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티우스 필라테

Pontius Pilate
폰티우스 필라테
폰티우스 필라투스
에체 호모 ("사람을 잡아라"), 안토니오 치세리예루살렘 사람들에게 저주받은 예수를 바치는 빌라도의 묘사
유대 제5현
재직중
c. 26 AD – 36 AD
임명자티베리우스
선행후발레리우스 그라투스
성공한 사람마르셀루스
개인내역
국적.로마인
배우자.알 수 없는[a]
로 유명함빌라도의 궁정

폰티우스 필라투스(Pontius Pilatus, 라틴어: Pontius Pilatus, 그리스어: Pontios Pilatos, π ιλᾶτος όντιος π)는 제5대 유대 속주 총독으로, 서기 26/27년부터 36/37년까지 티베리우스 황제 밑에서 일했습니다. 그는 예수님의 재판을 주재하고 궁극적으로 그의 십자가 처형을 명령한 관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7] 빌라도가 기독교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사도행전니케 크리에드 모두에서 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복음서에는 빌라도가 예수를 처형하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기 때문에 에티오피아 교회는 빌라도가 기독교인이 되었다고 믿고 있으며, 콥트 교회가 역사적으로 공유하는 신앙인 순교자이자 성인으로 숭배하고 있으며,[8] 각각 6월 19일 또는 25일에 축일을 지냅니다.

빌라도는 가장 잘 검증된 유대 총독이지만, 그의 통치에 관한 자료는 거의 남아있지 않습니다. 유대 총독이 되기 전의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총독에 임명된 경위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9] 그가 주조한 동전들은 빌라도의 통치하에서 살아남았고, 이른바 빌라도 석재라는 하나의 명문도 남아 있습니다. 유대인 역사학자 요세푸스, 알렉산드리아의 철학자 필로, 누가복음 등에서 유대인 주민과 빌라도 행정부 사이의 긴장과 폭력의 사건에 대해 언급합니다. 이러한 사건들 중 많은 것들이 빌라도가 유대인들의 종교적인 감정을 상하게 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기독교 복음서에는 빌라도가 재임 중 어느 시점에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으라고 명령했다고 기록되어 있고, 요셉푸스와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도 이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셉푸스에 따르면 빌라도는 게리짐 산에서 무장한 사마리아인의 운동을 폭력적으로 진압했기 때문에 공직에서 물러났다고 합니다. 그는 티베리우스 이전에 이 사건에 대한 답을 하기 위해 시리아 사절단에 의해 로마로 다시 보내졌지만 황제는 필라테가 로마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했습니다. 이 사건 이후 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2세기 이교도 철학자 셀수스(Celsus)와 기독교 옹호자 오리기엔(Origen)에 의해 기록된 사건들을 근거로 대부분의 현대 역사가들은 필라테가 단순히 해임된 후 은퇴했다고 믿고 있습니다.[10] 현대 역사학자들은 빌라도가 효과적인 통치자라는 다른 평가를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빌라도가 특별히 잔인하고 효과적이지 못한 통치자였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빌라도의 오랜 재임 기간이 합리적인 능력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저명한 이론에 따르면, 빌라도의 유대인에 대한 대우는 반유대주의에 의한 것이었지만, 대부분의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 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11]

고대 후기중세 초기에 빌라도는 복음서인 빌라도 순환에서 자신의 역할을 확장하는 신약성경의 거대한 집단의 초점이 되었습니다. 지역별 태도: 동로마 제국의 문헌에서 필라트는 긍정적인 인물로 묘사되었습니다. 그와 의 아내는 기독교 개종자이자 때로는 순교자로 묘사됩니다. 서양 기독교 문헌에서 그는 대신 부정적인 인물이자 악당으로 묘사되었으며 자살로 인한 죽음을 둘러싼 전통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필라트는 또한 수많은 중세 전설들의 초점이 되었는데, 그는 그를 위해 완전한 전기를 발명하고 그를 악당이고 비겁하다고 묘사했습니다. 이러한 전설들 중 많은 것들이 빌라도의 출생지나 죽음의 장소를 서유럽 주변의 특정한 장소들과 연결시켰는데, 그의 시신이 특별히 위험하거나 저주받은 지역에 묻혔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필라트는 종종 예술적 표상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중세 미술은 빌라도와 예수의 모습을 자주 묘사하는데, 빌라도가 예수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으로 손을 씻는 장면이 자주 등장합니다. 중세 후기르네상스 시대의 예술에서 필라트는 종종 유대인으로 묘사됩니다. 그는 종종 예수보다 더 중요한 인물인 중세 정열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 연극에서 그의 성격은 의지가 약하고 강압적으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는 것에서부터 예수의 십자가를 요구하는 사악한 사람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그들의 작품에서 필라테를 두드러지게 등장시키는 현대 작가들은 아나톨 프랑스, 미하일 불가코프, 칭기즈 아이트마토프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필라테의 현대 치료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필라트는 또한 영화에서 자주 묘사되었습니다.

인생과 정치경력

원천

폰티우스 필라테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현대 학자들은 유대의 다른 로마 총독들보다 폰티우스 필라테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습니다.[12] 가장 중요한 자료는 알렉산드리아의 동시대 유대인 작가 필로가이우스 대사관(41년 이후),[13]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유대 전쟁(c.74년), 유대인 유물(c.94년) 뿐만 아니라 기독교 4대 복음서마크(66년에서 70년 사이에 작곡), 루크(85년에서 90년 사이에 작곡), 마태오는 85년에서 90년 사이에 작곡되었고, 요한은 90년에서 110년 사이에 작곡되었으며,[12] 사도행전(85년에서 90년 사이에 작곡)과 티모시에게 보낸 첫 번째 편지(1세기 후반에 쓰여진)에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트랄리아인, 마그네시아인, 스미르네아인에게[14] 보낸 편지(105년에서 110년 사이에 작곡됨)에서 그를 언급합니다.[15] 그는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Tacitus)의 연보(2세기 초)에도 잠깐 언급되는데, 그는 단순히 예수를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말합니다.[12] 타키투스의 실록에 빌라도를 언급했을 수 있는 두 장이 추가로 소실되었습니다.[16] 기록된 자료는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하며, 각각의 편향성이 있으며, 특히 복음서는 빌라도에 대한 역사적 관점이 아닌 신학적 관점을 제공합니다.[17] 이 문서들 외에도, 빌라도의 통치 기간 동안 주조된 티베리우스 황제의 이름으로 된 날짜가 적힌 동전들이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빌라도의 이름을 "필라테 돌"로 알려진 단편적인 짧은 비문이 남아 있는데, 이것은 유대인-로마 전쟁 이전에 유대인-로마 전쟁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로마 총독에 대한 비문입니다.[18][19][20]

요절기

빌라도가 유대 총독이 되기 전의 삶에 대한 정보는 전해지지 않습니다.[21] 그의 프라노멘(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으며,[22] 그의 코그노멘 필라투스는 "창(필룸)으로 기술"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필라투스 또는 프리기아 모자를 언급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필라투스의 조상 중 한 명이 해방자였음을 나타냅니다.[23] "창으로 기술을 닦았다"는 뜻이라면, 필라트는 로마 군대에서 복무하면서 스스로 코그노멘을 획득했을 가능성이 있고,[21] 그의 아버지가 군사 기술을 통해 코그노멘을 획득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24] 마가복음서와 요한복음서에서 필라트는 오직 그의 동음이의 이름으로만 불리는데, 마리-요셉 올리비에는 이것이 그가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연설에서 알려진 이름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입니다.[25] 폰티우스라는 이름은 그의 조상이 이탈리아 중부의 삼니움에서 왔고, 그가 로마 공화국에 완전히 편입되기 전인 기원전 3세기와 1세기에 각각 삼니움의 두 지도자였던 가비우스 폰티우스폰티우스 텔레시누스의 가문에 속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합니다.[26] 유대의 다른 총독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필라트는 로마 귀족의 중간 계급인 승마단 출신이었습니다.[27] 증명된 폰티우스 아퀼라(줄리어스 시저의 암살자)는 플렙족의 호민관이었습니다. 그 가족은 원래 플렙족 출신이었고 나중에 말을 탄 사람으로서 고귀해졌을 것입니다.[26]

필라트는 교육을 받았고, 다소 부유했으며, 정치적, 사회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었을 것입니다.[28] 그는 아마도 결혼했을 것이지만, 그의 아내에 대한 현존하는 유일한 언급은 예수가 불안한 꿈을 꾸고 난 후에 그에게 예수와 교류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마 27:19)은 일반적으로 전설로 치부됩니다.[29] 아우구스투스가 기마 계급의 관리들을 위해 제정한 커서스 명예에 따르면, 필라트는 유대의 현이 되기 전에 군 지휘부를 가졌을 것입니다. 역사학자 알렉산더 데임트는 이것이 라인강이나 다뉴브강에 주둔한 군단과 함께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30] 그렇기 때문에 빌라도가 군 복무를 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실하지는 않습니다.[31]

유대 총독으로서의 역할

1세기 빌라도 통치 시절 유대 지방 지도.

필라트는 티베리우스 황제의 통치 기간 동안, 유대 지역의 다섯 번째 총독이었습니다. 유대 총독의 자리는 비교적 낮은 위신이었고 빌라도가 어떻게 그 자리를 얻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32] 요세푸스는 빌라도가 10년 동안 통치했다고 진술하는데(유대인들골동품 18.4.2), 이들은 전통적으로 26년에서 36/37년 사이에 만들어졌으며, 빌라도는 이 지방에서 가장 오래 통치한 두 명의 총독 중 한 명입니다.[33] 티베리우스가 26년 카프리 섬으로 은퇴하면서 E와 같은 학자들이 생겨났습니다. 슈타우퍼는 필라트는 31년 반역죄로 처형된 강력한 프라에토리안 현 세야누스에 의해 임명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34] 다른 학자들은 필라테와 세야누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35] 다니엘 알. 슈워츠(Schwartz)와 케네스 뢴크비스트(Kenneth Lönqvist)는 둘 다 필라트의 통치 시작에 대한 전통적인 연대가 요셉푸스의 오류에 근거한다고 주장합니다. 슈워츠(Schwartz)는 그가 대신 19년에 임명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뢴크비스트(Lönqvist)는 17/18을 주장합니다.[36][37] 이러한 제안된 날짜는 다른 학자들에 의해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38]

빌라도의 현감[c] 칭호는 그의 임무가 주로 군사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41] 빌라도의 군대는 군사적이라기보다는 경찰로서의 의미가 더 강했고 빌라도의 임무는 군사적인 문제를 넘어 확장되었습니다.[42] 로마 총독으로서 그는 사법제도의 수장이었습니다. 그는 사형을 가할 수 있는 힘을 가졌고, 공물과 세금을 징수하고, 동전을 주조하는 것을 포함한 자금을 소비하는 일을 담당했습니다.[42] 로마인들이 어느 정도의 지방 지배를 허용했기 때문에, 필라트는 유대인 산헤드린과 제한된 양의 시민권과 종교권을 공유했습니다.[43]

필라트는 시리아의 사절단에 종속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재임한 첫 6년 동안 시리아의 사절 루키우스 아엘리우스 라미아는 그 지역에 없었습니다. 헬렌 본드는 이것이 필라트에게 어려움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44] 그는 35년에 루키우스 비텔리우스가 그 자리에 임명된 후, 그의 임기가 끝날 때에야 시리아 특사의 개입으로 그가 원하는 대로 지방을 자유롭게 통치했던 것으로 보입니다.[32] 다른 유대의 로마 총독들과 마찬가지로 빌라도는 카이사레아에 그의 주요 거주지를 두었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주로 주요 축일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갔습니다.[45] 그는 또한 사건을 듣고 정의를 집행하기 위해 지방을 순회했을 것입니다.[46]

총독으로서 필라트는 유대인 대제사장을 임명할 권리를 가졌고 또한 공식적으로 안토니아 요새에 있는 대제사장의 옷을 통제했습니다.[47] 그의 전임자인 발레리우스 그라투스와는 달리, 필라트는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같은 대제사장 요제프 카이아파스를 유지했습니다. 빌라도가 스스로 총독직에서 물러난 후 카이아파는 제거될 것입니다.[48] 이것은 카이아파스와 사두제파의 사제들이 빌라도에게 믿을 만한 동맹이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49] 게다가 마이어는 제사장들의 협조 없이는 빌라도가 요셉푸스가 기록한 대로 수도교를 건설하는 데 성전 금고를 사용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50] 마찬가지로 헬렌 본드는 빌라도가 예수를 처형하는 데 유대인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는 모습이 묘사된다고 주장합니다.[51] 장 피에르 레몽몬은 바리새인들이 예수의 체포와 재판에 관한 복음서에 빠져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필라테와의 공식적인 협력은 사두교인들에게만 국한되었다고 주장합니다.[52]

