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롬박산 B2
Thromboxane B2![]() | |||
| |||
이름 | |||
---|---|---|---|
선호 IUPAC 이름 (5Z)-7-{{(2R,3S,4S,6ξ)--4,6-디히드록시-2-[(1E,3S)-3-히드록시-1-엔-1-yl)옥산-2-yl}헥산-5-에노산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체비 | |||
ECHA InfoCard | 100.165.003 ![]() | ||
메슈 | 트롬박산+B2 | ||
펍켐 CID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특성. | |||
C20H34O6 | |||
어금질량 | 370.48 g/190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 ![]() ![]() | |||
Infobox 참조 자료 | |||
트롬박산 B2는 트롬박산 A2의 비활성 대사물이다.그것은 소변에서 거의 완전히 깨끗하다.
상처 발생 시 혈소판 활성화와 집적에는 그 자체가 관여하지 않지만, 그 전구체인 트롬박산 A2는 그렇다.트롬박산 A2 합성은 COX-1 효소(혈소판 A2의 근원)를 억제하는 약물 아스피린의 표적이다.[1]
2-(3,4-Di-Hydroxyphenyl)-에탄올(DHPE)은 엑스트라비긴 올리브 오일의 페놀 성분이다.DHPE를 함유한 올리브 오일 분율은 시험관내 혈소판 응집과 트롬박산 B2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2]
참조
- ^ "Definition: thromboxane b2 from Online Medical Dictionary". Retrieved 2008-11-02.
- ^ 올리브 오일의 페놀 성분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 및 아이코사노이드 생성.안나 페트로니, 밀레나 블라세비치, 마르코 살라미, 나디아 파피니, 지안 F.몬테도로와 클라우디오 갈리아, 혈전증 연구, 1995년 4월 15일, 제78권, 제2호, 제151-160쪽, doi:10.1016/0049-3848(95)000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