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비아 해첼

Sylvia Hatchell
실비아 해첼
Sylvia Hatchell.JPG
상세 내역
태어난 (1952-02-28) 1952년 2월 28일(70세)
노스캐롤라이나 주
모교카슨 뉴맨
테네시 주
지도 경력(기재가 없는 한 HC)
1974–1975테네시(JV)
1975–1986프랜시스 마리온
1988미국 올림픽 팀(Asst)
1986–2019노스캐롤라이나
헤드코칭 기록
전반적으로.1023–405 (.716)
업적과 명예
선수권 대회
  • NCAA 디비전 I 챔피언(1994년)
  • 3배 NCAA 디비전 I 파이널 4 (1994, 2006 ~2007)
  • NAIA 챔피언(1986년)
  • AIAW 챔피언 (1982)
  • 8×ACC 토너먼트 우승(1994, 1995, 1997, 1998, 2005-2008)
  • ACC 정규시즌 4회 우승(1997, 2005, 2006, 2008)
어워드
농구 명예의 전당
2013년 취임
여자 농구 명예의 전당

실비아해첼(Sylvia Ryne Hatchell, 1952년 2월 28일 ~ )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에서 마지막으로 코치직을 맡았고 NCAA 여자 농구 역사상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둔 전 미국 여자 농구 코치이며, 전 테네시 코치 팻 서밋, 스탠포드 코치 타라 밴더버버, UCON 코치에 이어 5번째였다.그녀는 1994년 [1][2]타이베이에서 열린 존스컵 팀의 감독으로 USA 농구와 경쟁했다.해첼은 2004년에 여자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19년 4월 2일, 해첼과 3명의 보조는 인종적으로 무신경한 발언과 [3][4]부상당한 선수들에게 경기를 강요했다는 비난에 따라 행정직 휴직 처분을 받았다.2019년 [5]4월 18일 노스캐롤라이나 주 감독직을 사임하였다.

대학.

Hatchell은 Carson-Newman College를 1974년에 체육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습니다.그녀는 이듬해 [6]테네시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마쳤습니다.

코칭

해첼은 1974년 중학교 여자 농구팀의 코치를 부탁받았을 때 코치가 천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그 후 테네시 대학교 농구 주니어 대학 코치로 잠시 활동한 후 프란시스 마리온 칼리지에서 코치가 되었고, 이후 11년간 272승 [6]80패의 기록을 세웠다.

1986년, 해첼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에서 총감독직을 맡았다.해첼의 지도 하에 타르 힐스는 미국 최고의 농구팀 중 하나가 되었고 NCAA [6]토너먼트의 주역이 되었다.

Hatchell의 경력의 하이라이트는 1994년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이었다.루이지애나 공대와의 타이틀 게임은 토너먼트 역사상 가장 흥미진진한 경기 중 하나였다.루이지애나 공대는 경기 시작 14초 전에 득점하여 59-57로 2점 앞서고 있었다.UNC의 토냐 샘슨은 경기를 4초 남겨두고 동점 슛을 시도했지만 들어가지 않았다.타르 힐스가 볼을 반동시켜 경기 시작 0.7초만을 남겨두고 타임아웃을 선언했다.스테파니 로렌스는 [7]부저에서 20피트 점프슛을 성공시켜 3점슛을 성공시킨 샬롯 스미스에게 공을 넘겼다.

2009년, 해첼은 800승 고지에 오른 네 번째 여자 농구팀 감독이 되었다.타힐스가 승리를 거두기 위해서는 연장전이 필요했기 때문에, 그 승리는 경쟁자인 노스캐롤라이나 주를 상대로 한 것이었고,[8] 힘든 일이었다.UNC는 2006년 [9]1월 16일 해첼의 700번째 승리를 위해 같은 상대와 맞붙었다.

2013년 10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은 해첼은 코치직에서 물러나야 했다.9월 정기검진에서 백혈구 수치가 낮아 결국 진단이 나왔다.1989년 1월 아들 출산을 위해 경기 코치를 빠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그녀는 UNC의 Lineberger 종합 암 [10]센터에서 적극적인 항암 치료를 받았다.2014-15시즌이 시작되면서 코치를 재개할 수 있었다.