다니엘 슈워츠는 누가복음(루크 23:12)에서 빌라도가 갈릴레이 유대왕 헤롯 안티파스와 어려운 관계를 맺었다는 것을 역사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합니다. 그는 또한 예수의 처형 이후 그들의 관계가 개선되었다는 역사적인 정보를 발견합니다.[53] 요한복음 19장 12절을 근거로 빌라도는 "카이사르의 친구"(라틴어: amicus Caesaris, 고대 그리스어: φίλος τοῦ Kα ίσα ρος)라는 제목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제목은 유대인헤롯 아그리파 1세와 헤롯 아그리파 2세, 그리고 황제의 측근들에 의해서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Daniel Schwartz와 Alexander Demandt 둘 다 이것이 특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32][54]

유대인과의 사건

빌라도의 통치 기간 동안 일어난 여러 가지 소동들이 자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사건을 지칭하는 것인지 불분명하고,[55] 빌라도의 통치에 대한 사건 연표를 세우기도 어렵습니다.[56] 조안 테일러(Joan Taylor)는 필라트는 제국 숭배를 촉진하는 정책을 세웠으며, 이것이 그의 유대인 신하들과 마찰을 일으켰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57] 슈워츠는 필라테의 전체 재임 기간이 "주지사와 통치자 사이의 지속적인 근본적인 긴장 관계, 그리고 때때로 짧은 사건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졌다고 제안합니다.[55]

그의 유대 전쟁 (2.9.2)과 유대인유물 (18.3.1)에서 빌라도는 카이사르의 이미지가 담긴 제국의 기준을 예루살렘으로 이동시켜 유대인들을 불쾌하게 했습니다. 이 때문에 유대인 무리가 카이사레아에 있는 빌라도의 집을 닷새 동안 에워쌌습니다. 빌라도는 그들을 경기장으로 불러들였고, 그곳에서 로마 병사들은 칼을 뽑았습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거의 보이지 않았고, 빌라도는 관용을 베풀고 기준을 없애버렸습니다.[58] 본드는 요셉푸스가 빌라도가 밤에 기준을 들여왔다고 말한 것은 황제의 모습이 불쾌할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합니다.[59] 그녀는 이 사건을 빌라도의 주지사 재임 초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60] Daniel Schwartz와 Alexander Demandt 둘 다 이 사건이 사실은 초기 교회 역사가 Eusebius에 의해 최초로 만들어진 신원 확인서인 Philo's Embassy to Gaius에 보고된 "방패들과의 사건"과 동일하다고 제안합니다.[61][55] 그러나 Lemononon은 이 식별에 반대합니다.[62]

빌로의 가이우스 주재 대사관(Gaius 38 대사관)에 따르면 빌로테는 예루살렘에 황금 방패를 가져와 헤롯의 궁전에 놓음으로써 유대인의 율법에 불쾌감을 주었습니다. 헤롯대왕의 아들들이 그에게 방패를 없애달라고 청원했지만 빌라도는 거절했습니다. 헤롯의 아들들은 황제에게 탄원할 것이라고 위협했는데, 빌라도는 이 행동이 그가 재임 중 저지른 범죄를 폭로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그들의 청원을 막지 않았습니다. 티베리우스는 탄원서를 받고 화가 나서 필라트에게 방패를 제거하라고 명령했습니다.[63] 헬렌 본드, 다니엘 슈워츠, 워렌 카터는 필로의 묘사가 대체로 틀에 박힌 듯 수사적이며, 다른 유대인 법의 반대자들과 같은 단어로 필라테를 묘사하는 반면, 티베리우스는 유대인 법을 정의롭고 지지하는 것으로 묘사한다고 주장합니다.[64] 방패들이 유대인의 법에 대해 불쾌감을 느낀 이유는 불분명합니다: 그것들은 티베리우스를 디비 아우구스티 필리우스(신성한 아우구스투스의 아들)로 언급하는 비문을 포함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65][66] 본드는 사건의 연대를 세야누스가 10월 17일 사망한 이후인 31일로 추정합니다.[67]

유대 전쟁 (2.9.4)과 유대인 유물 (18.3.2)에 기록된 또 다른 사건에서, 요셉푸스는 필라트는 예루살렘으로 가는 새로운 수로를 지불하기 위해 성전 금고 (코르바노스)를 사용함으로써 유대인들을 불쾌하게 했다고 말합니다. 빌라도가 예루살렘을 방문하고 있을 때에, 빌라도는 그의 군대에게 몽둥이로 때리라고 명령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말에 의해 짓밟히거나 맞아서 죽었으므로, 그 폭도들은 흩어지고 말았습니다.[68] 사건의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본드는 요셉푸스의 연대기를 근거로 26년에서 30년 또는 33년 사이에 발생했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51]

누가복음은 지나가는 갈릴레오 사람들에게 "필라테가 그들의 희생과 함께 피가 섞였던"(루크 13:1)을 언급합니다. 이 언급은 요셉푸스가 기록한 사건 중 하나를 지칭하거나 전혀 알려지지 않은 사건을 지칭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습니다.[69] 본드는 살해된 갈릴레이인의 수가 특별히 많지는 않았던 것 같다고 주장합니다. 본드가 보기에, "희생"에 대한 언급은 아마도 이 사건이 알려지지 않은 날짜에 유월절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70] 그녀는 "필라테의 통치가 우리가 아무것도 모르는 그러한 짧은 문제의 발생을 많이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높다"고 주장합니다. 바라바스가 붙잡힌 반란은 역사적으로 볼 때 또 다른 예가 될 수도 있습니다."[71]

예수의 재판과 처형

폰티우스 필라테와 함께한 그리스도의 인쇄물. 16세기에 제작되었습니다.[72]

아마도 30세 또는 33세의 유월절에 폰티우스 필라트는 예루살렘에서 나사렛 예수십자가에 못박아 죽였다고 비난했습니다.[7] 십자가에 못박힌 주요 자료는 4개의 표준 기독교 복음서이며, 그 설명은 다양합니다.[73] 헬렌 본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빌라도에 대한 복음주의자들의 묘사는 그들 자신의 특별한 신학적이고 사과적인 관심사에 의해 상당 부분 형성되었습니다. 전설적이거나 신학적인 이야기도 이야기에 추가되었습니다. 그러나 광범위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복음주의자들 사이에 기본적인 사실들에 대한 어떤 동의가 있습니다. 문학적 의존성을 넘어서 실제 역사적 사건을 반영할 [74]수도 있는 합의

예수를 죽음으로 단죄하는 빌라도의 역할은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에 의해서도 증명되는데, 그는 네로가 기독교인들을 박해한 것을 설명할 때 "그 이름의 창시자인 크리스투스는 티베리우스의 치세에서 검찰관 폰티우스 빌라도의 선고로 사형을 받았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그 해로운 미신은 잠시 동안 확인되었습니다..."(타키투스, 실록 15.44).[12][75] 요셉푸스는 또한 저명한 유대인들의 요청에 따라 빌라도가 예수를 처형한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는데(유대인들의 골동품 18.3.3), 기독교적인 보간에 의해 본문이 변형되었을 수 있지만, 처형에 대한 언급은 일반적으로 진품으로 간주됩니다.[76] 십자가 처형에 대한 성경 외 언급의 부족에 대해 논의하면서 알렉산더 데임트는 예수의 처형이 당시 많은 다른 사람들이 십자가에 못 박혀 잊혀졌기 때문에 아마도 로마인들에 의해 특별히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77] 이그나티우스트랄리아인들에게 보낸 편지(9.1)와 스미르네아인들에게 보낸 편지(1.2)에서 저자는 빌라도의 통치하에서 예수의 박해를 원인으로 삼습니다. 이그나티우스는 그가 마그네시아인들에게 보낸 편지(11.1)에서 빌라도의 통치 기간 동안 예수의 탄생과 열정, 그리고 부활을 더 연대감 있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그나티우스는 그의 서간에서 이 모든 사건들을 역사적 사실로 강조합니다.[14]

본드는 요한복음 18장 3절에서 예수를 체포하는 당사자 중 500명 규모의 로마 코호트가 존재하는 것을 근거로 예수의 체포가 빌라도의 사전 지식과 관여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합니다.[78] Demandt는 Pilate가 관련되었다는 생각을 일축합니다.[79] 일반적으로 복음서의 만장일치 증언을 바탕으로 예수가 빌라도로 끌려와 처형된 죄는 유대인의 왕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한 선동죄라고 추정됩니다.[80] 빌라도는 로마 속주에서 사용되는 사형을 위한 재판의 한 형태인 인지 추가 조례에 따라 예수를 판단했을 수 있으며, 현에 사건을 처리하는 데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 로마 시민이 아닌 사람들에게 적용되었습니다.[81][82] 또한 네 복음서 모두 빌라도가 유월절을 기념하여 포로 한 명을 풀어주는 관습이 있었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 관습은 다른 어떤 자료에서도 증명되지 않습니다. 역사학자들은 그러한 관습이 복음서의 허구적 요소인지,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는지, 아니면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해에 단일 사면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릅니다.[83]

빌라도 이전의 그리스도, 미할리 문카시, 1881년

복음서의 필라테 묘사는 예수를 처형하기를 꺼리고 군중과 유대인 당국에 의해 압박을 받는 것으로 묘사되기 때문에 요셉푸스와 필로에서 발견되는 것과 크게 다른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정"됩니다.[84] 존 P. 마이어(Meier)는 이와 대조적으로 요셉푸스에서는 "필라테만 [...]이 십자가에 예수를 단죄한다고 한다"고 언급합니다.[85] 일부 학자들은 복음서의 설명이 전혀 신뢰할 수 없다고 믿고 있습니다. S. G. F. 브랜든은 실제로 빌라도가 예수님을 비난하는 것에 겁을 먹기보다는 그를 반역자로 서슴없이 처형했다고 주장했습니다.[86] 바울 윈터는 로마 당국에 의한 기독교인들에 대한 박해가 증가함에 따라 기독교인들이 폰티우스 빌라도를 예수의 결백에 대한 증인으로 묘사하기를 점점 더 열망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다른 문헌에 나오는 빌라도와 복음서에 나오는 빌라도의 차이를 설명했습니다.[87] 바르트 에르만가장 초기 복음서는 유대인과 빌라도가 예수를 처형하는 것에 대해 의견이 일치했음을 보여주는 반면(마르크 15:15), 이후 복음서는 빌라도의 책임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며, 빌라도가 요한(요한 19:16)에서 유대인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게 하는 것으로 끝을 맺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이 변화를 증가된 "반유대주의"와 연결시킵니다.[88] 레이먼드 E. 브라운은 다른 문헌(요세푸스 유대인유대 전쟁유물필로 대사관)에서 필로에 대한 복음서의 묘사가 잔인하고 완고한 사람으로 항상 묘사되기 때문에 역사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브라운은 또한 빌라도가 손을 씻는 역사성과 의 저주를 거부하며, 마태복음에만 등장하는 이러한 서사는 이후 유대인과 유대인 기독교인의 대조를 반영한다고 주장합니다.[89]

다른 이들은 복음서에서 빌라도의 행동을 요셉푸스와 필로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상황의 변화에 의해 동기부여된 것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했는데, 보통 빌라도의 주의와 세야누스의 죽음 사이의 연관성을 전제로 합니다.[84] 그러나 브라이언 맥깅과 본드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요셉푸스와 필로에서 빌라도의 행동과 복음서에서 빌라도의 행동 사이에 실제적인 불일치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7][90] 워렌 카터(Warren Carter)는 빌라도가 마크(Mark), 마태오(Matthew), 존(John)에서 능숙하고 유능하며 군중을 조종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오직 예수를 무죄로 판단하고 루크(Luke)에서 압력을 받아 처형한다고 주장합니다.[91] N. T. 라이트크레이그 A. 에반스는 필라테가 주저한 것은 순례자들이 예루살렘에 많이 있던 유월절 기간에 반란을 일으킬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92]

