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리비아
Ancient Libya
라틴어 이름인 리비아는 아프리카 대륙을 가리켰다.베르베르는 고대 이집트에서 역사가 기록되기 전까지 수천 년 동안 이 지역을 점령했습니다.기후 변화는 정착지의 위치에 영향을 미쳤다.
좀 더 좁게는 리비아는 이집트 바로 서쪽 나라인 비즈 마르마리카(리비아 인페리어)와 키레나이카(리비아 슈페리어)를 지칭할 수도 있다.리비아 해 또는 마레 리비아쿰은 크레타 남쪽, 키레네와 알렉산드리아 사이에 있는 지중해의 일부였다.
헬레니즘 시대에, 베르베르인들은 베르베르 세계의 거주자들을 뜻하는 그리스어 용어인 리비아인으로 [1]알려져 있었다.그들의 땅은 "리비아"라고 불렸고 알려진 아프리카 대륙을 가리켰다.이집트에는 고대 리비아의 일부였던 시와 오아시스가 있다.베르베르어인 시위어가 여전히 이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름.
그리스 이름은 리부(Libu, 고대 그리스어: ββββδLibyes, 라틴어:리비아인).리비아라는 이름은 1934년부터 쓰였던 현대 국가 트리폴리타니아와 바르카라는 이름으로 고대 그리스어(아티크 그리스어: 【아티크 그리스어 : 【β】【리부】, 그리스어 :【β】【리부】에서 유래했다.고전 그리스에서, 이 용어는 유럽과 아시아를 합친 것에 비해, 고대에는 세계 육지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아프리카로 알려지게 된 대륙을 포함하면서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Libu족은 청동기시대 후반부터 이 지역에 거주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이집트 R'bw, 포에니어:(lby)리부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기원전 13세기 이집트 19왕조의 파라오인 람세스 2세와 그의 후계자 메르넵타에 관한 것이다.메르넵타 비석에는 [2]LBW가 민족 이름으로 등장한다.
메넬라오스는 트로이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그곳을 여행했다.그곳은 어린 양이 태어나자마자 뿔이 나고, 1년에 세 번 어린 양이 새끼를 낳고, 어떤 목동도 우유, 고기, 치즈가 부족하지 않은 곳이었다.
호머가 오디세이에서 리비아를 명명하다(IX.95; XX)III.311).호머는 이 이름을 지리적 의미로 사용하면서, 그 주민들을 "로터스-식인"이라고 불렀다.호메로스의 이름을 따서, 아이스킬로스, 핀다르, 그리고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이 그 이름을 사용합니다.헤로도토스(1.46)는 아프리카 대륙을 나타내기 위해 βββα Libu to를 사용했다.리부족은 피부가 밝은 북아프리카인이었고, 반면 이집트 남쪽(나일강의 엘리펀틴)은 그에게 "에티오피아인"[3]으로 알려져 있었다.이것은 시코루스와 같은 후기 그리스 지리학자들의 이해이기도 했다.
그리스인들이 실제로 630년대에 진짜 리비아에 정착했을 때, 이집트인들에게서 따온 옛 이름은 [4]리부족과 공존했을지도 모르는 키레나이카의 그리스인들에 의해 적용되었다.나중에, 그 이름은 성경에 레하빔과 루빔으로 쓰인 히브리어로 나타나 민족과 지리적 영토도 나타내었다.신푸니어의 비문에는 남성 명사는 Lby, [citation needed]여성 명사는 Lbt로 표기되어 있다.
라틴어는 그리스어와 포에니어에서 그 이름을 흡수했다.로마인들은 북아프리카 식민지화 이전에 로마인에 대한 포에니 전쟁에서 리비아의 역할 때문에 그들을 알았을 것이다.로마인들은 리브즈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바르카와 이집트의 리비아 사막을 지칭할 때만 사용했어요.다른 리비아 영토들은 "아프리카"라고 불렸다.
리비아 루비야라고 불리는 아랍 고전 문헌은 이집트 서쪽에[clarification needed] 투기지역이 있음을 나타낸다.현대 아랍어는 리비아어를 사용한다.아랍인들이 이븐 [5]바투타의 부족인 라타에는 주로 키레나이카에 있었던 베르베르 부족이었다.하지만 이 부족은 대서양에서 현대 리비아에 걸쳐 있었을지도 모릅니다.코리피우스에 의해 라구아탄이라고 불렸습니다.그는 그들을 모레스족과 연결시켰습니다.이븐 칼둔의 무카디마는 루와가 이 부족의 조상이라고 말한다.그는 베르베르인들이 복수형식의 이름에 "a"와 "t"를 추가한다고 쓰고 있다.그 후, 그것은 Lwat가 되었다.
반대로, 아랍인들은 아랍어의 복수형에 "h"를 추가하여 단수형으로 이름을 채택했다.이븐 할둔은 베르베르 문헌에 근거해 사드라타와 음자타 외에 라타족이 킵트족(이집트인) 출신이라고 주장한 이븐 하잠에 동의하지 않는다.이븐 칼둔에 따르면, 이븐 하잠은 베르베르 [6]학자들의 책을 읽지 않았기 때문에 이 주장은 옳지 않다.
