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삭이는 잭

Whispering Jack
속삭이는 잭
Whispering Jack.jpg
스튜디오 앨범 기준
방출된1986년 10월 20일
녹음된1985년 10월 ~ 1986년 6월
장르. 록, 성인 현대판
길이41:14
라벨휘틀리, 소니 BMG, RCA
프로듀서로스 프레이저
존 파넘 연대기
존 파른햄의 최고
(1980)
속삭이는 잭
(1986)
이성의 시대
(1988)
스위싱 잭싱글스
  1. "네가 목소리다"
    릴리스됨:1986년 9월
  2. "압력 저하"
    발매 : 1986년 12월 8일
  3. "천국의 손길"
    개봉: 1987년 2월 2일
  4. "이유"
    릴리스됨:1987년 9월
20주년 기념판 표지
Released on 21 November 2006, this edition contains the concert "Whispering Jack Live in Concert" on bonus DVD
2006년 11월 21일 발매된 이 판에는 보너스 DVD에 수록된 'Whispering Jack Live in Concert' 콘서트가 수록되어 있다.
프로페셔널 등급
점수 검토
출처순위
올뮤직

속삭이는 잭은 호주의 성인 현대 팝 가수 존 파른햄의 12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1][2][3]로스 프레이저에 의해 제작되었고,[4] 1986년 10월 20일 호주 켄트 음악 보고서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정점으로 발매되었다.[5]속삭이는 잭미트로프의 앨범 'Bat Out of Hell'에 이어 호주에서 두 번째로 베스트셀러 앨범이 되었으며 호주 아티스트가 호주에서 가장 많이 판매한 앨범은 168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한 24배트 아웃 오브 헬(Bat Out of Hell)[6]이 호주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다.1986~1987년 앨범차트 1위를 25주 동안 차지했으며,[5] 1987년 '올해의 앨범'[7]으로 ARIA상을 수상했으며, 1980년대 호주 10년간 차트 1위를 차지한 앨범이기도 하다.[5]호주 내 Compact Disc에서 발매된 최초의 호주제 앨범이었다.파른햄의 가장 큰 히트곡 중 하나인 "You're the Voice"는 이번 앨범의 리드 싱글로 발매되어 켄트 뮤직 리포트 싱글 차트 1위에 정점을 찍었다.[5]

이 앨범에 앞서 판햄은 영입된 뒤 호주 리틀 리버 밴드의 리드 싱어로 탈퇴한 뒤 경력이 정체됐다.[1]판햄의 매니저인 글렌 휘틀리는 이 앨범의 녹음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그의 집을 저당 잡혔다.[2][3]처음에는 호주 주요 라디오 방송국들이 리드 싱글인 "You're the Voice"를 연주하기를 꺼린 후, 대중들의 요구가 압도적으로 증가했고 그들은 이에 동의했다.이 곡은 1980년대 호주 차트에서 눈에 띄는 1위 곡 중 하나가 되었으며, 여전히 호주 라디오의 주요 곡으로 남아 있다.속삭이는 잭은 판햄의 경력을 다시 시작했으며 20년 더 그 경력을 계속 이어갔다.2006년 11월 21일, Suscing Jack은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재발매되었는데, 보너스 트랙과 "Pressure Down"의 확장 스튜디오 버전, 그리고 1987년 편집된 Suscing Jack Live in Concert TV 공연의 DVD와 함께 나왔다.

