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 미적분학에서의 정리
표면 σ, 경계 ∂ σ 및 정규 벡터 n을 갖는 스톡스 정리의 예시. Kelvin 경의 이름을 따서 Kelvin-Stokes 정리 라고도[2] [3] [1] 알려진 Stokes의 정리 는 [4] R 3 {\displaystyle \mathbb {R} ^{3} 의 벡터 미적분학 의 정리 입니다. 주어진 벡터장 에 대한 이 정리는 어떤 표면에 대한 벡터장의 컬 의 적분 과 관련이 있습니다. 표면의 경계 주변에 있는 벡터장의 선적분 까지. 스톡스의 고전적 정리는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루프 위의 벡터장의 선적분 은 둘러싸인 표면을 통한 컬 과 같습니다. 그림에는 경계 윤곽선 σ ∂의 양의 순환 방향과 표면 σ을 통한 양의 플럭스 방향 n이 오른쪽 규칙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오른손에는 손가락이 ∂ σ을 따라 순환하고 엄지는 n을 따라 향합니다.
스톡스 정리는 일반화된 스톡스 정리 의 특별한 경우입니다.[5] [6] 특히 R 3 {\ displaystyle \mathbb {R} ^{3}} 의 벡터 필드는 1-형태 로 간주할 수 있으며 , 이 경우 컬은 외부 도함수 인 2-형태입니다.
정리 Let Σ {\displaystyle \Sigma } be a smooth oriented surface in R 3 {\displaystyle \mathbb {R} ^{3}} with boundary ∂ Σ ≡ Γ {\displaystyle \partial \Sigma \equiv \Gamma } . If a vector field F ( x , y , z ) = ( F x ( x , y , z ) , F y ( x , y , z ) , F z ( x , y , z ) ) {\displaystyle \mathbf {F} (x,y, z)=(F_{x}(x,y,z), F_{y}(x,y,z),F_{z}(x,y,z)} 는 정의되며 σ {\displaystyle \Sigma}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연속적인 1차 편미분 을 갖습니다. 그러면
∬ Σ ( ∇ × F ) ⋅ d Σ = ∮ ∂ Σ F ⋅ d Γ . {\displaystyle \int_{\Sigma}(\n) abla \times \mathbf {F})\cdot \mathrm {d} \mathbf {\Sigma } =\point _{\partial \Sigma }\mathbf {F} \cdot \mathrm {d} \mathbf {\Gamma } .} 좀 더 구체적으로, 평등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Σ ( ( ∂ F z ∂ y − ∂ F y ∂ z ) d y d z + ( ∂ F x ∂ z − ∂ F z ∂ x ) d z d x + ( ∂ F y ∂ x − ∂ F x ∂ y ) d x d y ) = ∮ ∂ Σ ( F x d x + F y d y + F z d z ) . {\displaystyle {\begin{aligned}&\int_{\Sigma}\left({\frac {\partial F_{z}}{\partial y}}-{\frac {\partial F_{y}}{\partial z}}-{\right)\,\mathrm {d} z+\left({\frac {\partial F_{x}}-{\frac {\partial F_{z}}-{\partial x}\right)\,\mathrm {d} z\, \mathrm {d} x+\left({\frac {\partial F_{y}}{\partial x}}-{\frac {\partial F_{x}}{\partial y}\right)\,\mathrm {d} x\,\mathrm {d} y\right)\ \&=\oint _{\partial \Sigma }{\Bigl (}F_{x}\,\mathrm {d} x+F_{y}\,\mathrm {d} y+F_{z}\,\mathrm {d} z{\Bigr )}. \end{align}}}
스톡스 정리의 정확한 진술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경계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코흐 눈송이와 같은 표면은 리만 적분 경계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리브스게 이론 에서 표면 측도의 개념은 립시츠 가 아닌 표면에 대해 정의될 수 없습니다. 한 가지 (고급) 기술은 약한 공식 으로 전달한 다음 기하학적 측정 이론 의 기계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접근법은 면적 공식 을 참조하십시오. 이 글에서는 대신 R2 {\ displaystyle \mathbb {R} ^{2} 의 전체 차원 부분 집합에 대해 경계를 식별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보다 기본적인 정의를 사용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후속 논의를 위해 제공될 것입니다. γ : [a , b] → R 2 {\displaystyle \gamma :[a, b]\to \mathbb {R}^{2}}를 조각별로 매끄러운 요르단 평면 곡선이라고 가정합니다. 조던 곡선 정리 는 γ {\ displaystyle \gamma}가 R 2 {\displaystyle \mathbb { R} ^{2}}를 콤팩트한 성분 과 비콤팩트한 성분의 두 성분으로 나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 {\displaystyle D } 가 콤팩트한 부분을 나타내면 D {\displaystyle D} 는 γ {\displaystyle \gamma}로 경계지어집니다. 이제 이 경계 개념을 연속 지도를 따라 R 3 {\displaystyle \mathbb {R} ^{3}의 표면 으로 전달하면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미 그러한 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σ {\ displaystyle \Sigma} 의 매개변수화 .
