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로봇 전쟁

Super Robot Wars
슈퍼 로봇 전쟁
Super Robot Wars.png
장르전술 역할극
개발자
게시자
플랫폼
첫 번째 릴리스슈퍼 로봇 전쟁
1991년 4월 20일
최신 릴리즈슈퍼 로봇 전쟁 30
2021년 10월 28일

일본에서 '슈퍼로봇 타이젠'[a]으로 알려진 슈퍼로봇워반다이남코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한 전술 역할극 비디오 게임 시리즈다. 컴패티 히어로 시리즈의 스핀오프에서 출발하는 이 프랜차이즈의 주요 특징은 인기 있는 메카 애니메이션, 만화, 비디오 게임 몇 개를 넘나드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어 서로 다른 타이틀의 캐릭터와 메카가 팀을 이루거나 서로 싸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프랜차이즈의 첫 번째 게임은 1991년 4월 20일 게임보이용으로 발매되었다.[1] 나중에 다양한 콘솔과 핸드헬드에 출시된 수많은 게임을 만들어낸다. 크로스오버 게임과 관련된 라이센싱의 특성상, 일본 밖, 영어로 발매된 게임은 몇 가지에 불과하다. 2016년 창립 25주년,[2] 2021년 창립 30주년을 맞았다.[3]

게임.

대부분은 독립형 게임으로, 배경 이야기는 포함된 시리즈의 플롯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슈퍼 로봇 전쟁 타이틀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하나의 전체적인 줄거리가 모든 것을 포괄하는 최소 5개의 주요 연속성이 있다.

