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Codex Theodosianus

테오도시아누스 법전("Theodosian Code")은 312년부터 기독교 황제들이 통치하던 로마 제국의 법전을 집대성한 것입니다. 429년[1][2] 3월 26일 테오도시우스 2세와 그의 공동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에 의해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438년 2월 15일 헌법에 의해 편찬되었습니다. 그것은 439년 1월 1일 제국의 동부와 서부에서 시행되었습니다.[1] 이 코덱스의 원문은 506년 2월 2일에 공포된 알라릭 수도회(Lex Romana Visigothorum이라고도 함)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3][4]
발전
429년 3월 26일,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원로원에 콘스탄티누스 치세부터 테오도시우스 2세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까지 모든 법(레그, 단수 렉스)을 성문화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할 의사를 밝혔습니다.[5] 법전의 법은 312년에서 438년에 걸쳐 있으므로 438년까지 "제국법의 양"은 관리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6] 22명의 학자들은 두 팀으로 나뉘어 429년부터 9년간 테오도시우스 강령이 되는 법전을 만들기 위해 일했습니다.[7] 안티오코스 추존은 안티오키아 출신의 변호사이자 현감이자 집정관이었습니다.[8]
그들의 작품은 313년에서 437년 사이에 발행된 2,500개 이상의 헌법을 포함하는 16권의 책을 모은 것임과 동시에 낡은 조항과 불필요한 문구를 생략하고 추가, 수정, 수정을 가했습니다.[9] 존 F. 매튜스는 테오도시우스의 암호의 중요성을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로마 정부가 공권력에 의해 그들의 다리를 모으고 출판하려고 시도했던 12개의 표 이후 최초의 사건이었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설명했습니다.[10] 이 강령은 로마 제국의 4세기와 5세기의 정치, 사회경제, 문화, 종교적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11]
Codex Gregorianus라고 불리는 제국 제정법 모음집은 c. 291-4에[1] 쓰여졌고 c. 295의 대본을 제한적으로 모은 Codex Hermogenianus가 출판되었습니다.[1] 시르몬디안 헌법은 또한 제국법의 소규모 집합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테오도시우스는 후대 제국 (321–429) 동안 법에 대한 더 큰 통찰력을 제공하는 더 포괄적인 코드를 만들기를 원했습니다. 피터 스타인(Peter Stein)은 "테오도시우스는 동양의 제국에서 낮은 법적 기술 상태에 동요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는 콘스탄티노플에서 법학을 시작했습니다. 429년, 그는 콘스탄티누스 시대 이후의 모든 제국 헌법을 수집하는 위원회를 지정했습니다.[5]
방대한 양의 자료를 수집하는 동안 편집자들은 종종 같은 법의 여러 사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외에도 편집자들이 그리는 원본 자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었습니다. Matthews에 따르면, Clifford Ando는 편집자들이 "4세기 후반까지 서부 지방의 자료들과 그 이후 중부, 동부 기록 보관소들에 의존했다"고 언급합니다.[12]
6년 후, 435년에 초판이 완성되었지만 출판되지 않았습니다. 대신에, 그것은 개선되고 확장되어 마침내 438년에 완성되었고 로마와 콘스탄티노플의 원로원으로 옮겨졌습니다. 매튜스는 두 시도가 실패한 첫 번째 시도의 결과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두 번째 시도는 "편집 과정의 새로운 단계에서 원래 목표의 반복과 개선"을 보여줍니다.[13] 다른 사람들은 긴 편집 과정과 두 개의 다른 위원회를 설명하기 위해 대체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Boudewijn Sirks는 "이 코드는 콘스탄티노플, 로마 또는 라벤나에서 발견된 제국 사본으로부터 편집되었으며, 몇 개의 개인 소장품에서 자료를 보충했으며, 텍스트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작업의 법적 일관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문제로 인해 지연이 발생했다고 생각합니다."[14]
작품의 톤은 초안 작업자들이 받았던 수사학적 훈련을 반영했고, Averil Cameron은 그것을 "비뚤어지고 도덕화되고 가식적"이라고 묘사했습니다.[15]
맥락
이 암호는 라틴어로 작성되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콘스탄티노폴리스)와 로마(로마)의 두 수도를 명시적으로 언급했습니다.[16] 그것은 또한 기독교 내에 정통성을 부과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아리아인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었고 이단자들을 향한 65개의 법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7]
처음에 테오도시우스는 콘스탄티누스부터 시작하여 코덱스 그레고리오누스와 코덱스 헤르모제니아누스의 보충제로 레제너럴을 임명하려고 했습니다. 그는 나중에 유스티니아누스 강령에서 발견된 다이제스트와 마찬가지로 고대 로마 법학자들의 의견과 글로 법전을 보완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그 과제는 너무 대단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435년에 콘스탄티누스부터 저술 당시까지의 법칙에만 집중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테오도시우스 강령과 유스티니아누스의 후기 코퍼스 줄리어스 시빌리스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을 정의했습니다.
