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자니아 탕가
Tanga, Tanzania탕가 | |
---|---|
도시 | |
탕가의 항공 풍경. | |
좌표: 5°04°S 39°06°E / 5.067°S 39.100°E | |
나라 | 탄자니아 |
구역 | 북부 |
지역 | 탕가 |
컨퍼티드 타운 | 18911 |
컨퍼티드 시 | 2005년 7월 1일 |
정부 | |
• 유형 | 시의회 |
• 시장 | 오마리 굴레디 |
면적 | |
• 도시 | 536 km2 (1968 sq mi) |
인구 (2012년 인구조사) | |
• 도시 | 273,332 |
• 밀도 | 510/km2(1,300/sq mi) |
• 도시 | 221,127 |
시간대 | UTC+3(EAT) |
우편번호 | 211xx |
지역 번호 | 027 |
기후 | 오. |
웹사이트 | 시 웹사이트 |
1독일인들은 1891년 4월 잔지바르 술탄으로부터 해안 지역을 장악한 뒤 탕가를 읍으로 지정했다. |
탕가는 인도양 서쪽에 있는 탄자니아 최북단 항구도시와 주변 탕가 지역의 이름이다. 그것은 그 지역의 지역 본부다. 2012년 인구는 273,332명이었다. 탕가라는 이름은 '날개'[2]라는 뜻인 것으로 알려졌다.
탕가 시는 케냐와의 국경 근처에 있는 인도양에 자리잡고 있다. 탕가 항에서 주요 수출품으로는 시살, 커피, 차, 면 등이 있다. 탕가는 또한 북부 탄자니아 내륙의 많은 부분을 바다와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 종착역이다. 탄자니아 철도공사의 링크 선과 중앙선을 통해 탕가는 아프리카 그레이트 레이크 지역과 탄자니아 경제 수도 다르에스 살람과 연결된다. 그 도시는 탕가 공항이 운행한다.
항구와 주변은 탕가 생활의 중심이다. 그것은 몇몇 이웃에 여러 개의 시장을 가지고 있다.
역사
초기 역사
탕가에 대한 최초의 문서는 포르투갈에서 나왔다. 교역소는 포르투갈인들이 그들의 동아프리카 해안 영토의 일부로 설립되었고 1500년에서 1700년 사이에 200년 이상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다.[3]
오만 술탄국은 포르투갈인과 싸워 1700년 중반까지 맘바사, 펨바 섬, 킬와키시와니와 함께 정착촌을 장악했다.[4] 그 마을은 술탄 통치하의 상아와 노예의 무역항 역할을 계속하였다.[5]
탕가는 1873년 유럽 열강이 노예 무역을 폐지할 때까지 아랍 세계와 노예 무역의 번창 중심지였다.[4]
독일령 동아프리카
19세기에, 아프리카를 위한 스크램블에 대한 유럽인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독일인들은 탕가로 갔다. 독일인들은 1891년 잔지바르 술탄으로부터 탄자니아 본토 연안을 사들였다. 이 인수는 탕가를 읍내로 지정했고 독일 동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설립되었다.[6] 이 마을은 20세기 초 다르에스살람이 설립되기 전까지 독일의 식민지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탕가는 1889년 독일 동아프리카의 군사 직책으로 선정되었고, 1891년 구청이 되었다. 그 도시는 독일 점령하에 급속한 팽창과 계획적인 성장을 보았다. 국내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시 내에 전차선이 개발되었고 수출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항구가 건설되었다. 1896년 우삼바라 철도의 건설이 시작되어 1912년까지 모시로 확장되었다. 도로, 다리, 철도는 이 지역의 산업 성장을 촉진시켰고 오늘날에도 이 마을에서 여전히 운영되고 있는 많은 건물과 다리들은 독일 식민지 시대의 것이다. 지역 경제는 몇 년 전에 식민지로 가져온 시살 생산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고, 그 지역의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했다.[7]
영국령 동아프리카(케냐)에 가장 가까운 해안도시로서 탕가는 제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최전방에 있었다. 1914년 11월 4일 탕가 전투에서 영국군이 다시 상륙하여 1916년 7월 7일에야 함락되었다.[8] 전쟁이 끝난 후 영국은 탕가니카를 장악하고 이 도시를 계속 발전시키고 농업 잠재력을 이용했다. 1919년에 탕가는 그 나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였지만, 독립시에는 다르에스살람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독립 후
독립 초기에도 탕가항은 이 지역에서 시살 수출의 관문이 되었다. 그러나 우자마아 정책 채택에 따라 이 지역의 농업이 붕괴되고 도시의 가치가 상실되었다.[how?] 정부가 농업 무역과 시살 국제 가격 하락을 통제하면서 그 항구는 수익을 잃기 시작했다.[9]
이코노미
탕가 시멘트는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운송

공기연결
탕가는 작은 공항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두 개의 지역 항공사 오릭 항공과 연안 항공만이 다르에스 살람, 펨바 섬, 잔지바르에게 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4년에 공항은 3만 명 이하의 승객을 수용했다.[10] 또한 도시 주변 지역에 소수의 민간 공습이 있어 사유지와 주변 산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로 연결
탕가 시는 찰린제에서 맘바사까지 이어지는 A14 고속도로의 찰린제로부터 약 250km 떨어져 있다. 이 마을은 세게라에서 75km 떨어져 있으며, 세게라에서 A14와 B1을 연결하는 분기점이다. B1 고속도로는 모시와 북쪽 복도를 탕가로 연결하는 우회도로다.[11]
탕가 항
이 항구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항구로 그 뿌리는 6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2] 탕가 항은 탄자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항구로, 탄자니아의 초기 개발과 경제에 중요한 부분이다. 이 항구는 설치 용량의 90%로 운영되며 주력 화물은 시멘트 산업용 석탄으로 원유 생산품의 새로운 관문 방식이다.[13] 항만공사는 항만 증설 용량을 상향 조정하고 국내로 유입되는 화물에 대한 대체 항로를 제공할 주요 계획을 갖고 있다.[14]
