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셋
The Presets프리셋 | |
---|---|
![]() 프리셋은 2006년 런던에 있습니다. | |
배경 정보 | |
기원. |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호주 |
장르 | |
액티브 년수 | (2003 현재 |
라벨 | |
회원들 | |
웹 사이트 | thepresets |
프리셋은 줄리언 해밀턴(보컬, 키보드)과 킴 모예스(드럼, 키보드)의 호주의 일렉트로닉 음악 듀오이다.2003년에 결성되어 Modular Records와 계약한 The Presets는 2005년에 발매된 데뷔 앨범 Beams에 앞서 두 개의 EP (Blow Up, Girl and The Sea)를 발매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1]얻었다.다프트 펑크의 호주 지원으로 2년간의 투어 후, 밴드의 2008년 발매인 아포칼립소는 ARIA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2] 2008년 ARIA 어워드에서는 올해의 앨범을 포함하여 6개의 상을 수상했다.
2009년 해밀턴과 모예스는 APRA 올해의[3] 작곡가상과 ARIA 상을 수상했는데, 이번에는 "Talk Like That"으로 최우수 댄스 릴리즈상을 받았다.그들은 2012년 9월에 호주에서 세 번째 앨범인 파시피카를 발매했다.그것은 ARIA 앨범 차트에서 3위에 올랐다.그들의 네 번째 앨범인 Hi Viz는 2018년 6월에 발매되었습니다.프리셋은 역동적인 라이브 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리셋의 광범위한 공연 작업 외에도, 이 듀오는 킹스 오브 레온, 실버체어, 레니 크라비츠를 [4][5]포함한 몇몇 다른 아티스트들을 위해 리믹스 곡들을 만들었다.프리셋은 2000년대 [6]후반 호주에서 댄스 음악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주요 주체로 인정받고 있다.
역사
프리셋의 설립자인 줄리안 해밀턴과 킴 모예스는 1995년 시드니 음악원에서 만나 클래식 [7][8]음악을 공부하고 있었다.그들은 1980년대 팝 음악에 대한 관심을 공유했고 마림바의 제레미 바넷, 키보드의 해밀턴, 비브라폰의 모예스, 베이스 기타의 데이비드 심즈, 드럼의 재러드 언더우드와 함께 시드니에 기반을 둔 일렉트로닉 그룹 프로의 멤버가 되었다.이 그룹은 2001년에 Small Craft, Rough Sea와 2003년에 Cook Cut Damage Destroy라는 두 개의 앨범을 발매했다.Hamilton과 Moyes는 "Magnetic Highway"라는 트랙을 The [7][9]Presets라는 이름으로 "하드 일렉트로닉 엣지"로 리믹스하면서 Prop에서 탈퇴했다.
2003-2004: 초기 EP
프리셋은 2003년 시드니에서 해밀턴이 보컬, 키보드, 프로덕션, 모예스가 드럼, 키보드, 프로덕션 및 프로그래밍을 [7]담당하면서 결성되었습니다.그 밴드는 모듈러 레코드의 관심을 끌었던 데모를 녹음했다.그들은 레이블과 계약을 맺고 11월에 [9][10]7곡의 연장 플레이인 Blow Up을 발매했다.다니엘 존스(실버체어)는 기타 작업을 제공했고 듀오와 함께 [7]트랙 "Cookie"를 공동 작곡했다.EP는 Depech Mode, Soft Cell,[9] Cabaret Voltaire의 작품과 비교가 잘 되었다.프리셋은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에서 공연한 EP를 지원했고 렉스 [9]레코드에서 10인치 싱글 "Beat On/Beat Off"를 발매했다.2004년 11월, 후속곡으로서 5곡의 소녀와 바다라는 두 번째 EP가 발매되었습니다.타이틀곡은 결국 2006년 [7]3월 미국의 10대 드라마 O.C.에 실렸다.The Sydney Morning Herald의 Tim Colman은 그들이 "팝, 테크노, 일렉트로, 록을 성공적으로 융합했다"고 묘사했다.심지어 드럼, 키보드, 마이크, [11]iPod까지 라이브 장치를 해체했습니다."같은 달, 듀오는 첫 번째 주간 쇼에 도전하여 Cut Copy, Colder, BRAINs(DJ [12]모드의 Alizanches)를 특집한 Modular Records 나이트의 일부로 공연을 했습니다.
