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우스 2세

Constantius II
콘스탄티우스 2세
Head portrait of Constantius II
현대 시리아 알밥에서 발견된 콘스탄티우스 2세의 머리 초상화 (펜 박물관)[1][2]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337년 9월 9일 ~ 361년 11월 3일
전임자콘스탄틴 1세
후계자줄리안
공동통치자콘스탄틴 2세 (337–340)
콘스탄스 I(337–350)
마그넨티우스 (350–353)
베트라니오(350)
줄리안 (360–361)
카이사르324년 11월 8일 - 337년 9월 9일
태어난317년 8월 7일
시르미움, 판노니아 인페리어
죽은361년 11월 3일 (44세)
모프수에스티아
매장
배우자.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의 딸
유세비아
파우스티나
쟁점.콘스탄티아 (그라티안의 아내)
이름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3]
재위자명
황제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다이너스티콘스탄티누스어
아버지.콘스탄티누스 대제
어머니.파우스타
종교반아리아교

콘스탄티우스 2세 (라틴어: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그리스어: κ ωνστάντιος, 번역. 콘스탄티오스(, 317년 8월 7일 ~ 361년 11월 3일)는 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337년 ~ 361년)이다. 그의 치세는 사산 제국게르만족을 상대로 국경에서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고, 반면 로마 제국은 내전과 궁정의 음모, 찬탈을 반복했습니다. 그의 종교 정책은 그의 사후에도 계속될 국내 분쟁에 불을 붙였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아들로, 324년 11월 8일 카이사르의 황제로 즉위했고, 그의 사후 콘스탄티우스는 그의 형제들인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스와 함께 337년 9월 9일 아우구스투스가 되었습니다. 그는 즉시 장인삼촌, 그리고 몇몇 사촌들의 학살을 감독하여 권력을 공고히 했습니다. 그 형제들은 제국을 분할했고, 콘스탄티우스는 그리스, 트라키아, 아시아 지방, 이집트를 동쪽으로 받았습니다. 후 10년 동안 페르시아를 상대로 한 비용이 많이 들고 결론이 나지 않는 전쟁은 콘스탄티우스의 대부분의 시간과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러는 동안 그의 형제 콘스탄티누스와 콘스탄스는 제국의 서쪽 지방을 두고 전쟁을 벌여 전자는 340년에 죽고 후자는 서쪽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습니다. 남아있는 두 형제는 350년 콘스탄스가 폭도 마그넨티우스에 의해 전복되고 암살될 때까지 서로 불안한 평화를 유지했습니다.

마그넨티우스를 공동 통치자로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콘스탄티우스는 351년 무르사 소령과 353년 몬스 셀레우코스 전투에서 그를 물리치고 침략자를 상대로 내전을 벌였습니다. 마그넨티우스는 후자의 전투 후 자살을 하여 콘스탄티우스를 제국의 유일한 통치자로 남겼습니다. 351년, 콘스탄티우스는 사촌인 콘스탄티우스 갈루스카이사르의 하위 계급으로 올려 동부를 통치했지만, 그의 폭력적이고 부패한 성격에 대한 통렬한 보고를 받고 3년 후 그를 처형했습니다. 그 직후인 355년, 콘스탄티우스는 그의 마지막 생존 사촌인 갈루스의 이복동생 율리우스카이사르로 승격시켰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황제로서 아리아교를 장려하고, 이교도의 희생을 금지하고, 유대인에 대한 법을 공표했습니다. 게르만족을 상대로 한 그의 군사 작전은 성공적이었습니다: 그는 354년에 알라만니족을 패배시켰고, 357년에 쿼디족사르마티아족을 상대로 다뉴브 강을 건너서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350년 이후 소강상태를 보이던 사산군과의 전쟁은 359년에 다시 격렬하게 전개되었고, 여러 국경 요새가 소실된 이후 안정을 되찾기 위해 360년 콘스탄티우스가 동쪽으로 이동했습니다. 그러나 율리우스는 360년 아우구스투스의 작위를 주장했고, 콘스탄티우스가 율리우스에게 물러서라고 설득하려다 실패하면서 둘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361년 11월 3일 모프수에스티아에서 콘스탄티우스가 병에 걸려 열병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초기생

카이사르 콘스탄티우스 2세, 서기 327년 시스키아밀리아렌세.
콘스탄티우스 2세의 흉상, 로마노-게르만 박물관, 쾰른.[4]

콘스탄티우스는 317년 현재의 세르비아 판노니아시르미움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셋째 아들이었고, 막시미아누스의 딸인 두 번째 부인 파우스타 사이에서 둘째 아들이었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324년 11월 8일 그의 아버지에 의해 시저로 임명되었습니다.[5] 336년 아르메니아의 종교적 불안과 콘스탄티누스와 샤푸르 2세 사이의 긴장된 관계는 로마와 사산 왕조 페르시아 사이에 전쟁을 일으켰습니다.[6] 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초기 준비를 했지만 콘스탄티누스는 병에 걸려 콘스탄티우스를 동쪽으로 보내 동쪽 변경지역을 지휘하게 했습니다.[6][7] 콘스탄티우스가 도착하기 전에 왕의 동생일 가능성이 있는 페르시아 장군 나르세스가 메소포타미아를 점령했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즉시 나르세스를 공격했고, 사소한 좌절을 겪은 후 나라사라 전투에서 나르세스를 패배시키고 죽였습니다.[8] 콘스탄티우스는 아미다를 점령하고 도시의 큰 요새화를 시작하여 도시의 회로 벽을 강화하고 큰 탑을 세웠습니다. 그는 또한 근처의 배후 지역에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여 안티노폴리스라고 이름 지었습니다.[9]

동방의 아우구스투스

달마티우스가 죽기 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임명한 제왕 중 로마 제국의 분할.
젊은 콘스탄티우스 2세나 콘스탄스의 흉상, 카피톨린 박물관.[10]
마그넨티우스의 청동화
콘스탄티우스 갈루스의 금색 고체입니다. 콘스탄티우스의 친사촌인 그는 350년 콘스탄티우스에 의해 카이사르가 되었고 황제의 여동생인 콘스탄티나와 결혼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잘못된 동부 지방 관리는 354년에 그의 죽음으로 이어졌습니다.