레일 연결
탕가는 아루샤에서 끝나는 협궤 북부 철도망의 출발점이다. 이 노선의 건설은 19세기에 독일인에 의해 시작되었다. 2018년 탄자니아 정부는 57억의 탄자니아 실링을 투자하여 라인 재활에 힘썼다. 2019년 7월 현재 경유 화물열차가 다시 탕가 철도역을 출발하고 있으며 탕가~아루샤 간 여객수송은 2019년 9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15]
지리
기후
적도와 따뜻한 인도양에 근접했기 때문에, 이 도시는 모든 탄자니아 해안 도시들과 유사한 열대 기후 조건을 경험한다. 이 도시는 일년 내내 덥고 습한 날씨를 경험하며 열대 습하고 건조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Köppen: Aw. 연간 강수량은 약 1,290mm(51인치)이며, 평년에는 4월과 5월에 '장우', 11월과 12월에 '짧은 비'라는 두 가지 우기가 있다.[16]
헬스케어
탕가 지역의 의료기관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봄보 지역 병원
- 탕가 국립 의학 연구 센터
- 아마니 바이오메디컬 연구소
- 탕가 에이즈 워킹그룹
관광지
인근 관광명소로는 암보니 동굴, 갈라노스 온천, 사아다니 국립공원, 토텐 섬, URITI 탕가 박물관, 전쟁묘지와 기념관, 통고니 유적, 은두미 마을 방어공사, 음와롱고 모래사장, 보호해수욕장 등이 있다.
스포츠
탕가는 2015~2016시즌부터 축구클럽인 코스트어 유니온, JKT엠감보, 아프리카스포츠(와나 키마누만루)가 탄자니아 프리미어리그에 대표로 있다.
트윈 타운 – 자매 도시
Tanga는 다음과 같이 쌍을 이룬다.
갤러리
참조
- ^ Citypopulation.de 탄자니아 주요 도시의 인구
- ^ Gunther, John (1955). Inside Africa. Harper & Brothers. p. 407. ISBN 0836981979.
- ^ Gilbert, Erik (November 2002). "Coastal East Africa and the Western Indian Ocean: Long-Distance Trade, Empire, Migration, and Regional Unity, 1750-1970". The History Teacher. 36 (1): 7. doi:10.2307/1512492. ISSN 0018-2745.
- ^ Jump up to: a b Yanda, Benjamin Chad (2007-01-01). A Political Ecology of Land Use Change and Natural Resource Conflict in the Rukwa Valley, Southwestern Tanzania. ProQuest. pp. 14–16. ISBN 9780549263838.
- ^ "Tanga Tanzania".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2016-01-21.
- ^ "Tanga Region Tourism Guide". Retrieved 21 January 2016.
- ^ "Tanga History". tanga-line.tripod.com. Retrieved 2016-01-21.
- ^ "First World War.com - Battles - The Battle of Tanga, 1914". www.firstworldwar.com. Retrieved 2016-01-21.
- ^ Thomas, Graeme. "Fibre stories: Sisal starts a comeback in Tanzania - International Year of Natural Fibres 2009". www.naturalfibres2009.org. Retrieved 2016-01-21.
- ^ "Consolidated TAA Traffic Statistics Up to 2014". taa.go.tz. Tanzania Airports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anuary 2016. Retrieved 21 January 2016.
- ^ "Roads and Highways - COWI Group" (PDF). cowi.com. p. 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7-05. Retrieved 21 January 2016.
- ^ "Hope for growth as Pangani builds new jetty". Tanzania Standard News. Daily News. 19 January 2016. Retrieved 21 January 2016.
- ^ "Tanzania Harbors Authority" (PDF). pmaesa. Port Management Association of East and Southern Africa. Retrieved 23 December 2015.
- ^ "Tanzania to tackle Tanga congestion". Port Strategy. 1 December 2011. Retrieved 23 December 2015.
- ^ "Why Tanzania, Kenya and Uganda are falling back to old railway". The Citizen. Retrieved 29 July 2019.
- ^ Jump up to: a b "CLIMATE: TANGA". climate-data.org. Retrieved 21 January 2016.
- ^ "Städtepartnerschaften Eckernfördes". eckernfoerde.de (in German). Eckernförde. Retrieved 2020-10-25.
- ^ "Kansainvälinen toiminta ja yhteistyö". kemi.fi (in Finnish). Kemi. Retrieved 2020-10-25.
- ^ "Sister Cities". toledosistercities.org. Toledo Sister Cities International. Retrieved 2020-10-25.
- 바이런 파웰, 1914-1918년 아프리카 대전 (W. W. Norton, 19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