ψ: D → R 3 {\displaystyle \ psi: D\to \mathbb {R} ^{3}} 은(는) D {\displaystyle D} 근처 에서 조각별 로 매끄럽습니다. σ = ψ (D) {\displaystyle \Sigma = \psi (D)}. If Γ {\displaystyle \Gamma } is the space curve defined by Γ ( t ) = ψ ( γ ( t ) ) {\displaystyle \Gamma (t)=\psi (\gamma (t))} [note 2] then we call Γ {\displaystyle \Gamma } the boundary of Σ {\displaystyle \Sigma } , written ∂ Σ {\displaystyle \partial \Sigma } .
위의 표기법으로, F {\ displaystyle \mathbf {F} 가 R 3 {\ displaystyle \mathbb {R} ^{3} 상의[7] [8] 임의의 매끄러운 벡터장이라면,
∮ ∂ Σ F ⋅ d Γ = ∬ Σ ∇ × F ⋅ d Σ . {\displaystyle \point_{\partial \Sigma}\mathbf {F} \,\cdot \,\mathrm {d} {\Gamma} =\iint_{\Sigma}\n bla \times \mathbf {F} \,\cdot \,\mathrm {d} \mathbf {\Sigma} .}
여기 서 " ⋅ {\displaystyle \cdot}"은 R 3 {\displaystyle \mathbb {R} ^{3}의 도트 곱 을 나타냅니다 .
증명 정리의 증명은 4단계로 구성됩니다. 우리는 그린의 정리 를 가정하므로, 우려되는 것은 3차원 복잡한 문제(스토크스의 정리)를 어떻게 2차원 기본 문제(그린의 정리)로 요약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9] 수학자들은 이 정리를 증명할 때 일반적 으로 미분 형태 로 진술되는 좀 더 일반적인 결과 의 특별한 경우로 추론하고, 좀 더 정교한 기계를 사용하여 증명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강력하지만 상당한 배경이 필요하므로 아래의 증명은 이를 피할 수 있으며 기본 벡터 미적분학과 선형 대수학에 대한 친숙함 이상의 지식을 전제하지 않습니다.[8] 이 절의 마지막에는 일반화된 스톡스 정리의 결과로서 스톡스 정리의 짧은 대안적 증명이 제공됩니다.
기초 증명 기초 증명의 첫 번째 단계(적분의 모수화) § 정리 에서와 같이 표면의 자연 매개변수화를 사용하여 치수를 줄입니다. ψ와 γ를 해당 섹션과 같게 하고 변수의 변화에 따라 유의하십시오.
∮ ∂ Σ F ( x ) ⋅ d Γ = ∮ γ F ( ψ ( γ ) ) ⋅ d ψ ( γ ) = ∮ γ F ( ψ ( y ) ) ⋅ J y ( ψ ) d γ {\displaystyle \point_{\partial \Sigma}{\mathbf {F}(\mathbf {x})\cdot \,\mathrm {d} \mathbf {\Gamma} =\point_{\gamma }{\mathbf {F}(\boldsymbol {\psi }(\mathbf {\gamma })\cdot \, \mathrm {d} {\boldsymbol {\psi }(\mathbf {\gamma })}=\point _{\mathbf {F}({\boldsymbol {\psi }(\mathbf {y})\cdot J_{\mathbf {y}({\boldsymbol {\psi })\,\mathrm {d} \gamma } 여기서 J ψ는 y = γ(t)에서 ψ의 야곱 행렬 을 나타냅니다.
이제 {e u , e v } 를 R 의2 좌표 방향에 대한 직교 기저라고 하자.[note 3]
J ψ의 열이 정확히 y에서의 ψ의 편미분임 을 인식하고, 우리는 좌표에서의 이전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습니다.
∮ ∂ Σ F ( x ) ⋅ d Γ = ∮ γ F ( ψ ( y ) ) J y ( ψ ) e u ( e u ⋅ d y ) + F ( ψ ( y ) ) J y ( ψ ) e v ( e v ⋅ d y ) = ∮ γ ( ( F ( ψ ( y ) ) ⋅ ∂ ψ ∂ u ( y ) ) e u + ( F ( ψ ( y ) ) ⋅ ∂ ψ ∂ v ( y ) ) e v ) ⋅ d y {\displaystyle {\begin{aligned}\point _{\partial \Sigma}{\mathbf {F}(\mathbf {x})\cdot \,\mathrm {d} \mathbf {\Gamma} }&=\point _{\mathbf {F}(\boldsymbol {\psi }(\mathbf {y})) J_{\mathbf {y} }({\boldsymbol {\psi }})\mathbf {e} _{u}(\mathbf {e} _{u}\cdot \,\mathrm {d} \mathbf {y} )+\mathbf {F} ({\boldsymbol {\psi }}(\mathbf {y} )) J_{\mathbf {y} }({\boldsymbol {\psi }})\mathbf {e} _{v}(\mathbf {e} _{v}\cdot \, \mathrm {d} \mathbf {y})}\&=\point _{\gamma }{\left(\mathbf {F}({\boldsymbol {\psi }(\mathbf {y}))\cdot {\frac {\partial {\boldsymbol {\psi }}(\mathbf {y})\cdot {\partial u}(\boldsymbol {y})\right)\mathbf {e}_{u}+\left(\mathbf {F}(\boldsymbol {y})\cdot {\frac {\partial {\boldsymbol {\psi }}(\mathbf {y})\cdot {\partial v}(\mathbf {y})\right)\mathbf {e} _{v}\right)\cdot \,\mathrm {d} \mathbf {y}}\end{aligned}}
기본 증명의 두 번째 단계(풀백 정의) 이전 단계에서는 함수를 정의할 것을 제안합니다.