제거 및 수명 연장

요셉푸스의 유대인 유물(18.4.1–2)에 따르면, 빌라도의 총독 제거는 빌라도가 게리짐근처의 티라타나(Tirathana)라는 마을에서 무장한 사마리아인 무리를 학살한 후에 일어났으며, 그곳에서 모세가 묻었던 유물을 찾기를 희망했습니다. 알렉산더 데임트(Alexander Demandt)는 이 운동의 지도자가 이 무렵에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사마리아인 중 메시아 같은 인물인 도시테오스였을 것이라고 제안합니다.[93] 무장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사마리아인들은 빌라도가 티베리우스의 심판을 받기 위해 로마로 소환한 시리아 총독 루키우스 비텔리우스(재위 35–39)에게 불만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티베리우스는 그가 도착하기 전에 이미 죽었습니다.[94] 이로써 빌라도의 통치기간은 36/37로 끝납니다. 티베리우스는 37년 3월 16일 미세넘에서 그의 78년(타키투스, 실록 VI.50, VI.51)에 사망했습니다.[95]

티베리우스가 사망한 후, 빌라도의 청문회는 새로운 황제 칼리굴라가 담당했을 것입니다. 새로운 황제들은 종종 이전 통치의 뛰어난 법적 문제를 일축했기 때문에 청문회가 열렸는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96] 빌라도가 로마로 돌아온 유일한 확실한 결과는 청문회가 엉망으로 돌아가거나 빌라도가 돌아오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가 유대 총독으로 복직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97] J. P. Lemonson은 필라테가 칼리굴라에 의해 복권되지 않았다는 것이 그의 재판이 나쁘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10년 후에 그가 새로운 직책을 맡을 때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주장합니다.[98] 반면 조안 테일러는 해임된 지 불과 몇 년 만에 쓴 필로에서의 자신의 매력적이지 않은 묘사를 증거로 삼아 필로가 불명예스럽게 경력을 마감한 것 같다고 주장합니다.[99]

후회하는 필라트는 자살을 준비합니다. G의 판화. B 다음에 모체티. 피넬리, 19세기 초.

4세기 초에 저술한 교회사학자 에우세비우스(교회사 2.7.1)는 빌라도가 로마로 소환된 후 자신이 처한 불명예 때문에 자살했다고 주장합니다.[100] 에우세비우스는 이것을 39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101] 폴 마이어(Paul Maier)는 현존하는 어떤 기록도 빌라도의 자살을 확증하지 않으며, 이는 빌라도의 십자가 처형에 대한 신의 분노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며, 에우세비우스(Eusebius)는 "전통"이 그의 출처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하면서 "빌라도의 추정 자살을 기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음을 나타낸다"고 언급합니다.[100] 그러나 다니엘 슈워츠는 유세비우스의 주장을 "가볍게 일축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53] 폰티우스 필라테의 잠재적 운명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다른 자료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2세기 이교도 철학자 셀수스는 예수가 하나님이라면 하나님이 빌라도를 벌하지 않으신 이유를 정설적으로 물어 빌라도가 수치스럽게 자살했다고 믿지 않았음을 보여줬습니다. 서기 248년에 쓴 기독교의 옹호자 오리기엔은 셀수스에 대해, 빌라도가 아닌 유대인들이 예수의 죽음에 책임이 있기 때문에 빌라도에게 나쁜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빌라도가 부끄러운 죽음을 맞지 않았다고 가정했습니다.[102][103] 빌라도의 자살은 요셉푸스, 필로, 그리고 타키투스에서도 언급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습니다.[102] 마이어(Maier)는 "모든 가능성, 그렇다면 폰티우스 필라테(Pontius Pilate)의 운명은 은퇴한 정부 관리, 연금을 받은 로마의 전 마법사의 방향으로 분명하게 놓여 있다"고 주장합니다.[104] 테일러(Taylor)는 필로가 필로가 가이우스 주재 대사관에서 이미 죽은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필로가 필로가 총독으로 재임한 지 몇 년 만에 글을 쓰고 있다고 언급합니다.[105]

고고학

제왕절개 비문

빌레이트 스톤. [...]이라는 단어가.TIVS PILATVS[...]는 두 번째 줄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빌라도의 비문 하나가 카이사레아, "필라테 돌"에 남아 있습니다. (부분적으로 재구성된) 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106]

S TIBERIÉVM
폰티브스 필라트브스
프라이펙트 VS IVDAE

바라만은 "자유롭게" 번역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카이사레아인의 티베리움?" 폰티우스 필라테, 유대 현 [... 비문의 단편적인 성격으로 인해 올바른 재건에 대한 의견이 다소 엇갈려 "필라테의 이름과 제목을 제외하고 비문이 불분명합니다."[106][107] 원래 비문에는 필라테의 프라노멘(예: 티투스의 경우 T, 마르쿠스의 경우 M)에 대한 축약된 글자가 포함되어 있었을 것입니다.[108] 이 석재는 빌라도의 현(縣) 칭호를 증명하고 있으며, 비문은 티베리움(Tiberieum)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건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단어는 검증되지[109] 않았지만 로마 황제에 대한 건물 이름을 짓는 패턴을 따르고 있습니다.[110] 본드는 이것이 어떤 건물을 지칭했는지 확신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111] G. 알폴디(G. Alföldy)는 일종의 세속적인 건물, 즉 등대라고 주장했고, 조안 테일러(Joan Taylor)와 제리 바르다만(Jerry Vardaman)은 티베리우스(Tiberius)에게 바쳐진 사원이라고 주장했습니다.[112][113]

아메리아 비문

그 후 소실된 두 번째 비문은 역사적으로 폰티우스 필라테와 연관되어 있습니다.[114] 이탈리아 움브리아의 한 마을 아메리아에 기록된 커다란 대리석 조각에 새겨진 단편적이고 날짜가 지정되지 않은 명문이었습니다.[115] 비문은 다음과 같이 읽힙니다.

필라TV
II VIR
QVINQ
(CIL XI.2.1.4396)

유일하게 명확한 텍스트 항목은 "필라테"라는 이름과 5년마다 인구 조사를 수행하는 지방 시 공무원의 한 유형인 쿼투어비르("III VIR")라는 제목입니다.[116] 이 비문은 이전에 성 교회 밖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원본으로 추정되는 것을 복사한 세쿤두스입니다.[116] 20세기로 접어들 무렵, 그것은 일반적으로 가짜로 여겨졌는데, 이는 폰티우스 필라테가 아메리아에서 망명 중 사망했다는 현지 전설을 뒷받침하는 위조품이었습니다.[115] 더 최근의 학자인 알렉산더 데밋과 헨리 맥아담은 둘 다 그 비문이 진짜라고 믿지만, 단지 폰티우스 필라트와 같은 동명사를 가졌던 사람에게 증명합니다.[117][116] 맥아담은 "이 매우 단편적인 비문이 폰티우스 필라테와 이탈리아 아메리아 마을의 연관성에 대한 전설을 촉발했다고 믿기가 훨씬 쉽습니다."라고 주장합니다. 2세기 전에 비문을 위조한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는 것보다 훨씬 창의적으로 보입니다.[114]

동전.

폰티우스 필라테의 청동 프루타(착용, 클립, 15mm, 1.97g).
오브버스: τ ι 베타 ε ι ο υ κ ι σ α ρ ς 주변 리튜스.
역: 화환 주변 날짜 LI ϛ (16년, 29/30 CE) 레바논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총독으로서 필라트는 이 지방에서 동전을 주조하는 일을 맡았는데, 그는 29/30, 30/31, 31/32에 동전을 주조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재임 4년차, 5년차, 6년차입니다.[118] 이 동전들은 "페루타"라고 불리는 종류에 속하며, 크기가 13.5mm에서 17mm 사이이고, 예루살렘에서 주조되었으며,[119] 상당히 조잡하게 만들어졌습니다.[120] 이전 동전들은 티베리우스 황제와 그의 어머니 리비아(줄리아 아우구스타)를 언급하며, 뒷면에는 ι ο υ λ ι κ ς τ ι ο ε ι ρ ι ρ 베타 ι ο σ ρ κ ο ς υ σ β read β β ε β β ρ ι β β ι σ β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γ 리비아의 죽음 이후, 동전에는 τ ι 베타 ε ρ ι ο υ κ ι α ρ ς만 적혀 있습니다. 유대에서 주조된 로마 동전의 전형적인 것처럼, 그들은 황제의 초상화를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일부 이교도의 디자인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118]

E. Stauffer와 E. M. Smallwood는 이 동전들이 이교도의 상징들을 사용한 것은 의도적으로 유대인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고, 31년 강력한 Praetorian 현 Sejanus의 몰락과 디자인의 변화를 연관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122] 이 이론은 헬렌 본드에 의해 거부되었는데, 그는 디자인에 대해 특별히 모욕적인 것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123] 조안 테일러(Joan Taylor)는 동전의 상징성이 필라테가 유대에서 어떻게 로마 제국의 숭배를 촉진하려고 시도했는지를 보여준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역 유대인과 사마리아인의 종교적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124]

예루살렘의 폰티우스 빌라도가 주조한 청동 프루타.
역: 그리스 문자 τ ι 베타 ε ι ο υ κ ι ϛ ς α ρ ο 및 날짜, 주변 시뮬레이션.
Overse: 그리스 문자 ι ο υ λ ι κ α ι σ α ρ ς ο, 보리 세 개의 묶은 머리, 바깥쪽 두 개의 머리가 늘어져 있습니다.

수로

요세푸스의 필라테에 기인한 수로를 확인하려는 시도는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125] 20세기 중반, A. 마자르(A. Mazar)는 솔로몬 웅덩이에서 예루살렘으로 물을 가져오는 Arrub 수로로 잠정적으로 확인했는데, 이는 2000년 케네스 뢴크비스트(Kenneth Lönqvist)가 지지한 확인입니다.[126] 뢴크비스트는 탈무드(라멘테이션 랍바 4.4)가 제1차 유대-로마 전쟁(66–73) 동안 광신적인 종교적 광신도들의 모임인 시카리족에 의해 솔로몬 웅덩이에서 수로가 파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그는 요세푸스에 기록된 바와 같이 수로가 사원 재정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았다면, 이것이 시카리족이 이 특정 수로를 목표로 하는 것을 설명해 줄 수도 있습니다.[127] 그러나 2021년에 발표된 보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솔로몬 웅덩이에 물을 공급하는 또 다른 수로 중 하나인 바이아르 수로(Biar Aqueduct, Wadiel-Biyar Aqueduct)의 건설 시기는 아마도 빌라도 시대인 서기 1세기 중반으로 추정됩니다.[128]

내접환

2018년 헤로디움에서 발견된 얇은 구리 합금 밀봉 고리에 현대적인 스캔 기술을 사용하여 새겨진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비문에는 "필라테의"라는 의미의 π ι λ τ α ο υ(υ)(필라토(u))라고 적혀 있습니다. 필라투스라는 이름은 드물기 때문에 이 반지는 폰티우스 필라투스와 연관이 있을 수 있지만, 저렴한 재료로 볼 때 그가 이 반지를 소유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이 반지는 빌라도라는 다른 사람의 것일 수도 있고,[130] 폰티우스 빌라도라는 사람의 것일 수도 있습니다.[131]

아포크리팔 문자와 전설

예수의 재판에서의 그의 역할 때문에, 빌라도는 고대 후기에 이교도와 기독교의 선전 모두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아마도 빌라도에게 전해진 가장 초기의 아포칼립스 문헌들은 빌라도의 십자가 처형에 대한 보고서라고 주장하는 기독교와 예수에 대한 비난일 것입니다. 에우세비우스 (교회사 9.2.5)에 따르면, 이 본문들은 막시미누스 2세 황제 (재위 308–313)가 수행한 기독교인들에 대한 박해 기간 동안 배포되었습니다. 이 텍스트들 중 어느 것도 살아남지 못하지만, 티보르 그뤼엘은 그들의 내용이 기독교의 사과문에서 재구성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132]

