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슨 트윈스

Thompson Twins
톰슨 트윈스
Thompson Twins in 1985, left to right: Joe Leeway, Alannah Currie and Tom Bailey.
1985년 톰슨 트윈스, 좌우: 조 리웨이, 알라나 커리, 톰 베일리.
배경정보
기원.셰필드, 사우스요크셔, 잉글랜드
장르얼터너티브 록 (나중에)
활동년수1977–1993
레이블
분사
기 구성원아래참조

톰슨 트윈스(Thompson Twins)는 1977년 셰필드에서 결성된 영국의 팝 밴드입니다.[3]처음에 새로운 웨이브 그룹이었던 그들은 더 주류적인 팝 사운드로 전환했고 1980년대 초중반 동안 영국, 미국 및 전 세계에서 일련의 히트곡을 기록하며 상당한 인기를 얻었습니다.1993년, 그들은 팝에서 더빙에 영향을 받은 칠아웃으로 음악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그들의 이름을 Babble로 바꿨습니다.그들은 1996년까지 Babble로 계속 활동했고, 그 시점에서 그룹은 영구적으로 해체되었습니다.

밴드의 이름은 에르게의 만화 틴틴모험의 영어 버전에서 두 명의 버벅 형사 톰슨과 톰슨을 기반으로 했습니다.[4]다양한 단계에서 그들은 7명의 멤버를 가지고 있었지만, 1982년부터 1986년까지 3인조로 가장 잘 알려진 라인업이 있었습니다.이 밴드는 제2차 영국 침공 당시 미국에서 유명한 배우가 되었고, 1985년 필라델피아라이브 에이드에서 공연을 하였고, 마돈나와 함께 무대에 섰습니다.[4]

직업

초창기

1977년, 톰 베일리(1954년 1월 18일 웨스트요크셔주 핼리팩스 출생)[5]는 베이스 기타와 보컬, 피트 도드는 기타와 보컬, 존 루그는 기타, 존 포드고르스키는 드럼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1]

아주 적은 돈으로 런던에 도착한 그들은 클래펌의 릴리샬 로드에서 거지로 살았습니다.[citation needed]미래의 톰슨 트윈스 멤버 알라나 커리(Alannah Currie, 1957년 9월 20일 뉴질랜드 오클랜드 출생)는 같은 거리의 또 다른 스쿼트에서 살았고, 이것이 그녀가 베일리를 만나게 된 계기입니다.[citation needed]그 당시 그들의 로디는 존 하데였는데, 그는 같은 집에 살았고, 나중에 그들의 매니저가 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포드고르스키가 북쪽에 머물기로 결정한 후, 이 그룹은 런던 빅토리아의 포인트 스튜디오에서 드럼 연주자들을 위한 오디션을 보았습니다.[citation needed]앤드루 에지는 18개월 동안 드럼을 맡았고, 이후 밴드의 1984년 영국 투어에서 톰슨 트윈스와 함께 공연한 새비지 프로그레스에 합류했습니다.[citation needed]

1980년, 밴드(현재 베일리, 도드, 루그, 드러머 크리스 벨로 구성된)는 자신들의 더티 디스크 레이블에서 첫 번째 싱글 "Squares and Triangles"를 발매했습니다.[citation needed]그 해 말에 후속 싱글 "She's Love with Mystery"가 발매되었습니다.

라인업 변경사항

1982년 톰슨 트윈스.

1981년, 라인업은 베일리, 도드, 루그, 벨 그리고 두 명의 새로운 멤버들이 되었습니다: 콩가와 타악기의 전 밴드 로디 조 리웨이와 색소폰의 제인 쇼터.이 라인업은 1981년 영화 리슨 투 런던(Listen to London)에서 기록된 데뷔 톰슨 트윈스의 스튜디오 앨범 A Product Of...(참여)를 녹음했습니다.[6]몇 년간 밴드와 인연을 맺은 커리는 데뷔 스튜디오 앨범에서 연주와 노래를 했지만 아직 정식 멤버는 아니었습니다.

