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카 닐라칸티
Tajika Neelakanthi작가 | 닐라칸타 |
---|---|
나라 | 인도 |
언어 | 산스크리트어 |
제목 | 점성술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힌두교 경전과 문헌 |
---|
![]() |
관련 힌두교 문헌 |
타지카 닐라칸티(Tajika Neelakanthi)는 사마 싱 등의 초기 작품들을 바탕으로 안난타 데바의 아들 넬라칸타 타지카 샤스트라(Tajika Shastra), 넬라칸타(Nelakantha)에 대한 저명한 권위자에 의해 산스크리트 슬로카스에 쓰여진 힌두 점성학의 예측 부분에 관한 논문이다. 그는 1509년 또는 서기 1587년에 이 작품을 완성했다.[1] 넬라칸타는 또한 타지카 샤스트라를 바탕으로 한 호리 점성술에 관한 논문인 프라스나 탄트라도 썼다.[2]
타지카 닐라칸티(Tajika Neelakanthi)는 타지카 제도(인도에서 흔히 따라다니는 3대 시스템 중 하나)에 따라 바르샤팔라 차트의 작성과 읽기를 다루는 유명한 고대 문헌으로, 문타에게 할당된 역할, 즉 매년의 상승이 매우 중요한 특정 시스템이다.[4] 바르샤팔라 또는 연례 호로시경은 인도에서 채택된 많은 방법들 중 하나로 향후의 사건을 매일 거의 분 단위로 더 자세히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도별 차트는 치트라팍샤 아야남사를 사용하여 매년 결정되는 출생 시 태양의 경도를 기준으로 주조된다. 라그나는 태양이 같은 경도로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계산된다. 문타의 사용과 그 영주의 역할은 쓰이게 된 세 개의 다샤, 무르다, 요기니, 파타야니 중 어느 하나 못지않게 중요하다. 파라샤리 또는 하이미니 계통의 요가는 고려되지 않으며, 이 계통에는 자체적인 16개의 요가 세트가 있는데, 이 요가 세트는 대시 계와 함께 50개에 가까운 사함 또는 특수 민감한 지점에 배정된 요가들과 함께 결과를 읽어야 한다.[5][6]
참조
- ^ Madhugantagnja. "Tajika Neelakanthi original text with translation and commentary" (1976 ed.). Varanasi: Chaukhamba Amarbharati Prakashan.
- ^ Bangalore Venkata Raman (1970). Prasna Tantra original text, translation & commentary. Bangalore: Raman Publications.
- ^ "Annual predictions in Vedic astrology".
- ^ Dr. K.S.Charak (1996). A text book of Varshaphala:Vedic Technique of Tajika or Annual Horoscopy. Vedic Institute of Astrology. p. 33. ISBN 9788190100816.
- ^ "Vedic Astrology-Aryabhatt yearly progression".
- ^ "Best Astrologers in Hyderab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