매튜스는 "그러나 테오도시우스 강령은 (노벨라를 제외한) 유스티니아누스의 저작과 다릅니다. 그것은 주로 기존의 법적인 저술과 본문 모음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라, 이전에 한 번도 통합된 적이 없었던 주요 출처에 기반을 두었습니다."[18] 약 100년 후에 출판된 유스티니아누스 강령은 두 개의 iu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석학으로서의 법"[19]과 "해석의 기초가 된 주요 법률"이라는 법률. 유스티니아누스의 코퍼스 시빌리스 주리스의 1부, 즉 코덱스가 12권의 헌법, 즉 제국법을 담고 있는 반면, 2부와 3부인 다이제스트와 인스티튜션스는 고전 로마 법학자들의 ius와 가이우스의 인스티튜션스를 담고 있습니다.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사법적 검토의 부재로 인해 개인적 측면이 부족해 보일 수 있지만, 더 검토해보면 법전은 성문화 뒤에 숨겨진 테오도시우스의 동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렌스키(Lenski)는 매튜스(Matthews)의 말을 인용하여 "제국 헌법은 규정된 법적 공식뿐만 아니라 황제의 도덕적, 이념적 원칙에 대한 서술적 선언을 나타낸다"고 언급했습니다.[20]
기독교
또한 테오도시우스 2세는 기독교가 갈레리우스의 통치하에서 비범죄화되고 콘스탄티누스의 통치하에서 선전된 후 혼란을 해소하고 단일하고 단순하며 대체적인 코드를 만드는 것 외에도 제국의 공식 종교로 굳히려고 했습니다. 하나님의 도시, 성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테오도시우스 2세의 할아버지인 테오도시우스 대제를 "그가 가톨릭 교회를 위해 발표한 법에 의해 경건함이 표출된 기독교 통치자"라고 칭송했습니다.[21]
예를 들어, Codex Theodosianus는 성주간 동안 모든 법률 행위를 중단하고, 그 보름 동안 모든 법률 재판소의 문을 닫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1. ii. tit. vii.). 또한 동성애를 처벌하는 법률을 제정했는데, 이는 로마 공화국 시대의 정책에서 이탈한 것으로, 동성애는 용인되고 아마도 조롱받았지만 불법은 아니었습니다.[22][23]
교회에 세금 면제를 부여하는 첫 번째 법은 코덱스에 나와 있으며 콘스탄티누스와 그의 아들 콘스탄티우스 2세에게 인정됩니다. 이 법들은 성직자와 그 가족, 교회가 소유한 토지를 명시하고 있으며, 성직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한 토지를 제외하고는 의무복무와 세금 납부에서 면제되었습니다.[24][25]
원천
1-5권은 6-16권의 원고 지원이 부족합니다. 현존하는 코덱스의 첫 다섯 권의 책들은 대부분 다른 두 권의 원고들로부터 끌어옵니다. 토리노 필사본, 즉 "T"는 크게 불연속적인 43개의 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4] 두 번째 원고는 알라리크의 브레비아리움이며, 책 1에 포함된 브레비아리움의 좋은 부분에는 원본 코덱스의 각 부분의 원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4]
코덱스의 후반부인 6-16권도 크게 두 개의 본문에서 끌어왔습니다. 코덱스의 6-8권은 파르시누스 9643이라는 문서의 본문으로 보존되었습니다.[26] 이 문서는 초기 중세 프랑스 도서관에서 유통되었으며, 코드 후반부에 대한 다른 형성 문서는 "V"로도 알려진 바티칸에 보관된 문서(Vat. Reg. 886)입니다.[26] 학자들은 이 부분이 완전히 전해진 것으로 생각합니다.[26]
에디션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의 참고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맘센-마이어, 테오도시아니 libri XVI cum constitutionibus Sirmondianis et leges Novellae ad Theodosianum relatedes, Berlin, Weidemann, 1905.
