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스 정리

Stokes' theorem
표면 σ, 경계 ∂ σ 및 정규 벡터 n을 갖는 스톡스 정리의 예시.

Kelvin 경의 이름을 따서 Kelvin-Stokes 정리라고도[2][3] [1]알려진 Stokes의 정리[4] 3 {\벡터 미적분학정리입니다 주어진 벡터장에 대한 이 정리는 어떤 표면에 대한 벡터장의 적분과 관련이 있습니다. 표면의 경계 주변에 있는 벡터장의 선적분까지. 스톡스의 고전적 정리는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루프 위의 벡터장의 선적분은 둘러싸인 표면을 통한 과 같습니다. 그림에는 경계 윤곽선 σ ∂의 양의 순환 방향과 표면 σ을 통한 양의 플럭스 방향 n이 오른쪽 규칙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오른손에는 손가락이 ∂ σ을 따라 순환하고 엄지는 n을 따라 향합니다.

스톡스 정리는 일반화된 스톡스 정리의 특별한 경우입니다.[5][6] R 의 벡터 필드는 1-형태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컬은 외부 도함수인 2-형태입니다.

정리

Let be a smooth oriented surface in with boundary . If a vector field 는 정의되며\Sigma}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연속적인 1차 편미분을 갖습니다. 그러면

좀 더 구체적으로, 평등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스톡스 정리의 정확한 진술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경계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코흐 눈송이와 같은 표면은 리만 적분 경계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리브스게 이론에서 표면 측도의 개념은 립시츠가 아닌 표면에 대해 정의될 수 없습니다. 한 가지 (고급) 기술은 약한 공식으로 전달한 다음 기하학적 측정 이론의 기계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접근법은 면적 공식을 참조하십시오. 이 글에서는 대신 의 전체 차원 부분 집합에 대해 경계를 식별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보다 기본적인 정의를 사용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후속 논의를 위해 제공될 것입니다. γ: [ b] → R 2 {\displaystyle \gamma :[a, b]\to \mathbb {R}^{2}}를 조각별로 매끄러운 요르단 평면 곡선이라고 가정합니다. 조던 곡선 정리γdisplaystyle\gamma}가 R 2R} ^{2}}를 콤팩트한 성분과 비콤팩트한 성분의 두 성분으로 것을 의미합니다. 가 콤팩트한 부분을 나타내면 Dγ \gamma}로 경계지어집니다. 이제 이 경계 개념을 연속 R 3 \mathbb {R^{3}의 으로 전달하면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미 그러한 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σdisplaystyle\Sigma매개변수화.

ψ R 3 {\displaystyle \psi:은(는 D {\ D 근처에서 조각별로 매끄럽습니다 (D) {\displaystyle \\(D)}. If is the space curve defined by [note 2] then we call the boundary of , written .

위의 표기법으로, ^{ 상의[7][8] 임의의 매끄러운 벡터장이라면

서 " ⋅ {\\cdot}"은 R {R ^{3}의 도트 나타냅니다.

증명

정리의 증명은 4단계로 구성됩니다. 우리는 그린의 정리를 가정하므로, 우려되는 것은 3차원 복잡한 문제(스토크스의 정리)를 어떻게 2차원 기본 문제(그린의 정리)로 요약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9] 수학자들은 이 정리를 증명할 때 일반적으로 미분 형태로 진술되는 좀 더 일반적인 결과의 특별한 경우로 추론하고, 좀 더 정교한 기계를 사용하여 증명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강력하지만 상당한 배경이 필요하므로 아래의 증명은 이를 피할 수 있으며 기본 벡터 미적분학과 선형 대수학에 대한 친숙함 이상의 지식을 전제하지 않습니다.[8] 이 절의 마지막에는 일반화된 스톡스 정리의 결과로서 스톡스 정리의 짧은 대안적 증명이 제공됩니다.

기초 증명

기초 증명의 첫 번째 단계(적분의 모수화)

§ 정리에서와 같이 표면의 자연 매개변수화를 사용하여 치수를 줄입니다. ψ와 γ를 해당 섹션과 같게 하고 변수의 변화에 따라 유의하십시오.

여기서 J ψ는 y = γ(t)에서 ψ의 야곱 행렬을 나타냅니다.