클래식
2차, 3차, EX, F, F 파이널(순서)으로 구성된다.[4] F와 F 파이널4회를 대체했고, 2G전체 박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아 캐논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사이드 스토리 기신 - 원소의 제왕 마소는 2부 전 '제1부'와 4부 후 '제2부'로 나뉜다. 이 시리즈의 1차 대항조직은 DC(Divine Crusaders)로 알려져 있다.
기신 마사우
가이덴으로 구성됨: 마소우 기신 - 원소의 군주, OG 사가: 마소우 기신 2 - 악의 신의 계시, OG 사가: 마소우 기신 3 - 정의의 자랑슈퍼로봇 타이젠 OG 사가: 마소우 기신 F - 종말의 관(그 순서) 가이덴: Masou Kishin - SFC의 Elemental Lord of the Elemental for the NDS(Gaiden을 대체하는 OG Saga 접두사를 시리즈로 처음 사용함)를 위한 리메이크한 것으로, 이후 이 시리즈의 2부 묶음으로 DS 버전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OG Saga: Masou Kishin I & II라고 명명되었다. 이 시리즈의 마지막 두 타이틀은 PS3용으로 발매되었다(전자도 PS Vita에 포팅되었다).
알파
알파, 알파게이든, 알파2, 알파3 게임(이 순서에 따라)으로 구성된다. 기신 마사오의 "1부" - 원소왕도 알파보다 먼저 일어나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작은
컴팩트, 컴팩트 2컴팩트 3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다(순서). WS Compact의 첫 번째 시리즈 게임은 원더완 컬러를 위한 Compact for WonderSwan Color로 리메이크되었다. 컴팩트 2원더스완을 위한 3개의 장으로 발표되었다; 3부작은 나중에 PS2에 대한 임팩트로서 업데이트된 비주얼, 사운드, 그리고 새로운 콘텐츠로 편집되었다.
임팩트
PS2용 임팩트 게임과 MX 게임으로 구성된다. 이전에 컴팩트 2원더스완을 위한 3개의 장으로 발표되었다; 3부작은 나중에 PS2에 대한 임팩트로서 업데이트된 비주얼, 사운드, 그리고 새로운 콘텐츠로 편집되었다. 모든 원더스완 게임들 간의 게임 플레이 메카니즘의 공유임팩트와 MX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컴팩트2와 임팩트는 시리즈의 다른 어떤 게임과도 연결되지 않는다. PS2용 MX는 동일한 시리즈 중 몇 개를 재사용하고 유사한 게임 플레이 요소와 임팩트 속 시리즈에서 리믹스된 사운드 트랙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팩트의 직접적인 속편으로 보여진다. MX는 사소한 조정과 추가로 PSP에 포팅되었다.
오리지널 제너레이션
이 시리즈는 만화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전혀 등장하지 않고, 대신에 시리즈의 이전 게임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오리지널 캐릭터인 "Banpresto Originals"가 주연을 맡았다. 이 연대표는 이전의 모든 연속성을 바탕으로 한다. Both Original Generation games for the GBA which were released in the US, were compiled with updated visuals and sound as Super Robot Wars Original Generations, followed by the sequel Super Robot Wars Original Generation Gaiden, the remake version of Masō Kishin - The Lord Of Elemental, Masō Kishin 2: Revelation of Evil God, 2nd Super Robot Wars O리그널 제너레이션, Maso Kishin 3: Pride of Justice, Maso Kishin F: The EndSuper Robot Wars Origin Generation: 달 거주자들. 또한 Original Generation 시리즈의 일부는 Endless FrontinerEndless Frontiner EXIT를 작곡한 Endless Frontiner 시리즈로, Original Gaiden을 배경으로 한다. 이 연속성은 서양에서 공식적으로 발매된 타이틀을 가진 유일한 것이다. 달 거주자들은 일본 시장을 위해 영어 번역을 한 시리즈 중 첫 번째 작품 중 하나이다.
Z
이 연속성은 Z, Z Special Disk, Z2Z3으로 구성된다. 이 이야기는 게임의 줄거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열두 구에 초점을 맞춘다. 이 타임라인은 이전의 SRW 타이틀이 도달하지 못한 규모로, 엄청나게 많은 양의 데뷔 시리즈를 도입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게다가 Z3는 HD 스프라이트를 탑재한 최초의 SRW 게임이었다.
국제 시대
V, X, T, 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속성은 SRW V가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공식적인 번역과 출시를 받은 최초의 메인라인 게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렇게 명명된다. Z3에서 사용하는 엔진을 사용하여, 이러한 게임은 플롯에 따라 서로 독립적이다.
모바일 게임
X-Oomega와 DD로 구성되어 있다.X-Oomega는 SRW의 통상적인 턴 기반 전략 공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침입한 적에 대한 방어용 유닛을 배치하고 명령하는 방어형 게임과 더 유사하다. 데뷔 시리즈가 극히 많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비메카 애니메이션 크로스오버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D는 일반적인 SRW 턴 기반 전략 공식으로 돌아가며 전투는 일반적인 SRW 게임을 훨씬 연상시킨다. 다만 플레이어는 한 번에 4개씩만 자체 유닛을 배치할 수 있고, 가차에서 멕시(mech)를 빼내는 대신 공격이 가능하다.

반복 요소

이야기

대부분의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밴프레스토 오리지널 캐릭터와 기계를 선택하거나 부여받는데, 밴프레스토 오리지널 캐릭터와 기계는 게임을 위한 구성 애니메이션의 이벤트를 결합하는 중요한 스토리 라인과 연결된다. 일부 특집 애니메이션은 슈퍼로봇전쟁 알파에서는 뉴모바일리포트 건담윙의 화이트팡이 모빌슈트 제타 건담팻티머스 시로코 반군과 연합해 두 적군이 협력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이 이야기들은 비록 등장인물, 배경, 그리고 다른 쇼의 구성 요소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변경되었지만, 애니메이션의 사건들을 연기한다. 각 게임의 사건은 '차원 폭탄'의 폭발로 몇 년 전부터 시작된 '차원 퀘이크'라고 알려진 침입에 의해 발생하여, 아무도 모르게 여러 우주를 끊임없이 융합·분리하고, 다른 게임과 그들이 적응하는 속성 둘 다와 카노니티를 보장한다고 한다.

이 시리즈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반복적인 변화 중 하나는 인격 죽음의 거의 완전한 부재다. 게임이 애니메이션 내에서 캐릭터가 죽는 지경에 이를 때마다 게임은 캐릭터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시리즈의 요소를 자주 사용할 것이다. 이것은 게임이 더 많은 관중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행해진 것 같다.