빌라도에 대한 긍정적인 전통은 동양 기독교, 특히 이집트와 에티오피아에서 자주 나타나는 반면, 서양과 비잔틴 기독교에서는 부정적인 전통이 우세합니다.[133][134] 또한, 초기 기독교 전통들은 후기 전통들보다 빌라도를 더 긍정적으로 묘사하는데,[135] 이는 앤 브로(Ann Wroe)가 제안하는 변화로, 밀라노 칙령(312)에 의해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가 합법화된 후, 예수가 유대인들에게 십자가에 못박힌 것에 대한 그의 역할에 대한 (그리고 로마 제국의 확장으로) 빌라도에 대한 비판을 더 이상 비껴갈 필요가 없었습니다.[136] 반면 바르트 에르만은 초기 교회가 빌라도를 묵인하고 유대인을 비난하는 경향은 초기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반유대주의"를 반영한다고 주장합니다.[137] 빌라도에 대한 긍정적인 전통의 가장 초기의 증명은 빌라도가 티베리우스에게 전하는 보고서를 봤다고 주장하는 1세기 후반, 2세기 초반의 기독교 작가 테르툴리아누스로부터 나옵니다.[138] 빌라도의 예수 재판에 대한 기록에 대한 이전 언급은 160년경 기독교 옹호자 저스틴 순교자에 의해 전해집니다.[139] 티보르 그뤼엘은 이것이 빌라도의 실제 기록에 대한 언급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138] 다른 학자들은 저스틴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지 않고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단순히 기록을 출처로 발명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140][141]

신약성경 아포크리파

4세기부터 빌라도와 관련하여 많은 기독교 아포크립파 텍스트가 개발되어 현존하는 신약성경 아포크립파의 가장 큰 그룹 중 하나를 구성했습니다.[142] 원래 이 문헌들은 예수의 죽음에 대한 빌라도의 죄를 풀어주는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예수의 재판에 대한 보다 완전한 기록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습니다.[143] 베드로 복음서는 필라테가 십자가에 못박힌 것을 완전히 면죄부를 주고, 대신 헤롯 안티파스가 이를 수행합니다.[144] 또한 본문은 빌라도가 죄의 손을 씻는 동안 유대인도 헤롯도 죄의 손을 씻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145] 복음서에는 예수의 무덤을 지키던 백년대계들이 예수가 부활했음을 빌라도에게 보고하는 장면이 포함돼 있습니다.[146]

단편적인 3세기 마니교 복음서에서 빌라도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언급하며 그의 백년대계들에게 "이 비밀을 지키라"고 말했습니다.[147]

니코데모스 복음서(필라테의 행위라고도 함)에 나오는 가장 일반적인 버전의 열정 서사에서 빌라테는 유대인들에 의해 예수를 처형하도록 강요당하고 그렇게 한 것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148] 한 판본은 아나니아스라는 유대인 개종자에 의해 발견되고 번역되었다고 주장하며, 그 자신을 십자가 처형에 대한 공식적인 유대인 기록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149] 또 다른 주장으로는 빌라도가 니코데무스와 아리마테아의 요셉이 자신에게 한 보고를 믿고 직접 빌라도가 만들었다고 합니다.[150] 일부 동방판 니코데무스 복음서는 필라테가 이집트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그의 이집트에서의 인기에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2] 니코데무스 복음서를 둘러싼 기독교 필라테 문헌에는 "필라테 주기"라고 불리는 후기 골동품과 중세 초기의 문헌이 적어도 15개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언어와 버전으로 쓰여지고 보존되며 폰티우스 필라테를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151] 이 중 두 가지는 빌라도가 황제에게 십자가에 못박힌 사건에 대해 보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빌라도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유대인 탓으로 돌리며 이야기합니다.[152] 또 다른 이유는 티베리우스가 예수의 죽음에 빌라도의 역할을 비난하는 분노에 찬 답장인 티베리우스의 편지라고 합니다.[152] 또 다른 초기 문헌은 《헤롯》(성경에 나오는 여러 영웅들의 합성어)에 기록된 아포칼립스 편지인데, 이 편지는 빌라도가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것에 대한 회한과 부활한 그리스도에 대한 환영을 말한 편지에 대한 응답을 주장하며, 《헤롯》은 빌라도에게 그를 위해 기도할 것을 요청합니다.[153]

고대 후기 아포칼립스 격정 복음서인 이른바 수탉의 서(Book of the Cock)에서 빌라도는 헤롯에게 예수를 보내고 헤롯에게 예수를 처형하지 말라고 주장하는 편지를 더 써서 예수의 처형을 피하려 합니다.[154] 예수님께서 빌라도의 딸들의 귀머거리를 기적적으로 고쳐주신 후 빌라도의 가족은 기독교인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빌라도는 점점 분노하는 군중들에 의해 예수를 처형해야 하지만, 예수는 빌라도에게 자신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다고 말합니다.[155] 이 책은 오늘날까지도 에티오피아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준정례적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성주간 동안에도 표준복음서 옆에서 계속 읽힙니다.[156]

빌라도의 죽음을 아포크리파에서

빌라도 본문 중 일곱 권은 빌라도가 십자가에 못박힌 후의 운명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세 권에서는 빌라도가 매우 긍정적인 인물이 되고, 네 권에서는 악마적인 인물로 제시됩니다.[157] 빌라도의 개종은 5세기 시리아어판 빌라도가 티베리우스 앞에서 예수의 죽음을 유대인들에게 돌린 후에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빌라도는 처형 전에 하나님께 기도하고 개종하여 기독교 순교자가 됩니다.[158] 그리스 파라도스 필라티([152]5세기)에서 필라트는 예수를 처형한 죄로 체포되지만, 그 이후로 그리스도의 추종자로 변했습니다.[159] 그의 참수에는 복을 받으라고 부르는 하늘의 목소리와 함께 예수님과 함께 할 것이라고 말하는 목소리가 함께합니다.[160] 중세 시대의 것으로 보이며 아랍어, 콥트어, 게즈어로 보존되어 있는 복음서 가말리엘리스[161]따르면 예수는 헤롯에 의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반면, 빌라도는 그의 신앙을 위해 순교한 그리스도를 믿는 진정한 신자였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중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아랍어, 콥트어, 게즈어로 보존되어 있는 마르티리움 필라티[161]빌라도를 묘사합니다. 그의 아내와 두 아이들도, 유대인들에게 한 번, 티베리우스에게 한 번씩, 그의 신앙 때문에 두 번씩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159]

에우세비우스에서 필라트의 자살에 대한 보고 외에도, 그룰은 필라트의 자살에 대한 세 가지 서양의 아포크리파 전통에 주목합니다. 티베리우스 황제는 성 베로니카가 가져온 예수의 모습을 보고 치유받고, 성 베드로는 예수의 기적에 대한 빌라도의 보고를 확인하고, 빌라도는 네로 황제에 의해 추방되고, 그 후 자살합니다.[162][163] 비슷한 이야기가 빈딕타 살바토리스(8세기)에서 나옵니다.[163][164] 모르스 필라티 (아마도 원래 6세기였지만 1300년 기록)에서 [165]필라티는 자살을 해야 했고 그의 시체는 티베르에 던져졌습니다. 그러나 몸은 악마와 폭풍에 둘러싸여 있어 티베르 강에서 제거되고 대신 론 강에 던져져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마지막으로 시체는 현대 스위스의 로잔으로 옮겨져 악마의 방문이 계속되는 고립된 호수(아마도 루체른 호수)에 묻힙니다.[166][167]

후대의 전설

프랑스 비엔나에 있는 폰티우스 필라트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19세기 석판화. 사실, 이것은 로마 서커스에서 나온 장식된 스피나입니다.[168]

11세기부터 서구 유럽에서 빌라도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전설적인 전기가 쓰여졌으며 성경과 아포크리파가 제공하는 정보에 세부 사항을 추가했습니다.[169] 전설은 다양한 버전으로 존재하며 라틴어와 현지어 모두에 매우 널리 퍼져 있었고, 각 버전에는 현지 전통과 관련된 상당한 변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170]

전기(傳記)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전설적인 전기는 1050년의 데 필라토(De Pilato)이며, 12세기 중반에 세 개의 라틴어 버전이 추가로 등장하고 많은 토착어 번역이 뒤따릅니다.[171] 하워드 마틴(Howard Martin)은 이 전설적인 전기의 일반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합니다. 점성술에 능숙하고 아투스(Atus)라는 이름의 왕이 마인츠(Mainz)에 살았습니다. 왕은 별에서 많은 땅을 다스릴 아들을 낳을 것이라 하여, 방앗간 주인 딸 필라를 데리고 와서, 그를 임신시켰습니다. 그래서 필라의 이름은 필라아투스라는 이름이 합쳐진 결과입니다.

몇 년 후, 필라트는 아버지의 궁정으로 끌려가 이복동생을 죽입니다. 그 결과 그는 인질로 로마로 보내져 또 다른 인질을 살해합니다. 벌로 그는 주민들을 복속시킨 폰티우스 섬으로 보내져 폰티우스 필라테라는 이름을 얻게 됩니다. 헤롯왕은 이 일을 듣고 팔레스타인에 와서 통치를 도와달라고 부탁합니다. 빌라도가 찾아왔지만 곧 헤롯왕의 권력을 찬탈합니다.[172]

그러면 복음서에서처럼 예수님의 재판과 심판이 일어납니다. 로마의 황제는 이 시기에 끔찍한 병을 앓고 있는데, 그리스도의 치유 능력을 듣고, 오직 성 베로니카에게서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다는 것을 배우라고 하는데, 그녀는 얼굴 모양의 옷을 가지고 있습니다. 빌라도는 그녀와 함께 로마로 포로로 잡혀가 심판을 받게 되지만, 황제가 빌라도를 비난하는 것을 볼 때마다 분노는 사라집니다. 이것은 빌라도가 예수의 외투를 입고 있기 때문으로 드러납니다. 외투를 벗으면 황제는 예수를 단죄하지만 빌라도는 먼저 자살을 합니다. 시신은 처음에는 티베르에 던져지지만, 폭풍을 일으키기 때문에 비엔나로 옮겨진 다음, 알프스 산맥의 호수에 던져집니다.[173]

빌라도 전설의 중요한 한 가지 버전은 중세 후기의 가장 인기 있는 책 중 하나인 야코부스 드 보라진(Jacobus de Voragine, 1263–1273 CE)의 황금 전설에서 발견됩니다.[174] 황금 전설에서 필라트는 유다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묘사되며, 먼저 유다의 아버지 루벤의 과수원에서 열매를 탐내고, 유다가 자신의 아버지를 죽인 후 유다 루벤의 재산을 양도합니다.[175]

서유럽

서유럽의 여러 곳에는 필라테와 관련된 전통이 있습니다. 현대 프랑스의 리옹비엔나는 필라트의 출생지라고 주장합니다. 비엔나에는 메종필라트, 프레투아르필라트, 투르 필라트가 있습니다.[176] 한 전통에 따르면 빌라도는 그의 무덤과 관련된 로마의 폐허가 있는 비엔나로 추방되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전통에 따르면 빌라도는 결국 정상에 있는 호수에서 자살하기 전에 현대 스위스의 한 산(현재 필라투스 산이라고 함)으로 피신했다고 합니다.[168] 이와 같은 필라투스 산과의 연관성은 서기 1273년부터 입증된 반면, 루체른 호수는 14세기부터 "필라투스-시"(필라테스 호수)로 불렸습니다.[177] 많은 전통들은 또한 필라트와 독일을 연결시켰습니다. 마인츠 외에도 밤베르크, 하우젠, 상부 프랑코니아도 그의 출생지라고 주장되었고, 일부 전통에서는 그의 죽음을 자를란트에 두고 있습니다.[178]

현대 스페인의 타라고나 마을에는 1세기 로마 탑이 있는데, 18세기 이래로 필라트는 그의 말년을 보냈다고 주장되는 "토레 델 필라토스"라고 불립니다.[168] 이 전통은 탑에 잘못 쓰인 라틴어 명문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179] 휴에스카와 세비야는 스페인의 필라테와 관련된 다른 도시들입니다.[176] 지역 전설에 따르면,[180] 스코틀랜드의 포팅올 마을은 빌라도의 출생지라고 주장하지만, 특히 로마인들이 43년까지 영국 섬을 침략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거의 확실한 19세기 발명품입니다.[181]

동방 기독교

빌라도는 또한 동방 기독교에서 전설의 대상이었습니다. 비잔틴 연대기 작가 조지 케드레노스(c.1100)는 필리테가 닭, 뱀, 원숭이와 함께 갓 도살된 소의 피부에 둘러싸인 햇빛에 방치되어 죽는다는 칼리굴라의 비난을 받았다고 썼습니다.[182] 중세 루스의 전설에서 빌라도는 성 스테판이 처형당하는 것을 막으려고 시도하고, 빌라도와 그의 아내, 아이들은 세례를 받고 스테판을 금으로 된 은관에 묻습니다. 필라트는 스테판과 함께 순교한 가말리엘, 니코데무스를 기리기 위해 교회를 짓습니다. 필라트는 7개월 후에 죽습니다.[183] 전설적인 내용이 더해진 고대교회의 슬라브어 번역본인 중세 슬라브어의 요셉푸스에서 필라트는 예수의 추종자들을 많이 죽이지만 예수는 무죄라고 생각합니다. 예수님이 빌라도의 아내에게 치명적인 병을 낫게 한 후, 유대인들은 빌라도에게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기 위해 30가지 재능을 뇌물로 바칩니다.[184]

미술, 문학, 영화

비주얼 아트

후기 골동품과 중세 초기 미술

빌라도 이전의 그리스도의 모자이크, 산타폴리나레 누오보 성당, 6세기 초 라벤나에 있는 산타폴리나레 누오보. 필라트는 오른쪽에 있는 인물이 들고 있는 그릇에 손을 씻습니다.