이제 {eu, ev}R2 좌표 방향에 대한 직교 기저라고 하자.[note 3]

J ψ의 열이 정확히 y에서의 ψ의 편미분임을 인식하고, 우리는 좌표에서의 이전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습니다.

기본 증명의 두 번째 단계(풀백 정의)

이전 단계에서는 함수를 정의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제 스칼라 값 함수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그리고나서,

이것은 ψ을 따라 F풀백한 것이고, 위에 의해 다음을 만족시킵니다.

우리는 스톡스 정리의 한 면을 2차원 공식으로 축소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제 다른 면으로 눈을 돌립니다.

기초 증명의 세 번째 단계(두 번째 방정식)

먼저 곱의 규칙을 통해 그린의 정리에 나타나는 편미분을 계산합니다.

편리하게도 두 번째 항은 혼합 부분의 동일성에 의해 그 차이에서 사라집니다. 그래서.[note 4]

그러나 이제 그 이차 형식의 행렬, 즉 ψ , v) - (ψ (u v) ) T{\mathbf {F} - ({\,v)}\mathsf {T}}를 생각해 보자. 우리는 이 행렬이 사실 교차 곱을 설명한다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위첨자 " 행렬의 전치를 나타냅니다.

정확히 말하면, =( j {\displaystyle A = (A_{ij})_{ij}}를 임의의 3 × 3 행렬이라고 하고,

x ↦ a × x는 선형이므로 기본 요소에 대한 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직접적인 계산으로는

여기서 {e12, e, e}3 의 좌표 방향에서 정규 기저를 나타냅니다[note 5]

따라서 임의 x 대하여 (A - A)x = a × x입니다.

ψ( v) F ) {(u,{F}}}를 A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제 파츠의 차이를 (스칼라) 삼중곱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표면 적분의 정의에는 삼중곱도 포함됩니다. 바로 그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구합니다.

기초 증명의 네 번째 단계(Green's theorem으로 축소)

두 번째 단계와 세 번째 단계를 결합한 다음 그린의 정리를 적용하면 증명이 완성됩니다. 그린의 정리는 조단 폐곡선 γ와 D에 정의된 두 개의 스칼라 값 Pu v, v) ),P_{v}(u, v)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위의 그린 정리의 좌변에 STEP2의 결론을 대입하고, 우변에 STEP3의 결론을 대입할 수 있습니다. Q.E.D.

미분 형식을 통한 증명

R {\ 함수는 지도를 통해 의 미분 1-형태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함수 F와 관련된 미분 1-형태를 ω로 적습니다. 그러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는 호지 별이고 은(는) 외부 도함수입니다. 따라서 일반화된 스톡스 정리에 의해,[10]

적용들

비회전장

이 절에서는 Stokes의 정리를 바탕으로 비회전장(층벡터장)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정의 2-1(비회전장). 열린 ⊆ R 3 {\ UR}^{3}}의 매끄러운 벡터장 F는 ∇ × F = 0인 경우 비회전(lame 벡터장)입니다.

이 개념은 역학에서 매우 기본적인 것입니다. 나중에 증명하겠지만, 만약 F가 비회전적이고 F의 정의역이 단순히 연결되어 있다면, F보수적인 벡터장입니다.

헬름홀츠의 정리

이 절에서는 스톡스의 정리에서 파생되어 와류가 없는 벡터장을 특징짓는 정리를 소개할 것입니다. 유체 역학에서 그것은 헬름홀츠의 정리라고 불립니다.

정리 2-1(유체역학에서의 헬름홀츠 정리).[5][3]: 142 ⊆ R 3 UR} ^{3}}를 라멜라 벡터장 F를 갖는 열린 부분집합이라고 하고 c, c: [0, 1] → U를 조각별로 매끄러운 루프라고 합니다. 함수 H가 존재할 경우 [0, 1] × [0, 1] → 다음과 같은

  • [TLH0] 부분적으로 매끄럽고
  • [TLH1] H(t, 0) = c0(t) for all t ∈ [0, 1],
  • [TLH2] H(t, 1) = c1(t) for all t ∈ [0, 1],
  • [TLH3] H(0, s) = H(1, s) for all s ∈ [0, 1].