2005 ~ 2006 : 빔
프리셋은 2005년 9월 12일 호주에서 데뷔 앨범 Beams를 발매했다.앨범에서 상업적으로 발매된 첫 번째 싱글은 "Are You the One?"으로, 앨범 외 수록곡인 "Truth and Lies"와 "Midnight Boundary"와 컷 [13]카피의 "Girl and the Sea"를 리믹스한 곡이다.영국판 싱글(2006년 초에 발매)은 Simian Mobile Disco와 Van [13]She의 리믹스를 특징으로 했다.프랑스 DJ인 Lifeike의 리믹스는 2008년 호주에서 [14]BMW 1 시리즈 광고에 출연하기 위해 의뢰되었다.프리셋은 영국과 유럽에서 그들의 첫 번째 쇼를 열었고, 같은 호주 밴드인 해리너티브의 특별 게스트로 런던에서 그들의 두 개의 쇼를 열었다.
2005년 하반기 내내 이 듀오는 호주 전국 순회공연을 여러 번 했으며 리틀버디, 폴맥, 레지테이터와 함께 공연을 했으며 10월에는 헤드라인 투어를 했다.2005년에는 호주의 첫 페스티벌에 출연했고, 시드니에서 열린 Spplendour in the Grass, Byron Bay, Come Together Festival에서 DJ를 하고, 호주 론에서 열린 폴스 페스티벌에서 한 해를 마감했다.
프리셋은 2006년 첫 호주 전국 축제 공연으로 시작되었으며, 보일러룸에서 '빅 데이 아웃'을 위해 연주되었다.2006년 상반기 프리셋은 영국, 유럽, 미국에서 그들의 음악을 더욱 강력하게 홍보하기 시작했다.그들은 2006년 2월 호주 밴드 울프마더를 위해 여러 번의 영국 데이트를 위해 문을 열었다.그 후 그들은 3월에 미국으로 건너가 첫 뉴욕 쇼를 SXSW, 오스틴, 텍사스, 그리고 겨울 음악 컨퍼런스를 위해 마이애미로 갔다.DJ Hell이 밴드가 연주하는 것을 보고 2006년 중반 그의 레이블 International Deejay Gigolo Records에 Beams를 유럽 발매로 라이선스한 것은 뉴욕에서였다.이 듀오는 소울왁스의 특별 게스트로 영국과 아일랜드로 여러 번 돌아왔고, 이후 레이디트론을 위해 광범위한 전국 투어를 위해 미국으로 돌아갔다."Down Down Down"은 Digitalism, Bumblebeez, Midnight Juggernauts의 리믹스로 영국에서 공식 발매되었다.[15]
이 밴드를 위해 발매된 다음 싱글곡은 "I Go Hard, I Go Home"으로, 다시 영국에서 DJ Hell, The Juan Maclean, ASCII [16]Disko의 리믹스로만 발매되었다."You are the One?" "Down Down" "I Go Hard, I Go Home"의 믹스가 미국에서 쉽게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Modular Records는 Beams에서만 구할 수 있는 보너스 디스크인 "Resets"를 발매했다.그 후, 그것은 올해 말에 호주에서 물리적, 디지털적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이 밴드는 The Presets와 특별 게스트 Digitalism을 피처링한 Modular Records가 제공하는 Infinity 2006을 위해 올해 중반 호주로 돌아왔다.그 투어는 곳곳에서 매진되었고 황홀한 [17]평가를 받았다.이 [18]투어는 "이렇게 열광하는 군중을 본 지 오래됐다"는 관객들의 반응을 PopMatters가 묘사하면서 Spplendour in the Grass에서 열린 개선 공연으로 이어졌다.
투어 일정은 샌프란시스코에서 Folsom Street Fair를 한 후 더 많은 클럽 데이트를 위해 유럽으로 건너가는 등 미국 여름 내내 클럽 데이트로 이어졌다.그 해 후반에는 The Rapture와 함께 영국과 미국에서 폭넓게 밴드 투어를 관람했으며, 그 중에는 CMJ Music [19]Marathon의 일환으로 Webster Hall에서 뉴욕 공연을 했다.
4개월 이상 후에 프리셋은 시드니에서 홈베이크, 빅토리아에서 메레디스 뮤직 페스티벌을 연주하며 한 해를 마무리하기 위해 돌아왔다.
2007
프리셋의 주요 전환점은 2007년 빅 데이 아웃 쇼였다.보일러룸에서 두 번째 코너를 연주하면서 밴드가 지금까지 가장 많은 관객들에게 연주되는 것을 보았습니다.inthemix는 그들의 세트를 "순수한 수업!프리셋은 작년 이른 오후의 혹독한 시간표보다 더 잘 그리고 정말로 그들의 프로모션을 얻었다.호주 듀오는 12개월간의 끊임없는 투어에서 발전했을 뿐이며 노련한 [20]프로의 카리스마로 공연을 펼쳤습니다.3월은 SXSW Music Festival과 Miami Winter Music Festival에 몇 번의 클럽 일정과 출연으로 북미를 빠르게 방문했다.