그들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 이후, 그 밴드의 라인업은 다시 변화했습니다.색소폰 연주자 제인 쇼터가 탈퇴하고 커리(타악기를 연주하기도 했던)로 교체되었고, 소프트 보이즈폴아웃 클럽의 전 멤버였던 베이시스트 매튜 셀리그먼이 합류했습니다.[1] 베일리는 키보드로 바꾸었고, 리웨이는 일부 트랙에서 리드 보컬을 담당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밴드는 아리스타 레코드와 음반 계약을 맺었고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 세트를 발매했습니다.[1]토마스 돌비세트에서 키보드와 라이브 공연을 했는데, 그 당시 베일리는 신디사이저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었기 때문입니다.세트에는 베일리가 부른 싱글 〈In the Name of Love〉가 수록되어 있었습니다.이 곡은 미국에서 댄스 클럽 히트곡 1위가 되었고,[7] 이 곡의 인기를 살리기 위해 미국에서 In the Name of Love (주로 세트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고, A Product Of... (참여)의 다른 두 곡과 함께)라는 제목의 앨범이 발매되었습니다.미국 빌보드 200에 진입했습니다.[7]

트리오

1984년 공연 중인 알라나 커리(왼쪽)와 조 리웨이(오른쪽).

"In the Name of Love"의 성공 이후, 싱글의 다른 사운드를 추구하고 싶었던 베일리, 커리, 리웨이는 '버뮤다 트라이앵글'이라고 부를 계획인 새로운 밴드를 사이드에서 시작하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놀았습니다.[8]"In the Name of Love" (그리고 그들의 부모 스튜디오 앨범 세트)가 영국 음반 차트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때, 이 계획은 포기되었습니다.하지만 동시에 감독 하디는 베일리, 리웨이, 커리에게 1982년 4월 톰슨 트윈스를 3명의 핵심으로 축소할 것을 설득했습니다.[8]이에 따라 밴드의 다른 4명의 멤버들은 밴드가 해체된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그들은 각각 500파운드를 받고 "톰슨 트윈스"라는 이름으로 함께 공연하지 않는 것을 양해하는 대가로 그들의 악기와 장비를 보유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헤어지지 않은 나머지 톰슨 트윈스는 긴 휴가를 가진 3인조로 첫 번째 스튜디오 앨범에 작곡을 결합할 뿐만 아니라 영국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외로 떠나기로 결정했습니다.그들은 처음에 이집트로 갔다가 바하마로 가서 음반 제작자 알렉스 새드킨과 함께 나소컴퍼스 포인트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했습니다.

베일리는 1983년 인터뷰에서 밴드가 3인조로 축소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우리가 밴드를 개혁했을 때, 우리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었습니다.우리는 락앤롤 밴드가 될 생각이 없었고, 기타도 가질 생각이 없었습니다.우리는 넘어가려고 했습니다.루 리드는 라이브 연주를 할 때마다 헤로인 음악으로 돌아갔다고 했어요우리가 원하지 않는 오래된 협회들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오늘날 우리가 느끼는 방식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지금 당장은 기술이 중요하고, 그것이 우리 음악이 반영하려는 것입니다."[9]

국제적 성공

1986년 플로리다 레이크랜드에서 공연한 톰슨 트윈스.

밴드는 1983년 초에 "Lies"와 "Love On Your Side"로 영국 싱글 차트와 미국 빌보드100 차트에 진입했고, 이는 밴드의 첫 영국 톱 10 싱글이 되었습니다.[4][7][10] 후 그들은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Quick Step & Side Kick(미국에서는 간단히 Side Kicks라고 불림)을 발매했는데,[7] 이 앨범은 영국에서 2위로 정점을 찍었고 나중에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습니다."We Are Detective" (또 다른 영국 톱 10 히트곡)와 "Watching" (영국 33위)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4]세 명의 밴드 멤버 모두 작사와 베일리 멜로디를 제공하는 커리와 함께 작곡 작업을 함께 했습니다.게다가 리웨이는 무대 크래프트를, 커리는 뮤직비디오와 이미지를, 베일리는 음악과 프로듀싱을 맡았습니다.[12]1983년 미국에서 열린 폴리스의 콘서트 투어에서 오프닝 무대를 가졌습니다.

