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야생나귀
Syrian wild ass시리아야생나귀 | |
---|---|
![]() | |
1872년 런던 동물원의 시리아 야생 당나귀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젖꼭지 |
주문: | 페리소닥틸라속 |
패밀리: | 에쿠스과 |
속: | 에쿠스 |
종류: | |
아종: | †헤미푸스 |
삼항명 | |
†에쿠스헤미오누스헤미푸스 I. 제프로이, 1855 | |
동의어 | |
에쿠스 헤미오누스 |
흔히 헤미페,[2] 악다리,[3][4] 메소포타미아 또는 시리아 오나거로 [5]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시리아 야생 나귀는 아라비아 반도와 주변 지역에 서식하는 멸종된 오나거의 아종이다.그것은 오늘날의 이라크,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이란,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터키에 걸쳐 있었다.
묘사
어깨 [6]높이 1미터의 시리아 야생 당나귀는 가장 작은 말꼬리로 길들여질 [7]수 없었다.여름엔 황갈색 올리브색, 겨울엔 [6][8]옅은 모래색 등 계절에 따라 색깔이 바뀌었다.그것은 다른 사냥개들과 마찬가지로, 나무랄 데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아름다움과 [7]힘 때문에 순종 말과 비교되었다.
분포 및 서식
시리아 야생 당나귀는 사막, 반사막, 건조한 초원, 그리고 산 스텝에서 살았다.서아시아 원산으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터키,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에서 발견되었다.
생태와 행동
다이어트
시리아 야생 당나귀는 방목업자였어그것은 풀, 허브, 잎, 관목, 나뭇가지를 먹고 삽니다.
프레데이션
시리아 야생 나귀는 아시아 사자,[9] 아라비아 표범, 줄무늬 하이에나, 시리아 불곰, 아라비아 늑대, 카스피 호랑이의 먹잇감이 되었다.아시아 치타와 황금 자칼 또한 망아지를 먹었을 것이다.
인간과의 관계
시리아 야생 당나귀의 뼈가 터키 [10]괴베클리 테페에 있는 11,000년 된 고고학 유적지에서 확인되었다.기원전 제3천년의 쐐기풀은 고기와 가죽으로 가치가 있는 '사막의 동일체'(anshe-edin-na)를 사냥한 것을 보고하는데, 이는 E.h. emippus였을 [11]수도 있다.비록 시리아 야생 당나귀들이 그 자체로 길들여진 것은 아니지만, 텔브락의 중요한 사육 센터는 야생 당나귀와 쿵가라고 불리는 당나귀의 잡종을 생산했는데, 이것은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의 [11][12][13]엘리트들에게 높은 경제적, 상징적인 가치를 지닌 징병 동물이었다.그것들은 쐐기형 비문에 나타나며, 그들의 뼈는 기원전 3천 년기의 매장지에서 발견됩니다.이 잡종들의 크기는 두 부모 종 모두의 현대적인 예보다 커 역사적으로 쿵가를 번식시키는데 사용된 시리아 야생 나귀가 18세기와 19세기의 [11]먼 개체군에서 관찰된 개체들보다 더 컸다는 추측을 불러 일으켰다.
니네베에서 발견된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 미술품에는 사냥꾼들이 라소로 시리아 야생 나귀를 포획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아테네의 크세노폰은 기원전 370년의 아나바시스에서 시리아 야생 나귀를 언급한다.그는 그들이 타조, 흉상, 가젤 외에 시리아에서 가장 흔한 동물이었다고 보고한다.크세노폰은 마부들이 가끔 당나귀를 쫓고 당나귀들은 쉽게 말을 앞지를 수 있다고 말한다.그는 당나귀들이 말보다 조금 앞서서 말을 멈추고, 말들이 가까이 오기를 기다렸다가 다시 앞서 달리게 된다고 말했다.그는 나귀들을 주의 깊게 계획하지 않으면 잡기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크세노폰은 또한 당나귀의 고기가 더 부드러운 사슴고기 맛이라고 말했다.
이스마엘이 구약성서의 창세기에서 예언된 "야생 당나귀"일 수도 있다고 믿어진다.또한 구약성서인 ,, 시편, 예레미야, 시라크의 [14]신복음서에도 언급이 있다.The Qur’an, the main book of Islam, in Surat al-Muddaththir, refers to a scene of humur (Arabic: حُـمـر, 'asses' or 'donkeys' in plural form, حمار singular) fleeing from a qaswarah (Arabic: قَـسـورة, 'lion').이것은 가난한 [9]사람들의 복지를 지지하는 것과 같이 무함마드의 가르침을 반대하는 사람들을 비판하기 위해서였다.
최신 하이브리드
청동기시대 쿵가 외에도 19세기 후반 런던 동물원에 의해 몇 종의 현대 잡종이 생산되었다.1878년, 시리아 야생 당나귀와 인도 야생 당나귀(다른 아종)가 교배되었고, 1883년 시리아 야생 당나귀 수컷과 아비시니아 야생 당나귀 암컷 사이의 이종 교배는 "고운 동물"이지만 "악하고 [15]길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묘사되었다.