배경

John Farnham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동안 10대 팝 아이돌이었다. 당시 "Johnny"라고 불렸다.그는 록 그룹 마스터스 도제자베이스 기타리스트였던 글렌 휘틀리를 만났는데, 이때 두 연기는 모두 대릴 삼벨맡았다.[8]1970년대 중반부터 판햄은 텔레비전, 무대, 카바레 엔터테인먼트로 옮겨갔다.[1]이미 리틀리버 밴드(LRB)를 운영하던 휘틀리는 1980년 판햄과 계약했다.[2][8]그들은 파넘의 컴백 싱글이 LRB의 Graeham Goble이 제작한 비틀즈의 "Help!"[2]의 리워크가 될 것이라고 결정했고,[4] 비틀즈는 호주 켄트 뮤직 리포트 싱글 차트 8위로 정점을 찍었다.[5]판햄은 좀 더 어른스러운 컨템포러리 팝 스타일을[1][9] 사용하고 있었고, 관련 앨범인 'Endefected'도 고블이 제작했는데,[2][4] 고블은 켄트 뮤직 리포트 앨범 차트 20위를 정점을 찍었다.[5]'도움말'의 B편은 고블과 공동 작곡한 판햄의 노래 작사 노력 '질리의 노래'[2]였다.[10]판햄의 스튜디오 밴드에는 기타리스트 토미 엠마누엘(외부 스타 밴드), 키보드 연주자 말 로건(외부 레네 가이어 밴드, LRB), 드러머 데릭 펠리치(LRB), 베이스 기타리스트 배리 설리번(ex-Chain)[1]이 참여했다.그들은 로건과 펠리치가 LRB에 복귀할 때까지 그의 투어 밴드가 되었고 각각 샘 맥널리와 데이비드 존스로 교체되었다.[1]1981년에는 3개의 솔로 싱글이 그 뒤를 이었지만, 상위 50위 안에 든 싱글은 없었다.[5]1982년 2월, 글렌 쇼록이 리틀 리버 밴드를 떠난 후, 판햄은 고블과 휘틀리의 추천으로 그들의 리드 보컬이 되었다.[1]

1985년 판햄은 리틀 리버 밴드에 있을 때 미래의 솔로 앨범을 위한 노래목록을 수집하기 시작했고, 그의 보컬이 끝난 후, 노 리퍼는 그 해 말에 밴드를 떠났다.[1][8]1981년 이후 파넘의 첫 단독 공연은 리드기타에 브렛 가르셋, 기타에 샘 시, 드럼에 리틀 리버 밴드에 속해 있던 데릭 펠리치로 구성된 존 파르넘 밴드 라이브 쇼였다.[1][4]1986년 초, 사운드 엔지니어 로스 프레이저는 휘틀리에게 솔로 앨범 작업을 시작할 때라고 제안했다.[3]휘틀리는 판햄과 기꺼이 협력할 수 있는 프로듀서와 음반사를 찾았지만 허사였고,[3] 그래서 프레이저는 프로듀서 역할을 맡았고 휘틀리는 재정적인 지원을 했다.[2][3]

미국의 재즈 클럽을 방문하던 중, 파넘은 잭 팬텀으로 잘못 소개되었고, 이후 그가 지역 풀 게임에서 러닝 코멘트를 제공했을 때, 그는 팟 블랙의 해설자 '휘파람' 테드 로우의 이름을 따서 "Swishing Jack 팬텀"이라고 이름지었다.[8]판햄의 앨범 작업인 Suscing Jack은 프레이저의 조언으로 그의 곡 리스트를 확장하는 것을 포함했다."A Touch of Paradise"는 케인걸리버 스미스몬도 록로스 윌슨이 공동 집필했으며,[11] "Pressure Down"은 해리 보그다노프가 제공했다.[12]앨범이 녹음되기 2주 전, 런던에서 "Pressure Down"과 유사한 자료로 도착한 데모 테이프가 녹음될 예정이었다; Farnham과 Fraser는 "You're the Voice"의 데모를 듣고 일생에 한 번 있는 노래를 발견했다는 것을 알았다.[8]또 다른 제안곡은 "We Builded This City"였지만 판햄은 그것을 다시 되돌렸다; 그것은 나중에 미국 밴드 스타쉽에 의해 녹음되었다.[8]

녹음

1985년 10월 판햄의 집의 교외 차고에서 녹음이 시작되었다.이 녹음의 15만 달러의 비용은 글렌 휘틀리의 집을 개조하는 것으로 조달되었다.전통적인 악기 이외에도 앨범은 샘플링에 크게 의존했다.'You're the Voice'의 드럼 소리는 페어라이트 CMI를 통해 연주되는 쾅쾅거리는 자동차 문에서 샘플링되었다.[13]

