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베넷

Tim Bennett

팀 베넷(Tim Bennett, 1973년 출생)은 독일에서 활동하는 영국의 예술가다.그는 조각과 설치 작품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조기생활과 교육

그는 로치데일에서 태어났다.1991년 A레벨을 마친 후 베넷은 유럽을 여행하고 일하면서 요리사로 훈련하기 위해 독일에 정착했다.[1]2000년(벤 윌리켄스와 헤르만 피트즈)부터 미술 공부를 시작해 2006년 졸업장을 마쳤다.쿠사누스베르크로부터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에서 미술 석사학위를 받은 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런던에서 살았다.2008년부터 그는 독일 뮌헨에서 살고 일한다.

경력

연구에 앞서 베넷은 초상화를 통해 수입을 보충했다.[2]1998년부터 2000년까지 석공으로서 일한 경험이 조각에 대한 그의 관심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3]그의 초기 조각 작품은 스타일은 비유적이었지만, 현재 그가 행하고 있는 금속, 돌, 석고, 석고판과 같은 많은 재료들을 특징으로 했다.이 시기의 핵심 작품은 그의 졸업장 작품인 글리프테로, 모델링 스탠드에 철사-메쉬 헤드로 구성되며, 인근 벽에서 떨어져 나온 석고 조각과 결합되어 있다.

골드스미스에서 베넷은 변덕에서 벗어나 그의 언급 범위를 넓히기 시작했다.그의 마지막 해 전시회인 에덴과 프란시스는 금속의 착각을 일으키기 위해 칠한 석고판으로 만들어진 5m 길이의 벽을 특징으로 했다.2009년[4] 프레이징의 디외제산뮤지엄에서 또 다른 형태의 벽인 에덴2가 상영되었고 2009년에는 Reducation & Streusion에 그려진 벽이 그려졌다.[5]2007년 라움 주 뮌헨의 BBK에서 대규모 설치를 위해, 그는 다시 플라스터 보드를 사용하여 4m 높이의 나무를 만들었는데, 그 모양은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인 멜렌콜리아 1세를 참조한다.

Bourdieu's Distriction의 안내: 취향의 판단에 대한 사회적 비판적인 베넷의 후기 작품은 높은 예술낮은 예술, 미술과 공예, 엘리트주의포퓰리즘의 구별을 가지고 놀면서 더 유머러스하고 알고 있는 자기 연민적이 되었다.2014년 조 반 데어 루에서 열린 첫 개인전을 위해 베넷은 회반죽 을 만들기 위해 작은 공간을 벽으로 막았다.미술의 전통 언어와 비미술적인 제스처를 결합한 그는 구멍이 뚫린 출구 구멍에서 나온 석고 파편을 이용해 대리석 판 위에 놓인 방의 중앙 조각품을 만들었다.벽과 마찬가지로 플린트는 베넷 작품에서 재발하는 모티브다.베넷은 그의 조각품들을 2차원적인 작품들로 선보이기로 선택했는데, 종종 인타시아의 과정과 관련이 있다.시간이 낭비되는 것이다. 이것들은 다시 높은 예술 요소와 낮은 예술 요소들을 결합한 석고 대리석으로 덮인 칩보드로 구성되었다.조반 드 루, me_is___ter에서 두 번째 공연을 위해, 그는 석고판에 뚫린 구멍에 젖은 석고를 부어 만든 시리즈 '음모 구름'을 전시했다.이 작품은 예술이 지닌 천재의 전통적인 이야기와 그의 걸작을 다루기 위해 잘 알려진 모더니즘적 제스처를 채택하고 있다.[6]

팀 베넷은 벨레티지 주 GiG 뮌헨에서 열린 2017 전시회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과정을 탐험했다.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그는 2017년 Specendium für Bildende Kunst der Landeshauptstadt München을 수상하였다.[7]