337년 초, 콘스탄티우스는 아버지가 곧 죽을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서둘러 콘스탄티노플로 향했습니다.[11] 콘스탄티누스가 죽은 후, 콘스탄티우스는 그를 성 사도 교회에 호화로운 의식으로 묻었습니다.[12]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직후, 군대는 그의 친할아버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의 결혼의 후손인 그의 친척들을 학살했습니다.[13] 콘스탄티우스의 삼촌 2명과 사촌 7명이 살해되었는데,[14] 그 중에는 폰토스모에시아의 통치자인 한니발리아누스달마티우스, 그리고 그의 두 형제 콘스탄티누스콘스탄티누스, 그리고 세 사촌 갈루스, 율리안, 네포티아누스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유일한 생존 남성 친척으로 남겨졌습니다. "공식적인 판본"은 콘스탄티우스의 친척들이 그저 반란군의 희생자들에 불과하다는 [15][16][17]것이었지만,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조시무스, 리바니우스, 아타나시우스, 율리우스 등은 모두 이 사건의 책임을 콘스탄티우스에게 돌렸습니다.[18][14] 버지스는 후자의 버전이 "모든 증거와 일치한다"고 생각하며, 대학살과 관련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여러 요인들이 자발적인 반란이라기보다는 계획적인 공격이라고 지적했습니다.[19][a]

얼마 지나지 않아 콘스탄티우스는 제국의 분할을 공식화하기 위해 판노니아의 시르미움에서 형제들을 만났습니다.[21] 콘스탄티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트라키아, 소아시아, 시리아, 이집트, 키레나이카 등 동부의 속주를, 콘스탄티누스는 브리타니아, 갈리아, 히스파니아, 모레타니아를, 콘스탄티누스는 처음에 콘스탄티누스 2세의 통치하에 있던 이탈리아, 아프리카, 일리리쿰, 판노니아, 마케도니아, 아카이아를 받았습니다.[22]

그리고 나서 콘스탄티우스는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재개하기 위해 안티오키아로 동쪽으로 급히 갔습니다.[23] 337년 초 콘스탄티우스가 동쪽 변경에서 떨어져 있는 동안 샤푸르 2세는 전쟁 코끼리를 포함한 대군을 소집하여 로마 영토를 공격하여[24] 메소포타미아를 황폐하게 만들고 니시비스 도시를 포위했습니다.[25] 초기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샤푸르는 군대가 무너진 성벽을 이용할 기회를 놓치자 포위를 풀었습니다.[23] 콘스탄티우스는 샤푸르가 로마 영토에서 철수했다는 소식을 듣고 군대에 반격을 준비했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샤푸르가 다스리는 사산 제국의 침략에 맞서 동쪽 국경을 여러 차례 방어했습니다. 이러한 분쟁은 주로 Nisibis(누세이빈), Singara(싱가라), Amida(Diyarbakir) 등 로마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요새들을 사산적으로 포위한 것에 국한되었습니다. 샤푸르는 이러한 대부분의 대결에서 승리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산왕조는 거의 성취할 수 없었습니다.[26][27] 그러나, 로마인들은 나라사라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샤푸르의 동생 나르세스를 죽였습니다.[26][28] 결국 콘스탄티우스는 침공을 저지할 수 있었고, 샤푸르는 별다른 이득을 얻지 못했습니다.[27]

한편 콘스탄티누스 2세는 콘스탄티누스의 영토를 계속 장악하기를 원했고, 형제들을 공개적인 분쟁으로 이끌었습니다. 콘스탄틴은 340년 아퀼레이아 근처에서 매복 중에 사망했습니다.[16] 그 결과 콘스탄스는 죽은 동생의 영토를 장악하고 제국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서방 국가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습니다. 이 분열은 350년까지 지속되었고, 콘스탄스는 침략자 마그넨티우스에게 충성하는 군대에 의해 암살당했습니다.[16][29]

마그넨티우스와의 전쟁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유일한 생존 아들로서 콘스탄티우스는 황제의 자리가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했고,[30] 그는 침략자 마그넨티우스와 싸우기 위해 서쪽으로 진군하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러나 동방이 여전히 일종의 제국주의적 존재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한 그는 사촌 콘스탄티우스 갈루스를 동방 속주의 카이사르로 승격시켰습니다. 그의 사촌의 충성을 보장하기 위한 추가 조치로, 그는 그의 두 자매의 형인 콘스탄티나와 그와 결혼했습니다.[30]

콘스탄티우스는 마그넨티우스와 대면하기 전에 최근에 그의 병사들로부터 황제의 칭송을 받았던 일리리쿰의 충성스러운 장군 베트라니오와 처음으로 화해했습니다. 베트라니오는 즉시 콘스탄티우스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편지를 보냈는데, 콘스탄티우스는 마그넨티우스가 더 이상 지지를 얻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이 편지를 받아들였을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갈루스와 결혼하기 위해 동쪽으로 이동했던 콘스탄티나의 행동에 의해 촉발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 후 콘스탄티우스는 베트라니오에게 황제의 대관식을 보내고 장군의 새로운 지위를 아우구스투스로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콘스탄티우스가 도착하자 베트라니오는 기꺼이 자리를 내려놓고 비티니아에서 편안하게 은퇴하겠다는 콘스탄티우스의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31]

351년 콘스탄티우스는 대군을 이끌고 판노니아에서 마그넨티우스와 격돌했습니다. 뒤이은 무르사 소령 전투는 두 로마 군대 사이에 일어난 가장 크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 중 하나였습니다.[32][33][34][35] 결과는 콘스탄티우스의 승리였지만 값비싼 승리였습니다. 마그넨티우스는 전투에서 살아남았고, 계속 싸울 결심을 하고 이탈리아 북부로 철수했습니다. 그러나 콘스탄티우스는 적수를 추격하기보다는 다뉴브 국경을 확보하는 데 관심을 돌렸고, 352년 동안 다뉴브 중부를 따라 사르마티아인들을 상대로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목적을 달성한 후, 콘스탄티우스는 이탈리아의 마그넨티우스로 진격했습니다. 이 행동으로 이탈리아의 도시들은 그에 대한 충성심을 전환하고 약탈자의 수비대를 쫓아냈습니다. 다시, 마그넨티우스는 이번에는 남부 갈리아로 철수했습니다.[36]