P ( u , v ) = ( F ( ψ ( u , v ) ) ⋅ ∂ ψ ∂ u ( u , v ) ) e u + ( F ( ψ ( u , v ) ) ⋅ ∂ ψ ∂ v ( u , v ) ) e v {\displaystyle \mathbf {P}(u,v)=\left(\mathbf {F}({\boldsymbol {\psi }(u,v))\cdot {\boldsymbol {\psi }}{\partial u}(u,v)\right)\mathbf {e}_{u}+\left(\mathbf {F}({\boldsymbol {P}(u,v)=\cdot {\partial {\boldsymbol {\psi }}(u,v)\right)\mathbf {e}_{v}
이제 스칼라 값 함수 Pu {\ displaystyle P_{u}} 와 Pv {\ displaystyle P_{v}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P u ( u , v ) = ( F ( ψ ( u , v ) ) ⋅ ∂ ψ ∂ u ( u , v ) ) {\displaystyle {P_{u}}(u,v)=\left(\mathbf {F}({\boldsymbol {\psi }(u,v))\cdot {\partial {\boldsymbol {\psi }}{\partial u}(u,v)\right)} P v ( u , v ) = ( F ( ψ ( u , v ) ) ⋅ ∂ ψ ∂ v ( u , v ) ) {\displaystyle {P_{v}}(u,v)=\left(\mathbf {F}({\boldsymbol {\psi }(u,v))\cdot {\boldsymbol {\psi }(u,v))\frac {\partial {\boldsymbol {\partial}}(u,v)\right} 그리고나서, P ( u , v ) = P u ( u , v ) e u + P v ( u , v ) e v . {\displaystyle \mathbf {P} (u,v)={P_{u}}(u,v)\mathbf {e} _{u}+{P_{v}}(u,v)\mathbf {e} _{v}.}
이것 은 ψ을 따라 F 를 풀백한 것이고, 위에 의해 다음을 만족시킵니다.
∮ ∂ Σ F ( x ) ⋅ d l = ∮ γ P ( y ) ⋅ d l = ∮ γ ( P u ( u , v ) e u + P v ( u , v ) e v ) ⋅ d l {\displaystyle \point _{\partial \Sigma}{\mathbf {F}(\mathbf {x})\cdot \,\mathrm {d} \mathbf {l} =\point _{\mathbf {P}(\mathbf {y})\cdot \,\mathrm {d} \mathbf {l} =\point _{\gamma }{({P_{u}}}(u,v)\mathbf {e}_{u}+{P_{v}}(u,v)\mathbf {e}_{v})\cdot \,\mathrm {d} \mathbf {l}}}
우리는 스톡스 정리의 한 면을 2차원 공식으로 축소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제 다른 면으로 눈을 돌립니다.
기초 증명의 세 번째 단계(두 번째 방정식) 먼저 곱의 규칙 을 통해 그린 의 정리에 나타나는 편미분을 계산합니다.
∂ P u ∂ v = ∂ ( F ∘ ψ ) ∂ v ⋅ ∂ ψ ∂ u + ( F ∘ ψ ) ⋅ ∂ 2 ψ ∂ v ∂ u ∂ P v ∂ u = ∂ ( F ∘ ψ ) ∂ u ⋅ ∂ ψ ∂ v + ( F ∘ ψ ) ⋅ ∂ 2 ψ ∂ u ∂ v {\displaystyle {\begin{aligned}{\frac {\partial P_{u}}{\partial v}}&={\frac {\partial}\codot {\frac {\boldsymbol {\psi }}\codot {\partial u}+(\mathbf {F}\codot {\boldsymbol {\psi }}\codot {\boldsymbol {\psi }}\codot {\frac {\partial ^{\boldsymbol {\partial}}}{\psi v\, \partial u}}\[5pt]{\frac {\partial P_{v}}{\partial u}}&={\frac {\partial(\mathbf {F} \circ {\boldsymbol {\psi }}}{\partial u}\cdot {\partial v}+(\mathbf {F} \circ {\boldsymbol {\psi }}\cdot {\partial ^{\psi }}{\boldsymbol {\partial}}{\partial u\,\psi v}\end{aligned}}}
편리하게도 두 번째 항은 혼합 부분의 동일성 에 의해 그 차이에서 사라집니다. 그래서.[note 4]
∂ P v ∂ u − ∂ P u ∂ v = ∂ ( F ∘ ψ ) ∂ u ⋅ ∂ ψ ∂ v − ∂ ( F ∘ ψ ) ∂ v ⋅ ∂ ψ ∂ u = ∂ ψ ∂ v ⋅ ( J ψ ( u , v ) F ) ∂ ψ ∂ u − ∂ ψ ∂ u ⋅ ( J ψ ( u , v ) F ) ∂ ψ ∂ v (체인 룰) = ∂ ψ ∂ v ⋅ ( J ψ ( u , v ) F − ( J ψ ( u , v ) F ) T ) ∂ ψ ∂ u {\displaystyle {\frac {aligned}{\partial P_{v}}{\partial u}-{\frac {\partial P_{u}}{\partial v}}-{\frac {\partial}&={\mathbf {F} \circ {\boldsymbol {\psi }}}{\partial u}-{\cdot {\partial {\boldsymbol {\psi }}-{\mathbf {F} \circ {\boldsymbol {\psi }}-{\partial v}-{\cdot {\boldsymbol {\partial}}-{\partial v}\cdot {\frac {\partial {\boldsymbol}} {\psi }}{\partial u}}\[5pt]&={\frac {\boldsymbol {\psi }}{\partial v}}\cdot(J_{\boldsymbol {\psi }}(u,v)}\mathbf {F}}{\frac {\partial u}-{\partial {\boldsymbol {\psi }}-{\boldsymbol {\psi }}{\cdot(J_{{\boldsymbol {\psi }})}\cdot(u,u,v)}\cdot(J_{{\boldsymbol {\partial}}}) v)}\mathbf {F}){\frac{\boldsymbol {\psi}}}{\partial v}}&{\text{(체인 규칙) }}\[5pt]&={\frac {\partial {\boldsymbol {\psi }}}{\partial v}}\cdot \left(J_{\boldsymbol {\psi }}(u,v)}\mathbf {F} -{(J_{\boldsymbol {\psi }}(u,v)}\mathbf {F}^{\mathsf {T}\right){\frac {\boldsymbol {\psi }}{\partial u}\end{aligned}}}
그러나 이제 그 이차 형식의 행렬, 즉 J ψ ( u , v) F - (J ψ (u, v) F ) T {\displaystyle J_{\boldsymbol {\psi}}}(u,v)}\ mathbf {F} - (J_{\boldsymbol {\psi}}(u ,v)}\mathbf {F }^{\ mathsf {T}}를 생각해 보자. 우리는 이 행렬이 사실 교차 곱을 설명한다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위첨자 "T {\ displaystyle {}^{\mathsf {T }}" 는 행렬의 전치 를 나타냅니다.
정확히 말하면, A = (Aij ) j {\displaystyle A = (A_{ij})_{ij}}를 임의의 3 × 3 행렬이라고 하고,
a = [ a 1 a 2 a 3 ] = [ A 32 − A 23 A 13 − A 31 A 21 − A 12 ] {\displaystyle \mathbf {a} ={\begin{bmatrix}a_{1}\\a_{2}\a_{3}\end{bmatrix}} ={\begin{bmatrix} A_{32}-A_{23}\\ A_{13}-A_{31}\\ A_{21}-A_{12}\end{bmatrix}}}
x ↦ a × x는 선형이므로 기본 요소에 대한 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직접적인 계산으로는
( A − A T ) e 1 = [ 0 a 3 − a 2 ] = a × e 1 ( A − A T ) e 2 = [ − a 3 0 a 1 ] = a × e 2 ( A − A T ) e 3 = [ a 2 − a 1 0 ] = a × e 3 {\displaystyle {\begin{aligned}\left(A-A^{\mathsf {T}}\right)\mathbf {e}_{1}&={\begin{bmatrix}0\a_{3}\-a_{2}\end{bmatrix}}=\mathbf {a} \times \mathbf {e}_{1}\\left(A-A^{\mathsf {T}\right)\mathbf {e}_{2}&={\begin{bmatrix}-a_{3}\0\a_{1}\end{bmatrix}=\mathbf {a} \times \mathbf {e}_{2}\\\left(A-A^{\mathsf {T}\right)\mathbf {e} _{3}&={\begin{bmatrix}a_{2}\-a_{1}\\0\end{bmatrix}}=\mathbf {a} \times \mathbf {e}_{3}\end{aligned}} 여기서 {e1 2 , e, e} 는3 R3 {\ displaystyle \mathbb {R} ^{3} 의 좌표 방향에서 정규 기저를 나타냅니다. [note 5]
따라서 임의 의 x 에 대하여 (A - A )x = a × x 입니다.
(J ψ (u , v ) F ) {\displaystyle {(J_{\boldsymbol {\psi}}}( u,v)}\mathbf {F }}}를 A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 J ψ ( u , v ) F ) − ( J ψ ( u , v ) F ) T ) x = ( ∇ × F ) × x , 만사에 x ∈ R 3 {\displaystyle \left({(J_{\boldsymbol {\psi }}(u,v)}\mathbf {F})-{(J_{\boldsymbol {\psi }}(u,v)}\mathbf {F}^{\mathsf {T}\right)\mathbf {x} =(\n bla \times \mathbf {F})\times \mathbf {x},\quad {\text{for all}\,\mathbf {x} \in \mathbb {R} ^{3}
이제 파츠의 차이 를 (스칼라) 삼중곱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 P v ∂ u − ∂ P u ∂ v = ∂ ψ ∂ v ⋅ ( ∇ × F ) × ∂ ψ ∂ u = ( ∇ × F ) ⋅ ∂ ψ ∂ u × ∂ ψ ∂ v {\displaystyle {\begin{aligned}{\frac {\partial P_{v}}{\partial u}}-{\frac {\partial P_{u}}{\partial v}}&={\frac {\partial {\boldsymbol {\psi }}{\partial v}\cdot (\n bla \times \mathbf {F})\times {\frac {\partial {\boldsymbol {\psi }}{\partial u}}=(\n bla \times \mathbf {F})\cdot {\frac {\partial {\boldsymbol {\psi}}{\partial u}\times {\frac {\partial {\boldsymbol {\psi }}{\partial v}}\end{aligned}}
반면 에, 표면 적분 의 정의에는 삼중곱도 포함됩니다. 바로 그것입니다!
