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민웰

Walter Meanwell
월터 민웰
Walter Meanwell.jpg
위스콘신 대학교 사진
상세 내역
태어난(1884-01-26) 1884년 1월 26일
리즈, 영국
죽은1953년 12월 2일(1953-12-02)(69세)
위스콘신 주
지도 경력(기재가 없는 한 HC)
1911–1917위스콘신 주
1917–1918미주리 주
1919–1920미주리 주
1920–1934위스콘신 주
관리직 경력(기재가 없는 한 AD)
1919–1920미주리 주
1933–1935위스콘신 주
헤드코칭 기록
전반적으로.280–101
업적과 명예
선수권 대회
3 헬름스 내셔널(1912, 1914, 1916)
3 프리모 포레타 내셔널(1912, 1914, 1916)
2 MVC(1918, 1920)
8 서부 회의 / 빅텐 (1912~1914, 1916, 1921, 1923, 1924, 1929)
농구 명예의 전당
1959년 취임(프로파일)
대학 농구 명예의 전당
2006년 취임

월터 E. 민웰(Meanwell, 1884년 1월 26일 ~ 1953년 12월 2일)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영국의 남자 농구 코치이다.영국 리즈 출신인 리즈는 위스콘신-매디슨 대학(1911-1917, 1920-1934)과 미주리 대학(1918-1920)의 미국 코치를 맡아 290-101의 종합 기록을 세웠다.

1911년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역사상 네 번째 농구 코치가 되었다.1915년에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그는 "닥" 또는 "리틀 닥"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미국 육군 의무대에서 복무했고 대위가 되었다.미주리 대학에서 2년간 근무한 후, Meanwell은 위스콘신으로 돌아왔다.오소리 팀은 그의 지도 아래 4개의 빅 텐 타이틀을 우승하거나 공유했다.1912년, 1914년, 1916년 위스콘신 팀은 헬름스 육상 재단과 프리모-포레타 파워 [1]폴에 의해 소급하여 전국 챔피언으로 선정되었다.Meanwell은 짧은 패스, 크로스 크로스 드리블, 타이트 존 수비를 특징으로 하는 경기 스타일을 가르쳤다.1934년 그는 코치에서 은퇴하고 위스콘신주 매디슨에서 죽을 때까지 의술을 했다.그는 1959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코치로 헌액되었다.

헤드코칭 기록

통계의 개요
계절 팀. 전반적으로. 회의. 서 있는 포스트시즌
위스콘신 오소리 (서양회의) (1911–1917)
1911–12 위스콘신 주 15–0 12–0 첫 번째 헬름스 내셔널 챔피언, 프리모 포레타 내셔널 챔피언
1912–13 위스콘신 주 14–1 11–1 첫 번째
1913–14 위스콘신 주 15–0 12–0 첫 번째 헬름스 내셔널 챔피언, 프리모 포레타 내셔널 챔피언
1914–15 위스콘신 주 13–4 8–4 세 번째
1915–16 위스콘신 주 20–1 11–1 첫 번째 헬름스 내셔널 챔피언, 프리모 포레타 내셔널 챔피언
1916–17 위스콘신 주 15–3 9–3 넷째
미주리 타이거스 (미주리 밸리 회의) (1917–1918)
1917–18 미주리 주 17–1 15–1 첫 번째
미주리 타이거스 (미주리 밸리 회의) (1919–1920)
1919–20 미주리 주 17–1 17–1 첫 번째
미주리주: 34–2 32–2
위스콘신 오소리 (빅텐 회의) (1920–1934)
1920–21 위스콘신 주 13–4 8–4 T–1차
1921–22 위스콘신 주 14–5 8–4 두 번째
1922–23 위스콘신 주 12–3 11–1 T–1차
1923–24 위스콘신 주 11–5 8–4 T–1차
1924–25 위스콘신 주 6–11 3–9 아홉 번째
1925–26 위스콘신 주 8–9 4–8 T-8일
1926–27 위스콘신 주 10–7 7–5 T~4위
1927–28 위스콘신 주 13–4 9–3 T–3번째
1928–29 위스콘신 주 15–2 10–2 T–1차
1929–30 위스콘신 주 15–2 8–2 두 번째
1930–31 위스콘신 주 8–9 4–8 T-7번째
1931–32 위스콘신 주 8–10 3–9 T-8일
1932–33 위스콘신 주 7–13 4–8 여덟 번째
1933–34 위스콘신 주 14–6 8–4 T – 2번째
위스콘신 주: 246–99 158–80
합계: 280–101

전국 챔피언 포스트시즌 초대 챔피언
콘퍼런스 정규 시즌 챔피언 콘퍼런스 정규 시즌 및 콘퍼런스 토너먼트
디비전 정규 시즌 챔피언 디비전 정규 시즌 및 컨퍼런스 토너먼트 챔피언
콘퍼런스 토너먼트 챔피언

레퍼런스

  1. ^ ESPN, ed. (2009). ESPN College Basketball Encyclopedia: The Complete History of the Men's Game. New York, NY: ESPN Books. pp. 532–33. ISBN 978-0-345-51392-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