게임플레이

슈퍼 로봇 전쟁에서의 전투는 턴 기반이다. 플레이어는 보통 먼저, 한 번에 하나씩 힘을 움직인 다음, 컨트롤을 게임의 AI로 전환한다. 부대가 공격하면 대상자는 차단(공격에 대한 방어력 증가), 회피(공격의 공격 기회 감소) 또는 대항(자신의 공격으로 반격) 등으로 반응한다. 일단 선택하면 전투 애니메이션이 재생된다. 플레이어 유닛이 파괴되지 않고 성공적으로 적을 손상시키면 유닛은 경험치를 얻는다. 모든 전투는 육상, 공중, 바다 또는 우주의 지형 중 하나로 수행되며, 기계, 조종사, 무기의 성능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전쟁터에는 다양한 효과를 부여하는 물체도 있다. 예를 들어, 군 기지는 보수와 에너지 보충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토지 부대에 방어 보너스를 제공하지만 그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방해할 것이다. 플레이어는 표준 메카 및 차량 유닛 외에도 종종 강력한 장거리 공격 외에도 다른 유닛을 도킹하여 에너지를 충전하고 손상을 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Battleships", 공기 또는 우주선 유닛을 가지고 있다.

게임 내 유닛은 일반적으로 "슈퍼타입"과 "실제타입"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슈퍼로봇은 유난히 명중점과 갑옷이 높은 중형부대와 에너지비용이 높은 강력하고 근거리 무기다. 반면 실제 로봇은 라이트 유닛으로 빠르고 민첩하지만 공격 회피에 의존하는 대신 갑옷과 타격 포인트가 적다. 그들의 무기는 사정거리가 더 길고 명중 시 타격당 피해를 덜 내는 비용으로 정확도가 더 좋다. 일부 유닛은 "지원 유닛"으로 취급되어 동맹국에 적중 지점 및/또는 에너지를 재생하는 한편, 전함 및 수송기는 수송 또는 모든 유닛의 재공급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강력한 화재 지원도 제공한다. 모든 유닛이 전술 지도에서 단일 그리드를 취하고 전투 애니메이션에서는 시각적인 차이가 거의 없지만, 더 큰 유닛은 더 작은 유닛에 대해 방어적이고 공격적인 보너스를 얻지만, 회피와 정확성에 불이익을 준다. 이후 타이틀에서는 특정 공격이 크기 속성을 우회할 수 있어 전투 시 규모의 효과가 무효화된다. 어떤 부대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게터 로보는 새로운 무기와 다른 속성을 가진 다른 형태로 변할 수 있다.

무기는 사정거리, 정확도 수식어, 공격력 외에 다양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모든 무기는 조종사 지위에 따라 효과를 결정하는 근거리와 사격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속성은 지형이나 대상의 방어 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 복수의 정사각형에 한꺼번에 영향을 미치는 「맵 무기」를 이용하는 부대도 있는데, 이 지역의 모든 것을 해치는 부대도 있고, 사이버스터의 사이플래시 등 아군을 무시하는 부대도 있다. 어떤 게임들은 그들의 에너지를 빼내거나, 그들의 갑옷을 약화시키거나, 조종사의 통계를 손상시키는 적들에게 상태 영향을 주는 무기를 특징으로 한다.

역사

기원과 발전

1990년 일본의 비디오 게임 개발업체 반프레소SD 배틀 오즈모: 하이세이 히어로 바쇼, 패밀리 컴퓨터 (Famicom)를 위한 컴피 히어로 시리즈의 데뷔작이다.[5] 가면라이더, 울트라만, 모바일 슈트 건담의 '초기형' 버전과 교차한 것으로, 당시 반프레스토 사장으로 승진했던 스기우라 유키마사에게 축하 선물로 탄생했다.[6] SD 배틀 오즈모는 일본에서 상업적 성공을 누리면서 반프레스토가 1991년 게임보이에게 보다 성숙한 지향의 후계자 슈퍼로봇워즈를 탄생시켰다.[7][8] 원작 게임은 SD 배틀 오즈모로부터 몇 가지 컨셉을 차용했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다른 일본 연예 재산의 캐릭터 사용이었다.[6] 일본의 게임보이, 패미컴이 인기를 끌면서 일본 비디오게임 시장을 계속 장악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창조의 일환이었다.[9] 반프레스토는 수개월 후 파미컴을 위해 2차 슈퍼로봇전쟁을 시작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슈퍼로봇전쟁의 개념을 프랜차이즈로 전환했다.[9]