리셉션

당초 리브랜딩된 전 틴아이돌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배양하기 어려웠고, 라디오 방송국들은 판햄의 앨범을 연주하는 것을 거부했다.하지만 1986년 9월에 발매된 시드니 라디오 방송국 투데이 FM이 첫 번째 싱글 "You're the Voice"를 연주한 이후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이후 라디오 방송국들은 이 노래에 대한 요청을 받기 시작했다.그것의 텔레비전 데뷔는 스카이훅의 그렉 매킨시가 베이스 기타를 제공하는 Hey Hey Its Saturday에 있었다.[8]"You're the Voice"는 스웨덴과[14][15] 호주에서 최고 1위를 차지했으며,[5] 일부 유럽 국가들에서는 톱텐 히트작이 되었다: 스위스 3위,[14][16] 영국 6위,[17] 오스트리아 6위.[14][18]이 곡은 앤디 쿤타(아이스하우스),[19] 키스 리드(프로콜 하룸), 매기 라이더, 크리스 톰슨(전 맨프레드 어스 밴드)이 작곡했다.

지난 10월 발매된 'Susping Jack'은 호주에서 활동하며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으며, 총 25주 동안 호주 켄트 뮤직 리포트 앨범 차트 1위에 정점을 찍었다.[5]2006년 기준으로 호주에서만 168만 대 이상의 판매량을 나타내는 24배 백금이다.[6]이 앨범은 RCA/BMG를 통해 국제적으로 발매되었으며 스웨덴 1위,[15][20] 오스트리아 3위,[18][20] 노르웨이 20위권 등에서 정점을 찍었다.[20]1988년 8월에 오스트레일리아 Top Ten으로 돌아왔다.[21]그 외 호주 싱글곡으로는 12월의 '압력 다운', 1987년 2월의 '터치 오브 파라다이스', 9월의 '이유'가 정점을 찍었다.[5]

파르넘은 잭스 백투어에 이어 마이클 잭슨과 빌리 조엘의 투어에 맞서는 것을 고려하면 11번의 공연의 초기 일정은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높은 티켓 판매 이후, 8회의 공연과 더 큰 공연장의 사용으로 연장되었다.당시 잭스 백 투어는 호주 공연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인 투어였다.[3]존 파넘 밴드는 현재 리드기타에 브렛 가제드, 키보드 연주에 데이비드 허쉬펠더, 베이스 연주에 매케인시, 드럼 연주에 앵거스 버칠로 구성되어 있다.[1]판햄은 1987년 '올해의 앨범', '올해의 싱글', '가장 많이 팔린 앨범', '가장 많이 팔린 싱글', '최고의 남성 아티스트', '최고의 성인 컨템포러리 앨범'으로 제1회 호주레코드산업협회(ARIA) 어워드 6개를 수상했다.[7]1987년 7월 19일, TV 시리즈 카운트다운은 마지막 프로그램인 1986년 카운트다운 뮤직 비디오 어워드를 방송했고, 판햄은 속삭이는 잭으로 '베스트 앨범 어워드'를 수상했다.[22]2010년 10월 《Swishing Jack》(1986)은 《100 Best Australian Albums》에 수록되었다.[23]2021년 12월, 이 앨범은 롤링스톤 호주의 '역대 최고의 앨범 200집' 카운트다운에서 3위에 올랐다.[24]

2011년 파른햄은 앨범 전체가 트랙 순서대로 공연되는 것을 포함하여 Swishing Jack의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전국 투어를 발표했다.[25]

트랙리스트

  1. "압력 저하"(Harry Bogdanovs) – 3:50
  2. "You's the Voice"(앤디 쿤타, 키스 리드, 매기 라이더, 크리스 톰슨, 로저 맥라클란) – 5:04
  3. "원스텝 어웨이"(Jon Kennett, Dave Skinner) – 3:36
  4. "이유"(Sam See) – 4:26
  5. "Going, Going, Going, Good" (존 파넘, 데이비드 허쉬펠더, 로스 프레이저) – 3:33
  6. "No One Comes Close"(에릭 맥쿠스커) – 4:09
  7. "Love to Shine"(보그다노프스, 키키 디) – 4:01
  8. 트러블(Dennis East) – 3:25
  9. "A Touch of Paradise"(로스 윌슨, 걸리버 스미스, 로저 맥라클란) – 4:48
  10. "Let Me Out"(Farnham) – 4:22