353년, 콘스탄티우스와 마그넨티우스는 갈리아 남부의 몬스 셀레우코스 전투에서 마지막으로 만났고, 다시 콘스탄티우스가 승리자로 떠올랐습니다.[36] 353년 8월 10일, 마그넨티우스는 자신의 지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깨닫고 자살했습니다.[37]

단독 통치

솔리두스는 354년에서 357년 사이에 메디올라눔을 공격했습니다. 역에는 글로리아 레이 퍼블레네, "공화국의 영광"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353년과 354년 초에 나머지 대부분을 다뉴브 국경에서 알라만니족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습니다. 이 작전은 성공적이었고 알라만니족의 습격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습니다. 그동안 콘스탄티우스는 사촌 갈루스의 행동에 대해 불안한 보고를 받고 있었습니다.[38] 이런 보고들 때문인지 콘스탄티우스는 알라만니족과 평화를 맺고 메돌라눔(밀란)으로 건너갔습니다.[39]

콘스탄티우스는 메디오라눔에서 갈루스의 마기스터 에퀴툼인 우르시키누스를 처음 소환했는데, 그 이유는 불분명합니다.[40] 그리고 나서 콘스탄티우스는 갈루스와 콘스탄티누스를 불러들였습니다.[41] 갈루스와 콘스탄티나는 처음에는 명령에 따랐지만, 콘스탄티나가 비티니아에서 [41]죽자 갈루스는 망설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콘스탄티우스의 대리인들 중 한 명에 의해 어느 정도 설득된 후,[42] 갈루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트라키아를 거쳐 판노니아포에토비오(Ptuj)까지 서쪽으로 여행을 계속했습니다.[43][44]

포에토비오에서 갈루스는 바르바티오의 지휘 아래 콘스탄티우스의 병사들에게 체포되었습니다.[45] 그런 다음 갈루스는 폴라로 옮겨져 심문을 받았습니다. 갈루스는 자신이 동부 지방을 다스리는 동안 모든 문제를 일으킨 것은 콘스탄티나라고 주장했습니다.[46] 이에 콘스탄티우스는 크게 화가 나서 곧바로 갈루스를 처형하라고 명령했습니다.[47] 그러나 그는 곧 마음을 바꿔 주문을 취소했습니다.[48][49][50] 갈루스에게 불행하게도 이 두 번째 명령은 콘스탄티우스의 내시 중 한 명인 에우세비우스에 의해 지연되었고, 갈루스는 처형당했습니다.[44]

종교문제

콘스탄티우스 2세는 354년 대규모를 분배한 연대기(카롤링거 사본의 르네상스 사본)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벨트의 이 섹션에는 두 개의 금메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더 큰 동전은 승리한 황제가 전차를 타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51] 월터스 미술관.

이교도

350년대부터 법은 이교도의 제사를 행하거나 참석한 사람들과 우상 숭배에 대한 사형을 규정했습니다.[52][53][54] 이교도 사원들은 폐쇄되었고,[55][56] 승리의 제단은 상원 회의장에서 제거되었습니다.[57] 또한 일반 기독교인들이 많은 고대 이교도 사원과 무덤, 기념물들을 파괴하고 약탈하고 모독하는 사건들도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58][59][60][61] 이교도는 그 당시에도 여전히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습니다. 많은 총독과 치안판사들은 황제의 정책에 소극적으로 저항했습니다.[56][62][63]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스탄티우스는 로마의 여러 사제 대학이나 베스탈 처녀들을 해산시키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다양한 이교도 학파에 대항하는 행동을 한 적이 없습니다. 때때로 그는 실제로 이교도를 보호하기 위해 약간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사실, 그는 아프리카를 위해 신부를 선출하라고 명령하기도 했습니다.[64] 또한, 그는 폰티펙스 막시무스로 남아 있었고, 그가 죽은 후 로마 원로원에 의해 신격화되었습니다. 이교에 대한 그의 상대적인 절제는 그가 죽은 지 20년이 넘은 그라티아누스의 통치 기간 중에 이교도 원로원 의원들이 그들의 종교에 대한 그의 대우에 항의했다는 사실에 의해 반영됩니다.[65]

기독교

흔히 아리아인으로 여겨지지만,[66] 콘스탄티우스는 궁극적으로 아리아인니케네 크리드 사이에 위치한 세 번째 타협안을 선호했는데, 이를 소급하여 세미 아리아인이라고 합니다.[67][68]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는 기독교 교회가 이 타협적인 입장을 따르도록 형성하려고 시도했고, 몇몇 기독교 평의회들을 소집했습니다. 역사학자 A.H.M. 존스는 "그의 기억에는 불행하게도 그가 선택한 신학자들은 결국 신뢰를 잃었고, 그가 순응하도록 압박했던 부정적인 내용들이 승리로 나타났다"고 썼습니다. "따라서 359-60년의 위대한 공의회들은 교회의 전통에서 에큐메니컬로 간주되지 않으며, 콘스탄티우스 2세는 통합의 회복자로 기억되지 않고, 자신의 의지를 교회에 임의로 강요한 이단자로 기억됩니다."[66]

유대교

유대교는 콘스탄티우스 치하에서 몇 가지 엄격한 제한에 직면했는데, 그는 아버지의 정책과 일치하여 반유대주의 정책을 따랐던 것으로 보입니다.[69] 여기에는 유대인의[70] 노예 소유를 제한하는 칙령과 유대인과 기독교 여성의 결혼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70] 후대의 칙령들은 배교자의 재산을 몰수함으로써 기독교에서 유대교로의 개종을 막으려고 했습니다.[71]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콘스탄티우스의 행동은 유대인 사업과 마찬가지로 유대인 종교와 관련된 것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분명히 개인 소유의 유대인 사업체는 종종 국영 사업체와 경쟁했습니다. 따라서 콘스탄티우스는 유대인 사업체가 이용할 수 있는 숙련된 노동자와 노예를 제한함으로써 국영 사업체에 이점을 제공하려고 했을지도 모릅니다.[69]

