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렉 쿤 밴드
The Greg Kihn Band그렉 쿤 밴드 | |
---|---|
![]() 2008년 그렉 킨 밴드 | |
배경 정보 | |
기원 |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주 |
장르 | |
년 활동 | 1976년 | 현재
레이블 | 베세클리 |
웹사이트 | gregkihn |
회원들 | |
과거 구성원 |
그렉 쿤 밴드는 프런트맨 그렉 쿤과 베이시스트 스티브 라이트가 시작한 미국의 밴드다.그들의 가장 성공적인 싱글은 "The Division Song (The Don't Write 'Em)" (Billboard Hot 100 #15) (Billboard Hot 100 #2) (Billboard Hot 100 #2) (Billboard Hot 100 #2)이다.이 밴드의 음악 스타일과 장르는 록,[1] 팝[2] 록, 파워 팝으로 구성되어 있다.[3]
역사
![]() |
그레그 킨은 고향인 메릴랜드 볼티모어에서 싱어송라이터로 활동을 시작했다.그는 아직 볼티모어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에 다닐 때 노래를 쓰고 커피숍을 하기 시작했다.그가 17살이었을 때, 그의 어머니는 그가 1등상을 받고 타자기와 레코드 한 무더기, 복스 전기 기타를 받은 지역 40대 라디오 방송국 WCAO의 장기자랑에 그의 원곡 중 하나를 녹음한 테이프를 제출했다.
1972년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가 미래의 밴드 동료, 어스 퀘이스트 키보드 연주자 게리 필립스와 함께 버클리 레코드 가게에서 집도장, 길거리 노래, 카운터 뒤에서 일했다.이듬해, 그는 매튜 "킹" 카우프만의 베세클리 레코드와 계약되었다.Kihn은 Jonathan Richman, Earth Jez, The Rubinoos와 함께 라벨의 소리를 개발하는 것을 도왔다.
1976년, 컴파일 앨범 Beserkley Chartbusters Vol.1에 데뷔한 후, Kihn은 스티브 라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그렉 킨 밴드를 결성했다.라이트는 그렉 쿤 밴드의 가장 영향력 있는 멤버가 되어 쿤의 노래를 공동 작곡했다.킨은 자신의 밴드와 함께 그의 첫 앨범인 그렉 킨을 녹음했고, 지금은 라이트, 기타의 로비 던바, 드럼의 래리 린치로 구성된 그렉 킨 밴드라는 이름을 지었다.
이미 Earth Jez의 멤버인 던바는 그들의 두 번째 앨범인 Greg Kihn Again을 녹음하기 위해 데이브 카펜더에 의해 교체되었다.킨, 라이트, 린치, 카펜더의 라인업은 1983년까지 지속되었다(1981년 필립스 추가와 함께 5중주로 변경).기타리스트 그렉 더글라스는 1983년 Kihnspiracy 앨범 이전에 카펜더를 교체했다.
1970년대 내내, Kihn은 매년 앨범을 발매했고 홍보 투어 동안 더 잘 알려지게 되었고, Beserkley의 가장 큰 셀러가 되었다.1981년, KihnRoll 앨범에서 KihnRoll은 "The Division Song (Thy Don't Write 'Em)"이라는 톱 20 싱글을 얻었다.
Kihn은 1980년대 내내 Kihntinuted(1982년), Kihnspiracy(1983년), Kihntagious(1984년), Cittle Kihn(1985년) 등의 일련의 펀타이틀 앨범으로 더욱 상업적인 맥락을 이어갔다.그의 두 번째 성공적인 싱글은 1983년의 "제퍼디(Jeopardy)"(2위까지 상승)이다."제퍼디"는 "위어드 알" 얀코비치의 3-D 앨범 "위어드 알" 얀코비치에 의해 "위어드 알" 얀코비치에 의해 "I Lost on Defindy"로 급조되었다.Kihn은 뮤직비디오에 카메오로 출연했다.1983년, 획기적인 "제퍼디" 비디오는 MTV가 가장 좋아하는 비디오가 되었다.
1985년, Kihn은 Beserkley Records와 결별하고 EMI와 계약을 맺었다. Matthew Kaufman은 계속해서 Kihn의 앨범을 제작했다."Lucky"(1985)는 30위권 안에 들었고 비디오 속편이 "제퍼디" 원본 비디오에 만들어졌다.1986년 조 사트리아니는 리드 기타의 그레그 더글라스를, 타일러 엥은 드럼의 래리 린치를, 팻 모스카는 키보드에서 게리 필립스를 교체했다.1986년 앨범 《Love and Rock & Roll》을 녹음하기 위해 스튜디오에 들어간 라인업이다.사트리아니는 1987년 솔로 활동을 위해 밴드를 떠났고, 에디 머니의 리드 기타리스트였던 지미 라이온으로 교체되었다.그렉 킨은 볼티모어로 돌아와 그의 친구 잭 헤이먼 for Clean Cuts Records, 1994년 뮤티니, 1996년 호러쇼의 스튜디오에서 한 쌍의 솔로 어쿠스틱 앨범을 녹음했다.