빌라도는 초기 기독교 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는 종종 예수 자신보다 더 큰 명성을 부여받습니다.[185] 그러나 그는 초기 기독교 예술에서 완전히 빠져 있습니다. 모든 이미지는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비잔틴 예술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186] 필라트는 서기 330년에 기독교 석관에서 처음으로 예술에 등장했습니다. 가장 초기의 묘사에서 그는 예수가 참석하지 않은 채 손을 씻는 모습을 보여줍니다.[187] 이후의 이미지들에서 그는 예수 앞에서 죄책감에 손을 씻는 모습이 전형적으로 보여집니다.[188] 빌라도에 대한 44개의 묘사들은 6세기 이전에 만들어졌으며 상아, 모자이크, 필사본, 석관화에서뿐만 아니라 발견됩니다.[189] 앉아있는 로마 판사로서 필라테의 도상은 로마 황제에 대한 묘사에서 비롯되며, 그가 높아진 자리와 옷을 포함하여 황제 또는 왕의 다양한 속성을 맡게 합니다.[190]

10세기 독일, 그리스도의 광장에서 필라테를 묘사한 마그데부르크 기사단의 패널

빌라도가 손을 씻는 모습을 묘사한 더 오래된 비잔틴 모델은 10세기까지 계속해서 작품에 등장합니다.[191] 그러나 7세기부터 빌라도의 새로운 도상도 등장하는데, 이것은 빌라도가 항상 손을 씻는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으며, 추가적인 장면에 빌라도를 포함합니다. 로마 모델이 아닌 현대 중세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191] 이 시기의 대부분의 묘사는 카롤링거나 후기 오토네 미술에 속하는 프랑스나 독일에서 왔으며,[192] 대부분 상아에 있으며, 일부는 프레스코화에 있지만 아일랜드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조각에 있지 않습니다.[193] 이 시기에 등장하는 빌라도의 새로운 모습들은 에체 호모에 대한 묘사, 빌라도가 요한복음 19장 5절에서 군중들에게 재앙을 받은 예수를 보여주는 장면,[194] 그리고 빌라도아포칼립스에서 유래한 장면들을 포함합니다.[195] 필라트는 또한 성경에 언급되지 않은 그리스도의 편장과 같은 장면에 등장하게 됩니다.[196]

힐데스하임 대성당 문 위에 있는 빌라도 이전의 그리스도 (1015). 빌라도가 예수를 심판할 때 악마가 그의 귀에 속삭입니다.

11세기에는 필라트 도상이 프랑스와 독일에서 영국으로, 더 나아가 지중해 동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192] 빌라도의 이미지는 금속과 같은 새로운 재료에서 발견되는 반면, 그는 상아에 덜 자주 등장했고 복음서와 시편 원고 조명의 빈번한 주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192] 묘사는 계속해서 빌라도 법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빌라도가 묘사되는 상황도 증가하고 있습니다.[192] 11세기부터 빌라도는 수염을 기르고 유대인 모자를 쓴 유대인 왕으로 자주 표현됩니다.[197] 많은 묘사에서 그는 더 이상 손을 씻는 것으로 묘사되지 않거나, 손을 씻는 것은 예수 앞에서 묘사되지 않거나, 성경이 그를 언급하지 않는 열정적인 장면으로 묘사됩니다.[198]

콥트교회에티오피아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전통 속에는 어느 시대의 필라테 이미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3]

중세시대와 중세시대의 후기, 르네상스 미술

빌라도 이전의 그리스도에 대한 묘사, 13세기 성경의 도덕성.

13세기에 그리스도의 열정의 사건들에 대한 묘사들이 모든 시각 예술 형태를 지배하게 되었습니다. "열정의 순환"에 대한 이러한 묘사들이 항상 빌라도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지만, 종종 빌라도가 포함될 때, 그는 종종 틀에 박힌 유대인의 특징들을 갖게 됩니다.[199] 빌라도가 유대인으로서 묘사된 가장 초기의 예들 중 하나는 11세기 힐데스하임 대성당 문에 있는 것입니다(오른쪽 위의 그림 참조). 중세 미술에서 빌라도가 악마의 영향을 받고 타락한 모티프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빌라도는 일반적으로 그의 삶과 14개의 다른 장면에서 묘사되지만,[200] 13세기 빌라도에 대한 모든 묘사의 절반 이상은 예수님에 대한 재판을 보여줍니다.[201] 필라트는 또한 15세기에 이르러 십자가에 못박힌 예술 작품의 표준 요소로 자주 묘사됩니다.[202] 많은 이미지들이 아직도 빌라도의 율법에서 그려지고 있지만, 야코부스 보라진황금 전설은 13세기 후반부터 빌라도를 묘사하는 주요 자료입니다.[203] 빌라도의 손 씻기가 가장 자주 묘사되는 장면으로 남아 있지만, 빌라도는 전설적인 자료에서 채택한 많은 전기 장면을 포함하는 풍부하게 조명된 성경 모랄리제뿐만 아니라 [204]시간 동안의 책에 대한 조명에도 자주 등장합니다.[205] 성경의 도덕성에서 빌라도는 일반적으로 유대인으로 묘사됩니다.[206] 그러나 다른 많은 이미지에서 그는 왕으로 묘사되거나 유대인과 왕의 속성이 혼합되어 있습니다.[207]

Nikolaus Obilman, Silesia, 1466년 Legnica Polyptych에서 온 Ecce Homo. 빌라도는 유대인의 모자와 황금색 예복을 입고 그리스도 옆에 서 있습니다.

14세기와 15세기는 필라테에 대한 묘사가 적지만, 필라테는 일반적으로 열정에 대한 작품 주기에 등장합니다. 그는 때때로 재판 장면에서 헤롯, 안나, 그리고 카이아파스로 대체됩니다.[208] 이 시기의 필라테에 대한 묘사는 주로 상아나 책과 같은 사적인 감정의 장소에서 발견됩니다. 그는 또한 많은 판넬화, 주로 독일화, 그리고 대부분 스칸디나비아화의 프레스코화의 주요 주제입니다.[209] 빌라도를 포함하는 가장 빈번한 장면은 그의 손 씻기입니다; 빌라도는 전형적으로 나이가 많고 수염이 난 남자로, 종종 유대인의 모자를 쓰지만 때로는 왕관을 쓰고, 전형적으로 조각상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고위 성직자들과 유사하게 묘사됩니다.[210] 필라테의 이미지는 이탈리아에서 특히 인기가 많았는데, 이탈리아에서는 필라테가 거의 항상 로마인으로 묘사되었고,[211] 대규모 교회 그림의 새로운 매체에 자주 등장합니다.[212] 필라테는 다양한 원고 그림 성경과 헌신적인 작품에도 계속해서 표현되었으며, 종종 혁신적인 도상학으로 표현되었으며, 때로는 필라테 전설의 장면을 묘사하기도 했습니다.[213] 주로 독일어로 된 필라테 판각과 목판화들이 15세기에 많이 만들어졌습니다.[214] 빌라도의 모습들은 16세기까지 계속 인쇄된 성경책들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삶에 초점을 맞춘 그림 성경들로 인쇄되었습니다.[215]

중세 이후의 미술

니콜라이 게, 진리란 무엇인가?, 1890년

현대 시대에는 빌라도에 대한 묘사가 덜 빈번해졌지만, 가끔은 여전히 빌라도가 예수를 만난 것에 대한 묘사가 있습니다.[216] 16세기와 17세기에 필라트는 유대인과 같은 특성을 감안하여 터번과 긴 예복을 입고 긴 수염을 기른 아랍인 복장을 자주 했습니다. 이 시대의 주목할 만한 그림으로는 빌라도에게 철학자의 이마가 주어진 틴토레토의 '빌라테 앞의 그리스도'(1566/67 CE)와 나중에 빌라도의 유대인 모습으로 인해 대제사 앞의 그리스도로 재분류된 게릿혼토르스트의 '빌라테 앞의 그리스도'(1617 Christ)가 있습니다.[217]

필라트에 대한 묘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이 더 긴 기간 이후, 19세기 중반의 종교성 증가로 인해 현재 로마인으로 묘사되는 폰티우스 필라트에 대한 많은 새로운 묘사가 만들어졌습니다.[217] 1830년 J. M. W. 터너(J. M. W. Turner)는 빌라도(Pilate Washing Hands)를 그렸는데, 이 그림에서 주지사 자신은 보이지 않고, 오히려 그의 의자 뒤쪽에만 [218]비탄하는 여성들을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유명한 19세기 필라트 그림 중 하나는 헝가리 화가 미할리 문카시(Mihály Munkácsy)의 "필라트 이전의 그리스도"(1881)입니다. 이 작품은 문카시의 일생 동안 큰 명성과 유명인사를 불러왔고, 그의 명성을 높였으며, 특히 이 그림이 구입된 미국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219] 1896년 문카시는 그리스도와 빌라도, 에체 호모를 주인공으로 한 두 번째 그림을 그렸는데, 이 그림은 미국에서는 전시된 적이 없습니다. 두 그림 모두 빌라도가 아닌 군중의 손에 있는 것처럼 예수의 운명을 묘사합니다.[220] 1890년에 완성된 러시아 화가 니콜라이 게의 "19세기 그림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진실이란 무엇인가?" ("ч то есть истина?") 이 그림은 부분적으로 빌라도의 형상이 차르 당국을 대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전시가 금지되었습니다. 1893년, 게는 또 다른 그림인 골고타를 그렸는데, 골고타는 오직 그의 명령하는 손으로만 표현되어 예수에게 사형을 선고했습니다.[218] 현재 로마에 위치한 필라테의 프라에토리움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계단인 스칼라 산타에는 이탈리아 조각가 이그나치오 자코메티가 19세기에 만든 에체 호모 장면에 나오는 그리스도와 필라테의 실물 크기 조각이 측면에 있습니다.[223]

바르셀로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수비라흐스에체 호모.

