭연한 황색
발데인성투명에서 반투명까지
비중4.1 - 5.8, 평균 = 4.94
광학 특성등방성
굴절률n=1.6-1.97
참조[1][2][3]

Stibiconite는 SbO36(OH) 공식을 가진 안티몬 산화물 미네랄이다.그것의 이름은 그리스어의 "stibi"(안티몬)와 "konis"(화약)에서 유래했으며, 그것의 구성과 습성을 암시한다.[1][2][3]파이로클로르 슈퍼 그룹의 멤버다.

발견 및 발생

1862년 바바리아 프랑코니아 피첼게비르주 브란홀츠 - 골드크로나흐 구역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처음 설명되었다.[2]

그것은 스티브나이트와 같은 다른 열수 안티몬 광물의 2차 변형 제품으로 발생한다.그것은 자궁경부, 발렌타인틴, 케르메사이트, 네이티브 안티몬, 스티브나이트와 연관되어 발생한다.[3]

참조

  1. ^ a b "Stibiconite". Webminerals. Retrieved 2009-06-06.
  2. ^ a b c "Stibiconite". Mindat. Retrieved 2009-06-06.
  3. ^ a b c 광물학 편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