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켄달

Thomas Kendall
토머스 켄달
The Rev Thomas Kendall and the Maori chiefs Hongi and Waikato, oil on canvas by James Barry,.jpg
치프 홍이 히카(센트리)와 와이카토는 켄달과 만난다.
태어난(1778-12-13)13 1778년 12월
죽은1832년 8월 6일(1832-08-06) (53)
뉴사우스웨일스 시드니 앞바다에서 커터 브리즈번이 전손으로 침몰한 순간
국적영국의
직업선교사

토마스 켄달(Thomas Kendall, 1778년 12월 13일 ~ 1832년 8월 6일)은 뉴질랜드 선교사, 마오리어의 녹음자, 학교장, 무기상, 파케하 마오리였다.

초기 생활: 링컨셔와 런던, 1778–1813

농부 에드워드 켄달과 수잔나 서플릿의 작은 아들 토마스 켄달은 1778년에 태어났다. 그는 영국 링컨셔 주 노스 토레스비에서 자랐고, 영국 성공회 내의 지역 목사 윌리엄 마이어스와 복음주의 부활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초기 경력 연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10대 때 그는 마이어스와 함께 북소머코테스로 이사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조교장이었고 마이어스의 15에이커(6.1 ha) 농장을 운영하는 것을 도왔다. 켄달은 또한 임밍엄에서 한 신사의 자녀들을 지도했고 그곳에서 제인 퀵폴을 만났다. 1803년 11월 21일, 그는 그녀와 결혼하여 휘장과 식료품점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이 번창하지 못했다.

1805년 런던에서 홉의 화물을 팔려고 시도하던 중 켄달은 메리본의 벤틴크 채플을 방문했다. 바질 우드와 윌리엄 만에 대한 설교는 그의 관점을 바꾸었다. 그는 사업을 매각하고 가족을 런던에 살게 하여 그 교회의 신도들과 함께 교장으로 취직하였다. 1808년 그는 선교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교회선교회

당시 성공회 선교회는 식민지 서기 등 여러 정치적 연줄이 있는 강력한 조직이었다. 그것은 최근 영국 문화와 종교의 혜택을 원주민들에게 가져다 주겠다는 생각, 그리고 무역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남성들이 신학자들이 아닌 원주민들에게 환영받기를 바라는 희망과 함께 실용적인 기술을 가진 평신도 전도사를 새로운 선교에 보내는 실험적인 정책을 채택했었다.

150년 이상 전에 네덜란드 선원 아벨 태즈먼과 그의 선원들은 뉴질랜드를 본 최초의 유럽인이 되었고, 40년 전에는 제임스 쿡 선장이 해안 지도를 만들었다. 그러나 마오리족과의 광범위한 유럽 접촉은 지난 10년 동안 시작되었을 뿐이다. 이것은 주로 해안 기지에서 활동하는 고래잡이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몇몇 무역상들은 섬의 자연 항구에 있는 코로라레카에 작은 정착지를 형성했다. 이것은 마오리족들 사이에서 매춘과 알코올 중독을 조장하고 납치나 압력을 가한 혐의로 기소된 선원들이 술 취한 무법과 부패로 명성을 얻었다. 이에 대한 어느 정도 진리가 있는 동안, 선원들은 마오리에게 위협을 가할 처지가 못 되었고, 대체로 이들 무술인들의 은혜로 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선교회에 관한 한 그들은 개종해야 할 이교도의 영혼이었다.

뉴질랜드로의 선교는 뉴사우스웨일스의 교회선교협회 요원인 새뮤얼 마스덴에 의해 추진되었다. 1809년 켄달은 윌리엄 홀과 존 킹과 함께 임무를 수행하도록 선택되었다.

