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소나이트

Tausonite
타우소나이트
Tausonite.jpg
일반
카테고리산화광물
공식
(기존 단위)
스르티오3
스트룬츠 분류4.CC.35
크리스털 시스템큐빅
크리스털 클래스헥소옥타헤드랄(m3m)
H-M 기호: (4/m 3 2/m)
스페이스 그룹Pm3m
단위세포a = 3.9 å; Z = 1
식별
적갈색, 적갈색, 주황색, 짙은 회색
수정습관입방체 및 팔면체 결정, 세분화, 질량
클라바주없음
골절콘코이드
고집브리틀
모스 눈금 경도6-6.5
루스터아모스티나인
발데인성반투명 투 불투명
비중4.88
광학 특성등방성
굴절률n = 2.40
참조[1][2][3]

Tausonite는 드물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티탄산 스트론튬의 광물 형태: 화학 공식: SrTiO3.그것은 빨간색에서 주황색 갈색 입방정정과 결정질량으로 발생한다.

페로브스카이트 그룹의 일원이다.

1982년 러시아 동부-시베리아 지역 알단 실드의 지질학적으로 일부인 무룬 마시프, 올요크마-차라 고원, 사카 공화국, 야쿠티아, 타우소나이트 언덕의 시네이트 침입 사건에서 처음 설명되었다.[1]그것은 러시아의 지질 화학자 Lev Vladimirovich Tauson(1917–1989)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파라과이 컨셉시온 부서 사람비카르보나타이트 콤플렉스와 관련된 페나이트 에서도 보고되었다.[2]그리고 일본 혼슈 섬고타키일대를 따라 고압 변성암을 만들었다.[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