예수를 죽음으로 단죄하는 빌라도의 모습은 오늘날 17세기 프란치스코 성당에서 처음 발견되고 19세기 이후 거의 모든 성당에서 발견되는 십자가의 역의 첫 장면으로 흔히 접하게 됩니다.[224][225][226]

중세 연극

필라트는 중세 정열극에서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는 예수보다도 서사에 더 중요한 인물로 자주 묘사되며 [227]15세기 중세극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228] 필라테를 포함한 극 중 가장 인기 있는 세 장면은 그의 손 씻기, 예수를 해치지 말라는 아내 프로쿨라의 경고, 예수의 십자가에 적힌 표제문입니다.[210] 필라테의 성격은 극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이후의 극에서는 필라테가 보통은 부정적인 인물이고, 때로는 사악한 악당이기는 하지만 다소 모호하게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229] 일부 연극에서 빌라도는 유대인들에게 반대하고 그들을 비난하지만, 다른 연극에서 그는 자신을 유대인으로 묘사하거나 그리스도를 죽이려는 그들의 소망을 지지합니다.[230]

서유럽 대륙을 무대로 펼쳐지는 열정극에서 필라트는 선에서 악으로 성격이 다양하지만 대부분 양성적인 인물입니다.[231]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정열극인 13세기의 클로스터네우부르크 출신의 루두스 파시스테는 필라테를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은 유대인들의 변덕에 굴복하는 나약한 행정가로 묘사합니다.[232] 필라트는 독일어권 국가들과 프랑스에서 공연되는 점점 더 길고 정교한 열정 연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합니다.[233] 아르눌 그레반의 15세기 열정에서 필라트는 편모들에게 예수를 채찍질하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해 가르칩니다.[234] 1517년 알스펠더 페스티스필은 필라테가 헤롯의 우정을 잃을 것을 두려워하여 그리스도를 단죄하고 유대인의 선의를 얻기 위해 그리스도를 비난하는 것으로 묘사합니다. 그는 결국 기독교인이 됩니다.[235] 반면에 1493년 프랑크푸르터 열정스필에서는 빌라도 자신이 그리스도를 고발합니다.[236] 15세기 독일 베네딕트보어른의 정열극은 필라테를 헤롯의 좋은 친구로 묘사하며 유다의 키스를 연상시킵니다.[206] 컬럼 휴리하네는 이 모든 희곡들이 반유대주의적 구호를 지지했으며 대륙에서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높았던 시기에 쓰여졌다고 주장합니다.[237]

15세기 로마의 예수 수난곡은 빌라도가 유대인들의 뜻에 반하여 예수를 구하려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230] 이탈리아의 정열극에서 필라트는 자신을 유대인이라고 밝히지 않으며, 15세기 리슈레치오네에서 자신들을 비난하고 유대인들이 그리스도의 "새로운 법"에 대해 두려워하는 것을 강조합니다.[238]

Hourihane은 1290년에 유대인들이 추방되었던 영국에서, 빌라도의 특성은 반유대주의를 부추기기보다는 부패한 관리들과 판사들을 사티리제화하는데 주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239] 여러 영어 연극에서 필라트는 지배층의 언어인 프랑스어나 라틴어, 법을 말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240] 웨이크필드 연극에서 필라트는 사악하게 사악한 것으로 묘사되며, 자신을 사탄의 대리인(mali actoris)으로 묘사하면서 그리스도의 고문을 가장 많은 고통을 끌어내기 위해 음모를 꾸몄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문이 행해진 후에 그는 죄책감에 손을 씻습니다.[241] 15세기 영국 타운리 사이클에서 빌라도는 유대인들의 거만한 영주이자 왕자로 묘사되지만 그리스도의 고문자에게 십자가 기슭에 있는 그리스도의 옷을 주도록 강요하는 것으로도 묘사됩니다.[242] 유다와 함께 음모를 꾸미며, 대제사장들보다 그리스도를 죽이려는 자는 그분뿐입니다.[243] 15세기 잉글리시 요크 정열극에서 필라트는 안나스, 카이아파스와 함께 예수를 심판하며 다른 인물들과 대화하고 지도하는 정열 서사의 중심 인물이 됩니다.[244] 이 극에서 유다가 빌라도와 제사장들에게 더 이상 예수를 배신하고 싶지 않다고 말하기 위해 돌아왔을 때, 빌라도는 유다를 때려 계획을 실행에 옮깁니다.[245] 빌라도는 유다에게 그리스도를 배반하라고 강요할 뿐만 아니라, 유다가 그리스도를 배반한 후에는 그를 종으로 삼지 않으려고 합니다. 게다가 필라트는 또한 사기를 쳐서 포터의 밭을 소유하게 되고, 그래서 유다가 자살하는 땅을 소유하게 됩니다.[246] 요크 열정 사이클에서 필라트는 자신을 궁인으로 묘사하지만 대부분의 영국 열정 연극에서 그는 자신의 왕족 혈통을 선언합니다.[210] 영국 연극에서 필라트를 연기한 배우는 일반적으로 크고 권위적으로 말하곤 했는데, 이 사실은 제프리 초서캔터베리 이야기에서 패러디되었습니다.[247]

15세기는 또한 전설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한 연극에서 필라트는 등장인물로 봅니다. 하나그리스도를 괴롭히는 사람들에게 닥친 끔찍한 운명에 초점을 맞춘 두 가지 극적인 치료로 존재합니다. 그것은 필라트는 기둥에 묶여 있고, 기름과 꿀로 덮여 있고, 그리고는 21일에 걸쳐 서서히 토막을 내고, 끝까지 죽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보살펴 줍니다.[248] 빌라도의 죽음에 초점을 맞춘 또 다른 연극은 모르스 필라티를 바탕으로 한 코르니쉬입니다.[249] 장 미셸의 '열정의 여신 정령'에는 그 정령 이전의 필라테의 삶에 대한 전설적인 장면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231]

근대문학

폰티우스 필라트는 많은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로, 전형적으로 그리스도의 심판 속에 등장하는 인물입니다.[224] 그가 큰 역할을 한 초기 문학 작품 중 하나는 프랑스 작가 아나톨 프랑스의 1892년 단편 소설 "유대아의 검찰관"("Le Procurateur de Judée")으로, 시칠리아로 추방된 나이 든 필라트를 묘사합니다. 그곳에서 농부로 행복하게 살고 딸의 보살핌을 받지만, 유대 총독으로 지내면서 통풍과 비만에 시달리며 피를 흘립니다.[250] 빌라도는 바이애의 목욕탕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예수님을 전혀 기억하지 못합니다.[251]

존 메이즈필드의 희곡 "굿 프라이데이"는 1916년에 쓰여졌습니다. 주인공은 필라트입니다.[252]

필라트는 1933년 조지 버나드 쇼의 연극 On the Rocks의 서문에서 혁명의 위험과 새로운 사상에 대해 예수에게 반대하는 주장을 잠시 보여줍니다.[253]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랑스 작가 로저 카일리는 필레가 예수를 무죄로 인정하는 소설 폰티우스 필라트(1936)를 썼습니다.[254]

필라트는 러시아 작가 미하일 불가코프의 소설 마스터와 마르가리타에서 눈에 띄게 등장하는데, 이 소설은 1930년대에 쓰여졌지만 작가가 죽은 지 26년이 지난 1966년에야 출판되었습니다.[255] 헨리 1세. 맥아담은 그것을 "필라테스 관련 소설의 '컬트 고전'"이라고 표현합니다.[254] 이 작품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폰티우스 필라테와 그가 예수(예슈 하노츠리)와 조우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주제 때문에 마스터는 소련 문학계로부터 "필라티즘"이라는 공격을 받았습니다. 소설의 5장은 마스터와 마르가리타의 장으로 등장합니다. 그들에서 빌라도는 예수님의 카리스마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너무 비겁하게 예수님을 구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려집니다. 1960년대 러시아 비평가들은 이 필라트는 "스탈린주의 러시아의 영리한 지방 관료들의 모델"이라고 해석했습니다.[256] 빌라도는 예수를 죽인 죄에 사로잡히게 됩니다.[257] 자신의 도덕성을 따르고 예수님을 자유롭게 하고자 하는 욕망을 배반했기 때문에 빌라도는 영원히 고통을 받아야 합니다.[258] 불가코프의 소설 말미에 빌라도의 죄책감은 마침내 주인님에 의해 해소됩니다.[259]

빌라도에 관한 문학 텍스트의 대부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나온 것인데, 알렉산더 데임트는 빌라도가 죄책감에 손을 씻었다는 것에 대한 문화적 불만을 보여줍니다.[251] 스위스 작가 프리드리히 뒤렌마트(Friedrich Dürrenmatt)의 초기 이야기 중 하나("Pilatus", 1949)는 필라테가 예수의 재판에서 하나님을 고문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으로 묘사합니다.[260] 스위스 극작가 막스 프리슈의 코미디 영화 중국어 마우어는 필라테를 자신이 일으킨 고통에 대한 책임을 지기를 거부하는 회의적인 지식인으로 묘사합니다.[261] 독일 가톨릭 소설가 게르트루드 르포르의 디 프라우필라투스는 필라투스의 아내가 예수를 구하려다 스스로 빌라도의 죄를 뒤집어쓰고 기독교로 개종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필라투스는 그녀를 처형하기도 합니다.[260]

1986년, 소련-키르기즈 작가 칭기즈 아이트마토프필라테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을 러시아어로 출판했습니다. 이 소설은 신학생 출신의 내레이터 아브디 칼리스트라토프가 환영 속에서 목격한 빌라도와 예수의 확장된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빌라도는 인류가 곧 자기 자신을 파괴할 것이라고 믿는 물질주의 비관론자로 제시되고, 예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제시합니다.[255] 두 사람은 다른 주제 중에서도 마지막 심판과 두 번째 심판의 의미를 시대착오적으로 이야기합니다. 빌라도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고 예수님을 죽음으로 보내면서 안일해 합니다.[262]

영화

필라트는 여러 영화에서 묘사되었으며, 이미 제작된 초기 영화 중 일부에서 그리스도의 열정에 대한 묘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263] 1927년 무성 영화 왕중왕전에서 필라트는 헝가리계 미국인 배우 빅토르 바르코니에 의해 연기되는데, 그는 37피트 높이의 거대한 로마 독수리 아래에 앉아 있는데, 크리스토퍼 맥도너는 이것이 "그가 소유하고 있는 힘이 아니라 그를 소유하고 있는 힘"을 상징한다고 주장합니다.[264] 에체 호모 장면에서 독수리는 예수와 빌라도 사이의 배경에 서서 각 인물 위에 날개를 달고 서 있습니다. 빌라도는 주저하며 예수를 비난한 후, 독수리에게 돌아갔고, 독수리는 이제 그의 옆에 액자가 되어 있고, 그의 결정에서 고립된 모습을 보여주며 맥도너프가 제안합니다. 그가 황제를 얼마나 잘 섬겼는지 청중들에게 의문을 갖게 합니다.[265]

영화 폼페이 최후의 날 (1935)은 배우 바실 라스본이 긴 손가락과 긴 코를 그에게 주면서 필라테를 "로마 제국의 총체적인 물질주의의 대표자"로 묘사합니다.[266]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빌라도와 로마인들은 종종 미국 영화에서 악역을 맡습니다.[267] 1953년 영화 로브는 필라트는 로마의 퇴폐를 상징하는 금과 반지로 완전히 덮여있는 것으로 묘사합니다.[268] 1959년 영화 벤허(Ben-Hur)는 필레이트(호주 배우 프랭크 스링 주니어)가 전차 경주를 지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앤 브로(Ann Wroe)는 "1936년 올림픽의 히틀러 영상을 면밀히 본떠 만든 것 같다"고 말하고, 필레이트는 지루하고 비웃고 있습니다.[269] 그러나 마틴 윙클러(Martin Winkler)는 벤허(Ben-Hur)가 당시 대부분의 미국 영화보다 필라트(Pilate)와 로마 제국에 대해 더 미묘하고 덜 비난적인 묘사를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270]

폰지오 필라토에서 폰티우스 필라트 역의 장 마레 (1962)

필라트는 장 마레가 연기한 1962년 프랑스-이탈리아 폰지오 필라토에서 완전히 한 편의 영화만 제작되었습니다.[268] 1970년 오페라를 기반으로 한 1973년 영화 '예수 그리스도 슈퍼스타'에서 예수의 재판은 로마 극장의 폐허에서 진행되며, 로마의 권위가 무너지고 "정치적이든 다른 모든 권위가 무너지는 것"을 암시합니다.[271] 배리 데넨이 연기한 영화 속 빌라도는 요한복음 18장 38절에서 예수에게 진리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맥도너가 보기에 "도덕 상대주의의 불안한 대표자"로 등장합니다.[271] 재판 장면에서 데넨의 묘사에 대해 말하자면, 맥도너는 그를 "모서리진 동물"이라고 묘사합니다.[272] Wroe는 후에 Monty Python의 "Life of Brian"에서 Michael Palin의 Pilate에 의해 [268]묘사된 필라테스가 일종의 활기를 띠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자신의 r을 생략하고 잘못 발음합니다. 마틴 스콜세지의 '그리스도마지막 유혹'(1988)에서 필라트는 데이비드 보위에 의해 연기되며, 그는 "거대하고 섬뜩한 자웅"으로 등장합니다.[268] 보위의 필라트는 예수(윌렘 다포)의 미국 억양과 대조적으로 영국 억양으로 말합니다.[273] 재판은 빌라도의 개인 마구간에서 진행되는데, 빌라도가 예수님의 심판을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하며, 빌라도가 아무런 거리낌 없이 명령하는 예수님의 죽음에 대해 어떤 책임도 지려 하지 않습니다.[274]