∬ Σ ( ∇ × F ) ⋅ d Σ = ∬ D ( ∇ × F ) ( ψ ( u , v ) ) ⋅ ∂ ψ ∂ u ( u , v ) × ∂ ψ ∂ v ( u , v ) d u d v {\displaystyle {\begin{aligned}\int_{\Sigma}(\n) bla \times \mathbf {F})\cdot \,d\mathbf {\Sigma} &=\iint _{D}{(\n abla \times \mathbf {F})({\boldsymbol {\psi}}(u,v)\cdot {\frac {\partial {\boldsymbol {\psi}}(u,v)\times {\frac {\boldsymbol {\psi}}(u,v)\times {\partial v}(u,v)\,\mathrm {d} u\,\mathrm {d} v}\end {aligned}}
그래서, 우리는 구합니다.
∬ Σ ( ∇ × F ) ⋅ d Σ = ∬ D ( ∂ P v ∂ u − ∂ P u ∂ v ) d u d v {\displaystyle \int_{\Sigma}(\n) abla \times \mathbf {F})\cdot \,\mathrm {d} \mathbf {\Sigma } =\int_{D}\left({\frac {\partial P_{v}}{\partial u}-{\frac {\partial P_{u}}{\partial v}\right)\,\mathrm {d} u\,\mathrm {d} v}
기초 증명의 네 번째 단계(Green's theorem으로 축소) 두 번째 단계와 세 번째 단계를 결합한 다음 그린의 정리 를 적용하면 증명이 완성됩니다. 그린의 정리는 조단 폐곡선 γ와 D에 정의된 두 개의 스칼라 값 매끄러운 함수 Pu( u , v), Pv (u , v) {\displaystyle P_{u}(u, v ), P_{v}(u, v)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 γ ( P u ( u , v ) e u + P v ( u , v ) e v ) ⋅ d l = ∬ D ( ∂ P v ∂ u − ∂ P u ∂ v ) d u d v {\displaystyle \point_{\gamma }{({P_{u}}(u,v)\mathbf {e}_{u}+{P_{v}}(u,v)\mathbf {e}_{v})\cdot \,\mathrm {d} \mathbf {l} =\iint_{D}\left({\frac {\partial P_{v}}{\partial u}}-{\frac {\partial P_{u}}{\partial v}\right)\,\mathrm {d} u\,\mathrm {d} v}
위의 그린 정리의 좌변에 STEP2의 결론을 대입하고, 우변에 STEP3의 결론을 대입할 수 있습니다. Q.E.D.
미분 형식을 통한 증명 R 3 → R 3 {\displaystyle \mathbb {R} ^{3}\to \mathbb {R} ^{3}} 함수는 지도를 통해 R 3 {\displaystyle \mathbb {R} ^{3} 의 미분 1-형태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F x e 1 + F y e 2 + F z e 3 ↦ F x d x + F y d y + F z d z . {\displaystyle F_{x}\mathbf {e} _{1}+ F_{y}\mathbf {e} _{2}+F_{z}\mathbf {e} _{3}\mapsto F_{x}\,\mathrm {d} x+F_{y}\,\mathrm {d} y+F_{z}\,\mathrm {d} z.}
함수 F 와 관련된 미분 1-형태를 ω로 적습니다. 그러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ω ∇ × F = d ω F {\displaystyle \star \omega_{\n bla \times \mathbf {F} =\mathrm {d} \omega _{\mathbf {F}}}
여기서 ★는 호지 별 이고 d {\displaystyle \mathrm {d} 은(는) 외부 도함수입니다. 따라서 일반화된 스톡스 정리에 의해,[10]
∮ ∂ Σ F ⋅ d γ = ∮ ∂ Σ ω F = ∫ Σ d ω F = ∫ Σ ⋆ ω ∇ × F = ∬ Σ ∇ × F ⋅ d Σ {\displaystyle \point _{\partial \Sigma}{\mathbf {F} \cdot \,\mathrm {d} \mathbf {\gamma } =\point _{\partial \Sigma} {\omega _{\mathbf {F}} =\int _{\Sigma} {\mathrm {d} \omega _{\mathbf {F}} =\int _{\Sigma} {\star \omega _{\n abla \times \mathbf {F} }}=\iint _{\Sigma }{\n bla \times \mathbf {F} \cdot \,\mathrm {d} \mathbf {\Sigma}}}
적용들 비회전장 이 절에서는 Stokes의 정리를 바탕으로 비회전장(층벡터장 )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정의 2-1(비회전장). 열린 U ⊆ R 3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 R}^{3 }}의 매끄러운 벡터장 F 는 ∇ × F = 0인 경우 비회전( lame 벡터장 ) 입니다.
이 개념은 역학에서 매우 기본적인 것입니다. 나중에 증명하겠지만 , 만약 F가 비회전적이고 F의 정의역이 단순히 연결 되어 있다면, F 는 보수적 인 벡터장입니다.