2007년 4월 프리셋은 영국에서만 배포된 또 다른 싱글 "Truth & Lies"를 발매했는데, 이 곡들은 두 곡을 수록했으며 원래 호주에서 [21]"Are You The One?"의 B-side로 등장했다.비슷한 시기에 밴드는 브라이온 베이 바로 외곽의 농장에서 몇 주를 보냈고 그곳에서 그들은 두 번째 앨범이 될 작업에 착수했다.그 해 중반, 그 밴드는 베를린으로 몇 달 동안 자리를 옮겼다.이 기간 동안 그들은 스페인의 베니카심과 영국의 Global Gathering을 포함한 페스티벌 서킷에서 유럽 전역에서 연주했다.귀국길에 일본 서머소닉의 Modular Stage에서 공연을 했다.시드니에서 그들은 앨범 작업을 본격적으로 계속했다.11월까지 앨범의 대부분이 완성되었다.
12월에 프리셋은 호주 투어에서 다프트 펑크의 메인 서포트로 공연을 했다.이 투어는 시드니 쇼에만 [22]약 3만 5천 명이 참석하여 매우 성공적이었다.네버 에버랜드 투어와 동시에 프리셋은 두 번째 앨범 아포칼립소의 리드 싱글인 "My People"을 발매했다.크리스 모예스의 획기적인 비디오와 여러 리믹스와 함께 이 노래는 즉시 Triple j 네트워크에 추가되었고 호주의 상업 라디오 방송사들이 이 밴드에 첫 방송을 하는 것을 보았다.해외에서는 "My People"이 이 밴드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면서 가디언지의 이번 주 픽이 되었다. 가디언은 이 곡을 "오지의 잔혹함이 [...][23] 축구를 분명히 좋은 방식으로 지배한다"고 비유했다.
2008
아포칼립소는 2008년 4월 12일에 발매되어 ARIA 앨범 차트 1위로 데뷔하여 63주 [24]동안 50위 안에 머물렀다.그것은 몇 주 [25]동안 아이튠즈 1위를 달성했다.2009년까지 [26][27]호주에서 트리플 플래티넘(출하량 21만대) 인증을 받았습니다.가디언은 이 앨범을 "줄리언 해밀턴과 킴 모예스가 독이 든 발톱을 갈고 어두운 색 테크노 [23]깊숙이 파고들었다"고 묘사했다.
2008년 내내 밴드는 5일간의 네덜란드 휴가, 영국의 크림필드, 아일랜드의 일렉트릭 피크닉, 세르비아의 엑시트 페스티벌, 체코의 파무페스트, 프랑스의 Famufest, 영국의 Get Load, 영국의 Glastbury 등 유럽과 미국의 여러 페스티벌에서 공연을 했습니다.미국의 ir, 벨기에의 Les Foltes, 영국의 Lovebox Weekender, 미국의 Monolith Festival, 노르웨이의 öyafestivalen, 영국의 T in the Park, 영국의 V Festival.
2008년 5월 프리셋은 EP, 싱글, 리믹스판 "This Boy's in Love"를 발매했고, 발매 전 라디오에서 같은 이름의 노래가 계속 흘러나왔다.10월, 밴드는 2008년 ARIA 어워드에서 6개의 상을 받았다: 올해의 프로듀서상, 최고의 아트워크상(조나단 자와다 작품), 최고의 비디오상(크리스 모예스 감독), 최고의 댄스 릴리즈상, 최고의 그룹상, 올해의 앨범상.그들은 올해의 [28]앨범상을 받은 최초의 일렉트로닉 뮤직 그룹이 되었다.12월, 아포칼립소는 호주 올해의 앨범 부문 J상을 수상했다.프리셋은 "이피요-에이"가 56위, "디스 보이즈 인 러브"가 8위, 그리고 "토크 라이크 댓"이 6위에 오르는 등 2008년 트리플 J의 가장 핫한 100위에 세 번 올랐다.
2009–2011
프리셋은 2009년 2월 호주를 돌며 열린 굿 바이브레이션스 페스티벌에서 연주되었다.그 다음 달, The Presets는 Sound Relief를 위해 시드니 크리켓 그라운드에서 [29]공연을 했다.2009년 3월 14일 열린 사운드 릴리프는 빅토리아 시대의 산불 위기와 퀸즐랜드 [29]홍수 피해자들을 위한 자선 콘서트였다.그 콘서트는 시드니 크리켓 [30]그라운드에 8만 명의 관객들을 맞이했다.AU 리뷰는 프리셋의 퍼포먼스를 "사운드 릴리프를 정의하는 순간"이라고 표현했다.프리셋은, 「마이 피플」 「이피요에이」 「디스 보이즈 인 러브」등의 마음에 드는 것을 통해, 순수한 행복의 순간을 제공한다.[31] 그들의 공연은 8만 명 이상의 관중들이 머리 위로 쏟아지는 뇌우로 인해 향상되었다.