멜 깁슨의 2004년 영화 그리스도열정헤리스토 쇼포프가 연기한 필라테를 동정적이고 고결한 마음을 가진 인물로 [275]그가 자신의 요구에 굴복하지 않으면 유대인 사제 카이아파스가 봉기를 일으킬 것을 두려워합니다. 예수가 자신 앞에 끌려오자 유대 당국이 예수를 대하는 것에 혐오감을 표하며 예수에게 물 한 잔을 권합니다.[275] 맥도너는 "쇼포프는 우리에게 매우 미묘한 빌라도를 보여주는데, 그는 군중 앞에서 당황하지는 않았지만 아내와의 사적인 대화에서 훨씬 더 큰 오해를 배반합니다."라고 주장합니다.[276]

유산

빌라도 이전의 그리스도, 16-17세기

폰티우스 필라트는 니케아 신조사도신조 모두에서 십자가 처형에 관여한 것으로 언급됩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예수는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통을 받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매장됐다"고 합니다.[277] 니케아 크리드는 "우리를 위해 [예수님]은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셨다; 그는 죽음을 당하고 묻혔습니다."라고 말합니다.[278] 이 크레딧은 많은 기독교인들이 매주 암송합니다.[279] 예수님과 마리아님 외에 유일하게 이름으로 언급된 사람이 바로 빌라도입니다.[280] 성경 속 빌라도에 대한 언급은 그 열정을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하는 역할을 합니다.[281]

그는 에티오피아 교회로부터 6월 19일 축일과 함께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으며,[159][282] 역사적으로 콥트 교회로부터 6월 25일 축일과 함께 추앙받고 있습니다.[283][284]

마태오 27장 24절에 나오는 빌라도의 예수의 죽음에 대한 책임의 손 씻기는 대중의 상상 속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이미지이며,[75] 어떤 것에 대한 더 이상의 관여나 책임을 거부한다는 의미의 영어 구절 "(사안의) 씻기"의 기원입니다.[285] 요한복음에서 빌라도에게 주어진 대화의 일부는 특히 유명한 명언이 되었고, 특히 라틴어 버전의 불게이트에서 인용되었습니다.[286] 여기에는 요한복음 18장 35절(numquid ego Iudaeus sum? "내가 유대인이냐?", 요한 18:38(지디스트 베리타스?), "진실은 무엇인가?", 요한 19:5(에체 호모, "그 사람을 잡아라!"), 요한 19:14(에체렉스 베스터, "왕을 잡아라!"), 요한 19:22(쿼드 스크립시, "내가 쓴 것, 내가 쓴 것").[286]

예수가 빌라도에서 유대인으로 십자가에 못박힌 것에 대한 복음주의자들의 책임 회피는 중세에서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반유대주의를 조장했다는 비난을 받아왔습니다.[287]

학술적 평가

빌라도에 대한 주요 고대 문헌들은 빌라도의 통치와 성격에 대해 매우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필로는 적대적이고 요셉푸스는 대부분 중립적이며 복음서는 "비교적 우호적"입니다.[288] 이는 빌라도의 오랜 재임 기간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부족과 맞물려 현대 학자들의 폭넓은 평가를 불러왔습니다.[17]

일부 학자들은 빌라도가 유대인들에게 끼친 많은 죄악을 근거로 빌라도가 특별히 나쁜 총독이었다고 생각합니다. M. P. 찰스워스는 필라트는 "10년 동안 그가 통치하도록 보내진 사람들에 대한 경멸과 오해로 실수를 쌓아올린 평범한 지방 관리들의 그것보다 성격과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고 주장합니다.[289] 그러나 폴 마이어(Paul Maier)는 빌라도가 유대인 통치자로 오래 재임한 것은 빌라도가 합리적으로 유능한 행정가였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하는 반면,[290] 헨리 맥아담(Henry MacAdam)은 "유대인 전쟁 이전 유대인 통치자들에게 빌라도는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더 유능한 행정가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291] 다른 학자들은 빌라도가 유대인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문화적으로 무감각했고, 이런 식으로 전형적인 로마 관리였다고 주장했습니다.[292]

1948년 스타우퍼(E. Stauffer)를 시작으로, 일부 학자들은 세야누스에 의해 임명될 수 있는 가능성을 근거로, 필라테의 유대인에 대한 죄가 유대인에 대한 증오와 그들의 국가를 파괴하려는 열망 때문에 세야누스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필라테의 동전에 대한 이교도 이미지에 의해 뒷받침됩니다.[293] 이 이론에 따르면, 서기 31년 세야누스의 처형과 티베리우스가 그의 지지자들을 숙청한 후, 자신이 제거되기를 두려워한 필라트는 훨씬 더 조심스러워졌고, 겉으로 보기에는 약하고 흔들리는 예수의 재판에서의 태도를 설명했습니다.[294] 헬렌 본드는 "유대인의 동전, 특히 헤롯과 그라투스의 동전 전체에 걸쳐 이교도 디자인의 역사를 볼 때, 빌라도의 동전은 의도적으로 공격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295]고 주장하며, 빌라도와 세야누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를 거의 제시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296] 카터는 이 이론이 홀로코스트의 여파 속에서 발생했으며, 세야누스가 반유대주의자였다는 증거는 전적으로 필로에게 달려 있으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것이 빌라도의 정확하거나 공정한 그림이라고 확신하지 못했다"고 언급했습니다.[297]

참고 항목

메모들

  1. ^ 후대의 기독교 전통은 필라테의 아내에게 프로쿨라(라틴어: Procula) 또는 프로카(고대 그리스어: π ρόκλα)라는 이름과 클라우디아 프로쿨라 및 때로는 리비아 또는 필라테사와 같은 다른 이름을 부여합니다.
  2. ^ /ˈpɒnʃəs ˈplət, -tiəs/ PON-shəs PY-lət, - tee-əs[4][5][6]
  3. ^ 빌라도의 총독 칭호는 빌라도 석판에 기록된 바와 같이 "유대아의 직함"(Praeectus Iudae)입니다. 그의 칭호는 타키투스에서는 검찰관으로, 요셉푸스와 필로에서는 그리스어에 해당하는 에피토프(ἐπίτροπος)로 주어집니다. 후에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통치하에서 현은 "검찰관"으로 바뀌었고, 후대의 자료들이 빌라도에게 이 칭호를 부여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40] 신약성경은 그리스어로 일반적인 헤게모니(ἡγεμ ών)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 용어는 요셉푸스의 필라테에게도 적용됩니다.

