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폐(이슬람)
Occultation (Islam)![]() |
이슬람에 관한 시리즈의 일부 시아파 이슬람 |
---|
![]() |
![]() |
시아파 이슬람의 신비(아랍어: َْب gh gh gh gh, ghayba)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손인 마흐디가 이미 태어나 숨겼지만 시간이 지나면 [1]지구상에 정의와 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다시 나타날 것이라는 종말론적 믿음을 말한다.그의 출현의 징후는 시아파와 [2][3]수니파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종말론적 마흐디에 대한 믿음은 모든 이슬람교도들 사이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는데, 이는 아마도 수니파와 시아파의 표준 [2]자료에서 이러한 취지의 수많은 전통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를 믿는 시아파 이슬람 분파는 마흐디의 정체성에 차이가 있다.주류 시아파는 그를 12대 [2]이맘인 무함마드 알-마흐디로 확인하며, 그는 인간의 일과 특히 [4][5]신비로운 동안 그들의 내면의 영적 지도에 책임이 있다고 믿어진다.
트웰버 시아파
트웰버 시아파는 시아파 인구의 [6]85%를 차지하는 시아파의 주류 분파다.트웰버들은 그들의 12번째 이맘인 무함마드 알-마흐디가 엄폐 상태에 있다고 믿는다.그의 작은 엄폐(874-941) 동안, 12대 이맘은 4명의 대리인([7]al-nuwab al-arba')[8]으로 알려진 4명의 연속된 대리인과 정기적으로 접촉한 것으로 여겨진다.그러나 대잠복기(941-현재)에는 숨겨진 이맘의 대리인이 존재하지 않지만,[7][9] 그는 시간의 끝에 다시 나타날 때까지 그의 육체에 신의 섭리로 살아있다고 믿어진다.
트웰버 이론은 4세기 전반(10)에 합리적이고 원문적인 [10]주장을 바탕으로 결정되었다.예를 들어, 이 이론은 무함마드 알-마흐디의 삶이 기적적으로 연장되어 왔으며, 신의 가장 높은 증거로서 땅이 이맘으로부터 무효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또 다른 예로, 아바스 왕조의 위협은 처음에 12번째 이맘을 [11]엄폐하도록 강요했을지도 모르지만, 이 교리에 따르면, 그의 부재는 숨겨진 [12]이맘의 메시지에 대한 인류의 준비를 포함하여 그의 재등장을 위한 초기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계속된다.
마이너 엄폐
260년(873-874) [13]하산 알 아스카리가 사망한 직후, 우트만 알 암리(d.874-875)는 11대 이맘에게 어린 아들 무함마드가 있었는데, 무함마드라는 [11]이름의 아들이 압바스 왕조의 위협으로 인해 신비로운 상태에 들어갔다고 주장했다.알-아스카리의 특별 대표로서, 우스만은 또한 자신이 11대 [14]이맘의 아들을 대표하도록 임명되었다고 주장했다.아마도 무함마드의 유일한 공식석상은 삼촌인 자파르 [15][16]대신 그의 아버지의 장례기도를 이끈 것이었을 것이다.
그의 새로운 자격으로, Uthman은 탄원서를 받았고 때때로 서면으로 [17]탄원서를 받았다.알-아스카리의 가장 가까운 동료로서, [18]알-아스카리의 지역 대표자 대부분은 계속해서 우스만을 [19]지지했다.그는 나중에 그의 아들 아부 자파르 무함마드 이븐 우트만을 d.알-마흐디의 [20][21]다음 대표자로 소개했다.차례로, 아부 자파르는 그의 후임으로 아부 알 카심 알 후세인 이븐 루 d.알 나우바크티를 지명했다.[22]
나중에 알-가이바트 [23]알-수그라라고 불리는 이 기간은 약 70년 후에 네 번째 요원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무함마드 알-사마리(d.940-41)[24]가 [20]사망하기 직전에 알-마흐디로부터 편지를 받았다고 전해지면서 끝이 났다.이 편지는 아부 알 하산의 6일 후 죽음을 예언했고 나중에 큰 오컬트레이션(al-ghaybat al-kubra)[23]으로 불리는 완전한 [25][8][24]오컬트화의 시작을 알렸다.알-마흐디가 쓴 것으로 알려진 이 서한은, 온 세상이 [25]폭정으로 가득 찬 시기에, 신이 자신을 다시 드러낼 수 있도록 허락할 때까지, 완전한 은폐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들 4명의 요원과 시아파 인사들에게 보낸 이 편지들과 유사한 편지들은 같은 필체로 전해져 숨겨진 [26]이맘에 의해 쓰여졌다는 것을 암시한다.