더이상의 위기

355년 8월 11일, 마지스터 밀리툼 클라우디우스 실바누스가 갈리아에서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실바누스는 무르사 소령 전투 이후 콘스탄티우스에게 항복했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353년에 독일의 위협을 차단할 목적으로 그를 밀리툼의 마법사로 임명했는데, 이것은 실바누스가 모은 돈으로 독일 부족들에게 뇌물을 주고 이룬 업적입니다. 콘스탄티우스의 궁정 구성원들이 짜놓은 음모가 황제로 하여금 실바누스를 떠올리게 했습니다. 실바누스가 반란을 일으킨 후, 그는 콘스탄티우스로부터 밀라노로 그를 소환하는 편지를 받았지만, 반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실바누스를 대신할 우르시키누스는 몇몇 군대에게 뇌물을 주었고, 실바누스는 살해당했습니다.[citation needed]

그러나 콘스탄티우스는 너무 많은 위협들이 여전히 제국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혼자서는 이 모든 위협들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355년 11월 6일,[72] 그는 그의 마지막 남은 남자 친척인 율리우스카이사르로 승격시켰습니다.[73] 며칠 후, 줄리안은 콘스탄티우스의 마지막 생존 여동생 헬레나와 결혼했습니다.[74] 콘스탄티우스는 곧 율리우스를 갈리아로 보냈습니다.[74]

판노니아 카르눈툼에 있는 콘스탄티우스 2세의 개선문

콘스탄티우스는 그 후 몇 년 동안 주로 메디올라눔에 있는 그의 기지에서 제국의 서부 지역의 일들을 감독했습니다. 357년 4월부터 5월까지 그는 생애 유일하게 로마를 방문했습니다. 같은 해, 그는 사르마티아콰디의 침입자들을 판노니아와 모에시아 인페리어에서 몰아내고, 다뉴브 강을 건너 반격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75]

357년에서 58년 겨울, 콘스탄티우스는 샤푸르 2세로부터 대사들을 받았는데, 그들은 로마가 나르세스에게 항복한 땅들을 복구할 것을 요구했습니다.[76][77] 콘스탄티우스는 이런 조건을 거부하면서도 샤푸르 2세에게 두 개의 대사관을 보내 사산 제국과의 전쟁을 피하려 했습니다.[78][79][80][81][82] 그럼에도 샤푸르 2세는 또다시 로마 메소포타미아를 침공했습니다. 360년, 샤푸르 2세가 싱가라(신자르)를 파괴하고 킵하스(하산케프), 아미다(디야르바크 ı르), 아드 티그리스(시즈레)를 점령했다는 소식이 콘스탄티우스에게 전해지자, 그는 다시 나타난 위협에 맞서기 위해 동쪽으로 이동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율리안의 찬탈과 동부의 위기

창을 들고 말을 탄 콘스탄티우스 2세를 묘사한 케르치의 미소리움. 그는 승리에 앞서 경호원(Hermitage Museum)과 동행합니다.

그 사이 율리우스는 로마 갈리아를 다시 침공한 알라만니를 상대로 몇 차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런데 콘스탄티우스가 율리우스 군대에 동쪽 전투를 위해 지원군을 요청하자 갈리아 군단이 반란을 일으켜 율리우스 아우구스투스를 선포했습니다.[86][87][88][89]

콘스탄티우스는 당장의 사산왕조의 위협 때문에 율리우스가 아우구스투스의 지위를 사임하고 카이사르의 지위에 만족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사절단을 파견하는 것 외에는 사촌의 찬탈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습니다. 361년경 콘스탄티우스는 무력으로 침략자를 상대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여겼지만, 사산왕조의 위협은 여전했습니다. 콘스탄티우스는 이미 361년 초에 아드 티그리스의 요새를 재탈환하려다 실패한 상태였습니다.[90] 얼마 후 그는 안티오키아로 철수하여 다시 집결하여 샤푸르 2세와의 대결을 준비했습니다.[91] 그러나 전년도의 캠페인은 사산파에게 큰 손실을 입혔으며, 그 해에 또 다른 캠페인을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이 일시적인 적대 행위는 콘스탄티우스가 율리우스와 대면하는 것으로 관심을 돌릴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92]

죽음.

콘스탄티우스는 즉시 병력을 모아 서쪽으로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킬리키아의 모프수에스티아에 도착했을 때, 그는 치명적인 병에 걸려 율리우스와 대면하기 위해 살아남지 못할 것이 분명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콘스탄티우스는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깨닫고 안티오키아반아리아 주교 에우조이우스에게 세례를 받고 율리우스가 그의 올바른 후계자임을 선언했다고 합니다.[92][b] 콘스탄티우스 2세는 361년 11월 3일 열병으로 사망했습니다.[97]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마찬가지로, 그는 10세기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에 의해 데 세레모니우스에 의해 묘사된 석관에 성 사도 교회에 묻혔습니다.[98]

결혼과 자녀

2013년[99] 콜로세움 전시회에서 추정되는 콘스탄티우스 2세의 흉상

콘스탄티우스 2세는 세 번 결혼했습니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그의 이복 삼촌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에게 첫 번째. 그녀는 갈루스의 완전한 여동생이었고 율리안의 이복 여동생이었습니다. 그녀는 352/3년경에 죽었습니다.[100]

둘째, 353년 콘스탄티우스가 마그넨티우스에게 패배하기 전에 결혼한 테살로니카 도시 출신의 마케도니아 출신 여성 에우세비아. 그녀는 360년에 죽었습니다.[101]

셋째이자 마지막으로 360년 콘스탄티우스의 하나뿐인 딸 콘스탄티우스를 낳은 파우스티나에게 훗날 그라티우스 황제와 결혼한 사후의 딸 콘스탄티우스가 됩니다.[102]

가계도


콘스탄티우스 2세 가문

황제들은 그들의 날짜가 아우구스티로 표시된 둥근 모서리의 테두리로 표시되며, 양쪽 부분에 테두리가 두꺼운 이름이 나타납니다.