프리셋은 4월에 코첼라 밸리 뮤직 앤 아트 페스티벌에서 공연했고 5월에는 호주 전국 투어에 나섰다.헬싱키에서 그들의 지원 활동인 Architecture와 함께,[32] 밴드는 호주 전역에서 약 70,000명의 사람들을 위해 공연했습니다.6월에 열린 2009 APRA 어워드에서 김 모예스와 줄리안 해밀턴은 올해의 작곡가상을, "Talk Like That"[33][34][35]은 2009 ARIA 어워드 최우수 댄스 릴리즈상을, "If I Know You"는 영국 뮤직 비디오 어워드 최우수 댄스 비디오상을 수상했다.2010년 새해 첫날 프리셋은 시드니 댄스 음악 축제인 Field Day에서 연주되었고, 1월 3일에는 퍼스에서 열린 Summadayze Festival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5월에 프리셋은 사라 블라스코의 노래 "Hold on My Heart"의 리믹스를 발매했다.이 밴드는 또한 킹즈 오브 레온의 네 번째 앨범 Only by the Night의 오프닝 곡인 "Closer"를 리믹스했다.프리셋의 리믹스곡 "Closer"는 2010년 [36]10월에 발매된 킹스 오브 레온의 5집 앨범 Come Around Sundown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Presets는 2011년 2월 Inveresk(런스턴)에서 열리는 MS 페스티벌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3월에는 Future Music Festival에서 공연을 펼쳤으며, 이 페스티벌은 호주 각지에서 5개의 다른 장소에서 열렸다.그들은 또한 4월에 코첼라 밸리 뮤직 앤 아트 페스티벌에서 2009년 이후 두 번째로 연주했다.같은 달, 프리셋은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에스테레오 페스티벌 피크닉에서 헤드라이닝의 하나로 공연했다.
프리셋은 기자들이 종종 연구 목적으로 밴드의 위키피디아 페이지에 의존하는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실망감을 표시했다.해밀턴은 롤링 스톤 오스트레일리아 인터뷰에서 "우리는 항상 같은 6개의 질문을 받는다.기자들이 질문을 하기 위해 이 페이지를 체크하는 것을 우리는 정말 싫어한다는 것을 정말 싫어해야 한다."[26]
2012
2012년에는 앨범 파시피카에 앞서 싱글곡 [37][38]"Youth in Trouble" (2012년 6월)과 "Ghosts" (2012년 8월)를 발매했다."고스트"는 EA 스포츠의 FIFA [39]13의 공식 사운드 트랙에 수록되었다.
프리셋의 세 번째 정규 앨범 파시피카는 2012년 [40]9월 7일에 발매되었다.이 앨범은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았다.Pacifa는 2012년 9월에 발매된 ARIA 차트 앨범 오브 더 위크에 선정되었습니다.ARIA는 이 앨범의 두드러진 곡들에 대해 "'Fall'- 줄리안 해밀턴의 최고의 보컬, 'Fast Seconds'는 마음을 사로잡는 라이브가 될 것이며 'Promise'는 뉴 오더 [41]향기가 나는 여름 국가를 연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호주의 출판물 The Sydney Morning Herald, The Australian, 그리고 Herald Sun도 Pacifica Album of the Week로 선정했습니다.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파시피카에 대한 기사에서 "모예스와 해밀턴이 나서서 그들의 [42]경계를 시험해보고자 한다고 말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말했다.
파시피카는 2012년 올해의 호주 앨범 부문 J상 후보에 올랐다.Triple J는 Pacifa를 "Presets가 댄스 [43]플로어를 찢는 방법을 알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끊임없이 놀라게 하는 앨범"이라고 묘사했다.