메이저 엄폐
후기의 용어인 대잠식은 후계자를 지정하지 않은 329년(940-941) 네 번째 대리인이 사망하면서 시작되었다.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이 기간 동안 숨겨진 이맘의 대리인은 [25][27]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시아파들 사이에서는 이미 두 개의 [28]엄폐 시기를 예견한 초기 전통이 있었을 것이다.예를 들어 이들 하디스는 7대 [2][28]이맘인 무사 알 카짐의 두 번의 체포와 관련하여 와키피파들에 의해 이전에 인용되었다.
히든 이맘이 없는 동안, Twelver 공동체의 리더십 공백은 히든 이맘의 새로운 대리인(na'ib al-amm) 자격으로 법학자들에 의해 점차 채워졌다.또한 숨겨진 이맘이 때때로 경건한 사람들에게 직접 나타나거나, 더 흔하게는 꿈과 환영에 나타난다는 것이 일반적이다.이러한 만남에 대한 설명은 트웰버들 [29][30][9][31]사이에 많고 널리 퍼져있다.
이스마일 시아파
이스마일 시아파는 아버지인 제6대 [32]이맘인 자파르 알 사디크의 뒤를 이은 이스마일의 후계자로 주류 시아파와 갈라섰다.이 집단은 이스마일이 아직 살아 있지만 숨어 있다고 믿거나 이스마일의 아들 무함마드와 그의 후손들의 아마메이트를 인정했다.[33][34][35] 오늘날 이스마일리스는 니자리와 무스타리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니자리트 이맘은 현재의 아가칸 4세이며, 그들의 49번째 이맘은 후계 서열이다.그러나 무스탈리스는 그들의 21번째 이맘과 그의 자손들이 오컬트화되었다고 믿는다.[36] 그들의 이맘이 없을 때, 무스타리스는 다이 알 무틀라크('lit.최고 권력자')의 지도를 받는다.무스타리 시아파의 분파마다 현재의 다이 알 무틀라크가 [37]누구인지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파티미드 칼리프가 등장하기 전에, 주요 이스마일 시아 [38]왕조로서, 마흐디와 카임이라는 용어는 시아파 전통에서 기대되는 구세주 이맘을 교환할 수 있게 사용되었습니다.그러나 서기 10세기 파티미드의 출현과 함께, 알-카디 알-누만은 이러한 예언들 중 일부는 최초의 파티미드 칼리프인 압달라 알-마흐디 빌라에 의해 실현되고 나머지는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 실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그러므로 그들의 문헌은 기다렸던 종말론적 이맘을 (마흐디 [2]대신) 카임이라고만 언급하였다.
자이디 시아파
자이디 관점에 따르면, 이맘은 초인적인 성질을 타고나지 않으며, 따라서 그들의 마흐디십에 대한 기대는 종종 [2][39]미미하다.한 가지 예외는 예멘에서 멸종된 후세인파인데, 이들은 알 후세인 이븐 알 카심 알-이야니의 죽음을 부인하고 그의 [2]귀환을 기다렸다.
