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제너럴
London General![]() |
![]() | |
![]() | |
부모 | Go-Ahead 그룹 |
---|---|
설립됨 | 1989년 4월 1일; | 전
본부 | 머튼 |
서비스 영역 | 대런던 |
서비스형 | 버스 서비스 |
디포 | 10 |
웹사이트 | www.goaheadlondon.com |
런던 제너럴(London General)은 그레이터런던에서 운영하는 버스 회사다. Go-Ahead 그룹의 자회사로 Transport for London과의 계약에 따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회사는 1855년에서 1933년 사이에 런던의 버스 운영 주체인 런던 제너럴 옴니버스 회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역사
현대식 런던 제너럴은[1] 1989년 4월 1일 런던 버스가 11개의 개별 사업부로 나뉘어 운영되기 시작했다. 그것의 원래 로고는 그 이름의 역사를 반영하는 옴니버스였다. 1994년에 그 회사는 경영진 매수에서 매각되었다가 1996년 5월에 Go-Ahead 그룹에 매각되었다.[2]
그 회사는 머튼 버스 차고지와 인접한 머튼에 있는 주소로 사무실을 옮겼다. 2008년 8월, 고어헤드의 런던 버스 운행이 모두 고어헤드 런던 무역 명칭을 채택했지만, 개별 회사 이름은 여전히 로고 아래에 적용되고 있다.
고어헤드는 2009년 10월 런던 교통에서 이스트 테임즈 버스의 구매를 완료하고 런던 제너럴에 편입시켰다. 런던 교통의 통상적인 관행은 입찰에 투입하는 것이지만, 런던 총경은 입찰 절차를 거치지 않고 모든 이스트 테임즈 버스 노선에 대해 새로운 5년 계약을 시작했다.
2012년 3월, 퍼스트 런던의 노섬벌랜드 공원 차고가 매입되었다. 2014년 4월 1일 크로이돈과 오핑턴에 있는 메트로버스 디포장의 런던 운영은 런던 제너럴에 통합되었다. 2014년 4월 25일, 차량 및 운영자 서비스 기관은 메트로버스 버스를 수용하기 위한 런던 제너럴의 면허를 공식적으로 증가시켰다.[3][4][5] 하지만 2014년 9월처럼 버스에는 메트로버스 브랜드가 계속 실려 있었다.
차고
런던 제너럴은 9개의 버스 차고지를 운영하고 있다.
서튼 (A)
2020년 2월 현재 서튼 차고지는 80번, 93번, 151번, 154번, 213번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6]
역사
런던 제너럴 옴니버스 회사가 3만 파운드의 비용으로 1924년 1월에 개업한 서튼 차고지는 100대의 버스를 수용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1926년까지 40대의 버스만을 보유하면서, 차고의 절반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이것은 지하도가 모르덴으로 확장되고 그 지역의 주요 주택 건설 프로젝트에 의해 다소 바뀔 것이다. 1945년과 1953년 사이에 D182 - D281에 해당하는 완화된 다임러(Ds로 분류됨)의 할당량은 정확히 100이었다. 1952년까지 차고지에는 128대의 버스가 할당되었는데, 주로 주변 도로에 주차하는 버스를 통해 달성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곧 다시 하락하여 1966년 100명, 1976년 82명, 1987년 62명으로 줄어들 것이다. 차고는 1985년 민영화를 앞두고 다시 태어난 런던 종합버스 회사로 넘어갔다. 서튼 차고 또한 시티라마가 계약을 철회한 후 1989년에 콜리어스 우드(AA)의 한 야드에서 200번 노선을 부분적으로 통제했다. 서튼은 이 서비스를 위한 운전기사 제공을 담당했고, 머튼 정비소는 유지보수를 하기로 계약되었다. 1994년까지 차고지 할당은 서리군의회에 하청하는 10대의 버스를 포함해 85대의 버스와 2001년에는 다시 92대로 늘어났다.
서튼은 또한 1964년 카샬턴 차고가 문을 닫았을 때 도왔다.[citation needed]
퍼트니 (AF)
퍼트니 차고지는 2020년 3월 현재 노선 14, 22, 74, 209, 337, 378, 424, 430, N22, N74를 운영하고 있다.[6]
역사
1880년대의 말 버스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첼버튼 로드 차고지는 1912년에 모터버스 차고지로 개조되었다. 차고는 변두리가 완만한 샛길에 잘 숨겨져 있지만 112가 할당되어 있다. 그것은 처음에 1935년에 그리고 다시 1985년에 두 번 현대화되었다. 그 차고는 1940년에 전후 RTs를 할당받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는데, 이것이 STLs를 대체했다. 전쟁 중에 차고는 이용률이 저조하여 면허가 없는 버스를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푸트니로 개칭한 이 차는 1963년 푸트니 브리지 차고(F)가 폐쇄된 후, 런던 중심 노선에 대해 짧고 긴 휠베이스 AEC 루테마스터를 받기 시작했다. 루테마스터들은 2005년 7월까지 차고에 남아 있었는데, 그 때 14대와 22대가 모두 저층 1인용 버스로 개조되었다.