2012년 10월 프리셋은 뉴욕에서 열린 CMJ 뮤직 마라톤에서 공연했다.CMJ 뮤직 마라톤은 뉴욕시 전역의 80개 나이트클럽에서 5일 이상 진행되는 음악 행사입니다.프리셋은 6년 전인 2006년에 같은 페스티벌에서 공연되었습니다.그들은 같은 달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트레저 아일랜드 뮤직 페스티벌에서 공연을 했고 9월과 [44]10월에 호주 전역의 5개 도시에서 열린 댄스 페스티벌 파크라이프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프리셋은 2012년 핫 100에 두 번 올랐다.싱글 "Promises"는 70위에 올랐고 "Ghosts"는 [45]52위에 올랐다.프리셋은 2012년 인테믹스 어워드에서 베스트 라이브 액트를 수상했고, 싱글 "Ghosts"는 롤링 스톤 오스트레일리아 [46][47]어워드에서 올해의 싱글상(독자 투표)을 수상했습니다.
2013년 ~ 현재
2013년 호주의 날을 기념하여 프리셋은 1월 25일 국회의사당 잔디밭에서 열린 호주 데이 라이브 콘서트에서 공연했다.2월에는 파시피카를 홍보하기 위해 호주 전국 투어를 시작했다.
3월에는 콜로라도의 스노우볼 페스티벌에서, [48]5월에는 워싱턴의 협곡 원형극장에서 열린 서스쿼치 뮤직 페스티벌에서 이 듀오는 연주를 했다.프리셋은 또한 호바트의 [49]다크 모포, 미국의 [50]SXSW 뮤직 페스티벌, 호주의 [51]바이런 베이의 스플렌도어 인 더 그라스에서 공연했고 호주 [52][53]시드니에서 열리는 마디 그라 페스티벌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프리셋은 2013년 인테믹스 어워드에서 최우수 라이브 액트상 후보에 올랐고, 지난 20년 중 트리플 J 핫 100에서 77위로 뽑혔다.라디오 방송국 트리플 J가 주최한 카운트다운에는 호주와 전 세계에서 94만 명의 유권자가 몰렸다.카운트다운은 1993년과 2012년 사이에 발표된 상위 곡들을 좁히는 수단이었다.프리셋은 [54][55]카운트다운에서 인정받은 29명의 호주 아티스트 중 한 명이었다.
발리 나인의 주모자 앤드류 챈과 마이란 수쿠마란이 인도네시아에서 마약 밀매로 처형되기 이틀 전, 김 모예스는 페이스북을 통해 사형을 비난했고, 만약 그들이 당시 발리 나인 쌍에 대한 사형 집행을 지지한다면 팬들에게 "우리 음악을 듣는 것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그는 그들의 2007년 싱글곡 "My People"이 존 하워드 [56][57]시대의 망명 신청자들의 곤경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거듭 강조했다.2015년 [58]4월 29일 성룡과 수쿠마란이 6명의 다른 죄수들과 함께 처형된 후 두 사람은 "개인적으로" 사과하고 추모 글을 올렸다.
회원들
- 줄리언 해밀턴– 보컬, 키보드
- Kim Moyes – 드럼, 키보드
음반 목록
수상 및 후보
ARIA 어워드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Music Awards(일반적으로 ARIA Music Awards 또는 ARIA Awards)는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ARIA)에서 주최하는 호주 음악 산업을 기념하는 연례 시상식입니다.프리셋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17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그 중 [2][59][60][61]7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6 | 비임 | 베스트 댄스 릴리즈 | 지명했다 |
당신이 그 사람인가요? (연출 김모예스) | 베스트 비디오 | 지명했다 | |
2008 | 아포칼립소 | 올해의 앨범 | 수상해 |
아포칼립소 | 베스트 댄스 릴리즈 | 수상해 | |
아포칼립소 | 베스트 그룹 | 수상해 | |
아포칼립소 (줄리안 해밀턴, 킴 모예스) | 올해의 프로듀서 | 수상해 | |
아포칼립소 | 베스트 커버 아트(Jonathan Zawada) | 수상해 | |
마이피플 (크리스 모예스 감독) | 베스트 비디오 | 수상해 | |
「마이 피플」 | 싱글 오브 더 이어 | 지명했다 | |
아포칼립소 | 올해의 엔지니어(Scott Horscroft) | 지명했다 | |
2009 | '그렇게 말하다' | 베스트 댄스 릴리즈 | 수상해 |
아포칼립소 | 베스트셀러 앨범 | 지명했다 | |
2013 | 파시피카 | 베스트 댄스 릴리즈 | 지명했다 |
2014 | '재미없다' | 베스트 댄스 릴리즈 | 지명했다 |
전국 투어 | 베스트 오스트레일리아 라이브 액트 | 지명했다 | |
2018 | 'Do What You Want'(크리스 모예스 감독) | 베스트 비디오 | 지명했다 |
안녕 비즈 | 베스트 커버 아트(Jonathan Zawada) | 지명했다 |
APRA 어워드
APRA Music Awards는 호주 Performing Right Association(오스트레일리아 퍼포먼스 라이트 협회)이 매년 회원들의 작사 능력, 판매 및 방송 연주 실적을 인정하기 위해 호주에서 개최하는 여러 시상식입니다.올해의 작사가는 APRA의 작사 및 출판사 이사회의 투표를 통해 작년에 가장 인상적인 작품을 기록한 작사가에게 상을 수여합니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Ref. |