노스캐롤라이나주는 2016년 9월 22일 해첼의 계약을 2019-20 시즌까지 연장했다.이 계약은 원래 [11]2018년에 만료될 예정이었다.

2017년 12월 19일, 해첼은 타르 힐스가 그램블링 [12]스테이트를 꺾으면서 여자 농구 역사상 통산 1,000승을 기록한 세 번째 감독이 되었다.

해첼의 아들 반은 2011년 UNC를 졸업하고 2010-11년 남자 농구팀의 [13]실전 시니어였다.

2019년 4월 18일, 실비아 해첼은 UNC 여자 농구 감독직을 사임했다.

헤드코칭 기록

출처: Francis Marion:[14]

통계의 개요
계절 팀. 전반적으로. 회의. 서 있는 포스트시즌
프랜시스 마리온 패트리어츠 (사우스캐롤라이나 AIAW) (1975–1982)
1975–76 프랜시스 마리온 23–9 AIAW 스몰 칼리지
1976–77 프랜시스 마리온 21–11 AIAW 스몰 칼리지
1977–78 프랜시스 마리온 22–11 AIAW 스몰 칼리지
1978–79 프랜시스 마리온 19–11 AIAW 스몰 칼리지
1979–80 프랜시스 마리온 20–8
1980–81 프랜시스 마리온 27–5 AIAW 스몰 칼리지
1981–82 프랜시스 마리온 27–7 AIAW 디비전 II 챔피언
프랜시스 마리온 패트리어츠 (NAIA 6구역) (1982–1986)
1982–83 프랜시스 마리온 23–7 NAIA 지역 7 2라운드
1983–84 프랜시스 마리온 28–5 NAIA 8강
1984–85 프랜시스 마리온 26–4 NAIA 8강
1985–86 프랜시스 마리온 36–2 NAIA 챔피언스
프란시스 마리온: 272–80 (.773)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대서양 연안 회의) (1986–2019)
1986–87 노스캐롤라이나 19–10 9–5 세 번째 NCAA 2라운드
1987–88 노스캐롤라이나 10–17 4–10 여섯 번째
1988–89 노스캐롤라이나 10–20 1–13 여덟 번째
1989–90 노스캐롤라이나 13–15 3–11 여덟 번째
1990-91 노스캐롤라이나 12–16 2–12 여덟 번째
1991–92 노스캐롤라이나 22–9 9–7 T–3번째 NCAA 2라운드
1992–93 노스캐롤라이나 23–7 11-5 T – 2번째 NCAA 스위트 16
1993–94 노스캐롤라이나 33–2 14–2 두 번째 NCAA 챔피언
1994–95 노스캐롤라이나 30–5 12–4 두 번째 NCAA 스위트 16
1995–96 노스캐롤라이나 13–14 8–8 다섯 번째
1996–97 노스캐롤라이나 29–3 13–1 첫 번째 NCAA 스위트 16
1997–98 노스캐롤라이나 27–7 11–5 넷째 NCAA 엘리트 에이트
1998–99 노스캐롤라이나 28–8 11–5 T–3번째 NCAA 스위트 16
1999–00 노스캐롤라이나 20–13 8–8 다섯 번째 NCAA 스위트 16
2000–01 노스캐롤라이나 15–14 7–9 일곱 번째
2001–02 노스캐롤라이나 26–9 11–5 두 번째 NCAA 스위트 16
2002–03 노스캐롤라이나 28–6 13–3 두 번째 NCAA 2라운드
2003–04 노스캐롤라이나 24–7 12–4 두 번째 NCAA 1라운드
2004–05 노스캐롤라이나 30–4 12–2 첫 번째 NCAA 엘리트 에이트
2005–06 노스캐롤라이나 33–2 13–1 첫 번째 NCAA 파이널 포
2006–07 노스캐롤라이나 34–4 11–3 두 번째 NCAA 파이널 포
2007–08 노스캐롤라이나 33–3 14–0 첫 번째 NCAA 엘리트 에이트
2008–09 노스캐롤라이나 28–7 12–4 넷째 NCAA 2라운드
2009–10 노스캐롤라이나 19–12 6–8 T-7번째 NCAA 1라운드
2010–11 노스캐롤라이나 28–9 8–6 여섯 번째 NCAA 스위트 16
2011–12 노스캐롤라이나 20–11 9–7 T~6위
2012–13 노스캐롤라이나 29–7 14–4 T – 2번째 NCAA 2라운드
2013–14 노스캐롤라이나 27–10 10-6 T-5위 NCAA 엘리트 에이트
2014–15 노스캐롤라이나 26–9 10–6 여섯 번째 NCAA 스위트 16
2015–16 노스캐롤라이나 14–18 4–12 12번째
2016–17 노스캐롤라이나 15–16 3–13 T-13일
2017–18 노스캐롤라이나 15–16 4–12 12번째
2018–19 노스캐롤라이나 18–15 8–8 여덟 번째 NCAA 1라운드
노스캐롤라이나: 751–325 (.698) 297–209 (.587)
합계: 1023–405 (.716)

