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습니다.

That's All Right
"괜찮아요"
엘비스 프레슬리싱글
B면켄터키 주의 블루문
방출된1954년 7월 19일 (1954-07-19)
녹음된1954년 7월 5일
스튜디오, 멤피스, 테네시
장르.로커블, 로커블
길이1:57
라벨.
작곡가아서 크루드업
제작자샘 필립스
엘비스 프레슬리 싱글 연표
"괜찮아요"
(1954)
굿 로킹 투나잇
(1954)
오디오샘플

"That's All Right"는 1946년 녹음된 미국 블루스 가수 아서 크루업(Arthur Crudup)이 작사, 연주한 곡입니다. 1949년 3월 초 RCA 빅터에 의해 "That's All Right, Mama"라는 제목으로 재발매되었으며, 이는 RCA의 첫 번째 리듬 앤 블루스 음반으로 발매되었습니다.[1]

"That's All Right"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녹음하고 발표한 데뷔 싱글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프레슬리의 버전은 1954년 7월 5일에 녹음되었고,[2] "Blue Moon of Kentucky"를 B면으로 하여 1954년 7월 19일에 발매되었습니다. 이 곡은 2010년 롤링 스톤지가 선정한 "역대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중 113위에 올랐습니다.[3] 몇몇 평론가들은 프레슬리 버전을 첫 로큰롤 음반의 후보로 꼽았습니다.[4] 처음 발매된 지 정확히 50년이 지난 2004년 7월, 이 곡은 영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CD 싱글로 재발매되어 3위에 올랐습니다.

역사

곡은 아서 "빅 보이" 크루드업에 의해 작곡되었으며, 1946년 9월 6일 시카고에서 "That's All Right"로 녹음되었습니다. 가사 중 일부는 1926년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에 의해 처음 녹음된 전통적인 블루스 구절들입니다.[5][6] 크루드업의 음반은 1947년 RCA 빅터 20–2205에서 싱글로 발매되었지만, 그의 이전 음반들보다 덜 성공적이었습니다. 크루업 녹음이 "최초의 로큰롤 노래"라고 생각하는 전문가 중 한 명은 루이지애나 대학교 남동부의 록 역사가 조셉 번스(Joseph Burns)이며, 그는 "이 노래는 사상 최초의 기타 솔로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7]

같은 세션에서 크루드업은 싱글로도 발매된 〈I Don't Know It〉이라는 다른 가사와 함께 사실상 동일한 곡조를 녹음했습니다. 1949년 3월 초, 〈That's All Right, Mama〉(RCA Victor 50–0000)라는 제목으로 재발매되었으며,[1][8] 이 곡은 밝은 오렌지색 비닐로 RCA의 첫 번째 리듬 앤 블루스 음반으로 발매되었습니다.[9]

엘비스 프레슬리의 버전은 1954년 7월에 녹음되었습니다.[10] 블루문 보이즈(The Blue Moon Boys)라는 3인조의 일부로 음반을 녹음하는 동안 밴드는 테이크 사이에 "That's All Right"를 연주했고, 록커빌리의 업템포 스타일 특징은 나중에 녹음된 해석의 세련화를 요청한 스튜디오 임원 샘 필립스(Sam Phillips)의 관심을 끌었습니다.[11] 카탈로그 번호는 Sun 209였습니다.[12] 이 곡은 원래 제목인 "That's All Right"로 발매되었으며, 공연자들의 이름을 엘비스 프레슬리, 스코티, 빌로 정했습니다.[13] 프레슬리 버전은 "최소한 원작보다 두 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크루드업 버전과 동일하지 않았습니다.[2] 그의 버전은 일부 음악 평론가들에 의해 록앤롤 장르의 첫 번째 음반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14]

아서 크루드업은 프레슬리의 싱글 음반의 작곡가로 인정받았지만, 1970년대의 법적 분쟁에도 불구하고, 보도에 따르면 로열티를 받은 적이 없습니다. 법정 외 합의는 크루드업에게 약 6만 달러의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결코 실현되지 않았습니다.[15][16] 크루덥은 그의 노래에서 1926년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의 노래 "That Black Snake Moan"을 포함하여 이전 블루스 녹음에 존재했던 대사를 사용했습니다.[16] 가디언지의 2004년 기사는 프레슬리의 버전이 로큰롤의 첫 번째 음반 중 하나이기 보다는, 단순히 "소리가 크고, 추진력이 있으며,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리듬과 블루스의 변형이 있기 전에 흑인 음악가들에 의해 이미 잘 확립된 최초의 백인 예술가들의 해석" 중 하나라고 주장합니다.[17] 마티 로빈스의 컨트리 음악 버전은 1955년 빌보드 컨트리 싱글 차트에서 7위로 정점을 찍었습니다.[18]

엘비스 프레슬리의 녹음.