대체 트랙 목록

  1. "압력 저하(리믹스)"(보그다노프) – 3:45
  2. "You's the Voice (remix)" (Qunta, Reid, Ryder, Thompson) – 5:35
  3. "A Touch of Paradise (remix)" (Wilson, Smith) – 4:39
  4. "원스텝 어웨이"(Kennett, 스키너) – 3:36
  5. "이유"( 참조) – 4:26
  6. "No Own Comes Close"(McCusker) – 4:09
  7. "Love to Shine"(보그다노프스, 디) – 4:01
  8. "Trouble"(동부) – 3:25
  9. "Let Me Out"(Farnham) – 4:22
  10. "Going, Going, Going, Go" (Farnham, Hirschfelder, Fraser) – 3:33

속삭이는 잭 라이브

이 앨범의 초기 성공에 이어 1987년 호주 전역에서 일련의 콘서트가 열렸다.그러한 공연 중 하나는 멜버른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센터에서 녹음되었고, 네트워크 텐에서 방송되었다.같은 해 공연의 풀버전이 비디오로 공개되기도 했다.[26]

  1. "압력 저하"(보그다노프)
  2. "원스텝 어웨이"(케넷, 스키너)
  3. 고잉 고잉 고(Farnham, Hirschfelder, Fraser)
  4. "종이 파라다이스"(히르슈펠더, 넬슨)
  5. "유아화"(Brady, Goble)
  6. "렛미 아웃"(파른햄)
  7. 천국의 손길 (윌슨, 스미스)
  8. "전쟁이 끝나면" (프레스트위치)
  9. "코믹 대화"(브롬리)
  10. "올 인 러브 이즈 페어"(스티비 원더)
  11. "놀라운 은혜"(전통)
  12. "이유"(참조)
  13. "아무도 가까이 오지 않는다"(Mcusker)
  14. "Trouble"(동부)
  15. "빛나는 사랑"(보그다노프스,)
  16. "Playing to Win"(파른햄, 고블, 허쉬펠더, 하우스덴, 프로퍼, 넬슨, 프레스티지)
  17. "하나"(닐슨)
  18. "국경에 내려 (고블)
  19. "도움말"(레논, 매카트니)
  20. "You're the Voice"(Qunta, Reid, Ryder, Thompson)

20주년 기념판

디스크 1(CD)

  1. "압력 저하"(보그다노프) - 3:50
  2. "You're the Voice"(Qunta, Reid, Ryder, Thompson) - 5:04
  3. "원스텝 어웨이"(케넷, 스키너) - 3:36
  4. "이유"( 참조) - 4:26
  5. "Going, Going, Gone" (Farnham, Hirschfelder, Fraser) - 3:33
  6. "아무도 가까이 오지 않는다"(Mcusker) - 4:09
  7. "빛나는 사랑"(보그다노프스, 디) - 4:01
  8. "Trouble"(동부) - 3:25
  9. "A Touch of Paradise"(윌슨, 스미스) - 4:48
  10. "Let Me Out"(파른햄) - 4:22
  11. "압력 저하 [확장 버전]"(보그다노프) - 5:55

디스크 2("Whispering Jack Live in Concert" DVD)(참고: DVD는 1987년에 TV에서 원래 방송되었던 편집된 버전을 사용했으며, "Paper Paradise"는 제외했다.)

  1. "Pressure Down [Live]"(보그다노프) - 4:19
  2. "원스텝 어웨이[라이브]"(케넷, 스키너) - 3:35
  3. "Going, Going, Going, Good [Live]"(파르넘, Hirschfelder, Fraser) - 3:47
  4. "Let Me Out [Live] (Farnham) - 4:21
  5. "A Touch of Paradise [Live]"(윌슨, 스미스) - 5:29
  6. "전쟁이 끝났을 때 [라이브]"(스티브 프레스티지) - 5:33
  7. "놀라운 은혜" [라이브](전통) - 4:39
  8. "이유 [라이브] (참조) - 5:14
  9. "No Own Comes Close [Live]"(McCusker) - 4:26
  10. "Love to Shine [Live]"(보그다노프스, 디) - 4:23
  11. "One [Live]"(H 닐슨) - 5:47
  12. "Playing to Win [Live] (Graham Goble, Farnham, Hirschfelder, Stephen Housden, Spencer Proffer, Wayne Nelson, Prestwich) - 3:08
  13. "도와줘! [라이브] (존 레논, 매카트니) - 4:58
  14. "당신은 목소리 [라이브] (Qunta, 리드, 라이더, 톰슨) - 6:13
  15. "크레딧" - 2:06