전국 챔피언 포스트시즌 초대 챔피언
콘퍼런스 정규 시즌 챔피언 콘퍼런스 정규 시즌 및 콘퍼런스 토너먼트
디비전 정규 시즌 챔피언 디비전 정규 시즌 및 컨퍼런스 토너먼트 챔피언
콘퍼런스 토너먼트 챔피언

USA 농구

해첼은 1983년 7월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월드 유니버시티 게임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팀의 보조 코치였다.홍콩과의 첫 경기는 미스매치였다.미국 팀이 상대 팀을 134 대 23으로 세 자릿수 차이로 앞섰다.조이스 워커의 26점 만으로도 홍콩 팀 전체보다 많았다.프랑스와 서독과의 다음 두 경기는 더 박빙이었지만 미국은 여전히 각각 16점과 15점 차이로 승리했다.미국 팀은 루마니아와 맞붙어 14점 85-71로 졌다.다음 상대는 미국이 메달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겨야 했던 유고슬라비아였다.경기는 막상막하였으나 미국은 1점 86-85로 승리하여 루마니아와의 금메달 재경기로 향하였다.루마니아 팀은 힘차게 출발하여 하프타임에 6점 앞서고 있었다.미국 팀은 후반전에 상대팀에게 47 대 19로 득점하며 복귀했고, 경기에서 승리하며 금메달을 땄다.워커는 경기당 13.8점으로 미국 득점 선두였지만 데보라 템플 리는 [15]경기당 13.5점으로 근소한 차이로 뒤처졌다.

해첼은 1985년 7월 일본 고베에서 열린 월드 유니버시티 게임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팀의 보조 코치였다.한국, 유고슬라비아, 영국을 각각 25점 이상 차이로 꺾고 예선 3경기를 쉽게 이겼다.그들의 다음 경기인 중국과의 경기는 훨씬 더 가까웠지만, 미국은 5명의 선수가 두 자릿수로 득점하여 83 대 78로 승리했다.미국은 준결승에서 캐나다와 맞붙어 다시 5명의 선수가 두 자릿수 득점으로 85-61로 승리하며 소련과의 금메달 경기에 진출했다.미국은 후반전에 무려 18점이나 뒤졌다.그들은 재기를 시도했고, 마진을 줄였지만, 소련은 그들의 샷의 거의 55%를 치며 87-81로 금메달을 거머쥐었다.미국은 은메달을 받았다.카트리나 맥클라인[16]경기당 17.3득점, 7.7리바운드로 미국팀의 득점왕이자 리바운더였다.