- 기타판/해설
- Codex Theodosianus (in Latin). Genève: Johann Arnold. 1586.
- Iacobus Gothofredus (1616). De statu paganorum sub christianis imperatoribus: seu commentarius ad titulum X de paganis libri XVI codicis Theodosiani (in Latin). Heidelberg: Gotthard Vögelin.
영어 번역
Theodosian Code는 1952년 Clyde Parr, Teresa Sherrer Davidson 등에 의해 주석과 함께 영어로 번역되었습니다.[27][a] 이 번역은 학자들에게 매우 호의적이었습니다.[b]
참고 항목
참고문헌
메모들
- ^ 이 프로젝트가 어떻게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Jones Hall 2012 참조 Kearley 2007, pp. 525, 536–545
- ^ 리뷰에 대한 설문조사는 Kearley 2018, pp. 162–164를 참조하십시오.
인용문
- ^ a b c d Kazhdan & Talbot 1991, 페이지 475.
- ^ 롱 1875, 302-303쪽.
- ^ 우드워드 & 케이츠 1872, 페이지 90.
- ^ a b c 매튜스 2000, 87쪽.
- ^ a b 피터 스타인, 37-38쪽
- ^ 마틴 1995, p. 510.
- ^ Lenski 2003, pp. 337–340.
- ^ Hornblower, Spawforth & Eidinow 2012, p. 107.
- ^ 버거 1953, 페이지 392.
- ^ 매튜스 2000, 페이지 17.
- ^ 매튜스 2000, 10-18쪽.
- ^ 클리포드 안도, 페이지 200
- ^ 알렉산더 1995, 페이지 191.
- ^ 알렉산더 1995, 페이지 191-193.
- ^ Cameron 1998, p. 683.
- ^ 티툴리 엑스코어 코디치 테오도시아니
- ^ 망고 2002, p. 105.
- ^ 매튜스 2000, 페이지 12.
- ^ 매튜스 2000, 10-12쪽.
- ^ 렌즈키 2003, 페이지 331.
- ^ 매튜스 2000, 페이지 8.
- ^ 프랙스 n.d.
- ^ Phar, Davidson & Phar 2001, pp. 232-233.
- ^ Phar, Davidson & Phar 2001, p. 443.
- ^ 엘리엇 1978, 페이지 333.
- ^ a b c 매튜스 2000, 86쪽.
- ^ Phar, Davidson & Phar 2001.
원천
- ACTI. Auxilium in Codice Theodosianum Iustinianum in vervandos, Iole Fargnoli (cur.), LED Edizioni Universitarie, Milano 2009, ISBN 978-88-7916-403-0
- Harries, Jill; Wood, Ian (1993). The Theodosian Code: Studies in the Imperial Law of Late Antiquity. Bristol Classical Press. ISBN 978-1853997402.
- Alexander, Michael C. (Spring 1995). "Review: The Theodosian Code by Jill Harries; Ian Wood". Law and History Review.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3 (1): 190–192. doi:10.2307/743979. JSTOR 743979. S2CID 144610759.
- (1991년 reprint)
- Buckland, W. W. (1993). A Textbook of Roman Law from Augustus to Justinia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7–38.
- Cameron, Averil (1998). "Education and literary culture". In Cameron, Averil; Garnsey, Peter (eds.).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3, The Late Empire, AD 337–425.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05440-9.