멸종
15세기와 16세기 동안 중동의 유럽 여행자들은 큰 [14]무리를 보았다고 보고했다.그러나 18~19세기에는 사냥과잉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고, 제1차 세계대전의 지역적 격변으로 인해 그 존재는 더욱 위태로워졌다.마지막으로 알려진 야생 표본은 1927년 요르단의 아즈라크 오아시스 근처의 알감스에서 치명적으로 촬영되었고, 마지막으로 포획된 표본은 같은 해 [16]비엔나에 있는 티쿨 쇤브룬에서 죽었다.
교환
시리아산 야생 당나귀가 멸종한 후, 이란산 페르시아산 오나거는 멸종된 헤미푸스 오나귀를 대체할 수 있는 적절한 아종으로 선택되었다.페르시아의 오나거는 사우디 아라비아와 요르단의 보호지역에 소개되었다.또한 투르크메니스탄 쿨란과 함께 이스라엘에 재도입되어 니게브 산맥과 요트바타 하이바 자연보호구역에서 야생 나귀 잡종을 번식시켰다.
관련 아종
- 몽골산 야생 당나귀(쿨란), 에쿠스 헤미오누스 헤미오누스
- 투르크메니아 쿨란(쿨란), 에쿠스 헤미오누스 쿨란
- 인도산 야생 당나귀(khur), 에쿠스 헤미오누스 쿠르
- 페르시아 오나거(구르), 에쿠스 헤미오누스 오나거
레퍼런스
- ^ Moehlman, P.D.; Feh, C. (2015). "Equus hemionus ssp. hemipp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7962A3144566. doi:10.2305/IUCN.UK.2015-4.RLTS.T7962A3144566.en. Retrieved 13 November 2021.
- ^ "hemippe". Merriam-Webster.com. Merriam-Webster. 2013. Retrieved 2013-02-06.
- ^ Bowling, Ann T.; Ruvinsky, Anatoly (2000-05-18). The Genetics of the Horse. CABI. ISBN 978-0-85199-925-8.
- ^ Gilbert, Allan S. (2002-01-01). "The Native Fauna of the Ancient Near East". In Collins, Billie Jean (ed.). A History of the Animal World in the Ancient Near East.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Section 1 The Near and Middle East. Vol. 64. Brill. pp. 1–75. doi:10.1163/9789047400912_002. ISBN 9789047400912.
- ^ Valerie Porter, Lawrence Alderson, Stephen J.G. Hall, D. Phillip Sponenberg (2016). Mason's World Encyclopedia of Livestock Breeds and Breeding. CABI. p. 48. ISBN 9781845934668.
{{cite book}}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a b Harper, Francis (1945). "Syrian Wild Ass". Extinct and Vanishing Mammals of the Old World. New York: American Committee for International Wild Life Protection. pp. 367–371. hdl:2027/mdp.39015023915971. LCCN 46000560. Retrieved 2013-02-07.
- ^ a b Samuel Sidney (1893). The Book of the Horse. Cassell & Co. Ltd. p. 180.
- ^ Mazin B. Qumsiyeh (1996). Mammals of the Holy Land. Texas Tech University Press. p. 191. ISBN 0-89672-364-X. - 시리아의 야생 엉덩이
- ^ a b 쿠란 74:41–51
- ^ Gorman, James (14 January 2022). "The kunga was a status symbol long before the thoroughbred". Science. New York Times. Retrieved 18 January 2022.
- ^ a b c Bennett, E. Andrew; Weber, Jill; Bendhafer, Wejden; Chaplot, Sophie; Peters, Joris; Schwartz, Glenn M.; Grange, Thierry; Geigl, Eva-Maria (2022). "The genetic identity of the earliest human-made hybrid animals, the kungas of Syro-Mesopotamia". Science Advances. 8 (2): eabm0218. doi:10.1126/sciadv.abm0218. PMID 35030024. S2CID 245963400.
- ^ Dolce, Rita (2014). "Equids as Luxury Gifts at the Centre of Interregional Economic Dynamics in the Archaic Urban Cultures of the Ancient Near East". Syria: Archéologie, Arte et Histoire. 91 (91): 55–75. doi:10.4000/syria.2664.
- ^ Weber, Jill A. (2017). "Elite equids 2: seeing the dead". In Marjan Mashkour; Mark Beech (eds.). Archaeozoology of the Near East. Oxford: Oxbow Books. pp. 340–352.
- ^ a b Botterweck, G. Johannes; Ringgren, Helmer & Fabry, Heinz-Josef (2003).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Vol. 12. Wm. B. Eerdmans Publishing. pp. 73–76. ISBN 0-8028-2336-X.
- ^ Gray, Annie P. (1954). Mammalian Hybrids: A checklist with bibliography. Farnham Royal, England: Commonwealth Agricultural Bureaux. pp. 49, 55–56.
- ^ Maas, Peter. "Equus hemionus hemippus". The Extinction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5-06. Retrieved 2009-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