---|---|---|---|---|
2009 | 킴 모예스와 줄리언 해밀턴 | 올해의 작사가 | 수상해 | |
'디스 보이 인 러브' (줄리언 해밀턴과 킴 모예스) | 올해의 댄스 작품 | 지명했다 | [62] | |
2010 | 널 알면 (줄리언 해밀턴과 킴 모예스) | 올해의 댄스 작품 | 지명했다 | [63] |
"Talk Like That" (줄리언 해밀턴과 킴 모예스) | 지명했다 | |||
2013 | '어려운 청춘' (줄리언 해밀턴과 김모예스) | 올해의 노래 | 최종 후보 | [64] |
2014 | '약속' (줄리언 해밀턴과 킴 모예스) | 올해의 댄스 작품 | 지명했다 | [65] |
오스트레일리아 음악상
호주 음악상(The Australian Music Prize, AMP)은 호주 밴드나 솔로 가수에게 수여되는 연간 30,000달러의 상이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8 | 아포칼립소 | 호주 올해의 앨범 | 지명했다 |
2013 | 파시피카 | 호주 올해의 앨범 | 지명했다 |
2018[66][67] | 안녕 비즈 | 호주 올해의 앨범 | 지명했다 |
J상
J상은 호주의 청소년 라디오 방송국인 트리플 J가 올해의 호주 앨범에 수여하는 상이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8 | 아포칼립소 | 호주 올해의 앨범 | 수상해 |
「마이 피플」 | 올해의 오스트레일리아 뮤직비디오 | 지명했다 | |
2012 | 파시피카 | 호주 올해의 앨범 | 지명했다 |
FBi SMAC 어워드
매년 FBi는 시드니가 제공할 수 있는 최고의 창의적 재능을 모읍니다.SMAC Awards는 음악, 연극, 비주얼 아트, 영화, 음식 등 시드니의 창의적인 문화에 특별한 공헌을 한 열심히 일하고 재능 있는 사람들을 표창합니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8 | 아포칼립소 | 올해의 레코드 | 수상해 |
전미 라이브 뮤직 어워드
National Live Music Awards(NLMA)는 호주의 다양한 라이브 산업을 널리 인정받아 호주 라이브 씬의 성공을 축하하는 행사입니다.그 상은 2016년에 시작되었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18년 전국 라이브 뮤직 어워드[68][69] | 프리셋 | 올해의 라이브 일렉트로닉 액트(또는 DJ) | 지명했다 |
롤링 스톤 오스트레일리아 어워드
롤링 스톤 오스트레일리아 어워드는 매년 1월 또는 2월에 롤링 스톤 매거진의 호주 판이 [70]전년도 대중문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수여한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12 | "고스트' | 올해의 싱글 (독자 투표) | 수상해 |
영국 뮤직 비디오 어워드
UK Music Video Awards는 음악용 뮤직비디오와 동영상의 창의성, 기술적 우수성 및 혁신에 대한 연례 행사입니다.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9 | '당신을 알면' | 베스트 댄스 뮤직비디오 | 수상해 |
인 더 믹스 어워드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6 | "당신이 그 사람인가요? | 베스트 비디오 (Kris Moyes) | 수상해 |
2012 | 프리셋 | Best Live Act | 수상해 |
2013 | 프리셋 | Best Live Act | 지명했다 |
더 빠른 시끌벅적한 페스티벌 어워드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8 | 프리셋 | 지역 축제법 | 수상해 |
GQ 호주 올해의 남성상
연도 | 지명자/직업 | 상 | 결과 |
---|---|---|---|
2008 | 프리셋 | 올해의 밴드 | 수상해 |
레퍼런스
- ^ NCraig (28 September 2005). "The Presets – Beams". FasterLouder Pty Ltd (Sound Allia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12. Retrieved 3 November 2011.
- ^ a b "ARIA Awards winners by artist – The Presets".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ARIA). Retrieved 26 November 2009.[영구 데드링크]
- ^ "2009 Winners – APRA Music Awards". 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10. Retrieved 3 November 2011.
- ^ Damien Caine (14 August 2008). "Lenny Kravitz via electronica duo, The Presets". the anarchitect. Damien Caine. Retrieved 6 September 2012.