기타 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슬람 인물들이 종말론적인 마흐디와 동일시되거나 구세주적 의미를 지닌 존칭으로 사용되었다.여기에는 우마이야드 우마르 2세와 [2]압바스 알-마흐디 등이 포함된다.마찬가지로, 마호디즘과 신비주의는 [40]시아파 역사에서 반복되는 주제이다.예를 들어, 오랜 시아파 전통은 현재 소멸된 와키피파들에 의해 일곱 번째 이맘인 무사 알 카짐이 죽지 않고 [41]엄폐 상태에 있다고 주장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이보다 앞서, 지금은 멸종된 카이산파들은 무하마드 이븐 알-하나피야의 죽음을 부인하고 마흐디족으로서 그의 귀환을 기다렸다.[2][42] 이스마일 시아파의 멸종 분파인 카르마티아인들은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과 그의 귀환이 임박했다고 믿었다.[43][44] 시아파 역사에서 비슷한 인물로는 무함마드 알 나프스 알 자키야, 무함마드 이븐 카심 알 알라위, 야히야 이븐 우마르, 무함마드 이븐 알리 알 [40]하디가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종말론
- 열네 가지 무적
- 두아누드바
- 10세기 트웰버 시아파 학자 무함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 누마니의 작품인 키타브 알 가이바(알 누마니)
- 11세기 트웰버 시아파 학자 알 샤이크 알 투시의 작품인 키타브 알 가이바(알 투시)
- 엄폐 후의 귀환에 수반하는 개념인 라지차(rajaa)
- 무함마드 알 마흐디의 재등장, 트웰버 시아파의 귀환 개념
- (더 넓은 이슬람에서) 마흐디족의 출현의 징후
레퍼런스
- ^ 소바니 2001, 페이지 116
- ^ a b c d e f g h i 마들룽 2022.
- ^ 1985년 엄마, 페이지 168
- ^ 1985년 엄마, 페이지 165
- ^ 타바타바이 1975, 194-5페이지.
- ^ "Shia Islam's Holiest Sites". Worldatlas.com. 25 April 2017. Retrieved 1 March 2022.
- ^ a b 난지와 대프타리 2006, 페이지 223~4.
- ^ a b 사체디나 1981, 페이지 96
- ^ a b Amir-Moezzi 2007.
- ^ 2013년 대프타리, 67페이지
- ^ a b 1985년 엄마, 페이지 162, 163
- ^ 소바니 2001, 118~9페이지
- ^ 모다레시 1993, 페이지 77
- ^ 1985년 엄마, 페이지 162
- ^ 1985년 엄마, 페이지 161
- ^ 1933년 도널드슨 234쪽
- ^ 2013년 대패토리, 페이지 64
- ^ 모다레시 1993, 페이지 92
- ^ 모다레시 1993, 페이지 79, 80
- ^ a b 1985년 모멘, 페이지 162~164.
- ^ Klemm 2007.
- ^ 사체디나 1981, 페이지 92
- ^ a b 사체디나 1981, 페이지 84
- ^ a b 2013년 대프타리, 페이지
- ^ a b c 1985년 엄마, 페이지 164
- ^ 후사인 1986, 페이지 90, 139, 140
- ^ 사체디나 1981, 페이지 106, 107
- ^ a b 후사인 1986, 페이지 141
- ^ 1985년 엄마, 65페이지
- ^ 코빈 2014, 페이지 70
- ^ 사체디나 1981, 페이지 181
- ^ 1985년 엄마, 39페이지
- ^ Gleave 2012a.
- ^ 헤이우드 2022년
- ^ Daftary 2007.
- ^ 난지&대프타리 2006, 페이지 163.
- ^ 난지 & 대프터리 2006, 238페이지.
- ^ 1999년 12월
- ^ 난지 & 대프터리 2006, 240페이지
- ^ a b 루이스 2011, 페이지 23, 35, 49
- ^ 모다레시 1993, 87-8페이지.
- ^ 사체디나 1981, 페이지 151
- ^ Amanat & Bernhardsson 2001, 페이지 122-4.
- ^ von Grunebaum 2017, 112-3페이지.