인용문

  1. ^ Demandt 1999, p. 162.
  2. ^ a b 그룰 2010, 페이지 168.
  3. ^ a b Hourihane 2009, p. 415.
  4. ^ 올라슨 & 상스터 2006.
  5. ^ 밀리노비치 2010.
  6. ^ 존스 2006.
  7. ^ a b c 본드 1998, p. 201.
  8. ^ Carter 2003, p. 11; Grüll 2010, p. 167; Luisier 1996, p. 411.
  9. ^ 슈워츠 1992, p. 398; Lemon on 2007, p. 121.
  10. ^ Maier 1971, p. 371; Demandt 2012, pp. 92-93.
  11. ^ 본드 1998, 페이지 22; 카터 2003.
  12. ^ a b c d 카터 2003, 페이지 12.
  13. ^ Demandt 2012, p. 34. "Nach dem Tod des Caligula, Unter Claudius, Schrief Philosine 'Legatio'."
  14. ^ a b 베이즈 2010, 페이지 79.
  15. ^ 트레빌코 2007, 페이지 631.
  16. ^ Wroe 1999, p. xii.
  17. ^ a b 카터 2003, 페이지 12-19.
  18. ^ 카터 2003, 12-13쪽.
  19. ^ MacAdam 2001, p. 75.
  20.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프로젝트 비문의 빌라도 석재: https://library.brown.edu/iip/viewinscr/caes0043/ (2019)
  21. ^ a b 2007년의 Lemon, p. 121.
  22. ^ 2007년의 Lemon, p. 16.
  23. ^ Demandt 2012, 페이지 47-48.
  24. ^ Wroe 1999, p. 16.
  25. ^ Ollivier 1896, p. 252.
  26. ^ a b Demandt 2012, 페이지 46-47.
  27. ^ 본드 1998, 페이지 9.
  28. ^ 카터 2003, 15쪽.
  29. ^ 본드 1998, 197쪽; Demandt 2012, 76-77쪽; Lemon on 2007, 167쪽.
  30. ^ Demandt 2012, p. 48.
  31. ^ Lemon on 2007, pp. 121-122.
  32. ^ a b c 슈워츠 1992, 398쪽.
  33. ^ 본드 1998, 페이지 8.
  34. ^ 마이어 1968, 8-9쪽.
  35. ^ McGing 1991, p. 427; Carter 2003, p. 4; Schwartz 1992, p. 398.
  36. ^ 슈워츠 1992, 396-397쪽.
  37. ^ Lönnqvist 2000, p. 67.
  38. ^ 2007년의 Lemon, p. 122.
  39. ^ a b 슈워츠 1992, 페이지 397.
  40. ^ 본드 1998, 페이지 11-12.
  41. ^ 본드 1998, 페이지 11.
  42. ^ a b 슈워츠 1992, 페이지 197.
  43. ^ 2007년의 Lemon, p. 70.
  44. ^ Bond 1998, pp. 5, 14-15.
  45. ^ 본드 1998, 페이지 7-8.
  46. ^ 카터 2003, 46쪽.
  47. ^ Lemon on 2007, pp. 86-88.
  48. ^ 본드 1998, 페이지 19.
  49. ^ 카터 2003, 48쪽.
  50. ^ 마이어 1971, 페이지 364.
  51. ^ a b 본드 1998, 페이지 89.
  52. ^ 2007년의 Lemon, p. 172.
  53. ^ a b 슈워츠 1992, 페이지 400.
  54. ^ Demandt 2012, 페이지 60-61.
  55. ^ a b c 슈워츠 1992, 페이지 399.
  56. ^ MacAdam 2001, p. 78.
  57. ^ 테일러 2006.
  58. ^ Bond 1998, pp. 52-53.
  59. ^ 본드 1998, 페이지 57.
  60. ^ 본드 1998, 페이지 79.
  61. ^ Demandt 2012, pp. 53-55.
  62. ^ 2007년의 Lemon, p. 206.
  63. ^ Yong 1855, 165-166쪽.
  64. ^ Bond 1998, pp. 36-37; Carter 2003, pp. 15-16; Schwartz 1992, p. 399.
  65. ^ 본드 1998, 페이지 39.
  66. ^ Demandt 2012, pp. 51-52.
  67. ^ 본드 1998, 페이지 46.
  68. ^ Bond 1998, p. 53.
  69. ^ 본드 1998, 페이지 194-195.
  70. ^ Bond 1998, pp. 195-196.
  71. ^ 본드 1998, p. 196.
  72. ^ "Christus bij Pilatus". lib.ugent.be. Retrieved 2 October 2020.
  73. ^ Hourihane 2009, pp. 22-23.
  74. ^ 본드 1998, 페이지 196-167.
  75. ^ a b 본드 1998, p. xi.
  76. ^ Crossan, John Dominic (1995). Jesus: A Revolutionary Biography. HarperOne. p. 145. ISBN 978-0-06-061662-5. That he was crucified is as sure as anything historical can ever be, since both Josephus and Tacitus ... agree with the Christian accounts on at least that basic fact.
  77. ^ Demandt 2012, 페이지 44-45.
  78. ^ 본드 1998, 페이지 197.
  79. ^ Demandt 2012, 페이지 70-71.
  80. ^ Bond 1998, pp. 197–198; Lemon on 2007, p. 172; Demandt 2012, p. 74.
  81. ^ 본드 1998, p. 198.
  82. ^ Lemon on 2007, pp. 172–173.
  83. ^ Bond 1998, 199쪽; Lemon on 2007, 173-176쪽; Demandt 2012, 75-76쪽.
  84. ^ a b McGing 1991, 페이지 417.
  85. ^ 마이어 1990, 페이지 95.
  86. ^ McGing 1991, 페이지 417-418.
  87. ^ 1974년 겨울, 85-86쪽.
  88. ^ 에르만 2003, 페이지 20-21.
  89. ^ Brown, Raymond E. (2008). The Death of the Messiah. Yale University Press. pp. 753, 833. ISBN 978-0-300-14009-5.
  90. ^ McGing 1991, 페이지 435-436.
  91. ^ 카터 2003, 153-154쪽.
  92. ^ Evans, Craig A.; Wright, Nicholas Thomas (1 January 2009). Jesus, the Final Days: What Really Happened. Westminster John Knox Press. p. 20. ISBN 978-0-664-23359-4.
  93. ^ Demandt 2012, p. 63.
  94. ^ 본드 1998, 페이지 67.
  95. ^ 카렌 코킨, 고대 로마에서 노년을 경험하다, p.100
  96. ^ 마이어 1971, 366-367쪽.
  97. ^ 마이어 1971, 페이지 367.
  98. ^ Bond 1998, pp. 92-93.
  99. ^ Taylor 2006, p. 577.
  100. ^ a b 마이어 1971, 페이지 369.
  101. ^ Demandt 2012, p. 92.
  102. ^ a b 마이어 1971, 페이지 370.
  103. ^ Grüll 2010, 페이지 154-155.
  104. ^ 마이어 1971, 페이지 371.
  105. ^ Taylor 2006, p. 578.
  106. ^ a b Vardaman 1962, 페이지 70.
  107. ^ Taylor 2006, pp. 565–566.
  108. ^ Demandt 2012, p. 40.
  109. ^ 테일러 2006, p. 566.
  110. ^ Demandt 2012, 페이지 41-42.
  111. ^ 본드 1998, 페이지 12.
  112. ^ Taylor 2006, pp. 566–567.
  113. ^ 바르다만 1962.
  114. ^ a b MacAdam 2017, 페이지 134.
  115. ^ a b 보르만 1901, 페이지 647.
  116. ^ a b c MacAdam 2001, p. 73.
  117. ^ Demandt 1999, p. 82.
  118. ^ a b Bond 1998, pp. 20-21.
  119. ^ Taylor 2006, pp. 556–557.
  120. ^ 본드 1996, 페이지 243.
  121. ^ 본드 1996, 페이지 250.
  122. ^ 본드 1996, 페이지 241.
  123. ^ 채권 1996, 페이지 241-242.
  124. ^ Taylor 2006, pp. 562–563.
  125. ^ Lemon on 2007, p. 155.
  126. ^ Lönnqvist 2000, p. 64.
  127. ^ Lönnqvist 2000, p. 473.
  128. ^ Hasson, Nir (19 December 2021). "Notorious Pontius Pilate Is the One Who Built Jerusalem Aqueduct, Study Finds". Haaretz. Retrieved 23 June 2022.
  129. ^ Amora-Stark 2018, p. 212.
  130. ^ Amora-Stark 2018, pp. 216-217.
  131. ^ Amora-Stark 2018, p. 218.
  132. ^ Grüll 2010, pp. 156-157.
  133. ^ Grüll 2010, pp. 170–171.
  134. ^ Demandt 2012, p. 102.
  135. ^ Hourihane 2009, p. 37.
  136. ^ Wroe 1999, 페이지 329.
  137. ^ 에르만 2003, 페이지 20-22.
  138. ^ a b Grüll 2010, 페이지 166.
  139. ^ Demandt 2012, p. 94.
  140. ^ Lemon on 2007, pp. 232-233.
  141. ^ Izydorczyk 1997, p. 22.
  142. ^ Hourihane 2009, p. 25.
  143. ^ Demandt 2012, pp. 93-94.
  144. ^ 코스터 1980, 126쪽.
  145. ^ Hourihane 2009, p. 26.
  146. ^ 코스터 1980, 페이지 128-129.
  147. ^ Hourihane 2009, p. 27.
  148. ^ Izydorczyk 1997, p. 4.
  149. ^ Dilley 2010, pp. 592-594.
  150. ^ Izydorczyk 1997, p. 6.
  151. ^ Izydorczyk 1997, pp. 9–11, 419–519.
  152. ^ a b c Izydorczyk 1997, p. 7.
  153. ^ 카터 2003, 10-11쪽.
  154. ^ Piovanelli 2003, pp. 427–428.
  155. ^ 피오바넬리 2003, 페이지 430.
  156. ^ Piovanelli 2003, pp. 433–434.
  157. ^ Grüll 2010, pp. 159-160.
  158. ^ Grüll 2010, pp. 166–167.
  159. ^ a b c Grüll 2010, 페이지 167.
  160. ^ 버크 2018, 페이지 266.
  161. ^ a b 그룰 2010, 페이지 160.
  162. ^ 구넬 2011, 페이지 233.
  163. ^ a b Grüll 2010, p. 162.
  164. ^ 구넬 2011, 243-244 페이지.
  165. ^ Hourihane 2009, p. 36.
  166. ^ Grüll 2010, 페이지 162-163.
  167. ^ Ehrman & Pleše 2011, p. 559–567.
  168. ^ a b c 그룰 2010, 페이지 164.
  169. ^ 마틴 1973, 페이지 99.
  170. ^ 마틴 1973, p. 102.
  171. ^ 마틴 1973, pp. 102–103, 106.
  172. ^ 마틴 1973, pp. 101–102.
  173. ^ 마틴 1973, pp. 102-103.
  174. ^ 마틴 1973, 109쪽.
  175. ^ Hourihane 2009, p. 234.
  176. ^ a b Demandt 2012, p. 104.
  177. ^ Demandt 2012, pp. 104-105.
  178. ^ Demandt 2012, pp. 105-106.
  179. ^ 그룰 2010, 페이지 165.
  180. ^ Macaskill, Mark (3 January 2010). "Pontius Pilate's Scottish roots 'a joke'". The Times. Retrieved 17 January 2020.
  181. ^ Campsie, Alison (17 November 2016). "Mystery of the '5,000-year-old' yew of Fortingall". The Scotsman. Retrieved 17 January 2020.
  182. ^ Demandt 2012, pp. 102-103.
  183. ^ Demandt 2012, p. 106.
  184. ^ Demandt 1999, 페이지 69-70.
  185. ^ Hourihane 2009, p. 2.
  186. ^ Hourihane 2009, p. 67.
  187. ^ Kirschbaum 1971, 페이지 436.
  188. ^ Hourihane 2009, p. 52.
  189. ^ Hourihane 2009, p. 53.
  190. ^ Hourihane 2009, pp. 57-60.
  191. ^ a b Hourihane 2009, p. 85.
  192. ^ a b c d Hourihane 2009, p. 144.
  193. ^ Hourihane 2009, pp. 86, 93–95, 111–116.
  194. ^ Hourihane 2009, pp. 98-100.
  195. ^ Hourihane 2009, p. 86.
  196. ^ Hourihane 2009, p. 92.
  197. ^ Hourihane 2009, pp. 146-151.
  198. ^ Hourihane 2009, pp. 151-153.
  199. ^ Hourihane 2009, pp. 227–228.
  200. ^ Hourihane 2009, p. 238.
  201. ^ Hourihane 2009, p. 255.
  202. ^ Hourihane 2009, pp. 240-243.
  203. ^ Hourihane 2009, pp. 234–235.
  204. ^ Hourihane 2009, pp. 228–232, 238.
  205. ^ Hourihane 2009, pp. 245-249.
  206. ^ a b Hourihane 2009, p. 252.
  207. ^ Hourihane 2009, p. 293.
  208. ^ Hourihane 2009, pp. 296–297.
  209. ^ Hourihane 2009, p. 303.
  210. ^ a b c Hourihane 2009, p. 297.
  211. ^ Hourihane 2009, pp. 303-304.
  212. ^ Hourihane 2009, p. 305.
  213. ^ Hourihane 2009, 페이지 312-321.
  214. ^ Hourihane 2009, pp. 321–323.
  215. ^ Hourihane 2009, pp. 308–311.
  216. ^ Kirschbaum 1971, 페이지 438.
  217. ^ a b Wroe 1999, 페이지 38.
  218. ^ a b Wroe 1999, p. 185.
  219. ^ Morowitz 2009, 184-186 페이지.
  220. ^ Morowitz 2009, p. 191.
  221. ^ Wroe 1999, p. 182.
  222. ^ Wroe 1999, 182-185쪽.
  223. ^ Hourihane 2009, p. 392.
  224. ^ a b MacAdam 2001, p. 90.
  225. ^ MacAdam 2017, pp. 138-139.
  226. ^ 가톨릭 백과사전(1907). s.v. "십자가의 길" 2019년 3월 27일 웨이백 머신보관.
  227. ^ Hourihane 2009, p. 363.
  228. ^ Hourihane 2009, p. 296.
  229. ^ Hourihane 2009, pp. 363–364.
  230. ^ a b Hourihane 2009, 페이지 364.
  231. ^ a b Hourihane 2009, p. 365.
  232. ^ Hourihane 2009, p. 237.
  233. ^ Hourihane 2009, pp. 365-366.
  234. ^ Hourihane 2009, pp. 283–284.
  235. ^ Hourihane 2009, pp. 366–367.
  236. ^ Hourihane 2009, pp. 367–368.
  237. ^ Hourihane 2009, pp. 368–369.
  238. ^ Hourihane 2009, pp. 364–365.
  239. ^ Hourihane 2009, 페이지 265.
  240. ^ Wroe 1999, pp. 177–178.
  241. ^ Hourihane 2009, p. 286.
  242. ^ Hourihane 2009, p. 243.
  243. ^ Hourihane 2009, pp. 297, 328.
  244. ^ Hourihane 2009, pp. 243–245.
  245. ^ Wroe 1999, pp. 213–214.
  246. ^ Hourihane 2009, p. 328.
  247. ^ Hourihane 2009, p. 352.
  248. ^ Hourihane 2009, p. 317.
  249. ^ Hourihane 2009, p. 318.
  250. ^ Wroe 1999, p. 358.
  251. ^ a b Demandt 2012, p. 107.
  252. ^ 존 메이즈필드 소사이어티: 굿 프라이데이: A Play in Verse (1916)
  253. ^ Wroe 1999, p. 195.
  254. ^ a b MacAdam 2017, p. 133.
  255. ^ a b Langenhorst 1995, p. 90.
  256. ^ Wroe 1999, 페이지 273.
  257. ^ Ziolkowski 1992, 페이지 165.
  258. ^ 본드 1998, p. xiii.
  259. ^ Wroe 1999, 페이지 371.
  260. ^ a b Demandt 2012, p. 108.
  261. ^ Demandt 2012, pp. 107–109.
  262. ^ Ziolkowski 1992, 페이지 167-168.
  263. ^ 맥도너 2009, 278-280쪽.
  264. ^ 맥도너 2009, 페이지 283.
  265. ^ 맥도너 2009, 페이지 284-285.
  266. ^ Wroe 1999, 페이지 38-39.
  267. ^ 윙클러 1998, 페이지 167.
  268. ^ a b c d Wroe 1999, p. 39.
  269. ^ Wroe 1999, p. 186.
  270. ^ 윙클러 1998, 페이지 192.
  271. ^ a b 맥도너 2009, 페이지 287.
  272. ^ 맥도너 2009, 페이지 290.
  273. ^ 맥도너 2009, 페이지 290-291.
  274. ^ 맥도너 2009, 페이지 291-293.
  275. ^ a b 그레이스 2004, 페이지 16.
  276. ^ 맥도너 2009, 페이지 295.
  277. ^ "The Apostles' Creed" (PDF). Cardinal Newman Catechist Consultants. 200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 March 2019. Retrieved 15 July 2019.
  278. ^ 영어로 된 니케 크리드
  279. ^ 카터 2003, 페이지 1.
  280. ^ Hourihane 2009, p. 391.
  281. ^ 베이즈 2010, 페이지 78.
  282. ^ 카터 2003, 페이지 11.
  283. ^ Hourihane 2009, p. 4.
  284. ^ Luisier 1996, 페이지 411.
  285. ^ 마틴 2019.
  286. ^ a b MacAdam 2017, p. 139.
  287. ^ Wroe 1999, pp. 331–332.
  288. ^ McGing 1991, 페이지 415-416.
  289. ^ 마이어 1971, 페이지 363.
  290. ^ 마이어 1971, p. 365.
  291. ^ MacAdam 2001, p. 77.
  292. ^ 카터 2003, 5-6쪽.
  293. ^ 마이어 1968, 페이지 9-10.
  294. ^ 마이어 1968, 10-11쪽.
  295. ^ 본드 1998, 페이지 21.
  296. ^ 본드 1998, 페이지 22.
  297. ^ 카터 2003, 페이지 4.

참고문헌

폰티우스 필라테
선행후 이루다이
26–36
성공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