역사학자 오릭 베이츠는 Libu 또는 LBW라는 이름이 Luwatah라는[7]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며 Libu라는 이름은 [clarification needed]Libu라는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역사
이집트의 역사에 비해 역사학자들은 리비아의 역사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 왜냐하면 남아있는 기록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고대 리비아에 대한 정보는 이집트의 이웃인 고대 그리스, 로마, 그리고 비잔틴에 의해 쓰여진 고고학적 증거와 역사적 자료와 중세 시대의 아랍인들에게서 나온다.
신석기 시대 이후 북아프리카의 기후는 건조해졌다.그 지역의 사막화의 상기할 어떠한 형태의 다양한고 방대한 숫자에서 현재와 살 수 없는 건조한 wastelands[표창 필요한]에서 발생하는 거석 유물:dolmens과 원이 스톤 헨지에 학살과, cairns, 지하 세포 바위에 실제로 거대한 석판을 얹barrows,step-pyramid-like 고분들에 의해 제공된다.[표창 필요한]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아직 서 있는 삼석조, 떨어져 있는 삼석조, 줄지어 서 있는 삼석조이며, 거대한 가로 [citation needed]대들보를 지탱하는 공통 받침대 위에 서 있는 두 개의 정사각형 직립으로 구성되어 있다.Tergurt 계곡에서 Cowper는 "원래는 18~20개의 거대 석기 3엽석이 일렬로 늘어서 있었고, 각각의 거대한 제단이 그 앞에 놓여 있었다"[8]고 말한다.
고대에는 페니키아인과 카르타고인,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리비아 참조), 알렉산더 대왕의 군대와 이집트 출신의 프톨레마이오스 후계자들이 리비아의 여러 지역을 통치했다.로마의 정복으로, 오늘날 리비아의 모든 지역이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제국의 몰락 이후, 반달과 비잔틴 제국의 지역 대표들도 리비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치했다.현대 리비아의 영토는 로마 시대까지 트리폴리와 키레나이카처럼 별개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키레나이카는 로마인이기 전에 그리스인이었다.펜타폴리스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5개의 도시"는 아폴로니아(마르사 수사), 아르시노에(토크라), 베레니케(벵가지), 바르카(메르즈) 항구와 함께 시레네(샤하트 마을 근처)이다.그리스 식민지 중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해안 평원은 키레나이카라는 이름을 따왔다.
이 다섯 도시는 서부 이탈리아 해안의 로마 시대의 펜타폴리스와 혼동되지 않고 서부 펜타폴리스로도 알려져 있다.
지리
고대 리비아의 정확한 경계는 알려지지 않았다.그것은[when?] 고대 이집트의 서쪽에 있었고 고대 [9]이집트인들에게는 "Tjehenu"로 알려져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리비아는 아시아, 유럽과 함께 알려진 세 대륙 중 하나였다.그런 의미에서 리비아는 나일강 계곡의 서쪽에 있는 아프리카 대륙으로 이집트 남쪽까지 뻗어 있었다.헤로도토스는 아프리카 주민을 두 민족으로 묘사했다.북아프리카의 리비아인들과 남쪽의 에티오피아인들.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리비아는 고대 이집트가 끝난 곳에서 시작해서 대서양 [citation needed]연안의 탕헤르 남쪽의 스파르텔 곶까지 확장되었다.
현대 지리학자들은 고대 리비아인들이 이 지역이 사막처럼 [citation needed]변하면서 숲과 신뢰할 수 있는 담수원, 그리고 사냥감을 잃었을지도 모른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후의 소스
이집트인 다음으로, 그리스인, 로마인, 그리고 비잔틴인들이 리비아의 다양한 부족들을 언급했다.후대의 부족 이름은 이집트의 부족 이름과 다르지만, 아마도 일부 부족은 이집트 자료와 후기의 부족 이름에서도 이름이 붙여졌을 것이다.Meshwesh-tribe는 이 가정을 나타냅니다.학자들은 라틴어로 "마자케스"와 "마자케스"로 불리는 반면, 헥타이오스의 마자예스와 헤로도토스의 막스예스라고 불리는 같은 부족일 것이라고 믿고 있다.이 모든 이름들은 베르베르인들이 자신들을 위해 사용했던 이름, [10]이마지겐과 유사합니다.
후기 소식통들은 리비아와 그 주민들에 대해 더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고대 역사학자 헤로도투스는 리비아와 리비아인들을 리비아 책으로 알려진 그의 네 번째 책에서 묘사한다.Pliny the Elder, Diodorus Siculus, Procopius도 현재 고대 리비아와 리비아인들의 주요 자료인 것에 기여했습니다.
"베르베르인의 역사"로 알려진 그의 책 키타브 엘리바르의 주요 부분을 헌정했던 이븐 칼둔은 리비아와 리비아인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아랍어 이름을 사용했다.올드 마그렙, 엘 마그리브 엘 카딤 및 베르베르(엘 바 또는 엘 바라베라)입니다.
