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임즈 음악원

Thames Conservancy
그리드 기준의 템즈강 관리소의 경계 표시TQ092664월튼온테임스의 다리에서 상류로 약 100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템즈강 음악원(일반적으로 템즈강 음악원)은 영국의 그 의 관리를 책임지는 기관이었다. 1857년 런던 시의 관할권을 스테인레스까지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9년 후, 윌트셔크리클레이드에서 그레인 섬의 얀틀렛 크리크에 있는 바다까지 강 전체를 차지했다. 1909년 조수간(상하구)이 런던 당국 항구로 이관되면서 영토가 축소되었다.

1974년 환경보호국은 템즈강 수자원청에 넘겨졌고, 이후 환경청에 거의 모든 면에서 이양되었다.

역사

배경

1865년 건설중인 빅토리아 제방

런던 서쪽에 위치한 스테인레스 마을과 얀틀렛 크리크 사이의 강줄기는 리차드 더 라이온하트의 헌장으로 1197년부터 런던시에 의해 주장되어 왔다.[1] 관할 구역은 런던 스톤즈로 표시되어 있었다. 1771년 테임즈 항행위원회는 강에서의 항해를 처리하기 위해 20년 전에 만들어진 기구로 설립되었다.[2] 비록 위원들이 스테인 위에 자물쇠와 보를 설치하는 데 적극적이었지만, 그들은 런던시의 관할권에 간섭하지 않았다.

런던 시티 코퍼레이션은 19세기 초에 테딩턴에서 펜턴 후크까지 일련의 자물쇠를 만들었다.[3] 그들은 또한 선베리셰퍼턴 사이의 제방을 지탱하기 위해 철거된 올드 런던 브리지의 재료를 사용했다.[4]

그러나 1840년경 정부가 빅토리아 제방 건설을 제안하고 왕관이 강바닥의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그 분쟁은 17년 동안 계속되었다.[4]

한편, 철도와의 경쟁의 결과로, 강물의 교통량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통행료 수입은 1839년 1만6천 파운드에서 1849년 8천 파운드 미만으로 감소했고, 1850년 유지비는 거의 7천 파운드로 추산되었다.[5] 시가 필요한 지출에 대한 지불을 꺼리는 바람에 불만이 터져 나왔다. 1857년 템즈강 관리법에 의해, 왕관은 그 권리를 되찾아 새로운 기구에 양도했다.

제1회 음악원 (1857)

런던시는 1857년 10월 템즈강 음악원에 재고를 넘겼다. 1857년 6월, 테딩턴의 새 자물쇠의 첫 돌이 세 개의 자물쇠의 중심이 되어 현재 위치에 놓여 있었다. 음악원은 1858년 스키프 자물쇠("관"으로 알려진)와 함께 그것을 열었다.[6] 그리고 보수당은 곧 규제를 가했다. 1858년 테딩턴 록을 지나는 모든 증기선에 15실링의 통행료가 부과되었고, 제한속도는 시속 5마일로 설정되었다. 이것은 스트림과 함께 5mph로 수정되었고, 스트림에 대항하여 4mph로 수정되었다. 리치몬드에서 슈타인스로 가는 그물은 영원히 금지되었다. 새 당국은 토지 소유자의 간섭에 대해 낚시꾼의 권리를 재확인하고, 물관리원으로부터 통보를 받아 '미숙련자에게 보트를 빌려주는 관행 개선'[7]에 주목했다. 이때 상류 강의 대부분을 관리하는 것은 템즈 항행 위원들의 책임이었으나, 1866년에 이것이 바뀌었다.

제2회 음악원 (1866년)

1866년에는 강 전체의 항해를 하나의 관리하에 두는 것이 편법으로 여겨졌다. 템스 강의 자물쇠와 보가 너무 많고, 수입이 부족하여 유지비를 지불할 수 없었다고 한다. 상류를 적절히 유지하고 통행료를 전체적으로 낮추면 단일관리 하에서는 통행량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866년 8월 6일, 템즈강 항행법은 크리클레이드에서 얀틀렛 크리크까지 177마일(285km)의 거리를 두고 템즈강 음악원이 강의 관리를 맡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8]

