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티우스

Thestius

그리스 신화에서 테스티우스(/ˈθstʃs, ˈθstiəs/; 고대 그리스어: θέστοςς)는 아에톨리아에 있는 플레우로니아인의 왕이었다.[1]그는 때때로"테스티우스"[2]라고 일컬어지는 테스피우스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후견인 "테스티아스"는 그의 딸 중 하나인 레다 또는 알타에아,[3] 아들 이피클루스를 "테스티아데스"로 지칭할 수도 있다.[4]

가족

테스티우스는 데마니스나[5] 피시디체에게 의한 아레스[6]에피카스타에 의한 아그노르(플레론의 아들)[7]의 아들이었다.그는 에벤투스, 필루스, 몰루스, 또는 대신 데몬리스포르테온의 형제였다.테스티우스는 르우시페나[8] 에우리테미스에 의해 이피클루스의 아버지였으며, 클레오보에아의 딸로, 알테아, 에비푸스, 하이퍼메스트라, 레다, 플렉시푸스의 어머니였다.[9]다른 출처에서는 이피클루스의 어머니인 알테아, 레다의 어머니인 라오폰테(Laophonte)는 플레우론[10] 딸이거나 페리에레스의 딸인 디다메아(Deidaemia)로 명명되었다.[11]테스티우스의 다른 아들들은 혜성프로투스, 톡스테우스,[12] 아프아레스[13] 칼리돈이다.[6]

테스티우스의 가족 비교표
관계 이름 원천
앨크먼 푸레시데스 박치. 아폴론에 관한 슈. 오비드 아폴로드. 플루트 히그. 빠우.
상위 항목 아레스와 데몬리스
아레스 피시디스
아게노르
아내 데이다메아 ✓ 또는
라오폰테
에우리테미스
루시페 [14]
아이들. 이피클루스
아프아레스
알타이아
레다
톡스테우스
플렉시푸스
에우리필루스
에비푸스
하이퍼멘에스트라
칼리돈
프로투스
혜성

신화

테스티우스는 틴다레우스이카리우스와 연합하여 히포쿤에 대항하였다.[15]스트라보에 의하면, 틴다레우스와 그의 동생 이카리우스가 히포코엥에게 본국에서 추방당한 후, 플레우로니 왕 테스티우스에게 갔다고 한다.왕은 두 형제가 아슐로위 족의 몫을 받는 조건으로 아슐로위 족 저편에 있는 나라의 대부분을 소유할 수 있도록 도왔다.그러나 틴다레우스는 테스티우스의 딸 레다와 결혼하여 집으로 돌아갔으며, 이카리우스는 아카나니아의 일부를 지키며 버텼고, 리게우스의 딸 폴리카스테에 의해 페넬로페와 그녀의 형제 둘 다에게 빌었다.[16]

플루타르크가 신화를 변형한 희귀한 변종에서, 이전에 아에톨리아에 있는 아켈루스 강은 테스티우스의 이름을 따서 불렸다.어느 정도 가정적인 불만을 품고 한동안 거주하던 시시온까지 여행했던 이 테스티우스는 고향으로 돌아왔다.하지만 거기서 그의 아들 칼리돈과 그의 어머니를 찾았다.피시디체] 두 사람 다 함께 침대에 누워서, 그가 간음자라고 믿고, 실수로 자기 자식을 슬그머니 낳는다.그러나 그가 저지른 불행하고 뜻밖의 사실을 확인하고는 악세노스 강에 몸을 던졌는데, 이때부터 그 강물은 이후 테스티우스라고 불리게 되었다.[6]

메모들

  1. ^ Aeschylus, Libation Bearerrers 602; Strabo, Geralica 10.2.24
  2. ^ Pausanias, Graeciae Descriptionio 9.27.7
  3. ^ 이실러스, 리브레이션-베어러스 606; 울리스유로피데스, 이피게니아 49
  4. ^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 아르고노우티카 1.261
  5. ^ 아폴로도로스, 1.7.7
  6. ^ a b c 의사-플뤼타르크, 데 플루비이스 22.1
  7. ^ Pausanias, Graeciae Descriptionio 3.13.8
  8. ^ 히기누스, 파불래 14
  9. ^ 아폴로도로스, 1.7.10
  10. ^ 아르곤아우티카 1.146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의 스콜리아스트에서 인용된 15세 알크만.
  11. ^ 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의 스콜리아, 아르곤노우티카 201
  12. ^ 우리는 테스티우스의 아들인 토르세우스와 알타이아와 오이네우스의 아들인 토르세우스로도 불렸던 조카로부터 테스티우스의 아들 토르세우스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3. ^ 바킬리드, 에피니션 오데스 125 ff
  14. ^ 레다와 하이퍼멘에스트라의 어머니도 이 글에서 레우시페 외에 테스티우스의 아내로 언급된 여자가 없었기 때문에 르우시페일 수도 있다.
  15. ^ 아폴로도로스, 3.10.5
  16. ^ 스트라보, 지리차 10.2.2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