수수료

팀 베넷은 'Kunst am Bau' 프로그램 'Quivid'에 참여하여 2013년 에스워 아인바움, 2017년 마이움 등을 완성했다.[8]쿤스트암 지프(Kunst am ZiF)는 2018년 트로피를 위탁했는데, 이 트로피는 의인적으로 보이는 조각상들의 시리즈였다.[9][10]그의 가장 최근 커미션인 '스프링 어게인(Spring Again)'은 뮌헨의 에를뢰세르키르체(Erlöserkirche)를 위한 것으로 공연과 조각으로 구성돼 있다.[11]

선정전람회

  • 2010: Das ist Program, Steinle Century, Munich
  • 2010: Membrital Structures, Kunstberin SUSI, 쾰른
  • 2011년: 트렌드디자인, 글라스무그, 쾰른
  • 2011: 뮌헨 쿤스트라움, 사이드라인
  • 2012년: 모든 것이 밝고 부서짐, 갤러리 얀, 뮌헨
  • 2013년: 콘스트라크트, 갤러리 얀, 뮌헨
  • 2014:비엔베뉴, 갤러리 , 뮌헨
  • 2014년: 시간은 낭비, 뮌헨의 조반 드 루
  • 2015년: 지금, 갤러리 베지르크 오버바이에른
  • 2016: me_is___ter, Jo van de Lou, Munich
  • 2017: 벨레티지, GiG 뮌헨, 뮌헨
  • 2018: 트로피, 지프, 빌레펠트
  • 2018: 뮌헨 에를뢰세르키르슈의 봄 어게인

참조

  1. ^ "Stein neu ordnen". Stein. 3 April 2017. Retrieved 16 April 2018.
  2. ^ "Stein neu ordnen". Stein. 3 April 2017. Retrieved 16 April 2018.
  3. ^ "Stein neu ordnen". Stein. 3 April 2017. Retrieved 16 April 2018.
  4. ^ Paradies : neue Blicke auf einen alten Traum ; [anlässlich der Ausstellung "Paradies – Neue Blicke auf einen Alten Traum" im Diözesanmuseum Freising, 15. März bis 28. Juni 2009]. Hahn, Sylvia,, Ausstellung Paradies – Neue Blicke auf einen Alten Traum <2009, Freising>. Berlin: Dt. Kunstverl. 2009. ISBN 9783422068988. OCLC 318217567.{{cite book}}: CS1 maint : 기타(링크)
  5. ^ Reduction & suspense Dave Allen ... ; [anlässlich der Ausstellung Reduction & Suspense, vom 4. Juli bis 23. August 2009 ; Veranstalter: Magazin 4 – Bregenzer Kunstverein]. Allen, Dave, 1963–, Fetz, Wolfgang, 1958–, Magazin 4, Vorarlberger Kunstverein, Ausstellung Reduction & Suspense <2009, Bregenz>. Hohenems: Bucher. 2009. ISBN 9783902679697. OCLC 700068963.{{cite book}}: CS1 maint : 기타(링크)
  6. ^ de Assis, Paolo (2017). Aberrant Nuptials, DARE 2017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leuze and Artistic Research. Ghent, Belgium: Orpheus Research Centre, Orpheus Institute, Ghent. pp. 146–147. ISBN 9789490389055.
  7. ^ Redaktion, Landeshauptstadt München. "Stipendien für Bildende Kunst". Landeshauptstadt München (in German). Retrieved 27 April 2018.
  8. ^ oe, das. "QUIVID – Kunst am Bau, Kunst im öffentlichen Raum – Stadt München". www.quivid.com. Retrieved 27 April 2018.
  9. ^ "Tim Bennet – Trophies". www.uni-bielefeld.de. Retrieved 27 April 2018.
  10. ^ WESTFALEN-BLATT. "Der Reiz des Zerstörten". Westfalen-Blatt (in German). Retrieved 23 April 2018.
  11. ^ Schwabing, NIcole Graner (2018). "Das Leuchten der Lauchzwiebel". sueddeutsche.de (in German). ISSN 0174-4917. Retrieved 22 May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