Mapledurham Watermill은 1866년에 여전히 운영되고 있는 28개의 공장 중 하나이다.
햄프턴의 수도시설은

이 법에 따라, 모든 자물쇠 운하와 위원들의 다른 업무들은 관리소로 이관되었다. 또한 모든 보수가 개인 소유주로부터 관리원으로 이관될 수 있도록 조항이 추가되었다. 전 보 소유주들은 책임에서 해방되었지만, 버스콧과 이튼의 두 보리는 버스콧 공원의 소유주에게 남아 있었다. 대부분의 보들은 옥스포드와 스테인리스 사이에 여전히 운영되고 있는 28개의 물밀에 속했고, 많은 것들이 돔스데이 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제분소의 물 사용권을 인정받았다. 강이나 그 지류로 새로 유입되는 오수는 허용되지 않았고 기존의 하수공사를 없애기로 했다. 새로운 수익은 다섯 개의 회사 각각에 대해 연간 1,000파운드씩 인상되었다.[9] 사우워크와 보크홀, 그랜드 정션, 웨스트 미들섹스 물 회사들은 1850년대, 트레즈웨이에서 물을 가져가는 것이 불법이 된 후 햄튼에 그들의 작업을 시작했다. 람베스첼시 수상 회사들은 처음에는 시즈닝 웰스로 이전했지만, 후에 이스트 몰리시로 이전했다. 런던시가 강의 일부를 위해 강바닥을 소유했지만, 템즈강 위원회 위원들은 소유하지 않았고, 따라서 템즈강 음악원은 그 강바닥의 소유권을 이주민 소유주의 소유물로 남아 있는 스테인스(그리고 남아 있는) 위의 구역에 대해 강바닥의 소유권을 취득하지 않았다.

1866년 8월 환경보호국은 옥스포드와 윈저 사이의 공사를 검사했고 10월에는 통행료 표를 정했다.[10] 벨 위어 락은 6월에 붕괴되었고 다음 해에 재건되었다.[11] 1868년에 네 개의 자물쇠 중 세 개의 통행료가 옥스포드 위에 놓였다 – 세인트 존스, 부스코트, 핑크힐 자물쇠. 러시 록은 생략되었고 보에는 통행료가 없었다. 이것은 옥스퍼드 상공의 항행의 빈약한 상태를 반영한다.[12] 강의 나머지 부분에 있는 낡은 자물쇠 중에는 여전히 나무로 만든 펜이 있었고 이것들은 점차 새로 고쳐지거나 교체되었다. 1869년에 완성된 작품들에는 롬니 록의 재구축과 테딩턴에서의 보트 슬라이드의 추가가 포함되어 있다. 1870년 햄블덴 록벤슨 록이 재건되었고, 1871년 데이 록, 1872년 갓스토 락이 그 뒤를 이었다.[13] 1870년대에 테딩턴 웨어가 두 번이나 붕괴되어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4]

1872년 보수당은 러시 록을 수리함으로써 래드콧뉴브리지 사이의 항해를 재개하기로 약속했지만 1874년에 그들은 그 약속을 충족시킬 자금이 부족하다고 인식했다. 이 시기에는 특히 상류지역의 강물의 열악한 상태와 하수의 지속성에 대한 불만이 주기적으로 제기되었다.[15]

Weir, mill and walking at Hambleden. 웨이어,

자물쇠 교체는 1874년 쉬플레이크클리브, 1875년 케이버스햄, 1876년 휘처치, 1877년위어 등으로 이어졌다. 1883년 관리 사무소는 월링포드찰모어 홀에 있는 자물쇠를 제거했는데, 그 자물쇠는 오랜 세월 동안 월링포드의 주민들이 보관해 달라고 탄원한 후였다. Hambleden의 보들은 1884년에 지어졌고 강을 가로지르는 공공의 권리는 산책로를 건설함으로써 유지되었다. 브레이 락은 1885년에 재건되었다.[16]

1885년 테임즈 보존법이 통과되어 공공 휴양용 하천 보존을 봉안하였다. 우려의 대상이 된 강에서의 사격은 금지했다. 이 법은 "모든 사람이 여행이나 이익을 위해 여행하거나 모든 부분이나 강을 어슬렁거리는 것은 합법적"이라고 명시했다(사적인 삭감과는 별개로).[17] 그 강은 스포츠와 레저로 매우 유명해졌다. 많은 섭정이나 "수동적인 페트"가 선동되었고 1889년에 출판된 제롬 K 제롬의 "보트의 세 남자"는 전형적인 보트 여행에 대해 묘사했다.