- ^ BandNation Staff (17 December 2007). "Silverchair Set To Release "The Greatest View EP"". BandNation. BandN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11. Retrieved 6 September 2012.
- ^ Doran, John. "Crystal Castles, The Presets, Cut Copy". The Quietus. Retrieved 9 July 2013.
- ^ a b c d e La Gorce, Tammy. "The Presets". AllMusic. Rovi Corporation. Retrieved 30 September 2011.
- ^ "The (Top 100) 2008, Sydney's Most Influential People". The (Sydney) Magazine. The Sydney Morning Herald. No. 69. Fairfax Media. January 2009. pp. 80–81.
- ^ a b c d "Presets". Music Austral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7 February 2004. Retrieved 3 November 2011.
- ^ "Releases :: Blow Up". Australian Music Online. Nov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ugust 2008. Retrieved 3 November 2011.
- ^ Colman, Tim (4 February 2005). "Dirty Sounds". The Sydney Morning Herald. Fairfax Media. Retrieved 1 October 2010.
- ^ Hardaker, Tim (24 October 2004). "Modular tour featuring Colder, Cut Copy, The Presets & The Avalanches". Inthemix.com. In The Mix. Retrieved 4 July 2013.
- ^ a b "Are You the One?". Discogs. Retrieved 4 July 2013.
- ^ "Are You the One?". BMW 1 Series. (BM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September 2011. Retrieved 3 November 2011.
- ^ "Down Down Down". Discogs. Retrieved 4 July 2013.
- ^ "I Go Hard, I Go Home". Discogs. Retrieved 4 July 2013.
- ^ Esq, Carlos (13 June 2006). "Modular Presents Infinity 2006 featuring The Presets and Digitalism @ Cambridge Hotel, Newcastle (08/06/06)". FasterLouder.com. Faster Loud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13. Retrieved 4 July 2013.
- ^ Gunn, Nick (4 August 2006). "Splendour in the Grass 2006". popmatters.com. Popmatters. Retrieved 4 July 2013.
- ^ Gross, Matthew (31 October 2006). "The Rapture & The Presets @ Webster Hall: The People We Love". themusicslut.com. The Music Slut. Retrieved 5 July 2013.
- ^ Keefe, Jonathan. "Big Day Out @ Claremont Showgrounds, Perth (04/02/07)". In the Mi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14. Retrieved 5 July 2013.
- ^ "'Truth & Lies' – Single by The Presets". iTunes. Apple Inc. 2 April 2007. Retrieved 3 November 2011.
- ^ Rawlans, C (2007년 [full citation needed]12월 27일)
- ^ a b Clarke, B (2008년 6월 20일)"프리셋, 아포칼립소"수호자.2013년 9월 5일 취득.
- ^ "The Presets – Apocalypso". Australian Charts Portal. Hung Medien (Steffen Hung). Retrieved 3 November 2011.
- ^ Ian Wade (23 June 2008). "The Presets Apocalypso Review". BBC Music. BBC. Retrieved 23 September 2012.
- ^ a b Treuen, Jason. "The Presets: They Came Out of the Night". Rolling Stone Australia. Retrieved 4 January 2009.
- ^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09 Albums" (PDF).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 ^ "Cilmi, Presets dominate ARIAs". The Sydney Morning Herald. 19 October 2008. Retrieved 19 October 2008.
- ^ a b Brumby, John (24 February 2009). "Artists Unite For 'Sound Relief' Bushfire Benefit - Premier of Victoria, Australia". Premier of Victoria. Retrieved 25 February 2009.
- ^ Marcus(2009년 3월 17일)."Live Review - Sound Relief, 2009"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4월 15일 아카이브.더 바인.2013년 9월 5일 취득.
- ^ Heath, L(2009년 3월 16일)'사운드 릴리프-시드니 크리켓 그라운드(14.03.09)'AU 리뷰2013년 8월 29일 취득.
- ^ Smith, T(2009년 3월 6일)사전 설정, 마지막 호주 헤드라인 투어 발표.음악 피드2013년 8월 29일 취득.
- ^ APRA Awards--2009년 수상자는 2010년 1월 12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되었습니다.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Limited(APRA)2013년 8월 29일 취득.
- ^ 2012년 수상자 - ARIA Awards.호주 음반 산업 협회(ARIA)2013년 9월 5일 취득.
- ^ Williams, Eliza (2009년 10월 14일)"UK Music Video Awards" Wayback Machine에서 2012년 10월 12일 아카이브되었습니다.크리에이티브 리뷰2013년 8월 29일 취득.
- ^ 음악 네트워크(2010년 9월 30일).'프리셋 리믹스 킹스 오브 레온'2013년 8월 29일 취득.