해첼은 1986년 세계선수권대회와 1990년 올림픽에 출전할 미국 대표팀의 보조 코치로 임명되었다.세계선수권대회가 8월에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렸다.미국 팀은 타이베이에게 50점 이상의 승리를 거두며 힘차게 출발했다.미국팀은 계속해서 상대팀을 압도하여 예선 3경기를 승리하였고 헝가리에 15점 차로 승리하여 메달 플레이 라운드에 진출하였다.그들은 8강전에서 중국을, 준결승전에서 캐나다를 꺾고 개최국인 소련과 무패의 결승전을 치뤘다.비록 미국이 최근 친선 경기에서 소련을 이겼지만, 미국은 그 승리가 "요행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소련 팀이 더 컸지만, 미국 팀이 그들을 능가할 수 있었다.미국은 전반 8점으로 경기를 시작해 후반 15-1로 승부를 걸었고 설득력 있는 패션으로 108-88로 승리해 금메달과 세계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챔피언 [17]결정전에서 24득점 15리바운드를 기록한 셰릴 밀러가 이끄는 마지막 경기에서 선발진은 모두 두 자릿수 득점을 달성했다.

1994년, Hatchell은 1994 R의 감독을 맡았다.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윌리엄 존스.웬디 파머를 포함해 평균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한 4명의 선수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박빙의 승부를 펼쳤다.개막전에서 승리한 후, 미국 팀은 전년도 챔피언인 중화민국-캐세이 라이프와 맞붙었다.경기는 82 대 81의 승리를 거두며 마지막 초가 되었다.파머는 31점을 얻었고, 모든 것이 필요했다.카자흐스탄과의 경기에서 미국은 하프타임에 2점 뒤졌지만 다시 승리했다.미국은 캐나다와의 경기에서 하프타임에 2점 뒤졌지만 승리로 끝났다.미국은 그 다음 무패의 한국을 상대했고 승리를 거두었다.미국은 한 경기도 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금메달 경기에 진출하기 위해 난야를 꺾어야 했고 72-64로 승리하며 성공했다.한국과의 마지막 경기에서, 그 팀들은 규정 끝에 동점이 되어 연장전에 들어갔다.미국은 파머가 골대를 쳐서 1점 차로 앞서고 있을 때 1분 남짓 남짓한 상황에서 지고 있었다.한국은 두 번의 자유투 끝에 골을 넣었고, 최종 승기를 잡았지만, 제때에 슛을 올리지 못했다.미국은 8 대 0의 성적으로 금메달을 땄지만 많은 [18]접전을 벌였다.

1995년 해첼은 8월과 9월에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월드 유니버시티 게임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팀의 어시스턴트 짐 루이스, 케이 제임스, 클레메트 하스킨스와 함께 사령탑을 맡았다.미국은 8강전에서 유고슬라비아에 18점 차로 승리했을 뿐 승점 20점 차에도 미치지 못했다.러시아와의 준결승에서, 한국팀은 전반전 대부분을 뒤지고 10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2점 차로 앞서고 있었지만, 이후 25-4로 경기를 장악하기 위해 달려갔다.금메달을 따기 위한 마지막 경기는 이탈리아와의 경기였다.이탈리아 팀이 경기를 시작하기 위해 12 대 2로 출발했다.미국은 리드를 끊었지만, 절반에 9점이나 뒤졌다.미국은 후반전에 선두를 질주했지만 이탈리아는 10점 연속 대응으로 금메달을 거머쥐며 미국을 [19]은메달로 남겨놓았다.

그녀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보조 코치로 계속 활동했고 미국 팀도 금메달을 [20]땄다.

해첼은 1995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월드 유니버시티 게임에서도 미국팀의 감독을 맡아 은메달을 [21]땄다.

작가.

Hatchell은 농구 지도에 관한 두 권의 책을 공동 집필했습니다.

  • Hatchell, Sylvia; Jeff Thomas (November 15, 2005). The Baffled Parent's Guide to Coaching Girls' Basketball. International Marine/Ragged Mountain Press. ISBN 978-0-07-145923-5.
  • Hatchell, Sylvia; Jeff Thomas (June 22, 2006). The Complete Guide to Coaching Girls' Basketball: Building a Great Team the Carolina Way. International Marine/Ragged Mountain Press. ISBN 978-0-07-147394-1.