리치먼드 록 앤 풋브리지

자물쇠 교체는 1888년 마쉬, 1890년 템플, 1892년 쿡햄으로 계속되었다. 최초의 새로운 자물쇠는 1892년 래드콧 록에 지어졌고, 체르티 록은 1893년에 연장되었다.[18] 1894년의 주요 작품은 리치몬드와 테딩턴 사이의 강에 최소한 5피트 8인치(1.73m) 깊이의 물이 항상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건설된 리치몬드 락과 웨어 콤플렉스였다.[19][20][21][22]

테임즈 관리법은 1894년에 통과되었는데, 주로 입법 정리에 관한 것이었다.[23] 그 관리원은 마침내 옥스포드 상공의 항해를 다루었고, 기존의 보를 통행권이 있는 곳에 자물쇠와 발다리로 교체했다. 새로운 자물쇠는 1896년 그라프톤 록노스무어 록, 1898년 시포드 록이었다. 또한 1898년에 보수당은 핑크힐과 러쉬를 재건했다.[24] 다운스트림, 보베니는 1898년에 재건되었고, 낡은 자물쇠는 보트 미끄럼틀로 대체되었고, 셰퍼튼도 1899년에 다른 정렬로 재건되었다.[25]

19세기 말에 이르러 선박의 규모와 런던 항구의 성장이 경영상의 문제를 일으켰고 1900년에 왕립 위원회는 한 기관이 항구를 책임질 것을 권고했다고 보고했다.

한편 테딩턴에서는 650피트(200m)의 강에서 가장 큰 자물쇠인 바지선 자물쇠가 1904–1905년에 건설되었다.[14] 1905년에 재건된 자물쇠는 아빙돈, 세인트존스, 소닝, 오스니 등이다. Molsey Lock은 1906년에, Mapledurham Lock은 1908년에 교체되었다.[26]

런던 항만 분리 후

데스버러 경(Lord Desborough) 회장, 1905년 취임

1908년 런던항법은 리치몬드 록을 포함한 타이드웨이의 책임을 1909년 3월 31일 런던 당국 항구로 이양하였고, 이 법은 1909년 3월 31일부터 업무를 시작하였다.[27] 테딩턴 록 아래 350야드(320m)의 오벨리스크가 있는 테딩턴트위킨햄의 해안가로 당국의 공동 경계선을 설정했다:[28] 템즈강 관리원은 크리클레이드와 테딩턴 사이의 비살상 강을 책임지고 있었다.

록 재구축은 1909년 펜턴 후크에서, 1910년 헐리에서 이루어졌다. 1912년에 그 음악원은 Ray Mill Island의 구매와 관련된 Boulter's Lock에서 주요 작업을 시작했다. 체르티 록은 1913년에 길어지고 마쉬 록은 1914년에 재건되었다. 고링 록은 1921년에 세 번째 중앙 관문으로 재건되었고 고스토 락은 1924년에 재건되었다. 1927년에 Sunbury에 새로운 자물쇠가 만들어졌고, 오래된 자물쇠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Marlow Lock과 Ifffley Lock은 같은 해에 재개발되었다. 1928년 옥스포드 상공의 항법 개선은 마침내 아인샴 락과 킹스록의 건설로 완성되었다.

데스버러 컷

그 다음 중요한 일은 1930년과 1935년 사이에 데스버러 컷을 파는 일이었다.템즈강 위브리지와 월튼 사이 직선 코스로 34 마일(1km)이 단축되었고, 셰퍼튼과 로어 핼리포드 지역을 지나 굽이굽이 늘어지는 것을 피했다.[29] 이 수로는 체르티와 올드 셰퍼턴의[30] 범람의 규칙성을 단절하고 그 강가의 이동 거리를 절반으로 줄였다.

1932년 테임즈 음악원법은 제트기 건설과 강에 상륙하는 무대를 다루었다.[31]

1960년대에 자물쇠의 현대화는 1961년 시플레이크 록에서 도입된 최초의 유압시스템으로 시작되었다. 샌포드 록은 1972년에 재건되었다.

거버넌스

20세기 보수당의 구조에 중대한 변화는 1930년 토지 배수법이 통과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많은 지역에 유역판배수판이 만들어졌지만, 테딩턴 위의 템즈강은 이 법의 79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별한 사례로 취급되었다. 관리원은 자동적으로 유역판이 되어 법 시행 후 2년이 지나서야 법 제34조에 기술된 배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새 정권의 일원으로 연임할 수도 있지만 기존 보수당원들은 모두 사퇴해야 했다.[32] 부칙 6에는 31명의 신규 위원 중 군 의회와 군 자치구의회 등으로 구성된 임명이 누구 책임인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1명, 통상교섭본부가 1명, 운수부 장관이 1명 등이었다.[33] 농림수산식품부 장관도 내부 배수판과의 협의를 거쳐 3명의 위원을 추가 선임할 수 있다. 새로운 관리자들은 법에 따라 그들의 활동과 1894년부터 1924년까지의 다양한 관리법에 의해 부여된 활동과 관련된 별도의 회계처리를 하도록 요구되었다.[32]

