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부틸람모늄
Tetrabutylammonium![]() | |
이름 | |
---|---|
선호 IUPAC 이름 N,N,N-트리부탄-1-아미늄 | |
기타 이름 테트라부틸람모늄 테트라부틸라자늄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체비 | |
켐벨 | |
켐스파이더 | |
드러그뱅크 | |
펍켐 CID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16H36N− | |
어금질량 | 242.472 g·190−1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불소화 테트라부틸람모늄 브롬화 테트라부틸람모늄 수산화 사트라부틸람모늄 수산화 사트라부틸람모늄 테트라부틸람모늄 헥사플루오로인산염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Tetrabutylammonium은 [N(CH49)]4+이라는 공식과 함께 2차 암모늄 계통이다.연구실에서 무기 음이온의 지방질 염을 조제하는 데 쓰인다.테트라에틸람모늄 유도체에 비해 테트라부틸람모늄염은 지방질이 강하지만 결정화되기 쉽지는 않다.
파생상품
단순 음이온의 일부 사트라부틸람모늄염은 다음을 포함한다.
- 데실레이션 시약인 테트라부틸람모늄 플루오르화.
- 염기 계량반응을 통한 다른 테트라부틸람모늄염의 전구체인 테트라부틸람모늄 브롬화.
- 저비용 촉매인 요오드화 테트라부틸람모늄.[1]
- 화학 합성에 사용되는 삼오디드 음이온의 공통 매개체인 사트라부틸람모늄 삼오디드.
- 산 염기 반응을 통한 다른 테트라부틸람모늄염의 전구체인 테트라부틸람모늄 수산화물.
- 무해한 전기 화학의 전해액인 테트라부틸람모늄 헥사플루오로인산염.
좀 더 복잡한 예제의 일부 사트라부틸람모늄염은 다음을 포함한다.
참고 항목
참조
- ^ Shi, Erbo; Shao, Ying; Chen, Shulin; Hu, Huayou; Liu, Zhaojun; Zhang, Jie; Wan, Xiaobing (2012-07-06). "Tetrabutylammonium Iodide Catalyzed Synthesis of Allylic Ester with tert-Butyl Hydroperoxide as an Oxidant". Organic Letters. 14 (13): 3384–3387. doi:10.1021/ol3013606. ISSN 1523-7060.
- ^ Klemperer, W. G. (1990). "Tetrabutylammonium Isopolyoxometalates". Inorganic Syntheses. Inorganic Syntheses. Vol. 27. p. 74–85. doi:10.1002/9780470132586.ch15. ISBN 9780470132586.
- ^ Bojes, J.; Chivers, T.; Drummond, I. (1978). "Heptathiazocine(Heptasulfurimide) and Tetrabutylammonium Tetrathionitrate". Inorganic Syntheses. Inorganic Syntheses. Vol. 18. p. 203–206. doi:10.1002/9780470132494.ch36. ISBN 9780470132494.
- ^ Ceriotti, A.; Longoni, G.; Marchionna, M. (1989). Bis(Tetrabutylammonium) Hexa-μ-Carbonyl-Hexacarbonylhexaplatinate(2−), [N(C4H9)4]2[Pt6(CO)6(μ-CO)6]. Inorganic Syntheses. Vol. 26. p. 316–319. doi:10.1002/9780470132579.ch57.
- ^ Christou, George; Garner, C. David; Balasubramaniam, A.; Ridge, Brian; Rydon, H. N. (1982). "9. Tetranuclear Iron-Sulfur and Iron-Selenium Clusters". Tetranuclear Iron-Sulfur and Iron-Selenium Clusters. Inorganic Syntheses. Vol. 21. p. 33–37. doi:10.1002/9780470132524.ch9. ISBN 9780470132524..
- ^ Barder, T. J.; Walton, R. A. (1990). "Tetrabutylammonium Octachlorodirhenate(III)". Inorganic Syntheses. Inorganic Syntheses. Vol. 28. p. 332–334. doi:10.1002/9780470132593.ch83. ISBN 9780470132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