그리고나서,

로렌스와 같은 일부 교과서에서는 정리 2-1에서 언급된 cc의 관계를 "동형사상"이라고 부르고 함수 H: [0, 1] × [0, 1] → U를 "cc 사이의 동형사상"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의미의 "동위원소" 또는 "동위원소"는 "동위원소" 또는 "동위원소"의 전형적인 정의가 다르며, 후자는 생략된 조건[TLH3]. 그래서 이제부터 정리 2-1의 의미에서 호모토피(homotopy)를 관형 호모토피(resp. tubular-homotopy)라고 부릅니다.[note 6]

헬름홀츠 정리의 증명
γ의 정의, ..., ,

다음에서는 표기법을 남용하고 기본그룹로이드의 경로 에 " ⊕ {\opplus}"를사용하고 경로 방향을 반전시키는 데 " ⊖ {\ \ominus}"를 사용합니다.

D = [0, 1] × [0, 1] 이라고 하고, ∂D를 4개의 선분 γ로 분할합니다.

하도록

cc가 조각별 매끄러운 호모토피를 갖는다는 우리의 가정에 의해, 조각별 매끄러운 호모토피 H: D → M이 있습니다.

S를 H 아래의 D의 이미지라고 하자. 그거

스톡스의 정리에서 바로 다음과 같습니다. F는 라멜라이므로 왼쪽이 사라집니다.

H가 튜브형(satisf화 [TLH3])이므로 γ 2= ⊖ γ 4 {\displaystyle\{2=ominus \Gamma_{4}} 및 γ 2 = ⊖ γ 4 {\displaystyle \Gamma_{2}=\ominus \Gamma_{4}}입니다. 따라서 γ 및 γ γ를 따라 있는 선 적분이 취소되고 남습니다.

반면 c = γ γ c 3 = ⊖ γ 3 {\ c_{3}=\ominus \Gamma_{3}}이므로 원하는 동등성은 거의 즉시 따라갑니다.

보수세력

헬름홀츠의 정리 위에서 왜 물체의 위치를 바꾸는 보수적인 힘에 의해 행해지는 일이 경로에 독립적인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먼저 헬름홀츠 정리의 상관 관계이자 특별한 경우인 렘마 2-2를 소개합니다.

보조 2-2.[5][6] ⊆ R 3{R} ^{3}}를 라멜라 벡터장 F와 조각별 매끄러운 고리 c를 갖는 열린 부분집합이라고 하자: [0, 1] → U. 호모토피 H가 존재하는 경우 점 p ∈ U를 다음과 같이 고정합니다: [0, 1] × [0, 1] → U.

  • [SC0] 조각처럼 매끄럽고
  • [SC1] H(t, 0) = c0(t) for all t ∈ [0, 1],
  • [SC2] H(t, 1) = p for all t ∈ [0, 1],
  • [SC3] H(0, s) = H(1, s) = p for all s ∈ [0, 1].

그리고나서,

위의 보조정리 2-2는 정리 2-1로부터 이어집니다. 보조정리 2-2에서는 [SC0]에서 [SC3]을 만족하는 H의 존재가 중요합니다. 문제는 임의의 루프에 대해 이러한 호모토피를 취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U가 단순히 연결되어 있으면, 그러한 H가 존재합니다. 단순히 연결된 공간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의 2-2(단순히 연결된 공간).[5][6] M{R} ^{n}}이 비어 있지 않고 경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어떤 연속적인 고리에 대하여 c: [0, 1] M이 연속적인 관형 호모토피 H: [0, 1] × [0, 1] c에서 고정점 p c까지 M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M단순 연결이라고 합니다. 즉,

  • [SC0'] 계속해서,
  • [SC1] H(t, 0) = c(t) for all t ∈ [0, 1],
  • [SC2] H(t, 1) = p for all t ∈ [0, 1],
  • [SC3] H(0, s) = H(1, s) = p for all s ∈ [0, 1].

M이 단순히 연결되어 있다면 "보수적인 힘은 물체의 위치를 바꾸는 일은 경로에 무관하다"는 주장이 곧바로 뒤따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 연결은 [SC1-3]을 만족하는 연속 호모토피의 존재만을 보장한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대신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각별 매끄러운 호모토피를 찾습니다.