생산.

1954년 7월 5일 저녁, 선 스튜디오에서 블루문 보이즈의 녹음 시간에 엘비스 프레슬리는 어쿠스틱 리듬 기타, 스코티 무어는 일렉트릭 리드 기타, 빌 블랙현악기 베이스를 맡았습니다. 녹음이 끝난 후, 프레슬리는 아서 크루드업의 곡인 "That's All Right, Mama"를 즉흥적으로 연주하기 시작했습니다.[8] 베이스 위에 있는 블랙이 합류했고, 두 사람은 곧 무어의 기타와 합류했습니다.[8] 갑자기 들뜬 분위기에 프로듀서 샘 필립스는 세 사람에게 녹음을 다시 시작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8]

프레슬리가 선 스튜디오를 처음 방문한 것은 1953년 여름과 1954년 1월이었고, 이후 1954년 여름에 두 번 더 방문했습니다.[19] 이 녹음 세션은 프레슬리의 다섯 번째 방문이었습니다.[19] 모든 파트를 한 번에 연주하고 하나의 트랙에 녹음하는 "라이브" 공연 스타일로 제작된 이 녹음에는 드럼이나 추가 악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20] 프레슬리 버전은 아서 크루업 버전과 가사가 다릅니다. (1986년 샘 필립스는 녹음할 때 엘비스가 노래 가사를 일부 바꿨다고 회상했습니다.)[21] 다음날 저녁, 3인조는 비슷한 스타일로 "Blue Moon of Kentucky"를 녹음했고, 이는 "That's All Right" 싱글의 B면이 되었습니다.[8]

풀어주다

샘 필립스는 WHBQ듀이 필립스[22], WMPS의 리처드 삼촌, WHHM의 슬리피 아이드 존 레플리에게 아세테이트 사본을 주었습니다.[8] 1954년 7월 7일, 듀이 필립스는 그의 인기 라디오 프로그램인 "Red, Hot & Blue"에서 "That's All Right"를 연주했습니다.[8] 듀이가 그의 노래를 연주한다는 소식을 듣고 프레슬리는 그의 신경을 진정시키기 위해 지역 영화관으로 갔습니다.[8]

이 노래에 대한 관심이 너무 뜨거워서 듀이는 아세트산염을 14번 연주했고 40통이 넘는 전화를 받았다고 합니다.[8] 프레슬리는 그날 밤 방송 인터뷰를 위해 방송국으로 가라고 설득당했습니다.[8] 당시 마이크가 생방송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던 프레슬리는 자신이 어느 고등학교에 다녔는지를 포함한 듀이의 질문에 답했습니다: 실제로 질문을 하지 않고 청중들에게 프레슬리의 인종을 알리는 우회적인 방법.[8] "That's All Right"는 1954년 7월 19일에 공식적으로 발매되었고,[8] 약 2만 부가 팔렸습니다.[8] 이 숫자는 전국적으로 차트에 오르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지만, 그 싱글은 지역 멤피스 차트에서 4위에 올랐습니다.[8]

2004년 재발행

2004년 7월, 이 곡은 처음 발매된 지 정확히 50년이 지난 후, 윌 실링러에 의해 여러 나라에서 CD 싱글로 제작되어 재발매되었습니다. 이 곡은 영국 싱글 차트에 3위로 진입했고, 호주에서 31위, 아일랜드에서 33위, 스웨덴에서 47위로 정점을 찍으며 영국 밖에서 약간의 히트를 쳤습니다.