고대 리비아(베르베르) 부족
고대 리비아에는 현재 멸종된 싸일리를 포함한 많은 부족들이 있었으며, 리부족이 가장 두드러졌다.고대 리비아인들은 주로 유목민으로 염소, 양, 그리고 다른 가축들을 먹고 살았다.우유, 고기, 가죽, 양털이 가축들에게서 음식, 텐트, 옷가지로 모아졌다.
고대 이집트 자료에는 긴 머리에 땋고 수염을 기른 리비아 남성들이 머리 정수리 주변의 가죽 띠에 깃털을 달고 염색과 프린트를 한 얇은 영양 가죽 옷을 입고 어깨를 가로지르고 종아리 중간 길이까지 내려와 로브를 만들고 있다고 묘사되어 있다.나이 든 남자들은 긴 수염을 땋았다.여성들은 남성과 같은 예복을 입고, 땋고, 장식된 머리를 하고, 남녀 모두 무거운 장신구를 착용했다.이집트 부조물에 담긴 리비아인들의 묘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볼 수 있는 전통적인 베르베르 문신과 매우 유사한 눈에 띄는 수많은 문신을 보여준다.무기는 활과 화살, 도끼, 창과 [citation needed]단도를 포함했다.
리비아에서 사용된 리비아 문자는 대부분 장례용 [11]문자였다.이해하기 어렵고 여러 [1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Ibn Khaldun은 Bertr과 Baranis로 [13][clarification needed]베르베르를 나누었다.
헤로도토스는 그들을 동리비아인과 서리비아인으로 나누었다.동부 리비아인들은 트리토니스 호수 동쪽의 유목민 목동이었다.서부 리비아인들은 트리토니스 [14]호수 서쪽에 사는 앉아서 일하는 농부들이었다.한때는[when?] 재앙적인[clarification needed] 변화로 인해 거대한 민물이 계절의 호수나 습지로 전락하기도 했다.
이븐 칼둔과 헤로도투스는 인종적 배경보다는 생활양식에 따라 리비아인을 구분한다.현대 역사학자들은 헤로도토스의 구별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그의 책 '동부 리비아인'에 나오는 오릭 베이츠가 그 예이다.프랑스의 역사학자 가브리엘 [15]캠프와 같은 몇몇 다른 역사학자들은 그들의 작품에 베르베르족의 현대 이름을 사용했다.
이들 자료에서[clarification needed] 언급된 리비아 부족은 "아디르마치대", "길리가마에", "아스비스타에", "마르마리대", "아우시새", "나사모네스", "마카에", "로토파기", "가라만테스", "가라만테스", "가트리비아인" 등이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및 메모
- ^ 철기 시대의 올리버, 롤랜드 & 페이건, 브라이언 M.(1975년) 아프리카: 기원전 500년경부터 서기 1400년까지.케임브리지: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47페이지
- ^ 가디너, 앨런 헨더슨 파라오의 이집트: 소개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런던, 페이지 273 ISBN0-19-500267-9
- ^ 북아프리카의 케임브리지 역사 그리고 이집트인으로서의 그들 사이의 사람들, 페이지 141.
- ^ Fage, J. D. (ed.) (1978) "리비아인들" 아프리카 케임브리지 역사: 기원전 500년경부터 AD 1050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영국 케임브리지, 페이지 141, ISBN 0-521-21592-7
- ^ 이븐 바투타의 전체 이름은 아부 '압도 알라 무함마드 이븐 '압도 알라 알-라와티 앳-탄지 이븐 바투타'였다.
- ^ 이븐 칼둔의 역사, 제3장 184-258페이지(아랍어)
- ^ 베이츠, 오릭 (1914)동부 리비아인들.런던: Macmillan & Co. 페이지 57
- ^ The Geographical Journal. Royal Geographical Society. 1897.
- ^ 중세 이집트어 간결한 사전, 레이몬드 오 포크너, 306페이지
- ^ 모하메드 샤피크, 이마지겐 33세기의 하이라이트 9페이지.
- ^ Chaker, Salem. "L'écriture libyco-berbère (The Libyco-Berber script)" (in Fren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anuary 2010. Retrieved 5 December 2010.
- ^ Chaker 스크립트
- ^ 이븐 칼둔, 이븐 칼둔의 역사:제30장 181-152페이지
- ^ [1] 기원전 430년경, 리비아의 역사로부터 헤로도토스
- ^ "가브리엘 캠프는 엑상프로방스 대학과 백과대학에 데뛰드 베르베르를[clarification needed] 설립함으로써 북아프리카 선사시대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엘리자베스 펜트레스와 마이클 브렛의 영어책 소개로부터, p.7).
외부 링크

- 고대 리비아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리처드 L. 스미스가 쓴 헤로도투스에서 이븐 칼둔까지 사하라를 가로지르는 소스 추적.
- 번슨, 마가렛"리비아"고대 이집트 백과사전.뉴욕: 파일 관련 사실, 1991년
- 로마 정복 이전 아프리카에는 누가 살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