Banpresto는 이전 슈퍼 로봇 전쟁 게임들의 개발을 일본의 스튜디오 Winkysoft에 아웃소싱했다.[10] 1999년 슈퍼로봇워즈 완결박스를 시작으로 사내에서 생산을 옮겼고, 반프레스토의 소비자게임부문 반프레소프트가 향후 할부 개발을 담당했다. 스기우라는 제4차 슈퍼로봇전쟁이 최종 엔트리가 될 예정이었지만, 이 프랜차이즈의 지속적인 인기로 인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후속작들이 생겨났다.[11] 이 회사는 테라다 다카노부를 시리즈 프로듀서 역할에 배치했다; 그는 처음에는 초거대형 캐릭터 디자인과 게임 플레이 구조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12] 슈퍼로봇워즈 속편들이 더욱 독창적인 캐릭터 디자인을 더하고 그 범위가 넓어지자 테라다는 더욱 고마움을 표시하며 그의 역할을 수용했다. 스기우라는 이 시리즈가 "20년 동안 더 많이 팔렸으면 좋겠다"[11]고 말하며 각 작품마다 등장하는 애니메이션과 만화 시리즈를 선수들을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랐다.

2005년 반프레스토의 모기업 반다이(Bandai)가 남코와 합병하면서 남코반다이홀딩스남코반다이게임즈가 탄생했다.[13][14] 반프레스토는 2006년 남코반다이홀딩스의 자회사가 됐고, 다른 프로젝트 외에도 슈퍼로봇워즈 게임을 계속 개발했다.[15] 2008년 4월 1일 반프레스토의 비디오 게임 운영은 남코반다이게임즈에 흡수되어 반프레스토가 완구 및 경품 기계 개발자로 개편되었다.[15] 테라다를 비롯한 반프레스토 직원들은 재산의 지배를 맡은 회사가 되어 남코반다이게임즈로 이직되었다. 2011년, Banpresoft와 BEC(Bandai Entertainment Company)가 합병하여 B.B를 결성하였다. 남코반다이게임즈의 자회사인 스튜디오는 시리즈의 추가 제작을 담당하게 된다.[16]

현지화

포함된 많은 메카 타이틀은 일본에서만 발매되며, 한 게임 내에 포함되는 타이틀의 수는 다른 곳에서 발매되는 복잡한 권리와 라이선스 문제를 해결한다. 슈퍼로봇전쟁 30년 전에는 오리지널 제너레이션 게임만 미국 아틀러스사가 공식적으로 영국 시장에 출시했다. 이 게임의 타이틀은 슈퍼 로봇 타이젠으로 주어진다. 이 게임은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시리즈가 아닌 독창적인 창작물만 라인업에 활용되기 때문에 다른 게임들이 갖고 있는 라이선스 문제가 없어 아시아 시장 밖에서 출시되는 시리즈 중 첫 번째 게임이다.[17] 아틀러스는 또한 2009년 4월 28일 닌텐도 DS를 위한 슈퍼로봇 타이젠 OG 사가: Endless Frontiner를 발매했다.[18]

반다이남코는 2016년 초 슈퍼로봇워즈 OG:문 드웰더스, 슈퍼로봇워즈V에 중국어 번역본과 함께 동남아시아판 영문판 출시가 주어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9] 2017년 12월 반다이남코는 2018년 동남아시아 시장을 위해 슈퍼로봇워즈X가 영어로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8년 11월 반다이남코는 2019년 동남아시아 시장을 위해 슈퍼로봇워즈T가 영어로 출시된다고 발표했다. 슈퍼로봇워즈 30은 전 지역에서 스팀 플랫폼에 글로벌 출시돼 약 13년 만에 슈퍼로봇워즈 게임이 이런 방식으로 출시됐다.[20]