3인조로 축소된 각 멤버를 대표하는 로고는 디자이너 Andy Airfix에 의해 만들어졌고 Classic Pop Magazine에 의해 13개의 최고 로고 중 4번째로 선정되었습니다.

"홀드나우"는 1983년 말에 개봉되었습니다.이 곡은 국제적인 차트 성공을 거두었고, 그들의 고향인 영국에서[14] 4위로 정점을 찍었고, 골드 디스크를 얻은 밴드의 가장 큰 판매자가 되었고,[15] 1984년 봄 미국에서 3위에 올라 그들의 가장 큰 미국 히트곡이 되었습니다.[7]

1984년 2월에 발매된 밴드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Into the Gap은 전세계적으로 5백만 장이 팔리며 올해의 가장 큰 판매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그것은 영국[4]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나중에 그곳에서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습니다.이 앨범의 추가 히트 싱글들은 "Doctor!"와 함께 이어졌습니다. 닥터!"(영국 3위)[16]와 "You Take Me Up"(영국 2위, 영국 싱글 차트 최고 순위이자[4] 은메달 디스크 획득).[17]다른 싱글들은 앨범 수록곡인 "Sister of Mercy" (영국 11번)의 새로운 버전과 "The Gap" (영국에서는 발매되지 않았지만)을 포함했습니다.이 밴드는 이 앨범을 지원하기 위해 월드 투어에 나섰고, 이 앨범은 미국 톱 10에 진입하기도 했습니다.

1984년 말 영국에서 발매된 새로운 싱글 "Lay Your Hands on Me"는 영국 싱글 차트에서 13위에 올랐습니다.[4]이후, 밴드는 프로듀서 알렉스 새드킨과 결별하고 파리에서 그들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Here's to Future Days를 직접 제작하기로 결정했습니다.하지만 1985년 3월, 새 싱글 "Roll Over"와 곧 발매될 스튜디오 앨범을 홍보하는 동안 베일리는 런던 호텔 방에서 신경 쇠약으로 쓰러졌습니다.그 후 "Roll Over" 싱글은 마지막 순간에 취소되었고 새 앨범은 연기되었습니다.밴드가 직접 프로듀싱을 하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연기는 그들로 하여금 프로젝트를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고 프로듀서 나일 로저스는 그들과 함께 앨범을 재작업하기 위해 나중에 불려왔습니다.이 음반은 결국 1985년 9월에 발매되어 UK Top 5와 U.S. Top 20에 올랐으나 Into the Gap의 성공에 근접하지는 못했습니다.[7]싱글 'Don't Mess with Doctor Dream'(영국 15위)[4]에 이어 싱글 'King for a Day'(킹 포 어 데이)가 영국에서 22위로 정점을 찍었지만 [4]미국 차트에서는 8위에 올랐습니다.[7]다른 싱글들은 "Lay Your Hands on Me" (미국 6위)[7]의 새로운 미국 버전과 1968년 비틀즈의 히트곡인 "Revolution"의 커버를 포함했는데, 이것은 영국 톱 40에 들지 못했습니다.

앨범이 발매되기 전, 1985년 7월, 톰슨 트윈스는 라이브 에이드의 미국 다리에서 공연을 했고 마돈나와 함께 무대에 올랐습니다.[4]계획된 1985년 여름 영국 투어(그리고 글래스턴베리 페스티벌에서의 헤드라인 출연)는 베일리의 건강 문제(티켓을 소지한 팬들은 무료 라이브 앨범을 보상으로 받았다)로 인해 취소되어야 했지만, 국제 일정이 재조정되었고 1985년 하반기 미국과 일본에서 밴드 투어가 매진되었습니다.[18]1985년에 계획되었던 두 번째 영국 투어도 파산을 선언한 발기인 때문에 취소되었습니다.