- Elliott, T.G. (1978). "The Tax Exemptions Granted to Clerics by Constantine and Constantius II". Phoenix. 32 (4): 333. doi:10.2307/1087959. JSTOR 1087959.
- Frakes, Robert (n.d.). "Why the Romans Are Important in the Debate About Gay Marriage". History News Network. Retrieved 2021-07-08.
- Hornblower, Simon; Spawforth, Antony; Eidinow, Esther (2012). "Antiochus Chuzon".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OUP. ISBN 978-0-19-954556-8.
- Jones Hall, Linda (2012). "Clyde Pharr, the Women of Vanderbilt, and the Wyoming Judge: the Story behind the Translation of the Theodosian Code in Mid-Century America" (PDF). Roman Legal Tradition. 8. ISSN 1943-6483.
- Kazhdan, Alexander Petrovich; Talbot, Alice-Mary Maffry (1991). "Codex Theodosianus".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4652-6.
- Kearley, Timothy (2007). "Justice Fred Blume and the Translation of Justinian's Code" (PDF). Law Library Journal. 99: 525, 536–545.
- Kearley, Timothy (2018). Lost in Translations: Roman Law Scholarship and Translation in Early Twentieth-century America. Carolina Academic Press. ISBN 978-1-5310-0722-5.
- Kearley, Timothy (2022). Roman Law, Classical Education, and Limits on Classical Participation in America into the Twentieth-Century. Veterrimus Publishing. ISBN 978-1-7361312-1-3.
- Lenski, Noel (February–March 2003). "Review: Laying Down the Law. A Study of the Theodosian Code by John Matthews". The Classical Journal. The Classical Association of the Middle West and South, Inc. 98 (3): 337–340.
- Long, George (1875). "Codex Theodosianus". In William Smith (ed.).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ondon: John Murray. pp. 302–303.
- Mango, Cyril (2002). Oxford Histo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 Martin, Susan D. (October 1995). "Review: The Theodosian Code by Jill Harries; Ian Wood". The American Journal of Legal History. Temple University. 39 (4): 510–511. doi:10.2307/845507. JSTOR 845507.
- Matthews, John F. (2000). Laying Down the Law: A Study of the Theodosian Code. New York: Yale University Press.
- Pharr, Clyde; Davidson, Theresa Sherrer; Pharr, Mary Brown (2001) [1952]. The Theodosian Code and Novels, and the Sirmondian Constitutions. The Lawbook Exchange. ISBN 978-1-58477-146-3.
- Tellegen-Couperus, Olga (1993). A Short History of Roman Law. New York: Routledge. pp. 138–141.
- Woodward, Bernard Bolingbroke; Cates, William Leist Readwin (1872). Encyclopaedia of Chronology: Historical and Biographical. Lee and Shepard.
-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리브르 5세 – 르 코드 테오도시엔, 리브르 5세. Textelatin d'après l'édition de Th. 맘센. 거래 프랑세즈, 소개 및 노트. 에드 파 실비 크로기에즈, 피에르 자일레트, 장 미셸 푸앵소트 투표율, 브레폴스, 2009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 르 코드 테오도시엔(CTH), vol. 5).
외부 링크
주출처
- Codex Theodosianus (라틴어), ancientrome.ru
-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라틴어) Ed. 맘센, 마이어, & 크루거(라틴어). 웹사이트 upmf-grenoble.fr .
- (영어로) 311년부터 431년까지의 제국 법 목록은 테오도시우스 법전과 다른 출처에서 나온 종교와 관련된 많은 법들을 연대순으로 요약한 것입니다.
- (영어로)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11–7–13; XV–5–1, –12–1; XV–1–2, –5–1, –5–3, –7–1, –10–4(종교), 영어 번역 Oliver J. 대처 e.a., 1907. 웹사이트 fordham.edu .
2차 출처
- 1875년 런던 존 머레이 그리스 로마 유물 사전에 실린 조지 롱의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Bibliothecalelegum Regni Francorum muscripta 웹사이트의 코드와 원고 전통에 대한 정보. 카롤링거 세속법 문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Karl Ubl, 독일 쾰른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