접수 및 판매

2014년 4월 현재, 슈퍼 로봇 전쟁 시리즈는 모든 플랫폼에서 1,600만부를 넘어섰다.[21] 데뷔 첫 몇 주 동안 총 19만 대가 팔렸고 게임 보이의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22] 가장 많이 팔린 엔트리는 플레이스테이션의 슈퍼로봇워즈 α로 1998년까지 71만5000장 이상 팔렸다.[23] 슈퍼로봇워즈 게임은 반프레스토와 반다이 남코에게 꾸준히 베스트셀러가 되어 왔으며, 일본에서는 2019년까지만 해도 꾸준히 상위 판매 차트에 올랐다.[24][25][26] 2020년 현재, 이 시리즈는 전세계적으로 1,910만 부가 팔렸다.[27]

유로게이머의 작가 올리 바드너는 슈퍼로봇워즈를 "일본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는 메카 시리즈 중 하나"라고 표현하며, 턴 기반 게임 플레이와 메카 시리즈와 캐릭터로 구성된 대형 로스터에 대한 고마움을 나타냈다. 바드너는 "원래는 단순한 메카 애니메이션 크로스오버 차량으로 의도된 슈퍼로봇전쟁은 다른 무언가가 되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때때로 긴 과거에서 뛰어난 애니메이션을 검색하라 자체적인 독특한 게임과 애니메이션 birthed 게이머들의 새로운 세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8]USgamer의 캣은 베일리는 연재물은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extremely tribute"그 가공의 병기 장르와 역사에, 쓰기는"beautifully 모바일에서 모든 것[와 리믹스]충실하다.건담에게 볼트론에게 수트 해."[28]

이 게임의 주된 영향은 게임을 위해 만들어진 원래의 단위와 캐릭터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애니메이션 쇼의 제작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2002년 미국에서 출시된 게터 로보 아마겟돈, 신 게터 로보네오 게터 로보, 마징카이저 OVA 등이다. 신 게터 로보는 처음에 켄 이시카와 감독의 Getter Robo Go용 망가에 등장했고, 그 후, 앞서 언급한 OVA를 받기 전까지 다양한 슈퍼로봇 전쟁 게임에서 유령이 되었다. 마징카이저는 1998년 세가 새턴과 소니 플레이스테이션에서 발매된 슈퍼로봇워즈 F 파이널에 마징거 프랜차이즈가 신 게터 로보 등 다른 슈퍼로봇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리지널 마징거 Z로의 업그레이드로 처음 등장했다. 마징어 Z 작가 겸 일러스트레이터인 고 나가이는 결국 다른 마징어 기계의 원형으로서 그것을 자신의 망고에 구현하고, 앞서 언급한 OVA도 만들어졌다.

이 시리즈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의해 "역할 놀이 비디오 게임 시리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적 재산권 면허"로 인증되었다.[29]

관련 매체

음악

가게야마 히로노부, 마쓰모토 리카, 사카모토 에이조, 엔도 마사아키, 기타다니 히로시, 오쿠이 마사미, 후쿠야마 요시키 등 베테랑 애니메이션 테마 음악가들로 구성된 JAM프로젝트도 많은 슈퍼로봇워즈 사운드트랙에 기여해 주로 오프닝 주제곡과 폐막 크레딧을 넘나들며 연주되는 곡을 제공했다. 이 시리즈는 또한 "Super Robot Spirits"라고 불리는 콘서트와 앨범 세트를 탄생시켰는데, 이 콘서트에서는 베테랑 보컬리스트들 중 일부는 JAMP Project를 결성하여 인기 있는 메카 애니메이션 오프닝의 커버를 노래하고, 어떤 경우에는 그들이 원래 불렀던 곡의 라이브 버전을 노래하기도 한다.