인원

존 파넘 밴드

추가 음악가

  • Rozzi Bazani – 백 보컬
  • Sandy Weeks – 백 보컬
  • 헬렌 코니쉬 – 백 보컬
  • Penny Dyer – 백 보컬
  • Colin Setches – 백 보컬
  • Mal Steinton – 백 보컬
  • Niki Nicholls - 백 보컬
  • 로스 프레이저 – 드럼 머신, 타악기
  • Wickow – 타악기
  • 더기 – 낮은 신음소리

생산

  • 로스 프레이저 – 프로듀서
  • 더그 브래디 – 녹음 및 혼합 엔지니어
  • Michael Wickow – 보조 엔지니어
  • Don Bartley – 1986년 오리지널 마스터링 엔지니어
  • Martin Pullan – 2006년 리마스터

차트 위치

주간 차트

차트(1988/89) 피크
포지션
오스트레일리아 앨범(켄트 음악 보고서)[5] 1
독일 앨범(Offizielle Top 100)[27] 4
네덜란드 앨범(앨범 Top 100)[28] 32
뉴질랜드 앨범(RMNZ)[29] 2
노르웨이 앨범(VG-lista)[30] 12
스웨덴 앨범(Sverigetophlistan)[31] 1
스위스 앨범(슈바이저 히트파레이드)[32] 3

연말 차트

차트(1987) 포지션
오스트레일리아 앨범(켄트 음악 보고서) 1
뉴질랜드 앨범(RMNZ)[33] 5
차트(1988) 포지션
오스트레일리아 앨범(ARIA)[34] 10

인증

지역 인증 인증 단위/판매
오스트레일리아(아리아)[36] 24× 플래티넘 1,730,000[35]
캐나다(음악 캐나다)[37] 50,000^
독일(BVMI)[38] 250,000^
스웨덴(GLF)[39] 백금 100,000^
요약
월드와이드
1986년과 1987년 판매
2,000,000[40]

^ 출하량은 인증만으로 계산된다.