1: 콘스탄틴의 부모와 이복형제들

헬레나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 콘스탄틴 1세
  • 306–337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한니발리아누스플라비아 줄리아 콘스탄티아아나스타샤바시아누스
갈라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바실리나리시니우스 2세유트로피아비리우스 네포티아누스
한니발리아누스콘스탄티나콘스탄티우스 갈루스
헬레나네포티아누스


2: 콘스탄틴의 아이들

미네르비나
  • 콘스탄틴 1세
  • 306–337
파우스타
크리스퍼스
한니발리아누스콘스탄티나콘스탄티우스 갈루스
파우스티나
  • 콘스탄티우스 2세
  • 337–361
헬레나
콘스탄티아

명성.

DiMaio and Frakes에 따르면, "…콘스탄티우스는 자신의 행동 때문에 그리고 자신의 통치 기간에 대한 주요 출처의 저자들의 관심 때문에 현대 역사가가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103] A. H. M. Jones는 "양심적인 황제이지만 허영심이 강하고 우둔한 사람으로 암미아누스의 지면에 등장한다"고 썼습니다. 그는 소심하고 의심이 많았고, 관심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쉽게 그의 두려움을 놀릴 수 있었습니다."[104] 하지만 켄트와 M. 그리고 A. 히르머는 황제가 "교회적이든 시민적이든 동정적이지 않은 작가들의 손에 의해 고통을 받았다"고 제안했습니다. 정통적인 교회 신자들에게 그는 아리아 이단의 열렬한 지지자였고, 사도 율리우스와 그 후에 그의 역할을 맡은 많은 이들에게 그는 살인자였고 폭군이었고 통치자로서 서투른 사람이었습니다." 그들은 "대부분의 동시대 사람들은 사실 그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이며, 그는 확실히 그의 형이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충성심을 고취시켰다"고 덧붙였습니다.[105]

에우트로피우스는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106]

그는 놀라울 정도로 평온한 성품을 지녔고, 성품이 좋았으며, 친구들과 궁정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믿었으며, 마침내는 아내들의 힘에 너무 많은 것을 믿었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치세가 시작될 때 매우 절제된 태도로 자신을 행했습니다. 그는 친구들을 부유하게 만들었고, 자신이 경험한 적극적인 봉사가 보상받지 못하는 것을 겪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정부에 대한 어떤 의심도 그의 안에서 흥분될 때마다 다소 엄격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온화했습니다. 그의 재산은 외국전쟁보다 민사상으로 더 칭송을 받아야 합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354년경, 콘스탄티우스에게 책임이 있다는 믿음이 너무 널리 퍼져서, 그의 궁정들은 그의 관여를 부인하는 것을 멈추고, 대신 그가 학살에 대한 죄책감으로 괴로워했다고 주장했습니다.[14][20]
  2. ^ 암미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가 율리우스를 정당화한 것을 소문으로만 기록했습니다. Hunt와 Matthews는 이 보고서를 조심스럽게 다루었지만,[93][94] Kelly는 이 행위가 내전을 방지하고 아내의 태어나지 않은 아이뿐만 아니라 사후에 자신의 명성을 보호하는 것을 관찰하면서 그것이 사실이라고 생각했습니다.[95] 에링턴도 이를 사실로 받아들였고, 이를 국가주의와 왕조적 연대의 표시로 여겼습니다.[96]