머튼(AL)
2020년 5월 현재 머튼 차고지는 44, 57, 131, 152, 163, 164, 200, 219, 280, 413노선을 운영하고 있다.[6] 그것은 또한 세인트루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서리 카운티 의회를 대신해 캐터햄 지역과 학교 사이를 운행하는 베데스 스쿨 전용 버스 514번과 519번 운행한다.
역사
이 차고는 1960년에 현대화되었고, 1991년에 다시 새로운 지붕이 설치되고 다양한 상점들과 복지 구역들이 이전되어 이전에는 길고 좁았던 더 크고 방해받지 않는 주차 공간을 제공하게 되었다. 메르튼은 1988/9년 시티드라마 관광업체 철수 후 200번 노선 차량 정비도 담당했고, 서튼 차고에서 노선을 운행했다.
차고는 랠리 하우스, 미치암 매각, 옆방의 옛 펍(킹스 헤드, 머튼) 인수 등에 이어 고어헤드 런던 본사가 됐다.[citation needed]
크로이돈(C)
크로이돈 차고지는 2020년 9월 현재 119, 127, 197, 355, 359, 403, 434, 455, 463, S1, X26 노선을 운영하고[6] 있다.
역사
베팅턴 레인 창고는 메트로버스에 의해 2005년 12월에 개업하여 센트라가 일찍 투항한 127번 노선을 수용하였다. 2006년 2월에 차고 건물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었다. 이 차고는 오핑턴으로 이전한 146번과 246번을 제외하고 고드스톤에서 운행하는 런던 노선을 인수했다. 2014년 4월 고어헤드는 메트로버스로부터 이 차고(및 크로이돈)를 인수했지만 차고지는 여전히 같은 곳에 있다.
오핑턴(MB)
그린 스트리트 그린 차고지는 2020년 8월 현재 노선 126, 138, 162, 208, 227, 233, 320, 352, 354, 354, 358, 654, R1, R2, R3, R4, R4, R5, R6, R7, R8, R9, R10, R11을 운영하고 있다.[6]
역사
전 농장인 그린 스트리트 그린 창고(Green Street Green depot)는 1986년 61번 노선 수상 이후 수년간 메트로버스의 모든 런던 공여 노선의 유일한 차고였다. 보다 최근에는 고드스톤에서 노선이 운영되었고 2005년 12월에 새로운 입찰에 대처하기 위해 크로이돈에 새로운 창고가 건설되었다. 2005년 중반에 주요 재건축은 개선과 확장을 위해 그린 스트리트 그린 현장에서 시작되었다. 이 작품들이 진행되는 동안 사우스랜드 트래블이라는 기지의 베이스 옆 세븐룩스에서 임시 기지가 사용되고 있었다.
노섬벌랜드 공원(NP)
노섬벌랜드파크 차고지는 2021년 2월 현재 노선 67, 76, 106, 184, 212, 214, 230, 232, 357, 379, 444, 456, 476, 657을 운영하고 있다.[6]
역사
Capital Citybus는 1995년 말에 경영진에 의해 인수되었고, 그 후 1998년에 First Group이 First Capital이 되었다.
2012년 3월 퍼스트 그룹은 노섬벌랜드 공원 차고지를 노선의 계약, 차량 및 직원과 함께 런던 제너럴의 일부가 되면서 노섬벌랜드 주차장을 매각했다.[7] 2017년 10월 13일 257번 국도가 스테이지코치 런던(동부 런던)으로 이관되었고, 2018년 6월 2일 491번 국도가 메트로라인으로 이관되었다. 2018년 6월 9일 231번 노선이 메트로라인으로, 327번 노선이 설리번 버스로 환승되었다.
워터사이드 웨이(PL)
2020년 2월 워터스사이드웨이, 윔블던 차고 등이 39번, 485번, 493번 노선을 운행했다.[6] 이 창고는 또한 훈련 버스 기단의 창고 역할을 한다.
워털루(RA)
워털루 정비소는 레드 애로우 153, 507, 521번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6]
역사
이 차고는 1980년대 초 레드 애로우 차고로 문을 열었고 1990년대에는 11번 도로에 AEC Routemasters가 할당되었다. 그 차고는 주거지와 가깝기 때문에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만 운영된다.
2002년 6월, 레드 애로우 레이랜드 내셔널스는 런던 최초의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연결 버스로 대체되었다. 이것들을 안정시키는 데 필요한 여분의 공간 때문에, 11번 루테마스터 노선은 스톡웰 차고로 옮겨졌다. 2009년 9월, 관절형 함대는 메르세데스-벤츠 O530 시타로 교체되었다.