뉴질랜드 첫 여행, 1813-14

Kendall과 그의 가족은 약간의 지연과 자금 모금을 마치고 1813년 5월 시드니로 떠났다. 호주에서 더 지연된 후, 켄달과 홀은 마스덴의 선박인 액티브호를 타고 1814년 3월 14일 섬만으로 탐험 여행을 떠났다. 그들은 루아타라비롯한 랑가티라를 만났고, 마오리전에 사총의 도입을 개척하는 데 일조했던 훙기 히카도 만났다. Hongi Hika와 Ruatara는 Kendall이 8월 22일 호주로 돌아왔을 때 Kendall과 함께 여행했다.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 라클란 맥쿼리는 11월에 이 임무의 창설을 허가했고 1814년 11월 9일의 명령에 의해 켄달 주지사를 치안 판사로 임명했다. 그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영국과 그 식민지에 속한 어떤 선박이나 선박의 주인도 뉴질랜드의 베이즈나 하부르에 있는 자신의 선박이나 선박에 탑승한 선원이나 선원, 또는 다른 사람을 처음으로 플래카드 최고 책임자 또는 최고 책임자의 허가를 받지 않고 상륙시키거나 배출해서는 안 된다.e,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통령 훈장으로부터 확인됨."[1] 이 지사는 또 토머스 켄달 치안판사가 주재하는 문서로 "뉴질랜드나 섬만에서 선박의 주인이나 선원, 기타 책임자의 허락 없이 항해할 수 없다"는 포고문을 발표하면서 뉴질랜드에 대한 자신의 권력을 연장할 것으로 추정했다.

켄달은 뉴질랜드에서 마오리족 언어인 마오리족 언어인 테 레오 마오리어를 배웠고, 뉴질랜드의 첫 번째 책인 A 코라오 no New Zealander의 번째 책(1815).[2] 이것은 마오리족으로 쓰여진 최초의 책이었다.[3]

영국의 승리, 1819-21

켄달은 자신의 작품을 방어하기 위해 1820년 런던으로 무단으로 귀환하여 포경선 뉴에디안데르호를 타고 훙기 히카, 소령인 와이카토와 함께 여행했다.[4] 훙기 히카가 영국 방문을 희망했을 가능성이 있고 그의 시각으로 보면 켄달도 동행하고 있었다. 교회선교회는 이번 여행을 못마땅하게 생각했지만, 히카와 와이카토는 사회적 성공이었다. 켄달은 1820년 11월 12일 엘리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다. 랑가티라와 켄달은 영국에서 5개월을 보냈고, 대부분 케임브리지의 사무엘교수와 함께 일했는데, 그 언어에 대한 켄달의 견해는 정당화되었다(예를 들어 그의 다른 이론들 중 일부가 정당화되지 않았다면, 켄달은 마오리족이 이집트인의 후손이라고 믿었다. 리와 켄달의 A 문법과 뉴질랜드 언어 어휘는 1820년에 출판되었다.[2]

영국에 있는 동안, Hongi Hika는 "뉴질랜드의 왕"으로 조지 왕에게 소개되었다. 그는 울리치 무기고 위로 안내되었고 다른 선물들과 함께 왕의 무기고 한 벌을 받았다. 케임브리지 켄달과 홍이는 망명중인 프랑스 모험가 찰스 티에리를 만났고, 홍이는 이들과 함께 섬만에서 3만 에이커의 땅을 사들였다.[5] 켄달, 훙기 히카, 와이카토는 죄수 수송스페크를 타고 뉴사우스웨일즈로 갔다. 웨스트모어랜드(캡틴 포튼)에서 귀환하는 항해를 위해 포트 잭슨(시드니)으로부터 500개의 사향목과 분말, 공, 검, 단검을 끌어올렸다.[6] 그 후 몇 년 동안, 그 총들은 그가 머스킷스 전쟁에서 북섬의 상당 부분을 정복하는 것을 도왔고 그를 상당히 중요한 사람으로 만들었다.[7]

교회선교회 해산

켄달은 1821년 7월에 뉴질랜드로 돌아왔다.[8] 켄달은 다른 정착민들 사이의 지도력을 주장하기 위해 훙기 히카와의 친분을 의지했지만, 그것은 부분적으로 훙기 히카의 전사들을 위한 총기 거래를 지원함으로써 얻은 우정, 즉 켄달 자신이 이득을 취한 무역이었다. 교회선교회는 당연히 반대했지만 켄달은 성공회 선교사가 훙기 히카의 기쁨으로 존재했던 상황의 실용성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느꼈다. 1821년 9월 27일 모든 선교사들은 Kendall이 마오리에게 팔린 것을 지시할 수 없다며 총기 거래를 옹호하는 서한에 서명했다: "그들은 우리에게 명령한다! 야망과 자기이익이 그들 사이에서 우리 안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것은 명백하다."