- ^ "Watch: The Presets 'Youth in Trouble'". ABC/Triple J. 29 June 2012. Retrieved 4 September 2012.
- ^ "The Presets Channel Olympics For Ghosts Video". The Music. 31 August 2012. Retrieved 4 September 2012.
- ^ "FIFA 13 Soundtrack - EA.com". Electronic Arts.
- ^ "The Presets talk Pacifica, parenthood, pyrotechnics". ABC/Triple J. 3 September 2012. Retrieved 4 September 2012.
- ^ Authentic Entertainment. "The Presets 'Pacifica' -- Album of the Week - ARIA Music News". ariacharts.com.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rch 2014.
- ^ Zuel, Bernard (2012년 9월 1일)"경계 테스트" 금주의 리뷰.시드니 모닝 헤럴드지.2013년 8월 29일 취득.
- ^ J어워즈 2012.'Presets 'Pacifa'.' abc.net.au/triplej2013년 9월 5일 취득.
- ^ "Music History". CMJ.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September 2013.
- ^ 2012년 트리플 J 핫 100'핫 100 카운트다운' abc.net.au/triplej 。2013년 9월 5일 취득.
- ^ 2012년 수상자 2014년 10월 14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2013년 8월 29일 취득.
- ^ Dragham, M(2013년 1월 17일)"롤링 스톤 어워드 2013 수상자 발표"AU 리뷰2013년 8월 29일 취득.
- ^ "OMN's Guide to the 2013 Sasquatch! Music Festival". Oregon Music News. Oregon Music News. 20 Ma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13. Retrieved 13 December 2013.
- ^ Marcus Teague (17 June 2013). "Diary from Dark Mofo: The Presets, Fantasia, scraping of vision". The Vine. Digital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13. Retrieved 13 December 2013.
- ^ "THE PRESETS ANNOUNCE NORTH AMERICAN DATES". JamBase. JamBase, Inc. 4 March 2013. Retrieved 13 December 2013.
- ^ "Mumford & Sons to headline Splendour". The Sydney Morning Herald. 24 April 2013. Retrieved 13 December 2013.
- ^ 송킥."2013 눈덩이 음악제" songkick.com.2013년 9월 5일 취득.
- ^ Scott Fitzsimons (30 November 2012). "THE PRESETS, JACK SHEARS TO PLAY SYDNEY MARDI GRAS". TheMusic.com.au. Street Press Australia Pty Lt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December 2013. Retrieved 13 December 2013.
- ^ abc.net.au/triplej (2013년 6월 8일)'트리플J 20년 핫 100 마무리'9월 5일 취득.
- ^ '트리플 J 핫 100' '트리플 J 핫 100 of 20 Years - The Countdown' abc.net.au/triplej2013년 8월 29일 취득.
- ^ Clarke, Jenna (27 April 2015). "The Presets provoke fans with Bali execution Facebook posts".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28 April 2015.
- ^ "The Presets spark fiery online debate over Bali Nine comments". News.com.au. 28 April 2015. Retrieved 28 April 2015.
- ^ Williams, Tom (29 April 2015). "The Presets' Tribute To Myuran Sukumaran & Andrew Chan Is Incredibly Moving - Music News, Reviews, Interviews and Culture - Music Feeds". Music Feeds. Retrieved 1 May 2015.
- ^ "2006 Winners - ARIA Awards".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ARIA). Retrieved 8 July 2013.
- ^ "2008 Winners - ARIA Awards".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ARIA). Retrieved 8 July 2013.
- ^ "2009 Winners - ARIA Awards".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ARIA). Retrieved 8 July 2013.
- ^ "Dance Work of the Year". 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09. Retrieved 23 April 2010.
- ^ "Dance Work of the Year – 2010". 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rch 2011. Retrieved 27 May 2010.
- ^ "APRA Song Of The Year 2013 Shortlist Revealed". Tone Deaf. 11 April 2013. Retrieved 28 April 2022.
- ^ "Nick Cave, Boy & Bear Lead APRA 2014 Song of the Year Shortlist". Music Feeds. 15 April 2014. Retrieved 28 April 2022.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19. Retrieved 7 April 2019.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gurrumul-wins-australian-music-prize". 2018. Retrieved 22 August 2020.
- ^ "NLMA announce 2018 nominees and Live legend". NLMA. 2 October 2018. Retrieved 5 September 2020.
- ^ "Winners of the 2018 NLMA". NLMA. December 2018. Retrieved 5 September 2020.
- ^ Barnes, Amelia (5 December 2011). "Rolling Stone Magazine Australia announces 3rd annual awards event". The AU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16. Retrieved 5 March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