참고 문헌
- Madelung, W. (2022). "Al-Mahdī". In Bearman, P. (ed.).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 Brill Reference Online.
- Daftary, Farhad (2013). A History of Shi'i Islam. I.B. Tauris. ISBN 9780755608669.
- Hulmes, Edward D. A. (2008). "MUSA AL-KAZIM (ABU'L-HASAN MUSA IBN JA'FAR)". In Netton, Ian Richard (ed.). Encyclopedia of Islamic Civilisation and Religion. Routledge. pp. 456, 457. ISBN 978-0-7007-1588-6.
- Kohlberg, E. (2022). "Mūsā Al-Kāẓim". In Bearman, P. (ed.).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 Brill Reference Online.
- Rahim, Habibeh (2004). "Kazim, Musa al-". In Jestice, Phyllis G. (ed.).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Vol. 3. ABC-CLIO. pp. 469, 470. ISBN 9781576073551.
- Momen, Moojan (1985). An Introduction to Shi'i Islam.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34998.
- Amanat, Abbas; Bernhardsson, Magnus T. (2001). Imagining the End: Visions of Apocalypse from the Ancient Middle East to Modern America. I.B. Tauris. ISBN 9780755626168.
- von Grunebaum, G.E. (2017). Classical Islam: A History, 600 A.D. to 1258 A.D. Routledge. ISBN 9781351528092.
- Nanji, Azim; Daftary, Farhad (2006). "What is Shiite Islam?". In Cornell, Vincent J. (ed.). Voices of Islam. Vol. 1.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275987329.
- Daftary, Farhad (1999). "FATIMIDS". Encyclopaedia Iranica. Vol. IX/4. pp. 423–6.
- Daftary, Farhad (2007). "ISMAʿILISM iii. ISMAʿILI HISTORY". Encyclopaedia Iranica. Vol. XIV/2. pp. 178–195.
- Haywood, John A. (2022). "Jaʿfar al-Ṣādiq". Encyclopedia Britannica.
- Gleave, Robert (2012a). "JAʿFAR AL-ṢĀDEQ i. Life". Encyclopaedia Iranica. Vol. XIV. pp. 349–351.
- Tabatabai, Sayyid Mohammad Hosayn (1975). Shi'ite Islam. Translated by Sayyid Hossein Nas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7395-390-8.
- Sobhani, Ja'far (2001). Doctrines of Shi'i Islam (PDF). Translated by Shah-Kazemi, Reza. I.B.Tauris. ISBN 01860647804.
{{cite book}}
: CS1 maint: 무시된 ISBN 오류(링크) - Corbin, Henry (2014).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Translated by Sherrard, Liadain. Routledge. ISBN 9781135198893.
- Amir-Moezzi, Mohammad Ali (2007). "ISLAM IN IRAN vii. THE CONCEPT OF MAHDI IN TWELVER SHIʿISM". Encyclopaedia Iranica. Vol. XIV/2. pp. 136–143.
- Sachedina, Abdulaziz Abdulhussein (1981). Islamic Messianism: The Idea of Mahdī in Twelver Shīʻism. Suny press. ISBN 978-0873954426.
- Lewis, Bernard (2011). The Assassins: A Radical Sect in Islam. Hachette. ISBN 9780297863335.
- Modarressi, Hossein (1993). Crisis and Consolidation in the Formative Period of Shi'ite Islam: Abū Ja'far Ibn Qiba Al-Rāzī and His Contribution to Imāmite Shī'ite Thought (PDF). Darwin Press. ISBN 9780878500956.
- Donaldson, Dwight M. (1933). The Shi'ite Religion: A History of Islam in Persia and Iraḳ. AMS Press.
- Hussain, Jassim M. (1986). Occultation of the Twelfth Imam: A Historical Background. Routledge Kegan & Paul. ISBN 9780710301581.
- Klemm, Verena (2007). ISLAM IN IRAN ix. THE DEPUTIES OF MAHDI. Vol. XIV/2. pp. 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