애니메

키신 사이부스터 마사오는 슈퍼로봇워즈에서 최초의 오리지널 반프레스토 메카가 26부작 시리즈로 나오는 이야기를 느슨하게 각색한 것으로, 사이부스터의 파일럿 안도 마사키(Masaki Andoh)의 아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을 위해 만들어진 원작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2005년 5월, 반프레스토는 애니메이션 OVA 슈퍼로봇워즈 오리지널 세대를 발매했다. 애니메이션은 두 번째 오리지널 제너레이션 게임의 3부작 비카노니컬 속편이다. 2006년, OVA는 슈퍼로봇전쟁의 원조 세대가 그 뒤를 이었다. 신성한 전쟁, 최초의 오리지널 제너레이션 게임에서 줄거리를 되짚어 보는 것. 오리지널 제너레이션 라인업에는 다양한 드라마 CD, 만화, 모델 키트가 함께한다. 2010년 가을, Banpresto는 Super Robot Wars Original Generation을 따라잡았다. 검사관, 이것은 원래 2세대의 줄거리를 다시 표시한 것이다.

망가

슈퍼 로봇 전쟁 시리즈의 이야기를 되짚어보는 만가 각색작들이 여러 번 있었다. 기무라 아키히로가 쓴 슈퍼로봇워즈 신전(神戰) 신전(神戰) 신전(神戰) 신전(神戰) 신전(神戰)에 관한 이야기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출판된 6권에 걸쳐 신전(神戰) 애니메이션을 다룬다. Meanwhile, Super Robot Wars Divine Wars - Record of ATX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OG ディバイン・ウォーズ Record of ATX, Sūpā Robotto Taisen Ō Jī Dibain Wōzu Recōdo Obu Ē Tī Ekkusu) is manga series by Tatsunosuke Yatsufusa that tells a similar story but from the ATX Team's perspective. Super Robot Wars OG Chronicle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OGクロニル, Supa Robotto Taisen O Jī Kuronikuru)는 오리지널 제너레이션 연대표를 가로지르는 일련의 단편소설로, 다양한 작가들이 쓰고 그렸으며, OG Chronicle의 이야기들 중 일부는 비디오 게임 Super Robot Wars Origin Gen Gen Gaiden에 편입되었다. 초키진 류코오 덴키(朝키진 류코오 덴키)는 후지하라 마사아키의 2권 시리즈로, 초키진이라고 알려진 오리지널 머신의 배경을 이야기한다.

네트 라디오

SRWOG Net Radio - Umasugi Wave (スパロボOGネットラジオ うますぎWAVE, Suparobo Ō Jī Neto Rajio Umasugi Wēbu) began to air to go along with the release of the Divine Wars anime. 이 쇼는 2007년 1월부터 스기타 도모카즈, 엔도 마사아키, 아이자와 마이, 사이토 리에 등 4명의 정규 진행자로 방송되고 있다. 이 쇼는 종종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데라다 다카노부가 특별 게스트로 출연한다. 신성한 전쟁이 끝난 후, 그 쇼는 계속되었고, 종종 정기적으로 특집을 하고 비디오 게임 타이틀을 홍보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일본어: スパーロ大大大大, 헵번: 수파 로보토 타이젠, 점등했다. "슈퍼 로봇 전쟁"