1948년 리버 보드 법은 잉글랜드와 웨일즈 전역을 커버하는 강 보드로 유역 판자를 대체했지만, 다시 템즈강 음악원은 특별한 사례로 취급되었다. 이 법은 강 위원회에 새로운 헌법, 재정, 일반 행정 권한을 도입했지만, 템즈강 관리 위원회는 1930년 법률 제정에 따라 계속 운영되었다.[34] 다음 변화는 1961년 토지 배수법이 통과되면서 일어났는데, 그 조항은 템즈강 관리원에 적용되었다. 비록 이 관리소가 다른 하천 위원회와 같은 방식으로 공식적으로 하천의 권위자가 되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테임즈 음악원은 리버 보드 법이 아닌 1950년과 1959년의 테임즈 음악원법에서 일부 권한을 얻었다고 이 법에 언급되었다.[35]

1973년 수법은 하천 당국을 폐지하여 10개 지역 수원으로 대체하였고 1974년 4월 1일 테임즈 수자원부가 신설된 테임즈 수자원부에 편입되었는데, 그 조직의 상당 부분이 템즈강 관리부로 그대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1989년 수도법의 결과로 1990년 템즈워터가 민영화되었을 때, 하천 관리 기능은 신 국립 하천 공단에, 1996년에는 환경청에 각각 넘겨졌다.[36]

템즈강 음악원이 만든 자물쇠

템즈강 음악원의 회장단

참조

  1. ^ 1914년, 페이지 199.
  2. ^ 1914년, 페이지 114.
  3. ^ 1914년, 페이지 205-209.
  4. ^ a b 1914년, 페이지 221.
  5. ^ 1914년, 페이지 230.
  6. ^ 타커 1920 페이지 470.
  7. ^ 1914년, 페이지 236–238.
  8. ^ 1914년, 페이지 239.
  9. ^ 1914년, 페이지 240–242.
  10. ^ 1914년, 페이지 242–243.
  11. ^ Thacker 1920, 페이지 382.
  12. ^ 1914년, 페이지 243–244.
  13. ^ Thacker 1920, 페이지 366, 277, 187.
  14. ^ a b Thacker 1920, 페이지 471.
  15. ^ 1914년, 페이지 248–251.
  16. ^ Thacker 1920, 페이지 257, 207, 234, 221, 383, 199–200, 277, 338.
  17. ^ 1914년, 페이지 252.
  18. ^ Thacker 1920, 페이지 266, 289, 315, 59, 409.
  19. ^ "The River Thames - Lock Details". www.the-river-thames.co.uk. Retrieved 31 October 2007.
  20. ^ "Richmond Lock and Weir". Port of London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07. Retrieved 31 October 2007.
  21. ^ "Mechanism - Richmond Lock". The Victorian Web. Retrieved 31 October 2007.
  22. ^ "Richmond Lock 2003". Christine Northea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31 October 2007.
  23. ^ 1914년, 페이지 253.
  24. ^ 태커 1920, 페이지 37-92.
  25. ^ Thacker 1920, 페이지 351, 425.
  26. ^ Thacker 1920, 페이지 39, 248, 447, 225.
  27. ^ "The Port of London". The Times (38921). 31 March 1909. p. 10. Retrieved 3 August 2019.
  28. ^ 1914년, 페이지 255.
  29. ^ "The Hundred of Spelthorne, Shepperton". Shepperton inf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December 2014.
  30. ^ "Shepperton Rotary Clu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ugust 2006.
  31. ^ 1932년 테임즈 음악원법
  32. ^ a b 돕슨 & 헐 1931 페이지 100–102.
  33. ^ 돕슨 & 헐 1931페이지 128-129.
  34. ^ 지혜 1966, 페이지 2
  35. ^ 지혜 1966, 페이지 163–164.
  36. ^ 하트 2005.
  37. ^ "Henley Royal Regatta Prizegiv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0.

참고 문헌 목록

  • Dobson, Alban; Hull, Hubert (1931). The Land Drainage Act 1930. Oxford University Press.
  • Hart, Dot (2005). "The River Thames — Its Management Past & Pres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11. Retrieved 27 February 2012.
  • Thacker, Fred S (1914). The Thames Highway:Volume I - General History. Republished by David and Charles 1968. ISBN 978-0-7153-4232-9.
  • Thacker, Fred S (1920). The Thames Highway: Volume II - Locks and Weirs. Republished by David and Charles 1968. ISBN 978-0-7153-4233-6.
  • Wisdom, A S (1966). Land Drainage. London: Sweet & Max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