헬름홀츠의 정리 이 절에서는 스톡스의 정리에서 파생되어 와류가 없는 벡터장을 특징짓는 정리를 소개할 것입니다. 유체 역학에서 그것은 헬름홀츠의 정리 라고 불립니다.
정리 2-1(유체역학에서의 헬름홀츠 정리). [5] [3] : 142 U ⊆ R 3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 R} ^{3}}를 라멜라 벡터장 F를 갖는 열린 부분집합이라고 하고 c , c : [0, 1] → U를 조각별로 매끄러운 루프라고 합니다 . 함수 H 가 존재할 경우 [0, 1] × [0, 1] → 다음 과 같은
[TLH0] 부분적 으로 매끄럽고 [TLH1] H (t , 0) = c 0 (t ) for all t ∈ [0, 1] , [TLH2] H (t , 1) = c 1 (t ) for all t ∈ [0, 1] , [TLH3] H (0, s ) = H (1, s ) for all s ∈ [0, 1] . 그리고나서,
∫ c 0 F d c 0 = ∫ c 1 F d c 1 {\displaystyle \int _{c_{0}}\mathbf {F} \,\mathrm {d} c_{0}=\int _{c_{1}}\mathbf {F} \,\mathrm {d} c_{1}}
로렌스와 같은 일부 교과서에서는 정리 2-1에서 언급된 c 와 c 의 관계를 "동형사상"이라고 부르고 함수 H : [0, 1] × [0, 1] → U 를 "c 와 c 사이의 동형사상"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의미의 "동위원소" 또는 "동위원소"는 "동위원소" 또는 "동위원소"의 전형적 인 정의가 다르며, 후자는 생략된 조건[TLH3]. 그래서 이제부터 정리 2-1의 의미에서 호모토피(homotopy)를 관형 호모토피(resp. tubular-homotopy )라고 부릅니다. [note 6]
헬름홀츠 정리의 증명 γ의 정의, ..., , 다음에서는 표기법을 남용 하고 기본 그룹로이드 의 경로 연결 에 " ⊕ {\displaystyle \ opplus}"를 사용하고 경로 방향을 반전시키는 데 " ⊖ {\displaystyle \ominus}"를 사용합니다.
D = [ 0, 1] × [0, 1] 이라고 하고, ∂D를 4개의 선분 γ로 분할합니다.
γ 1 : [ 0 , 1 ] → D ; γ 1 ( t ) = ( t , 0 ) γ 2 : [ 0 , 1 ] → D ; γ 2 ( s ) = ( 1 , s ) γ 3 : [ 0 , 1 ] → D ; γ 3 ( t ) = ( 1 − t , 1 ) γ 4 : [ 0 , 1 ] → D ; γ 4 ( s ) = ( 0 , 1 − s ) {\displaystyle {\begin{aligned}\gamma _{1}:[0,1]\to D;\quad &\gamma _{1}(t)=(t,0)\\\gamma _{2}:[0,1]\to D;\quad &\gamma _{2}(s)=(1,s)\\\gamma _{3}:[0,1]\to D;\quad &\gamma _{3}(t)=(1-t,1)\\\gamma _{4}:[0,1]\to D;\quad &\gamma _{4}(s)=(0,1-s)\end{aligned}}} 하도록 ∂ D = γ 1 ⊕ γ 2 ⊕ γ 3 ⊕ γ 4 {\displaystyle \partial D=\gamma _{1}\opplus \gamma _{2}\opplus \gamma _{3}\opplus \gamma _{4}}
c 와 c 가 조각별 매끄러운 호모토피를 갖는다는 우리의 가정에 의해, 조각별 매끄러운 호모토피 H : D → M이 있습니다.
Γ i ( t ) = H ( γ i ( t ) ) i = 1 , 2 , 3 , 4 Γ ( t ) = H ( γ ( t ) ) = ( Γ 1 ⊕ Γ 2 ⊕ Γ 3 ⊕ Γ 4 ) ( t ) {\displaystyle {\begin{aligned}\Gamma _{i}(t)&=H(\gamma _{i}(t)) &&i=1,2,3,4\\\Gamma (t)&=H(\gamma (t))=(\Gamma _{1}\oplus \Gamma _{2}\oplus \Gamma _{3}\oplus \Gamma _{4})(t)\end{aligned}}}
S 를 H 아래의 D 의 이미지라고 하자. 그거
∬ S ∇ × F d S = ∮ Γ F d Γ {\displaystyle \int_{S}\n bla \times \mathbf {F} \,\mathrm {d} S =\point _{\Gamma}\mathbf {F} \,\mathrm {d} \Gamma }
스톡스의 정리에서 바로 다음과 같습니다. F 는 라멜라이므로 왼쪽이 사라집니다.
0 = ∮ Γ F d Γ = ∑ i = 1 4 ∮ Γ i F d Γ {\displaystyle 0=\point _{\Gamma }\mathbf {F} \,\mathrm {d} \Gamma =\sum _{i=1}^{4}\point _{\Gamma _{i}}\mathbf {F} \,\mathrm {d} \Gamma }
H 가 튜브형(satisf화 [TLH3])이므로 γ 2 = ⊖ γ 4 {\displaystyle \Gamma_ {2 } =\ ominus \Gamma_{4}} 및 γ 2 = ⊖ γ 4 {\displaystyle \Gamma_{2}=\ominus \Gamma_{4}}입니다. 따라서 γ 및 γ γ를 따라 있는 선 적분이 취소되고 남습니다.