수상과 영예우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1994 Women's R. William Jones C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6, 2010. Retrieved July 2, 2009.
  2. ^ "Sylvia Hatche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Retrieved December 28, 2017.
  3. ^ Bonesteel, Matt (April 2, 2019). "UNC to investigate women's basketball program over 'issues raised by student-athletes'". Washington Post. Retrieved April 5, 2019.
  4. ^ Hobson, Will (April 4, 2019). "Sylvia Hatchell accused of racially insensitive remarks, forcing UNC players to play hurt". Washington Post. Retrieved April 5, 2019.
  5. ^ Boone, Kyle (April 19, 2019). "UNC women's basketball coach Sylvia Hatchell resigns after investigation reveals 'racially insensitive' remarks". CBS Sports. Retrieved April 22, 2019.
  6. ^ a b c d e f 포터 페이지 195-195
  7. ^ Kelli, Anderson (April 11, 1994). "Beat The Clock". SI.com. Retrieved June 5, 2010.
  8. ^ "Hatchell becomes 4th coach to 800 wins as UNC dominates OT". ESPN. January 11, 2009. Retrieved June 5, 2010.
  9. ^ "Tar Heels Return Home To Host Georgia Tech". CBS Interactive. Retrieved June 5, 2010.
  10. ^ AP (December 24, 2013). "Hatchell Fights Leukemia, Hopes To Coach This Year". WeeklyTimes. Retrieved December 24, 2013.
  11. ^ "UNC's Hatchell gets 2-year extension through 2019-20 seaso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8, 2016. Retrieved December 28, 2017.
  12. ^ Voepel, Mechelle (December 19, 2017). "UConn's Geno Auriemma, UNC's Sylvia Hatchell hit 1,000-wins mark". ESPNW. Retrieved December 19, 2017.
  13. ^ "Van Hatche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8, 2011.
  14. ^ "Francis Marion University Women's Basketball 2011-12 Media Guide". Francis Marion University. 2011. pp. 25–26.
  15. ^ "Twelvth [sic] World University Games – 1983". USA Baske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5, 2013. Retrieved June 5, 2010.
  16. ^ "Thirteenth World University Games – 1985". USA Baske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4, 2012. Retrieved June 5, 2010.
  17. ^ "Tenth World Championship For Women -- 1986". USA Baske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13. Retrieved May 17, 2013.
  18. ^ "1994 Women's R. William Jones Cup". USA Baske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8, 2013. Retrieved May 17, 2013.
  19. ^ "Seventeenth World University Games -- 1995". USA Baske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9, 2013. Retrieved May 22, 2013.
  20. ^ "Games of the XXIVth Olympiad – 1988". USA Baske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4, 2012. Retrieved June 5, 2010.
  21. ^ "Seventeenth World University Games – 1995". USA Basket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5, 2013. Retrieved June 5, 2010.
  22. ^ a b "Past Russell Athletic/WBCA National Coaches of the Year". Women's Basketball Coaches Association. Retrieved June 30, 2014.
  23. ^ "WBHOF Inductees". WBHOF. Retrieved August 1, 2009.
  24. ^ "USBWA Women's Honors". USBWA. Retrieved May 8, 2010.
  25. ^ "Naismith College Coach of the Year". Atlanta Tipoff Clu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 2013. Retrieved January 5, 2013.
  26. ^ "Sylvia Hatchell Voted AP Coach of the Year - Tar Heel Times - 4/2/2006". www.tarheeltimes.com. Retrieved April 19, 2016.
  27. ^ "Naismith Memorial Basketball Hall of Fame Announces Class of 2013" (Press release). Naismith Memorial Basketball Hall of Fame. April 8,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2, 2013. Retrieved April 17, 2013.

레퍼런스

  • David L. Porter, ed. (2005). Basketball: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ress. ISBN 978-0-313-30952-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