이 무렵 켄달은 자신의 집에서 하인으로 일하던 학교 학생 중 한 명인 퉁가로아와 정사를 시작했다. 그녀는 라카우의 딸이었고, 유명한 마오리족 투헝가 또는 사제 겸 현인의 딸이었다. 이 사건이 발각되었을 때, 그 부부는 근처의 마오리족 사이에 살면서 도망쳤다. 그러나 1822년 4월쯤에는 관계가 끝나 있었다. 그의 아내 제인은 비록 그가 사과는 하지 않았지만 켄달을 다시 데려갔다. 한 선원은 마오리족 여성과의 관계를 합리화한 것이 "그들의 종교적 의견과 교리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라고 썼다. 켄달은 1822년에서 1824년 사이에 7개의 편지 시리즈로 그가 시작한 탐험인 마오리 종교 신앙에 대해 진지하게 추파를 던지기 시작했다. 1822년에 그는 마오리 영성의 "종속성"이 그를 "거의 기독교에서 이교도로 완전히 변모시켰다"[9]고 썼다.

1821년 9월 27일 서한 결과 교회선교회는 1822년 8월 켄달(Kendall)을 해임했다. 켄달의 불륜과 훙기 히카와의 친분을 알고 있던 사무엘 마스덴은 1823년 8월 뉴질랜드로 돌아와 직접 그를 해고했다. 켄달스의 배 브램튼호[10]떠나가다가 좌초되자 켄달은 신의 개입을 주장하며 남기로 했다. 켄달은 1824년 7월 25일 교회선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과거 '오류'를 고백했다.

칠레와 오스트레일리아, 1825-32년

켄달 가문은 1825년까지 섬만에서 살다가 칠레 발파라이소의 영국 영사관에서 성직자로서의 직책을 수락했다. 이 일은 오래가지 못했고, 그의 가족은 뉴사우스웨일스에 정착했는데, 그는 울라둘라 나로왈리 크릭에 있는 삼나무의 큰 받침대를 포함한 1,280에이커(5.2km2)의 보조금을 받았다. 그의 아들 토마스 서플릿 켄달은 이웃 농장을 인수했다. 그는 "브리스베인"이라는 커터를 샀다.

토마스 켄달은 1832년 '브리스베인'이 자신의 농장에서 시장으로 목재와 치즈를 가져오던 중 시드니에서 온 손으로 침몰하면서 사망했다.

1825년 홍이 히카가 죽고 켄달이 떠난 후 10년 동안 마오리의 기독교로의 와이드스케일 전환이 일어났다. 켄달은 실질적으로 개선된 마오리 문법의 초안을 작성하면서 호주의 마오리족 언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려고 시도했으나, 마스덴은 그 출판을 막았다.

그는 제인 퀵폴에 의해 10명의 자녀를 낳았고, 그 중 8명은 살아남았다.

  • 스자나 (?1804–1881)
  • 엘리자베스 제인 (?1805–1870)
  • 토마스 서플릿 (1807–1883)
  • 바질(1809–1852)
  • 요셉 (1811–1865)
  • 존 (1813–1813)
  • 사무엘 (1816–1827)
  • 존 (1818–1895)
  • 로렌스 (1819–1881)
  • 에드워드(1822–1902)

그의 손자들 중 한 명인 헨리 켄달은 호주의 시인이었다.

전기는 죄책감의 유산이다: 주디스 빈니가 쓴 토마스 켄달의 삶이다.

참조

  1. ^ "The Missionary Register". Early New Zealand Books (ENZB), University of Auckland Library. 1814. p. 480. Retrieved 9 March 2019.
  2. ^ a b 로저스, 로렌스 M, (1973) 테 와이어무: 헨리 윌리엄스의 전기, 페가수스 프레스, 페이지 35, f/n 7 & 39
  3. ^ Warren, Geraldine. "A korao no New Zealand". Auckland Museum. Auckland War Memorial Museum - Tāmaki Paenga Hira. Retrieved 14 June 2017.
  4. ^ "New Zealander". Early shipping in New Zealand waters. Retrieved 10 November 2013.
  5. ^ Raeside, J. D. (1 September 2010). "Thierry, Charles Philippe Hippolyte de – Biography". Dictionary of New Zealand Biography. Retrieved 27 December 2013.
  6. ^ http://www.myancestorsstory.com/shiplist_25.html#westmoreland\ John Dibbs는 세 번째 장교였다.
  7. ^ Moon, Paul (2012). Savage Country. Penguin Auckland. pp. 165–167.
  8. ^ Ballara, Angela. "Te Horeta". Dictionary of New Zealand Biograph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9. ^ Binney, Judith (2005). The Legacy of Guilt: A Life of Thomas Kendall. p. 106. ISBN 1877242330. Retrieved 9 April 2018.
  10. ^ "Brampton". Early shipping in New Zealand waters. Retrieved 10 November 20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