듀오

리웨이는 1986년에 밴드를 떠났고 베일리와 커리의 남은 듀오는 7년 더 음악을 만들었습니다.[1]1986년 7월에 발매된 북미 싱글 〈Nothing in Common〉.미국은 54위, 캐나다는 68위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1987년, 그들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 Close to the Bone과 싱글 "Get That Love"가 발매되었는데, 이 앨범은 미국에서[7] 31위까지 올랐지만 영국에서는 66위에 그쳤습니다.[19]그 앨범은 상업적 실패였습니다.영국 앨범 차트 90위에 단 일주일만 머물렀고, 더 이상의 차트 싱글은 나오지 않았습니다.[19]

"In the Name of Love"는 1988년에 Sheep Pettibone의 리믹스가 영국에서 Top 50에 오른 후 새로운 삶의 활력소가 되었습니다.[4] 1989년에는 또 다른 스튜디오 앨범인 Big Trash의 발매와 워너 브라더스와의 새로운 녹음 계약이 있었습니다. 기록.[1]싱글 "Sugar Daddy"는 미국에서[7] 28위로 정점을 찍었고 주류 차트에서의 성공으로 그들의 마지막 붓이 될 것입니다.[1]1991년의 퀴어는 밴드의 백조곡이 될 것이며, 밴드의 정체를 클럽 DJ들에게 위장하기 위해 피드백 맥스(Fedback Max)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테크노 영감을 받은 싱글들의 지원을 받았습니다.싱글 "Come Inside"는 미국 댄스 차트에서[7] 7위, 영국 댄스 차트에서 1위에 올랐습니다.

이에 앞서 베일리와 커리(현재는 부부가 된)는 1988년에 첫 아이를 낳았고,[1] 그 후 몇 년 동안 그들은 1989년 블론디데보라 해리의 히트 싱글 "I Want That Man"을 포함한 다른 아티스트들을 위한 자료를 쓰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20]1990년, 베일리와 커리는 "Who Wants to Be a Millionaire?"라는 곡을 레드 기구에서 제작한 콜 포터 헌정 앨범 레드 핫 + 블루에 기고했습니다.1991년 베일리와 커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결혼식을 올렸고 이듬해 뉴질랜드로 이주했습니다.1992년, 톰슨 트윈스는 랄프 박시 영화 쿨 월드의 사운드트랙에 "Play with Me"라는 곡을 기고했고, 베일리는 두 번째 트랙인 "Industry and Suction"을 단독으로 기고했습니다.다음 해, 이 듀오는 엔지니어 Keith Fernley와 팀을 이루어 그들의 밴드 이름을 Babble로 바꿨습니다.그들은 두 장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습니다:The Stone (1993)과 Ether (1996).[1]

비록 베일리, 커리 그리고 리웨이가 2001년에 영국 채널 4 쇼 톱 텐 일렉트로 밴드에 함께 출연했지만, 톰슨 트윈스는 1980년대에 대한 향수의 유행에 발맞추기 위해 그들의 많은 동시대와 개혁의 예를 따르기를 거부했습니다.톰슨 트윈스는 9위에 올랐습니다.

애프터 더 트윈즈

Babble은 영화 Conheads (1993)와 With Honors (1994)에 수록된 곡들과 함께 The Stone (1993)[1]과 Ether (1996), 두 개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습니다.

1990년대 중반, 커리는 오클랜드에 유리 캐스팅 스튜디오를 설립하기 위해 음악 사업을 포기하고 두 아이들을 키우는데 집중했습니다.2001년, 그녀는 MadGE (Mothers Against Genetic Engineering in food and environment)라고 불리는 반유전 공학 단체를 설립하고 운영했고, 생명공학 산업이 뉴질랜드를 실험 장소로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저항 운동으로 뉴질랜드 전역에 수천 명의 여성들을 연결시켰습니다.[12]커리는 이 집단을 "우리의 음식과 땅에서 유전자 조작 물질의 사용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정치적으로 비동맹적인 여성들의 급속한 네트워크"라고 묘사했습니다.그 기간 동안 그녀는 새로운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인간 유전자를 가진 젖소를 유전적으로 변형시키는 윤리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키기 위해 광고판을 디자인했습니다.[21]젖 짜는 기계에 네 개의 가슴을 연결한 젊은 여성이 등장하는 이 광고판은 큰 논란을 일으켰지만 여러 국제 미술상을 수상했습니다.[22][23]베일리와 커리는 2003년에 이혼했고, 둘 다 영국에서 따로 살기 위해 뉴질랜드를 떠났습니다.커리는 후에 지미 코티(전 KLF)와 결혼하여 현재 런던에서 살고 있습니다.그녀는 "미스 포케노"[24]라는 가명으로 일하는 시각 예술가이자 안락의자 파괴주의자들과[25] 영구 저항의 자매들입니다.[26]런던에서 열린 여러 단독 전시회뿐만 아니라, 그녀의 작품은 길드홀 아트 갤러리와 게프리 박물관에서도 전시되었습니다.[27]