참고문헌

  1. ^ Koçak, Mustafa; Kreikenbom, Detlev (2022). Sculptures from Roman Syria II: The Greek, Roman and Byzantine Marble Statuary. Walter de Gruyter. pp. 213–215. ISBN 978-3-11-071152-3.
  2. ^ '상'. 펜 박물관
  3. ^ CIL 06, 40776 = AE 1934, 00158 = AE 1950, 00174 = AE 1951, 00102 = AE 1982, 00011
  4. ^ Whitehouse, David (1940). Roman Glass in the Corning Museum of Glass. Hudson Hills. p. 29. ISBN 9780872901391.
  5. ^ 존스, 마틴데일 & 모리스, 226쪽.
  6. ^ a b 도전, 그레이트렉스 & 레이우, 152-153쪽.
  7. ^ 줄리안, 오라녜스 1세, 13B
  8. ^ Festus, breviarum 27, p. 67, 2–3
  9.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18세, 9, 1
  10. ^ 콘스탄초 2세오 콘스탄테. 카피톨리니 미술관
  11. ^ 크로니콘 파스칼레 페이지 533, 5-17
  12. ^ 줄리안 아니면. I, 18D-19A (14.16–22, pp. 31–2, Bidez)
  13. ^ 버지스 2008, 10페이지
  14. ^ a b c 율리안, "아테네의 원로원과 사람들에게 보내는 편지", 270. 위키소스에서 아테네 원로원과 국민에게 보내는 편지 전문
  15. ^ 버지스 2008, 25쪽
  16. ^ a b c 에우트로피우스, 히스토리애 로마네 브레비아리움 X.9
  17. ^ 줄리안, "아테네의 원로원과 사람들에게 보내는 편지", 271. 위키소스에서 아테네 원로원과 국민에게 보내는 편지 전문
  18. ^ DiMaio 1992, 페이지 165.
  19. ^ 버지스 2008, 26-27쪽.
  20. ^ 버지스 2008, 16-17쪽.
  21. ^ Odahl 2004, p. 275.
  22. ^ 조시무스, 새로운 역사 II.57
  23. ^ a b 시어도어트, 히스토리아 에클레시아스티카 2세, 30, 1–14, GCS
  24. ^ 제롬, 크로니콘, s.a. 338 p. 234, 17-18
  25. ^ 테오도르트, 히스토리아 리갈리오사 1세, 11-12, 에드. 캐니벳과 르로이몰링겐, 184–188쪽
  26. ^ a b 페스투스, 브레바륨 XXVII
  27. ^ a b Dingas & Winter 2007, 89쪽.
  28. ^ 테오파네스, 크로니클 AM 5815
  29. ^ 조시무스 신역사 Ⅱ.58~59
  30. ^ a b 조시무스, 새로운 역사 II.60
  31. ^ 조시무스, 새로운 역사 II.59
  32. ^ 조나라, 역사서 XIII.8.5-13
  33. ^ 사도 줄리안, 시저스 XLII.9–10
  34. ^ 조시무스, 새로운 역사 II.46.2
  35. ^ 에우트로피우스, 로마사 X.12
  36. ^ a b Potter 2004, p. 474.
  37. ^ 에우트로피우스, 역사 로마네 브레비아리움 X.12
  38.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Res Gestae 14.1.10
  39.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XIV.10.16
  40.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14세.11.3–5
  41. ^ a b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XIV.11.6
  42.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14세.11.11-12
  43.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XIV.11.19
  44. ^ a b "Banchich, T.M., 'DIR-Gallus' from De Imperatoribus Roman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08. Retrieved 2 March 2009.
  45.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XIV.11.20
  46.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XIV.11.22
  47.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XIV.11.23
  48. ^ 조나라스, 역사서 XIII.9.20
  49. ^ 리바니우스, 오리온스 XVIII.152
  50. ^ 필로스토르기우스, 히스토리아 에클레시아스타 4.1
  51. ^ "Belt Section with Medallions of Constantius II and Faustina". The Walters Art Museum.
  52. ^ Kirsch, J. (2004) 신들에 대항하는 신, pp.200-1, 바이킹 컴퍼스
  53. ^ The Codex Theodosianus On Religion, 16.10.2
  54. ^ 테오도시아 법전 16.10.6
  55. ^ ""The Codex Theodosianus On Religion", XVI.x.4, 4 CE".
  56. ^ a b "교회의 역사", 필립 휴즈, 쉬드 & 워드, 1949년 개정, vol I 6.[1] 2018년 12월 23일 웨이백 머신보관
  57. ^ 셰리단, J.J. (1966) 빅터 제단 이교도의 마지막 전투. L'Antiquite Classique 35 : 186-187.
  58.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22.4.3
  59. ^ 소조멘 기독교사 3.18
  60. ^ 테오도시아 법전 16.10.3
  61. ^ 테오도시아 법전 9.17.2
  62.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게슈타에 9.10, 19.12 인용 요약: 암미아누스는 알렉산드리아와 로마에서 공공연하게 벌어지는 파간의 희생과 예배에 대해 설명합니다. 354년 로마력은 여전히 공개적으로 지켜지고 있는 것처럼 많은 이교도 축제들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다음 작품에서 파간 예배에 대한 설명도 참조하십시오. 피르미치우스 마테르누스 데 에로레 프로파노룸 리갈리움; 베투스 오르비스 디스크립티오 그레치 스크립토리스 서브 콘스탄티오.
  63. ^ 보더, D. (1978) 콘스탄틴과 줄리안의 시대
  64. ^ 바실리예프 1958, 68쪽.
  65. ^ Salzman 2002, p. 182.
  66. ^ a b 존스 1964, 118쪽
  67. ^ Pelikan, J.J., The Christian Tradition (1989), pp. 209–10
  68. ^ Gaddis 2005, 페이지 92.
  69. ^ a b Schäfer 2003, 페이지 180-181.
  70. ^ a b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16.9.2
  71. ^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16.8.7
  72.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이 XV.8.17
  73.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15.8.5–16
  74. ^ a b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스 게슈타에 XV.8.18
  75.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16세.12
  76.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VII.5.3–8
  77. ^ Zonaras, 역사 발췌 XII.9.25-7
  78.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VII.5.9–14
  79. ^ Zonaras, 역사 발췌 XII.9.28-9
  80. ^ 리바니우스, 331화
  81.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VII.14.1-3 & XVIII.6.17-8
  82. ^ 은아피우스, 소피스트들의 삶 VI. 5.1-10
  83.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X.6
  84.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IX
  85.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X.7.1–16
  86. ^ 사도 율리우스, 원로원과 아테네 사람들에게 보내는 편지, X.12-17
  87. ^ 리바니우스, 오리온스 XII.58 & XVIII.90-1
  88. ^ 에우트로피우스, 역사 로마네 브레비아리움 X.15.1
  89.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X.4.1–2
  90.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XX.11.6-25
  91. ^ Ammianus Marcellinus, Res Gestae XXI.7.7 & 13.1–5
  92. ^ a b Vagi 2001, 508쪽.
  93. ^ 헌트, 데이비드 (1998), "줄리안", 캠브리지 고대사, vol. 13: 후기 제국 AD 337–425, 캠브리지: University Press p.60
  94. ^ 매튜스, J. (1989) 암미아누스의 로마 제국.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101쪽
  95. ^ 켈리, 개빈(2013). "AD 375–376의 정치적 위기" (PDF). Chiron p. 357
  96. ^ Errington, R. Malcolm (2006). 율리우스에서 테오도시우스까지의 로마 제국 정책.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출판부 18페이지
  97. ^ Ammianus Marcellinus, Res Gestae 21.15.2의 원고는 10월 5일에 해당하는 tertium nonarum Octobrium을 읽습니다. Res Gestae의 최신 편집자는 11월 3일에 해당하는 오토 시크의 개정판 노나룸 노벨리움을 받아들입니다. T.D. Barnes(고전문헌학, 88[1993], 페이지 64f)는 11월 3일이 더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간접적인 증거를 제공합니다.
  98. ^ Vasiliev, A. A. (1948). "Imperial Porphyry Sarcophagi in Constantinople" (PDF). Dumbarton Oaks Papers. 4: 1+3–26. doi:10.2307/1291047. JSTOR 129104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9.
  99. ^ http://laststatues.classics.ox.ac.uk , LSA-1065 (J. Lenaghan)
  100. ^ Banchich, Thomas M. "Gallus Caesar (15 March 351 - 354 A.D.)". De Imperatoribus Roman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08. Retrieved 7 September 2018.
  101. ^ Juneau, J. (December 1999). "Piety and Politics: Eusebia and Constantius at Court". The Classical Quarterly. New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2): 641–644. doi:10.1093/cq/49.2.641-a. JSTOR 639898.
  102. ^ Marcellinus, Ammianus (1940). The Roman History of Ammianus Marcellinus. Loeb Classical Library. Vol. 2, Book 21, chapter 15. Translated by Rolfe, J. C. Harva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11 April 2011.
  103. ^ 마이클 디마이오 주니어와 로버트 프레이크스, 콘스탄티우스 2세 (337년-361년)
  104. ^ 존스 1964, 116쪽
  105. ^ Kent, J.P.C., Hirmer, M. & Hirmer, A. Roman Coines (1978), p. 54
  106. ^ 에우트로피우스, 역사 로마네 브레비아리움 X.15