스톡웰(SW)
2021년 10월 현재 Stockwell Garage는 11, 77, 87, 88, 93, 118, 155, 175, 322, 432, 670, G1, N11, N44, N87, N155[6] 노선을 운영하였다.
역사
부지에 서 있던 주택의 거주자들을 재입주시키는 문제와 공급 부족이 많은 많은 재료로 거의 4년간의 계획과 건축을 거쳐 1952년에 문을 열었다.[citation needed] 스톡웰 차고는 목록에 등재된 건물로, 건축 시 73,350 평방피트(6,814m2)의 방해받지 않는 주차 공간을 위한 지지대가 필요 없는 새로운 지붕 구조를 포함하는 건축 설계의 걸작이었다.[citation needed] 사무실과 작업장은 차고 가장자리에 있지만 주차 공간을 전혀 차지하지 않는다. 운행 초기 며칠 동안 이 차고는 려레인(페컴)에서 이동한 178번 국도에서 11대의 버스만 운행했지만, 그 다음 단계인 전차 교체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일을 벌였지만, 여전히 용량은 많이 부족했다.
1953년 말과 1954년 초에는 77번과 77A번 노선(현재의 87년)이 채용 문제로 빅토리아 차고지에서 이전하면서 PVR을 110번으로 늘린 낭헤드가 폐쇄되면서 더 많은 작업이 이루어졌다. 1970년대 초에 런던 라운드 관광 투어는 스톡웰로 이동했다. 1984년 스톡웰은 MCW 메트로부스, 레이랜드 티탄스, 레이랜드 올림피아스, 데니스 도미네이터스, 볼보 아일사스로 구성된 170번 국도에서 비교시험을 실시하도록 선정되었다. 이 배분은 수년 동안 120명 정도 유지되었으나, 지난 몇 년 동안 증가했는데,[when?] 부분적으로는 워털루 차고에서 11번 도로를 완전히 통제한 탓이다.[citation needed]
이전 차고
만델라 웨이(MW)
2015년 5월 만델라 웨이, 버몬지 차고지에서는 1,453, 521, 624, 658 N1노선이 운행되고 있다.[citation needed] 2009년 이스트 테임즈 버스 구매에 포함되었다. 2017년 7월 28일 만델라 웨이 차고지는 버스 노선이 다른 차고지로 이전되면서 폐쇄되었다.[8][9]
벨베데레(BV)
벨베데레 차고지는 2015년 5월 현재 180, 244, 669, N1노선을 운행하고 있다.[citation needed]
역사
벨베데레는 1998년 해리스 버스가 크레포드로부터 이전한 사업장을 수용하기 위해 구입했다. 해리스버스는 2000년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노선과 차고지는 이스트 테임즈버스로 가장해 런던버스에 인수됐다. 이스트 테임즈버스는 2002년 이 회사가 영업을 중단했을 때 런던 이지링크 42번과 185번 등 폐업한 사업자들로부터 노선을 넘겨받아 런던버스의 자회사로 남아 있었다. 만델라 웨이(Melada Way)로 이전한 이후, 이 엔지니어링은 현재 그곳에서 이루어졌지만 벨베데레에는 제한적인 엔지니어링 시설이 존재한다.
2009년 10월, 이스트 테임즈 버스는 고어헤드 런던에 팔렸다. Go-Ahead가 구매한 결과 일부 노선 및 할당 이동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예정이다.
벨베데르는 런던 제너럴 차고였지만 런던 센트럴의 벡슬리히트 차고 위성으로 운영되었다. 벨베데르의 모든 공학과 함대 및 직원 관리는 벡슬리히트에서 수행되거나 조직되었다.
벨베데레 차고지는 임대기간이 만료된 2017년 12월 1일 문을 닫았다. 180번과 N1번 노선은 그리니치에서 최근에 개통된 모르든 워프 버스 차고지로, 244번과 669번 노선은 벡슬리히스로 갈아탔다.
참고 항목
참조
- ^ 컴퍼니 하우스 추출 회사 번호 2328489 런던 일반 운송 서비스 유한회사
- ^ Go-Ahead 연차 보고서 1996년 6월 29일 Wayback Machine Go-Ahead Group plc에 2012년 11월 23일 보관
- ^ 고어헤드 런던은 2014년 4월 27일 메트로버스의 차고지를 버스토크 발행으로 환영한다.
- ^ "고어헤드 런던 내 메트로버스" 런던버스 (런던 옴니버스 견인 협회) 발행 2014년 6월 7일자 598면
- ^ "고 어헤드 런던" 버스 매거진 713호 2014년 8월 71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1] 고어헤드 런던
- ^ Go-Ahead Group, Wayback Machine Go-Ahead Group 2012년 3월 19일에 2013년 7월 4일 보관된 Northumberland 공원 버스 창고 인수
- ^ 만델라 웨이 차고가 거의 10년 만에 문을 닫았고, 2017년 8월 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다.
- ^ "런던의 새로운 차고" 버스 매거진 발행 750페이지 2017년 9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