1999년, 베일리는 뉴질랜드 밴드 스텔라의 스튜디오 앨범 믹스에서 키보드를 제작하고 연주했으며, 2000년 뉴질랜드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프로듀서상을 수상했습니다.[28]그는 또한 사운드 트랙을 편곡했고 여러 영화에 기악곡을 제공했습니다.그는 International Observer라는 이름으로 계속 음악을 만들고 있으며 2001년 스튜디오 앨범 Seeen (2001), All Played Out (2005), 그리고 Felt (2009)[29]를 발매했습니다.그는 인도의 홀리워터 그룹과도 공연을 합니다.[30]2014년 톰프슨트윈스의 톰 베일리 역으로 다시 라이브 공연을 시작했고 이후 영국, 북미, 일본을 순회했습니다.2016년 데뷔 싱글 "Come So Far"를 발매.2018년 베일리는 사이언스 픽션이라는 제목의 데뷔 솔로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습니다.[31]

1986년 톰슨 트윈스를 떠난 후, 리웨이는 잠시 연기에 몰두했고 둘 다 성공적이지는 않았지만 솔로 음악 경력을 시도했습니다.2006년 현재 그는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으며 최면 치료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그는 Los Angeles 지역 Tarzana에 있는 HMI(Hypnosis Motivation Institute)의 직원이며, 신경 언어 프로그래밍의 공인된 트레이너이기도 합니다.[32]

이전의 멤버들은 다음과 같은 다른 일들을 계속해서:

  • 도드와 루그는 빅뷰(엣지 온 드럼)라는 밴드를 결성하고 1982년 포인트 레코드(톰슨 트윈스 출판사 머튼 소유)에서 발매한 싱글 "August Grass"를 녹음했습니다.[33]도드는 현재 체스터필드에서 프리랜서 기자로 일하고 있으며, Peter & the Wolves라는 이름의 자신의 History of Rock 앨범을 발매했습니다.Dodd는 Podgorski를 여전히 정기적으로 봅니다.도드와 존 루그는 "The Flow"[34]라는 밴드에서 연주합니다.
  • 루그는 체스터필드에 거주하며, 2011년 은퇴할 때까지 타워 햄릿 어덜트 서비스와 런던 램버스 자치구에서 고위직을 지냈습니다.그는 현재 피트 도드와 함께 플로우(Flow)[35]라는 밴드에서 연주하고 있습니다.
  • 셀리그먼은 런던의 한 로펌에서 일했고, 그 자신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매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 보이즈의 재결합에도 참여했습니다.[36]그는 일본인 아내와 딸과 함께 일본 센다이로 이사를 왔고, 2009년 토마스 돌비의 스튜디오 앨범 A Map of the Floating City에 기고했습니다.2012년 3월 11일 도호쿠 지진 이후 재건을 위한 모금 행사인 CD 센다이에서 얀 린튼과 공동 작업을 했습니다.셀리그먼은 2020년 COVID-19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했습니다.[37][38]
  • 벨은 런던에서 배스로 이주했고, Spear of Destiny, Gene Loves Jezebel, Hugh Conwell of the Stranglers에서 연주했습니다.[39]
  • 부스는 중국 음악 아티스트들의 제작과 개발을 도왔습니다.그녀는 현재 2022년 2월 9일부터 RIBA의 컨설턴트이자 총괄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40]

톰 베일리 솔로 쇼

베일리는 2014년 8월 17일 옥스퍼드셔주 헨리온템스템플 아일랜드 메도스에서 리와인드 사우스 페스티벌을 위해 27년 만에 처음으로 톰슨 트윈스의 노래를 라이브로 공연했습니다.[41]

2014년 베일리는 미국에서 열린 레트로 퓨투라 투어에 하워드 존스, 미지 우레, 차이나 크리시스, 카트리나 레스카니치와 함께 참여하기도 했습니다.[42]

그는 "톰슨 트윈스의 톰 베일리"라는 별명으로 2016년 영국과 북미에서 공연하며 해외 투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43]

2016년, 베일리는 클래식 팝 잡지의 '베스트 라이브 쇼' 상을 받았습니다.[44]

2018년, 베일리는 B-52'[45]s and Culture Club과 함께 미국 투어를 했습니다.