원천

고대 사료

  •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 레제스타.
    • 영, 찰스 듀크, 트랜스. 로마의 역사. 런던: 본, 1862년. 테르툴리안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Rolfe, J.C., trans. 히스토리. 3권. 로베드. 런던: 하이네만, 1939-52. Lacus Curtius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해밀턴, 월터, 트랜스. 후기 로마 제국 (AD 354–378). 하몬즈워스: 펭귄, 1986. [요약판]
  •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 페스탈 인덱스.
      • 앳킨슨, M. 그리고 아치볼드 로버트슨, 트랜스. Festal Letters.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4.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에서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비망록(Encyclica). 여름 339.
      • 앳킨슨, M. 그리고 아치볼드 로버트슨, 트랜스. 백과사전적인 편지.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4.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New Advent and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에서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사과 콘트라 아리아노스(아리아인에 대한 방어). 349.
      • 앳킨슨, M. 그리고 아치볼드 로버트슨, 트랜스. 사과 콘트라 아리아노스.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4.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4일 접속.
    • 프로스페리아 애드 콘스탄티움 (콘스탄티우스 앞의 방어). 353.
      • 앳킨슨, M. 그리고 아치볼드 로버트슨, 트랜스. 사과문과 콘스탄티움.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4.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4일 접속.
    • 히스토리아 아리아노룸 (아리아인의 역사). 357.
      • 앳킨슨, M. 그리고 아치볼드 로버트슨, 트랜스. 히스토리아 아리아노룸(Historia Arianorum).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4.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4일 접속.
    • 드 시노드리스 (아르미니움과 셀레우키아 공의회에 관하여). 가을 359.
      • 뉴먼, 존 헨리, 아치볼드 로버트슨, 트랜스. 드 시노드리스.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4.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히스토리아 에이스팔라. 368 – c. 420.
      • 로버트슨, 아치볼드, 트랜스. 히스토리아 에이스팔라.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4.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New Advent and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에서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크로니카 미노라 1, 2.
    • 엄마, T., 에드. 크로니카 미노라새크. IV, V, VI, VII 1, 2 (라틴어). 모뉴멘타 게르마니아 히스토리아, 옥토레스 안티퀴시미 9, 11. 1892년 베를린, 1894년 에서 온라인 접속. 2009년 8월 25일.
  • 코덱스 테오도시아누스.
    • 맘센, T. 그리고 폴 M. 마이어, eds. 테오도시아니 리브리 16세 cum 헌법 버스 시르몬디아니스 에트 레제스 노벨라에 아드 테오도시아눔 관련2 (라틴어로). 베를린: Weidmann, [1905] 1954. Nicholas Palmer, 1984년 Oxford Text Archive를 위해 Tony Honoré에 의해 수정됨. R.W.B. Salway, 1999년 온라인 사용을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서문, 1~8권. University College LondonUniversity of Grenoble에서 온라인으로 2010년 6월 18일 Wayback Machine보관되었습니다. 2009년 8월 25일 접속.
    • 알 수 없는 판 (라틴어). AncientRome.ru 에서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코덱스 유스티니아누스.
    • 스콧, 새뮤얼 P., 트랜스. 유스티니아누스 강령, 민법 17권 1932. 헌법학회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4일 접속.
  • 시리아인 에브라임. 카르미나 니시베나 (니시비스의 노래).
    • Stopford, J.T. Sarsfield, 트랜스. 니시베네 찬송가.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13.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0.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6일 접속.
    • 비켈, 구스타프, 트랜스. S. Ephraemi Syri Carmina Nisibena: additis prolegomenis et supplementol to lexicorum Syriacorum (라틴어로). 리페츠크: 브록하우스, 1866년 Google Books에서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전형적인 드 시저버스.
    • 밴치치, 토마스 M., 트랜스. 제국주의자들의 삶의 양식과 예절에 관한 소책자 카니시우스 칼리지 번역문 1. 버팔로, 뉴욕: 카니시우스 칼리지, 2009. De Imperatoribus Roman의 온라인은 2020년 11월 8일 웨이백 머신보관됩니다. 2009년 8월 15일 접속.
  • 은아피우스. 소피스트들의 삶.
  • 카이사르의 에우세비우스.
    • 오라티오 라우디버스 콘스탄티니 (콘스탄티누스를 찬양하는 성가, 때로는 삼년마다의 성가).
      • 리처드슨, 어니스트 쿠싱, 트랜스. 콘스탄틴을 찬양하는 연설. Nicene과 Post-Nicene Fathers로부터, 두 번째 시리즈, Vol. 1. Philip Schaff와 Henry Wace 편집.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0.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6일 접속.
    • 비타 콘스탄티니 (콘스탄틴의 삶).
      • 리처드슨, 어니스트 쿠싱, 트랜스. 콘스탄틴의 삶. Nicene과 Post-Nicene Fathers로부터, 두 번째 시리즈, Vol. 1. Philip Schaff와 Henry Wace 편집.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0.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25일 접속.
  • 유트로피우스. 히스토리애 로마네 브레비아리움.
    • 왓슨, 존 셀비, 트랜스. 로마 역사의 요약. 런던: 조지 벨 & 선즈, 1886년 Roger Pearse가 Tertulian을 위해 수정 및 편집, 2003. 테르툴리안에서 온라인으로. 2010년 6월 11일 접속.
  • 페스투스. 브레비아리움.