0 = ∮ Γ 1 F d Γ + ∮ Γ 3 F d Γ {\displaystyle 0=\point _{\Gamma _{1}}\mathbf {F} \,\mathrm {d} \Gamma +\point _{\Gamma _{3}}\mathbf {F} \,\mathrm {d} \Gamma }
반면 c = γ γ, c 3 = ⊖ γ 3 {\displaystyle c_{3}=\ominus \Gamma_{3}}이므로 원하는 동등성은 거의 즉시 따라갑니다.
보수세력 헬름홀츠의 정리 위에서 왜 물체의 위치를 바꾸는 보수적인 힘에 의해 행해지는 일이 경로에 독립적인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먼저 헬름홀츠 정리의 상관 관계이자 특별한 경우인 렘마 2-2를 소개합니다.
보조 2-2. [5] [6] U ⊆ R 3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R} ^{3}}를 라멜라 벡터장 F와 조각별 매끄러운 고리 c 를 갖는 열린 부분집합이라고 하자: [0, 1] → U. 호모토피 H가 존재하는 경우 점 p ∈ U를 다음과 같이 고정합니다: [0, 1] × [0, 1] → U.
[SC0] 조각처럼 매끄럽고 [SC1] H (t , 0) = c 0 (t ) for all t ∈ [0, 1] , [SC2] H (t , 1) = p for all t ∈ [0, 1] , [SC3] H (0, s ) = H (1, s ) = p for all s ∈ [0, 1] . 그리고나서,
∫ c 0 F d c 0 = 0 {\displaystyle \int_{c_{0}}\mathbf {F} \,\mathrm {d} c_{0}=0}
위의 보조정리 2-2는 정리 2-1로부터 이어집니다. 보조정리 2-2에서는 [SC0]에서 [SC3]을 만족하는 H 의 존재가 중요합니다. 문제는 임의의 루프에 대해 이러한 호모토피를 취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U 가 단순히 연결되어 있으면, 그러한 H 가 존재합니다. 단순히 연결 된 공간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의 2-2(단순히 연결된 공간). [5] [6] M ⊆ Rn {\displaystyle M\subseteq \mathbb {R} ^{n}}이 비어 있지 않고 경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어떤 연속적인 고리에 대하여 c : [0, 1] → M 이 연속적인 관형 호모토피 H: [0, 1] × [0, 1] → c에서 고정점 p ∈ c까지 M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M 을 단순 연결 이라고 합니다. 즉,
[SC0'] 그 는 계속 해서, [SC1] H (t , 0) = c (t ) for all t ∈ [0, 1] , [SC2] H (t , 1) = p for all t ∈ [0, 1] , [SC3] H (0, s ) = H (1, s ) = p for all s ∈ [0, 1] . M이 단순히 연결되어 있다면 "보수적인 힘은 물체의 위치를 바꾸는 일은 경로에 무관하다"는 주장이 곧바로 뒤따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 연결은 [SC1-3]을 만족하는 연속 호모토피의 존재만을 보장한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대신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각별 매끄러운 호모토피를 찾습니다.
다행히 규칙성의 차이는 휘트니의 근사 정리 에 의해 해결됩니다.[6] : 136, 421 [11] 즉, 연속적인 호모토피를 찾을 수 있지만 그 위에서 적분할 수 없는 가능성은 실제로 고등 수학의 혜택으로 제거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리 2-2. [5] [6] U ⊆ R 3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R} ^{3 }}이 열려 있고 비회전 벡터장 F로 간단히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모든 조각별 매끄러운 루프에 대해 c : [0, 1] → U
∫ c 0 F d c 0 = 0 {\displaystyle \int_{c_{0}}\mathbf {F} \,\mathrm {d} c_{0}=0}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력 물리학에서 스톡스의 정리는 맥스웰-패러데이 방정식 과 맥스웰-암페어 방정식의 미분 형식과 이 방정식들의 적분 형식의 동등성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합니다. 패러데이 법칙의 경우 스토크스의 정리는 전기장 E {\ displaystyle \mathbf {E} 에 적용됩니다.
∮ ∂ Σ E ⋅ d l = ∬ Σ ∇ × E ⋅ d S . {\displaystyle \point_{\partial \Sigma}\mathbf {E} \cdot \mathrm {d} {\boldsymbol {l}}=\int_{\Sigma}\mathbf {\n abla} \times \mathbf {E} \cdot \mathrm {d} \mathbf {S} .}
암페어의 법칙에서 스톡스의 정리는 자기장 B {\ displaystyle \mathbf {B} 에 적용됩니다.