2022년 9월 3일, 베일리는 앨리스 오프리(베이스 기타 및 백 보컬), 샬롯 레이븐(키보드 및 첼로), 폴리나 슈체파니악(드럼 및 퍼커션)으로 구성된 밴드와 함께 'Into the Gap' 스튜디오 앨범 전체를 에일즈베리에서 처음으로 공연했습니다.영국(에일즈베리 워터사이드 극장)에서 매진된 관객들에게.

이번 공연에서는 톰슨트윈스의 히트곡 '위 아 디텍티브'의 깜짝 풀 라이브 무대도 선보였습니다.베일리는 2014년부터 밴드의 라이브 공연을 위한 워크온 음악 역할을 했던 곡을 완전히 기악적으로 재해석한 버전으로 제작했지만, 이 곡이 실제 세트의 일부로 등장한 것은 베일리가 톰슨 트윈스의 소재로 돌아온 이후 처음이었습니다.앨리스 오프리는 베이스 연주 외에도 알라나 커리의 보컬 파트를 맡았습니다.

수상 및 후보

연도 지명자 카테고리 결과 Ref.
폴스타 콘서트 인더스트리 어워드 1985 톰슨 트윈스 올해 가장 좋아하는 새 헤드라이너 지명했다 [46]
1986 가장 창의적인 여행 상품 지명했다 [47]
가장 창의적인 무대 세트 지명했다