    • Banchich, Thomas M. 그리고 Jennifer A. 메카, 트랜스. 로마인의 업적에 대한 브레비아리움. 카니시우스 칼리지 번역본 2. 버팔로, 뉴욕: 카니시우스 칼리지, 2001. 온라인은 De Emperatoribus Romani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9년 8월 15일 접속.
  • 페르미쿠스 마테르누스. 데레 프로파나룸 리갈륨(불경한 종교의 오류에 대해).
    • 발루지와 리갈티, 에드. 디비 æ실리 키프리아니, 카르타고넨시스 에피스코피, 오페라 옴니아; 접근 J. 피르미치 마테르니, 비리 클라리시미, 데 에로레 프로파나룸 리갈리움(라틴어). 파리: 고티에 형제와 도서 판매자 협회, 1836. Google Books에서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푸아티에의 힐러리. Ad Constantium (콘스탄티우스에게).
    • Feder, Alfred Leonhard, Ed. S. Hillarii 에피스코피 Pictaviensis Tractatus mysteriorum. Antiariana Parisina (fragmenta historica) cum appendice (liber I Ad Constantium)를 수집합니다. Liberad Constantium imperatoreem (Liber II ad Constantium). 혜니 씨. 미노라 조각. 스푸리아(라틴어). 코퍼스 스크립트룸 에클레시아스티컬룸 라티노룸, 제65권. 비엔나: 1916년 템프스키
  • 여행기 알렉산드리(알렉산더의 일기).
    • 마이, 안젤로, 에드. 콘스탄티누스 M, 알렉산드리아드 콘스탄티움 아우구스툼의 여행기. 필륨(라틴어). Regiis Typis, 1818. Google Books에서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데이비스, 이올로, 트랜스. 알렉산더의 여정. 2009. DocStoc에서[dead link] 온라인. 2009년 8월 15일 접속.
  • 제롬.
    • 크로니콘(크로니클).
      • 피어스, 로저 외, 트랜스. 성 크로니클 제롬, 초기 교회의 아버지들: 추가적인 텍스트. Tertulian, 2005. 테르툴리안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4일 접속.
    • 드 비리스 일러스트리부스(일출한 남자).
      • 리처드슨, 어니스트 쿠싱, 트랜스. 드 비리스 일러스트리부스(일출한 남자). Nicene과 Post-Nicene Fathers로부터, 두 번째 시리즈, Vol. 3. Philip Schaff와 Henry Wace 편집.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줄리안.
    • 라이트, 윌머 동굴, 트랜스. 줄리안 황제의 작품. 3볼. 로베드. 런던: 하이네만, 1913년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온라인: Vol. 1, 2, 3.
  • 리바니우스. 성가 59(Oratio 59).
    • M.H. Dodgeon, 트랜스. 콘스탄티누스의 아들들: 리바니우스 오어. LIX. 콘스탄틴에서 율리안까지: 파간과 비잔틴의 견해, S.N.C. 레이우와 도미닉 몬세라트 편집, 164–205. 런던: 루틀리지, 1996. ISBN 0-415-09336-8
  • Origo Constantini Imperatoris.
    • Rolfe, J.C., trans. 발췌 발레시아나, 롤페의 암미아누스 마르첼리누스의 역사 번역 3권. 로베드. 런던: 하이네만, 1952년. Lacus Curtius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6일 접속.
  • 파피리 아비네우스.
    • 아비네우스 아카이브: 콘스탄티우스 2세 치세의 로마 장교의 논문(그리스어). 다큐멘터리 파피리의 듀크 데이터 뱅크. 페르세우스듀크 데이터 뱅크에서[dead link]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파피리 로랑티우스.
  • 필로스토르기우스. 히스토리아 에클레시아티카.
    • 월포드, 에드워드, 트랜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우스에 의해 편찬된 필로스토르기우스 교회사의 전형. 런던: 헨리 G. 본, 1855. 테르툴리안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소크라테스. 히스토리아 에클레시아티카(Historia Ecclesiastica, 교회의 역사).
    • 제노스, AC, 트랜스. 기독교 역사. Nicene과 Post-Nicene Fathers로부터, 두 번째 시리즈, Vol. 2. Philip Schaff와 Henry Wace 편집.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0.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4일 접속.
  • 소조멘. 히스토리아 에클레시아티카(Historia Ecclesiastica, 교회의 역사).
    • 하트랜프트, 체스터 D. 기독교 역사. Nicene과 Post-Nicene Fathers로부터, 두 번째 시리즈, Vol. 2. Philip Schaff와 Henry Wace 편집.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0.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술피키우스 세베루스. 신성한 역사.
    • 로버츠, 알렉산더, 트랜스. 신성한 역사. Nicene과 Post-Nicene Fathers, 두 번째 시리즈, Vol. 11. 필립 샤프와 헨리 웨스가 편집했습니다.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4.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4일 접속.
  • 시어도어트. 히스토리아 에클레시아티카(Historia Ecclesiastica, 교회의 역사).
    • 잭슨, 블롬필드, 트랜스. 기독교 역사. Nicene과 Post-Nicene Fathers로부터, 두 번째 시리즈, Vol. 3. Philip Schaff와 Henry Wace 편집.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2. Kevin Knight의 New Advent를 위해 수정 및 편집. 뉴 어드벤쳐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 테미스티우스. 성가극(Oritiones).
  • 테오파네스. 크로니클.
  • 조나라스. 히스토리 추출물.
  • 조시무스. 히스토리아 노바(새로운 역사).
    • 알 수 없는 트랜스입니다. 조시무스 백작의 역사. 런던: 그린 앤 챔플린, 1814. 테르툴리안에서 온라인으로. 2009년 8월 15일 접속. [불만족판.]
    • 알 수 없는 트랜스입니다. Histoire Nouvelle and ΖΩΣΙΜΟΥ ΚΟΜΙΤΟΣ ΚΑΙ ΑΠΟΦΙΣΚΟΣΥΝΗΓΟΡΟΥ (in French and Greek). 2009년 12월 1일 Wayback Machine보관가톨릭 루뱅 대학의 온라인. 2009년 11월 16일 접속.

현대적 출처

외부 링크

콘스탄티우스 2세
출생: 317년 8월 7일 사망: 361년 11월 3일
정규 제목
앞에 로마 황제
337–361
With: 콘스탄티누스 2세서부콘스탄스
성공자
정무관실
앞에 로마 집정관
326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와 함께
성공자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앞에
우르수스
폴레미우스
로마 집정관 2세
339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와 함께
성공자
앞에 로마 집정관 3세
342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2세와 함께
성공자
앞에 로마 집정관 4세
346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3세와 함께
성공자
앞에 로마 집정관 V–VII
352–354
콘스탄티우스 시저와 함께
성공자
앞에 로마 집정관 8세-9세
356–357
줄리안 시저와 함께
성공자
앞에 로마 집정관 X
360
줄리안 시저와 함께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