참조

  1. ^ https://web.archive.org/web/20180618180059/http:///www.suparobo.jp/srw_lineup/index.php
  2. ^ "Takanobu Terada Hints at Big Plans for "Super Robot Wars" Series". www.crunchyroll.com. 2015-12-31. Retrieved 2010-03-28.
  3. ^ "Super Robot Wars 30 announced for PS4, Switch, and PC". www.gematsu.com. 2021-06-15. Retrieved 2021-07-11.
  4. ^ "Super Robot Taisen (Classic Series) (Retrospective)". www.hardcoregaming101.net. 2011-08-12. Retrieved 2017-10-04.
  5. ^ Lopes, Gonçalo (12 March 2018). "Zany Super Famicom Great Battle Series Gets Translated Into English". Nintendo Life (in Japanese). Gamer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8. Retrieved 6 July 2019.
  6. ^ a b 第一章 拡大するアニメ・ビジネス 二.古いキャラクターの価値 ●版権窓口が異なる新旧のキャラクターを集めてヒット (in Japanese). Nikkei Business Publications. 17 May 1999. p. 28. ISBN 4-8222-2550-X.
  7. ^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 (ゲームボーイ)". Famitsu (in Japanese). Kadokawa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20. Retrieved 1 August 2020.
  8. ^ a b Barder, Ollie (22 April 2014). "All is fair in love and Super Robot Wars". Eurogamer. Gamer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9. Retrieved 1 August 2020.
  9. ^ a b SilverStarRipper (12 August 2011). "Super Robot Wars". Hardcore Gaming 1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3. Retrieved 22 August 2020.
  10. ^ Barder, Ollie (1 December 2015). "The End Of An Era As Winkysoft Files For Bankruptcy". Forb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8. Retrieved 1 August 2020.
  11. ^ a b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シリーズ20周年記念特製ブックレット [Super Robot Taisen series 20th anniversary special booklet] (in Japanese). Banpresto. 18 March 2012. p. 35.
  12. ^ "Dorimaga Vol. 8" (in Japanese) (8). SoftBank Publishing. Dorimaga. 25 April 2003. pp. 41–43.
  13. ^ Niizumi, Hirohiko (13 September 2005). "Bandai and Namco outline postmerger strategy". GameSpot. CBS Interact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20. Retrieved 27 July 2020.
  14. ^ Karlin, David (31 March 2006). "Bandai and Namco Finalize Merger Details". 1UP.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3-12. Retrieved 2 February 2014.
  15. ^ a b Siliconera Staff (9 November 2007). "Banpresto absorbed by Namco Bandai". Siliconera. Curse,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y 2020. Retrieved 18 May 2020.
  16. ^ Gantayat, Anoop (6 April 2011). "Banpresto and Bec Merge to Form B.B. Studio". www.andriasang.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12. Retrieved 22 August 2020.
  17. ^ "Atlus Announces Super Robot Taisen: Original Generation for the Game Boy Advance". 2006-03-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1-16. Retrieved 2010-11-01.
  18. ^ "Atlus busts out with Super Robot Taisen OG Saga: Endless Frontier for DS". Gonintendo.com. 2009-02-04. Retrieved 2010-03-28.
  19. ^ Barder, Ollie (February 18, 2016). "'Super Robot Wars OG The Moon Dwellers' Will Be Getting An English Localized Release". Forbes.com. Retrieved 2016-03-13.
  20. ^ McWhertor, Michael (2021-07-14). "Gundam, Mazinger, SSSS.Gridman, and more collide in new Super Robot Wars game". Polygon. Retrieved 2021-07-19.
  21. ^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シリーズ累計出荷本数1,600万本突破。第1作のHDリメイク版がPS Storeで販売開始" [Cumulative shipment of "Super Robot Wars" series exceeded 16 million. The first HD remake version is now available on the PS Store]. 4Gamer.net (in Japanese). Aetas. 24 April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September 2015. Retrieved 5 July 2019.
  22. ^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F プレイステーション版 完全攻略ガイド (in Japanese). MediaWorks. 10 January 1999. pp. 168–173. ISBN 4073107178.
  23. ^ "Game Search (based on Famitsu data)". Game Data Library. 1 March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9. Retrieved 16 March 2020.
  24. ^ Cifaldi, Frank (20 April 2011). "Latest Super Robot Wars Dominates Japanese Sales Chart". Gamasutra. UBM Technology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2014. Retrieved 21 August 2020.
  25. ^ Fahey, Rob (8 August 2005). "Japan Charts: Banpresto's Super Robot Wars scores another No.1". Gamesindustry.bi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20. Retrieved 21 August 2020.
  26. ^ Romano, Sal (27 March 2019). "Media Create Sales: 3/18/19 – 3/24/19". Gemats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ugust 2020. Retrieved 21 August 2020.
  27. ^ [1] 반다이남코 그룹 팩트북 2020, 페이지 05
  28. ^ Bailey, Kat (22 March 2019). "Super Robot Wars T Is Out Today, and We're Here to Answer Your Questions About Where to Find It and More". USgamer. Reedpo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rch 2019. Retrieved 21 August 2020.
  29. ^ "Super Robot Wars 30 RPG's New Video Unveils More Titles in Lineup, October 28 Launch".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