인사

회원들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앨범

서지학

  • 톰프슨 쌍둥이 로즈 라우즈의 이상한 커플 (공식 전기).버진 북스, 1985.
  • 톰슨 트윈 마이클 화이트 80년대 회고록.출판사: 리틀, 브라운 (2000년 5월 4일).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d e f g h i j Stephen Thomas Erlewine. "Thompson Twins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31 January 2014.
  2. ^ Zaleski, Anne (26 February 2015). "Where to start with '80s U.K. synth-pop". The A.V. Club. Retrieved 27 August 2015.
  3. ^ Roberts, David (1998). Guinness Rockopedia (1st ed.). London: Guinness Publishing Ltd. p. 448. ISBN 0-85112-072-5.
  4. ^ a b c d e f g h i j k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557. ISBN 1-904994-10-5.
  5. ^ [1]2009년 1월 18일 archive.today에서 보관.
  6. ^ "The "Lost" Listen To London Documentary! – 1981 Film about Post Punk Indy Rebellion in UK". Listentolondon.net. Retrieved 31 January 2014.
  7. ^ a b c d e f g h i j k "Thompson Twins Awards". AllMusic. Retrieved 31 January 2014.
  8. ^ a b "Lost Idols". Lostidols.com. Retrieved 31 January 2014.
  9. ^ Mehler, Mark (June 1983). "Either Get into Context or Butt Out of Life Altogether". Record. 2 (8): 6.
  10. ^ Wallace, Gary (6 March 2013). "British Chart Singles: Love On Your Side – Thompson Twins". Britishchartsingles.blogspot.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14. Retrieved 17 April 2014.
  11. ^ "We Are Detective – Thompson Twins". British Chart Singles. May 2013. Retrieved 17 April 2014.
  12. ^ a b "Hear Me Now by Gilbert Wong". Theage.com.au. Melbourne. 11 January 2004. Retrieved 27 October 2009.
  13. ^ "13 of the best and most iconic band logos". Classic Pop. Retrieved 24 May 2022.
  14. ^ "Hold Me Now – Thompson Twins". British Chart Singles. 4 December 2013. Retrieved 17 April 2014.
  15. ^ [2][데드링크]
  16. ^ "Doctor Doctor – Thompson Twins". British Chart Singles. 19 February 2014. Retrieved 17 April 2014.
  17. ^ "BPI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5. Retrieved 15 October 2021.
  18. ^ Tobler, John (1992). NME Rock 'N' Roll Years (1st ed.). London: Reed International Books Ltd. p. 408. CN 5585.
  19. ^ a b "The Thompson Twins full Official Chart History Official Charts Company". Officialcharts.com.
  20. ^ Colin Larkin, ed. (1997).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Concise ed.). Virgin Books. p. 1176. ISBN 1-85227-745-9.
  21. ^ 알라나 커리: Anti-GM Queen 2016년 3월 3일, Investigate 잡지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2003년 1월.
  22. ^ DNA: Art & Science / Double Helix, USF Contemporary Art Museum, 2004.
  23. ^ NZ '밀크드 우먼' 빌보드 캠페인, Cabi.org , 2003년 10월
  24. ^ "To Die For – She was the crazy-haired singer in 80s synth-pop band the Thompson Twins. Now Alannah Currie is back, in a new incarnation as artist-upholsterer". The Guardian. London. 26 April 2008. Retrieved 27 October 2009.
  25. ^ 안락의자 파괴주의자 행동 1, 유튜브, 2009.
  26. ^ 포테이토 대포 발사! The Sisters of Permanent Resistance Take Their Art to The Streets, The Guardian, 2015 10월
  27. ^ 소니아 솔라리가 빅토리아나를 통해 우리에게 말을 건다: 부활의 기술, 타임 아웃 런던, 2013년 9월.
  28. ^ [3]Wayback Machine에서 2007년 12월 10일 보관
  29. ^ Rick Anderson (8 September 2009). "Felt – International Observer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AllMusic. Retrieved 31 January 2014.
  30. ^ "Holiwater". Holiwater.com. Retrieved 31 January 2014.
  31. ^ Shapiro, Eileen (29 May 2018). "The Thompson Twins, Tom Bailey: interview". Louder Than War. Retrieved 22 May 2022.
  32. ^ "Changing Timelines with Joe Leeway". HMI. Retrieved 22 May 2022.
  33. ^ "BigViewAugustGrass". Discogs. Retrieved 11 November 2008.
  34. ^ "The Flow". Facebook. Retrieved 24 April 2018.
  35. ^ "Musicians and singers support Record Store Day by performing at Real Time Live, Chesterfield". Matlockmercury.co.uk. Retrieved 24 April 2018.
  36. ^ "October Spooktacular Eventide H910 and H949 Harmonizer TDM Plug-in Combo Only 99". Bassplaye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February 2014. Retrieved 31 January 2014.
  37. ^ Irwin, Corey. "Bassist Matthew Seligman Dead of COVID-19". Ultimate Classic Rock. Retrieved 18 April 2020.
  38. ^ Crowley, James (18 April 2020). "Musicians Mourn the Loss of Soft Boys, David Bowie Bassist Matthew Seligman". Newsweek. Retrieved 21 April 2020.
  39. ^ Dave Thompson. "Spear of Destiny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31 January 2014.
  40. ^ "Caralinda Booth on LinkedIn". LinkedIn. Retrieved 23 May 2022.
  41. ^ [4][영구 데드링크]
  42. ^ Spears, Steve (30 January 2014). "Regeneration Tour 2014 to feature Thompson Twins' Tom Bailey, Howard Jones, Midge Ure and China Crisis Tampa Bay Times". Tampaba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14. Retrieved 5 April 2014.
  43. ^ "Thompson Twins' Tom Bailey Full Concert Listings on". Songkick.com. Retrieved 5 April 2014.
  44. ^ "New issue of Classic Pop on sale now! - Classic Pop Magazine". Classicpopmag.com. 18 March 2016. Retrieved 24 April 2018.
  45. ^ "The Life Tour: Boy George & Culture Club and The B-52s with special guest Thompson Twins' Tom Bailey". Visitrenotahoe.com. Retrieved 14 April 2018.
  46. ^ "Pollstar Awards Archive - 1984". 20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17. Retrieved 15 October 2021.
  47. ^ "Pollstar Awards Archive - 1985". 20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17. Retrieved 15 October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