판매 및 인증

지역 인증 인증단위/판매
미국(RIAA)[31] 골드 500,000^

^ 배송은 인증만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레거시

롤링 스톤 잡지는 2004년 기사에서 프레슬리의 "That's All Right" 녹음이 최초의 로큰롤 음반이라고 주장했습니다.[32] "That's All Right"는 다양한 장르의 수많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녹음되었습니다.[33]

참고문헌

  1. ^ a b What Was The First Rock'n'Roll Record. Faber and Faber. 1992. p. 201. ISBN 0-571-12939-0.
  2. ^ a b "Elvis Presley records "That's All Right (Mama)"". 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July 1, 2020. Retrieved February 2, 2022.
  3. ^ "The Rolling Ston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Scribd.com. Retrieved September 7, 2015.
  4. ^ Gulla, Bob (2007). Icons of R & B and Soul. ABC-CLIO. p. 189. ISBN 978-0-313-34044-4. Retrieved August 11, 2013.
  5. ^ Davis, Francis (September 4, 2003). The History of the Blues - Francis Davis. Hachette Books. ISBN 9780306812965. Retrieved September 7, 2015.
  6. ^ "Scotty Moore - Big Boy's "That's All Right"". www.scottymoore.net.
  7. ^ Viegas, Jen (November 19, 2010). "World's First Rock-and-Roll Song Identified". Seeker.
  8.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Elvis: His Life from A to Z. Outlet. 1992. p. 479. ISBN 978-0-517-06634-8.
  9. ^ 도슨, 짐, 스티브 프로페스, 첫 번째 로큰롤 기록은? (페이버 앤 페이버, 1992), ISBN 0-571-12939-0.
  10. ^ "Sun Records discography". Globaldogproductions.info. Retrieved September 7, 2015.
  11. ^ "Sam Phillips' Sun Records". History of Rock. Retrieved October 4, 2010.
  12. ^ "SUN Records, Memphis Tennessee". Boija.com. Retrieved September 7, 2015.
  13. ^ Wirz, Stefan. "'Big Boy' Crudup discography". Wirz.de. Retrieved September 8, 2015.
  14. ^ Gulla, Bob (2007). R&B와 소울의 아이콘. ABC-CLIO 페이지 189 ISBN 978-0-313-34044-4. 2013년 8월 11일 검색
  15. ^ Szatmary, David (2014). Rockin' in Time.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16. ^ a b 그레이, 마이클(2006), 밥 딜런 백과사전, 165쪽.
  17. ^ Petridis, Alexis (April 16, 2004). "When was rock'n'roll really born?". The Guardian.
  18. ^ "Marty Robbins Billboard Singles". Allmusic. Retrieved August 24, 2011.
  19. ^ a b "Elvis Presley Recordings". Elvisrecordings.com. Retrieved December 6, 2010.
  20. ^ "Sam Phillips—Sun Studios Memphis—the father of rock n roll". Elvispresleynew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5, 2010. Retrieved July 22, 2010.
  21. ^ "Sam Phillips: The Rolling Stone Interview". Rollingstone.com. February 13, 1986.
  22. ^ Gilliland, John (1969). "Show 7 - The All American Boy: Enter Elvis and the rock-a-billies. [Part 1]" (audio). Pop Chronicles. University of North Texas Libraries.
  23. ^ "엘비스 프레슬리 That's All Right" ARIA Top 50 싱글. 2019년 1월 2일 회수.
  24. ^ "Elvis Presley – Chart History (Hot Canadian Digital Song Sales)". Billboard. Retrieved November 8, 2021.
  25. ^ "Hits of the World – Eurocharts" (PDF). Billboard. Vol. 116, no. 30. July 24, 2004. p. 55. Retrieved March 22, 2020.
  26. ^ "Irish-charts.com 디스코그래피 엘비스 프레슬리" 아일랜드 싱글 차트. 2020년 1월 28일 회수.
  27. ^ "오피셜 스코티시 싱글 세일즈 차트100"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19년 1월 2일 회수.
  28. ^ "엘비스 프레슬리 That's All Right" 싱글100. 2019년 1월 2일 회수.
  29. ^ '오피셜 싱글 차트100'.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19년 1월 2일 회수.
  30. ^ "The Official UK Singles Chart 2004" (PDF). UKChartsPlus. Retrieved January 2, 2019.
  31. ^ "American single certifications – Elvis Presley – That's All Right".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32. ^ 동굴, 데미안, 맷 다이얼, 개빈 에드워즈, 제니 엘리스쿠, 데이비드 프릭, 로렌 기틀린, 맷 헨드릭슨, 커크 밀러, 오스틴 스캐그스, 롭 셰필드. "트럭 드라이버가 록을 발명합니다." 롤링스톤, 제951호(2004년 6월 24일): 84-85.
  33. ^ "Arthur "Big Boy" Crudup: That's All Right – Also Performed By". AllMusic. Retrieved July 1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