다행히 규칙성의 차이는 휘트니의 근사 정리에 의해 해결됩니다.[6]: 136, 421 [11] 즉, 연속적인 호모토피를 찾을 수 있지만 그 위에서 적분할 수 없는 가능성은 실제로 고등 수학의 혜택으로 제거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리 2-2.[5][6] ⊆ R 3 U{R} ^{3}}이 열려 있고 비회전 벡터장 F로 간단히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모든 조각별 매끄러운 루프에 대해 c: [0, 1] → U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력 물리학에서 스톡스의 정리는 맥스웰-패러데이 방정식 맥스웰-암페어 방정식의 미분 형식과 이 방정식들의 적분 형식의 동등성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합니다. 패러데이 법칙의 경우 스토크스의 정리는 전기장 에 적용됩니다

암페어의 법칙에서 스톡스의 정리는 자기장 에 적용됩니다

메모들

  1. ^ ({\displaystyle \Sim\psi (D)}은psi {\displaystye \ψ}별로 D {\displaystyle D}의 이미지집합을 나타냅니다.
  2. ^ displaystyle \가) displaystyle \gamma}과와) 잘 작용하지 않는경우{\displaystyle \gamma}은(는) 조던 아닐 수 있습니다.에도 불하고γ {\displaystyle \Gamma}은(는) 항상 루프이며 위상적으로는 셀 수 없이 많은 조던 곡선의 연결된 합이므로 적분이 잘 정의됩니다.
  3. ^ 이 글에서.
    벡터 분석에 관한 일부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다른 것들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교과서의 표기법에서 {euv, e}는 각각 다음 {tuv, t}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사에서는 이 두 가지는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여기서,
    "‖ ⋅ ‖ {\displaystyle \cdot \ }"은 유클리드 표준을 나타냅니다.
  4. ^ 모든 a}}, b}}\in Rn}에 대하여 n × ntimes n} 제곱 행렬, = a T a {\displaystyle {\textbf {a}}\cdot A{\textb {b}}={\textbf {a}}^{\mathsf {T}}A{\textbf {b} 따라서 A = b ⋅ A {\displaystyle {\textbf {a}}\cdot A{\textf {b}={\textbf {b}\cdot A^{\mathsf {T}{\textbf {a}}}.
  5. ^ 이 글에서.
    벡터 분석에 관한 일부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다른 것들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6. ^ 정리 2-1의 의미로 호모토피와 호모토피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교과서가 존재합니다.[5] 실제로 이것은 보수 세력의 특정 문제에 매우 편리합니다. 그러나, 호모토피의 두 가지 사용 모두 충분히 자주 나타나서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용어가 필요하며, 여기서 채택된 "관형 호모토피"라는 용어는 이를 위해 충분히 유용합니다.

참고문헌

  1. ^ Stewart, James (2012). Calculus – Early Transcendentals (7th ed.). Brooks/Cole Cengage Learning. p. 1122. ISBN 978-0-538-49790-9.
  2. ^ 나가요시 이와호리 외.:"Bi-Bun-Seki-Bun-Gaku" Sho-Ka-Bou(jp) 1983/12 ISBN 978-4-7853-1039-4 [1](Written in Japanese)
  3. ^ a b 후지모토 아츠오 "벡터-카이-세키 겐다이-가쿠 레쿠차즈. C(1)" 바이-푸-칸(jp)(1979/01) ISBN 978-4563004415 [2] (일본어로 작성)
  4. ^ Griffiths, David (2013).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Pearson. p. 34. ISBN 978-0-321-85656-2.
  5. ^ a b c d e f g Conlon, Lawrence (2008). Differentiable Manifolds. Modern Birkhauser Classics. Boston: Birkhaeuser.
  6. ^ a b c d e Lee, John M. (2002). Introduction to Smooth Manifold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ol. 218. Springer.
  7. ^ Stewart, James (2010). Essential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Cole.
  8. ^ a b Robert Scheichl, University of Bath mathematics 과정 강의 노트 [3]
  9. ^ Colley, Susan Jane (2002). Vector Calculus (4th ed.). Boston: Pearson. pp. 500–3.
  10. ^ Edwards, Harold M. (1994). Advanced Calculus: A Differential Forms Approach. Birkhäuser. ISBN 0-8176-3707-9.
  11. ^ L. S. Pontryagin, Smooth 매니폴드들과 호모토피 이론에서의 그들의 응용,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Translations, Ser. 2, Vol. 11, American Mathemathematical Society, Providence, R.I., 1959, pp. 1–114. MR0115178 (22 #5980 [4]). 정리 7과 8을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