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라니우스 복음서

The Gospel of Afranius
아프라니우스 복음서
작가키릴 에스코프
원제목Евангелие от Афрания
나라러시아
언어러시아어
장르.역사소설, 첩보소설
출판사자체 제작(1판)
발행일자
1995
매체형인쇄하다

아프라니우스 복음서(러시아어: :аааее,,,,,,,,,,, 로마자: Evangelliye Ot Afraniya)는 러시아 작가 키릴 에스코프의 1995년 소설이다.예수를 극적으로 묘사한 것이다.이 소설에서, 에스코프는 복음서의 사건들에 대한 신빙성이 떨어지는 이야기를 구성하려고 시도한다.[1]

출판이력

에스코프는 1995년 이 책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부활한 러시아 정교회의 분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해 몇몇 러시아 출판사들이 거절하자 이 소설을 자간했다.[1]As of 2020, the story has received five subsequent editions in Russian by regular publishers (2001 by ACT, 2003 by Фолио, 2005 by ЭНАС, 2016 by Алькор Паблишерс and 2019 by Престиж Бук); the latter three are anthologies combing this short novel with several other works by Eskov.[2]2003년에는 폴란드어로 번역되기도 했다(솔라리스에 의해 출판됨).[3][4][5][6]

구조 및 플롯

그 책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1부는 러시아 생물학자 저자가 미국 복음주의 사과주의자전도사 조쉬 맥도웰(1981)이 자신의 저서 부활 요인(1981)에서 제기한 주장에 도전하는 논픽션 에세이와 장광학이다.[1]맥도웰의 저서는 신약성서에서 묘사된 사건들, 특히 예수의 부활은 과학에 의해 설명될 수 없으며 신의 직접적인 개입의 증거로 보여져야 한다고 주장한다.에스코프는 맥도웰의 책을 도전으로 삼고 이에 대응하여 자신의 책을 출판하기로 결정했다.이 부분에서 그는 다수의 맥도웰의 주장과 결탁한다.[1]

2부는 소설로, 폰티우스 빌라도의 '비밀봉사'의 수장으로 일컬어지는 이 소설에서 아프라니우스(미하일 불가코프의 사부와 마르가리타 출신의 등장인물)의 이야기를 통해 예수님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을 성공적으로 조작한 작품이다.로마인들은 유대교와 연관된 파벌들로부터 자신들의 통치에 대한 격렬한 반대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로마 통치에 대한 반감은 줄이면서도 유대교를 약화시키는 새로운 평화주의 종교를 만들 계획(Operation Fish)을 구상하고 있다.그런 목적을 위해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조직된 새로운 종파를 그들의 목표에 가장 적합한 종파로 선택했고, 잠복 공작원(유다)과 함께 침투했다.한편, 예수의 경쟁자로 보이는 침례교 요한은 처형된다.로마의 음모는 로마 요원들이 두 번의 가짜 부활(베다니의 라자루스 중 첫째, 예수의 둘째)을 감행함으로써 절정에 이른다.이 계획은 광견병 재판소(산헤드린)의 신빙성을 떨어뜨리고, 일련의 초자연적인 기적을 목격했다고 확신하게 된 사도들을 속이는 데 성공하는 반면, 실제로 그들이 본 것은 유료 연주자들과 로마 요원들에 의해 조직된 무대 행사였다.[3][4][5]

이야기는 에스코프가 신약성경에 묘사된 모든 사건, 알려진 고고학 및 역사적 증거에 의해 확증된 모든 사건들이 초자연적 개입의 필요 없이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의 앞선 에세이의 입장을 예시한 것이다.여기에 있는 것은 많은 그럴듯한 대안들 중 하나일 뿐이다.[1]

리셉션

1997년 오데사(팬콘)에서 열린 공상과학소설 작가 페스티벌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1]2001년 질란트콘에서 빅질란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2]

1998년 미하일 미나는 소설을 자연을 위해 검토하면서 이 소설은 소비에트 시대 국가 무신론이 소련의 종교적 신념의 부활과 충돌한 표현이라고 언급했다.그는 이 소설이 "영어로 출판된다면 많은 관심 있는 독자들을 찾을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이 소설이 ("때로는 물어뜯지만 결코 모욕은 하지 않는 유머"로) 유쾌한 읽을거리와 맥도웰의 성공적인 카운터라고 관측한다.[1][nb 1]

참고 항목

메모들

  1. ^ 2021년 1월 현재 이 소설은 영어로 공식적으로 번역되지 않았으며, 어떤 계획도 발표되지 않았다.

참조

  1. ^ a b c d e f g Mina, Mikhail (1998-04-30). "In retrospect by Mikhail Mina". Nature. 392 (6679): 884–884. doi:10.1038/31855. ISSN 1476-4687.
  2. ^ a b Кирилл Еськов "Евангелие от Афрания" (in Russian).
  3. ^ a b "Ewangelia według Afraniusza – encyklopediafantastyki.pl". encyklopediafantastyki.pl. Retrieved 2020-12-28.
  4. ^ a b "Esensja: "Fantastyczny apokryf" – Sebastian Chosiński". Esensja.pl (in Polish). Retrieved 2020-12-28.
  5. ^ a b "Esensja: "Bazując na Bułhakowie" – Wojciech Gołąbowski". Esensja.pl (in Polish). Retrieved 2020-12-28.
  6. ^ "Esensja: "Nie znacie dnia, ani godziny, ani sposobu" – Paweł Pluta". Esensja.pl (in Polish). Retrieved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