발매이력

지역 날짜
호주. 1986년 10월 20일
영국 1987년 1월 13일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McFarlane, Ian (1999). "Encyclopedia entry for 'John Farnham'". Encyclopedia of Australian Rock and Pop. St Leonards, NSW: Allen & Unwin. ISBN 1-86508-07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04.
  2. ^ a b c d e f g Nimmervoll, Ed. "John Farnham". HowlSpace – The Living History of Our Music (Ed Nimmervo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ly 2012. Retrieved 2 February 2014.
  3. ^ a b c d e f Duncan Kimball, ed. (2002). "JOHN FARNHAM". MILESAGO: Australasian Music and Popular Culture 1964–1975. ICE Productions.
  4. ^ a b c d Holmgren, Magnus; Reboulet, Scott; Albury, Lyn; Birtles, Beeb; Warnqvist, Stefan; Medlin, Peter. "John Farnham". Australian Rock Database. Passagen.se (Magnus Holmgr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November 2013. Retrieved 15 May 2014.
  5. ^ a b c d e f g h i j k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ISBN 0-646-11917-6. 참고: ARIA가 1988년 중반에 자체 차트를 만들 때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싱글 및 앨범 차트 작성에 사용됨.
  6. ^ a b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06 Albums".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Retrieved 17 September 2009.
  7. ^ a b "Winners by Artist: John Farnham".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AR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09. Retrieved 17 September 2009.
  8. ^ a b c d e f g Jenkins, Jeff; Ian Meldrum (2007). Molly Meldrum presents 50 years of rock in Australia. Melbourne, Vic: Wilkinson Publishing. ISBN 978-1-921332-11-1.
  9. ^ Creswell, Toby; Samantha Trenoweth (2006). 1001 Australians You Should Know. North Melbourne, Vic: Pluto Press. p. 84–85. ISBN 978-1-86403-361-8.
  10. ^ ""Jillies Song" at APRA search engine". 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1. Retrieved 18 September 2009.
  11. ^ ""A Touch of Paradise" at APRA search engine". 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1. Retrieved 18 September 2009.
  12. ^ ""Pressure Down" at APRA search engine". 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1. Retrieved 18 September 2009.
  13. ^ Adams, Cameron (11 April 2018). "Why John Farnham was nearly rock-blocked from 'You're the Voice'". News.com.au. Retrieved 12 April 2021.
  14. ^ a b c "John Farnham - You're The Voice". Australian Charts Portal. Retrieved 18 September 2009.
  15. ^ a b "Discography John Farnham". Swedish Charts Portal. Retrieved 18 September 2009.
  16. ^ "Discographie John Farnham". Swiss Charts Portal. Retrieved 18 September 2009. 참고: 스위스 독일어로 된 정보.
  17. ^ "John Farnham Singles and Albums Charts".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18 September 2009.
  18. ^ a b "Discographie John Farnham". Austrian Charts Portal. Retrieved 18 September 2009. 주: 오스트리아어로 된 정보.
  19. ^ ""You're the Voice" at APRA search engine". Australas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1. Retrieved 18 September 2009.
  20. ^ a b c "John Farnham - Whispering Jack". Australian Charts Portal. Retrieved 18 September 2009.
  21. ^ "John Farnham discography". Australian Charts Portal. Retrieved 28 September 2009.
  22. ^ Atkinson, Ann; Linsay Knight; Margaret McPhee (1996). The dictionary of performing arts in Australia. Allen & Unwin. ISBN 978-1-86373-898-9.
  23. ^ O'Donnell, John; Creswell, Toby; Mathieson, Craig (October 2010). 100 Best Australian Albums. Prahran, Vic: Hardie Grant Books. ISBN 978-1-74066-955-9.
  24. ^ 롤링스톤의 역대 최고의 호주 앨범 200장.롤링 스톤 오스트레일리아, 롤링 스톤 오스트레일리아, 2021년 12월 6일.2021년 12월 6일 회수
  25. ^ Jolly, Nathan (8 June 2011). "Farnham to play Whispering Jack in full".
  26. ^ Farnham, John (performer) (1987). Whispering Jack Live (Videocassette). Melbourne, Australia: Pro-Image Studios Limited/cite.
  27. ^ "Longplay-Chartverfolung at Musicline"(독일어)Musicline.de.포노넷 GmbH.2017년 1월 26일 회수
  28. ^ "Dutchcharts.nl John Farnham Swishing Jack" (네덜란드어).헝 메디엔.2017년 1월 26일 회수
  29. ^ "Charts.nz John Farnham Swishing Jack".헝 메디엔.2017년 1월 26일 회수
  30. ^ "Norwegiancharts.com John Farnham Swishing Jack".헝 메디엔.2017년 1월 26일 회수
  31. ^ "Swedishcharts.com John Farnham Swishing Jack".헝 메디엔.2017년 1월 26일 회수
  32. ^ "Swisscharts.com John Farnham Swishing Jack".헝 메디엔.2017년 1월 26일 회수
  33. ^ "Top Selling Albums of 1987 — The Official New Zealand Music Chart". Recorded Music New Zealand. Retrieved 5 February 2022.
  34. ^ "1988 ARIA ALBUMS CHART".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Retrieved 6 January 2017.
  35. ^ "The Music Australia Loved". Sydney Morning Herald. 1 Jan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20.{{cite web}}: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미상(링크)
  36. ^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06 Albums" (PDF).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Retrieved 17 September 2009.
  37.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John Farnham – Whispering Jack". Music Canada. Retrieved 9 February 2021.
  38. ^ "Gold-/Platin-Datenbank (John Farnham; 'Whispering Jack')" (in German). Bundesverband Musikindustrie. Retrieved 9 February 2021.
  39. ^ "Guld- och Platinacertifikat − År 1987−1998" (PDF) (in Swedish). IFPI Swed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7 May 2011. Retrieved 9 February 2021.
  40. ^ Glenn A. Baker (28 January 1989). "Australia '89" (PDF). Billboard. Vol. 101, no. 4. p. A-2. Retrieved 22 June 2021 – via World Radio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