그렉 킨 밴드는 리드기타에 그렉의 아들 라이 킨, 드럼에 데이브 단자(에디 머니), 키보드에는 데이브 메드(더 튜브스), 베이스에는 로버트 베리(허쉬)로 구성된 라인업을 이어간다.KFOX는 매년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의 쇼어라인 암피타트르에서 The Greg Kihn Band를 주인공으로 한 "Kyncert"라고 불리는 콘서트를 개최한다.Kihncert는 항상 다른 KFOX FM 방송인들과 함께 Greg Kihn을 쇼 오프너와 때때로 MC로 출연시켰다.Kihncert 외에도 Greg Kihn은 개인, 공공, 자선, KFOX FM이 후원하거나 홍보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회원들
현재 구성원
- Greg Kihn – 보컬, 기타(1976–현재)
- Ry Kihn – 기타(1996–현재)
- 로버트 베리 – 베이스(1996–현재)
- Dave Danza – 드럼(1996–현재)
- Dave Medd – 키보드(1996–현재)
전회원
- 스티브 라이트 – 베이스(1976–1996; 2017년 사망)
- 래리 린치 – 드럼(1976–1986)
- 로비 던바 – 기타(1976–1977)
- Dave Carpender – 기타(1977–1983; 2007년 사망)
- Gary Phillips – 키보드(1981–1986; 2007년 사망)
- 그레그 더글라스 – 기타(1983–1986)
- Tyler Eng – 드럼(1986–1996)
- 데니스 머피 – 베이스(2004–2008)
- Pat Mosca – 키보드(1986–1996)
- Joe Satriani – 기타(1986–1987)
- 지미 라이온 – 기타(1987–1996)
음반 목록
앨범
연도 | 앨범 | 빌보드 200 | AUS[4] |
---|---|---|---|
1976 | 그렉 킨 | — | — |
1977 | 그렉 킨 어게인 | — | — |
1978 | 넥스트 건 | 145 | 85 |
1979 | 육안으로 | 114 | — |
1980 | 글라스 하우스 록 | 167 | — |
1981 | 록킨롤 | 32 | 72 |
1982 | 칸티누이트 | 33 | — |
1983 | 칸스피러시 | 15 | 76 |
1984 | 킨타기우스 | 121 | — |
1985 | 시티즌 쿤 | 51 | — |
1986 | 러브 앤 로큰롤 | — | — |
1989 | 키노덴테이션 | — | — |
1991 | 언킨트롤러블(그렉킨 라이브) | — | — |
1992 | 쿤 오브 하츠 | — | — |
1994 | 뮤티니 | — | — |
1996 | 킹 비스킷 플라워 아워 | — | — |
1996 | 호러 쇼 | — | — |
2000 | 트루 킨페세션 | — | — |
2004 | 네이더지 | — | — |
2006 | 그렉 쿤 라이브, 리 쿤 피처링 | — | — |
2011 | Kihnful (Post Beserkley Records) | — | — |
2012 | 그레그 킨 밴드: 베스트 오브 베서클리, 1974–1985 | — | — |
2017 | 레키넌드 | — | — |
차트 싱글
연도 | 노래 | US 핫 100 | US M.S.R. | US 댄스 | AUS[4] | 영국 | 앨범 |
---|---|---|---|---|---|---|---|
1978 | "기억해" | 105 | – | – | – | – | 넥스트 건 |
1981 | "헤어진 노래 (그들은 '엠'을 쓰지 않는다)" | 15 | 5 | – | 14 | – | 로큰롤 |
"실라" | 102 | 39 | – | – | – | ||
"가장 가능성이 높은 소녀" | 104 | 57 | – | 55 | – | ||
1982 | "검증" | – | 5 | – | – | – | 칸티누이트 |
"해피 맨" | 62 | 30 | – | 68 | – | ||
"Every Love Song" | 82 | – | – | – | – | ||
1983 | "제퍼디" | 2 | 5 | 1 | 11 | 63 | 칸스피러시 |
"Love Never Fails" | 59 | – | – | – | – | ||
1984 | "리유나이티드" | 101 | 9 | – | – | – | 킨타기우스 |
"록" | 107 | – | – | – | – | ||
1985 | "럭키" | 30 | 24 | 16 | – | – | 시티즌 쿤 |
"남자애들은 안 해 (여자애들을 내버려둬)" | 110 | – | – | – | – | ||
1986 | "러브 앤 로큰롤" | 92 | 50 | – | – | – | 러브 앤 로큰롤 |
뮤직 비디오
연도 | 비디오 | 감독 |
---|---|---|
1981 | "헤어진 노래" | |
1982 | "해피 맨" | 조 디아 |
1983 | "제퍼디" | 조 디아 |
1983 | "Tear That City Down" | 밥 하트 |
1984 | "리유나이티드" | 조 디아 |
1985 | "럭키" | 조 디아 |
1985 | "남자애들은 안 해 (여자애들을 내버려둬)" | 조 디아 |
1986 | "러브 앤 로큰롤" |
참조
- ^ Cindy Laufenberg (1 September 1994). 1995 Songwriter's Market: Where & How to Market Your Songs. Writer's Digest Books. p. 368. ISBN 978-0-89879-676-6.
- ^ Cary Darling (6 September 1980). "Talent in Action". Billboard. p. 49. ISSN 0006-2510.
- ^ Patricia Romanowski; Holly George-Warren; Jon Pareles, eds. (1995). The New Rolling Stone Encyclopedia of Rock & Roll. Fireside. p. 26. ISBN 978-0-684-81044-7.
- ^ a b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166. ISBN 0-646-119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