∮ ∂ Σ B ⋅ d l = ∬ Σ ∇ × B ⋅ d S . {\displaystyle \point_{\partial \Sigma}\mathbf {B} \cdot \mathrm {d} {\boldsymbol {l}}=\int_{\Sigma}\mathbf {\n abla} \times \mathbf {B} \cdot \mathrm {d} \mathbf {S} .}
메모들 ^ σ = ψ (D) {\displaystyle \Sig ma = \psi (D)}은(는) psi {\displaystyl e \ψ}별로 D {\displaystyle D}의 이미지 집합을 나타냅니다. ^ 루프 γ {\ displaystyle \gamma} 이( 가) ψ {\ displaystyle \gamma}과( 와) 잘 상호 작용하지 않는 경우 γ {\displaystyle \gamma}은(는) 조던 곡선 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럼 에도 불구 하고 γ {\displaystyle \Gamma}은(는) 항상 루프이며 위상적 으로는 셀 수 없이 많은 조던 곡선의 연결된 합이므로 적분이 잘 정의됩니다. ^ 이 글에서. e u = [ 1 0 ] , e v = [ 0 1 ] . {\displaystyle \mathbf {e}_{u}={\begin{bmatrix}1\\0\end{bmatrix}},\mathbf{e}_{v}={\begin{bmatrix}0\1\end{bmatrix}}. 벡터 분석에 관한 일부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다른 것들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교과서의 표기법에서 {eu v , e} 는 각각 다음 {tu v , t} 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사에서는 이 두 가지는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t u = 1 h u ∂ φ ∂ u , t v = 1 h v ∂ φ ∂ v . {\displaystyle \mathbf {t}_{u}={\frac {1}{h_{u}}}{\frac {\partial \varphi}{\partial u}}\,\mathbf {t}_{v}={\frac {1}{h_{v}}{\partial \varphi}{\partial v}}} 여기서, h u = ‖ ∂ φ ∂ u ‖ , h v = ‖ ∂ φ ∂ v ‖ , {\displaystyle h_{u}=\left\ {\frac {\partial \varphi}{\partial u}\right\,h_{v}=\left\ {\frac {\partial \varphi}{\partial v}\right\,} 그리고 "‖ ⋅ ‖ {\displaystyle \cdot \ }"은 유클리드 표준을 나타냅니다. ^ 모든 a, b ∈ Rn {\displaystyle {\textbf { a}}, {\textbf { b}}\in \mathbb { R}^{ n}에 대하여, 모든 A 에 대하여, n × n {\displaystyle A;n\ times n} 제곱 행렬 , a ⋅ AB = a T a {\displaystyle {\textbf {a}}\cdot A{\textbf {b}}={\textbf {a}}^{\mathsf {T}}A{\textbf {b}} 따라서 ⋅ A b = b ⋅ A {\displaystyle {\textbf {a}}\cdot A{\textb f {b}={\textbf {b}\cdot A^{\mathsf {T}{\textbf {a}}}. ^ 이 글에서. e 1 = [ 1 0 0 ] , e 2 = [ 0 1 0 ] , e 3 = [ 0 0 1 ] . {\displaystyle \mathbf {e}_{1}={\begin{bmatrix}1\\0\end{bmatrix}},\mathbf{e}_{2}={\begin{bmatrix}0\1\0\end{bmatrix}},\mathbf{e}_{3}={\begin{bmatrix}0\0\1\end{bmatrix}} 벡터 분석에 관한 일부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다른 것들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 정리 2-1의 의미로 호모토피와 호모토피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교과서가 존재합니다.[5] 실제로 이것은 보수 세력의 특정 문제 에 매우 편리합니다. 그러나, 호모토피의 두 가지 사용 모두 충분히 자주 나타나서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용어가 필요하며, 여기서 채택된 "관형 호모토피"라는 용어는 이를 위해 충분히 유용합니다.
참고문헌 ^ Stewart, James (2012). Calculus – Early Transcendentals (7th ed.). Brooks/Cole Cengage Learning. p. 1122. ISBN 978-0-538-49790-9 . ^ 나가요시 이와호리 외.:"Bi-Bun-Seki-Bun-Gaku" Sho-Ka-Bou (jp) 1983/12 ISBN 978-4-7853-1039-4 [1] (Written in Japanese) ^ a b 후지모토 아츠오 "벡터-카이-세키 겐다이-가쿠 레쿠차즈. C(1)" 바이-푸-칸 (jp)(1979/01) ISBN 978-4563004415 [2] (일본어로 작성) ^ Griffiths, David (2013).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 Pearson. p. 34. ISBN 978-0-321-85656-2 . ^ a b c d e f g Conlon, Lawrence (2008). Differentiable Manifolds . Modern Birkhauser Classics. Boston: Birkhaeuser. ^ a b c d e Lee, John M. (2002). Introduction to Smooth Manifolds .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ol. 218. Springer. ^ Stewart, James (2010). Essential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 Cole. ^ a b Robert Scheichl, University of Bath mathematics 과정 강의 노트 [3] ^ Colley, Susan Jane (2002). Vector Calculus (4th ed.). Boston: Pearson. pp. 500–3. ^ Edwards, Harold M. (1994). Advanced Calculus: A Differential Forms Approach . Birkhäuser. ISBN 0-8176-3707-9 . ^ L. S. Pontryagin, Smooth 매니폴드들과 호모토피 이론에서의 그들의 응용,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Translations, Ser. 2, Vol. 11, American Mathemathematical Society , Providence, R.I., 1959, pp. 1–114. MR 0115178 (22 #5980 [4] ). 정리 7과 8을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