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리다테스 3세
Tiridates III of Armenia티리다테스 3세 | |
---|---|
아르메니아 왕 | |
통치. | 서기 c.298~330년 |
전임자 | 호스로프 2세 |
후계자 | 호스로프 3세 |
태어난 | 서기 250년대 |
죽은 | c.330 AD |
매장 | |
컨소시엄 | 아슈켄 |
쟁점. | 호스로프 3세 살로메 |
다이너스티 | 아르사크 왕조 |
아버지. | 호스로프 2세 |
종교 | 조로아스터교(301년 [1]이전) 아르메니아 기독교(301년 이후) |
시리즈의 일부 |
동양 정교회 |
---|
동방 정교회 |
기독교 포털 |
Tiridates III (Armenian: Տրդատ Գ Trdat III; c. AD 250 – c. 330), also known as Tiridates the Great (Armenian: Տրդատ Մեծ Trdat Mets), or Tiridates IV, to distinguish him from another Tiridates thought to have ruled several years earlier, was an Armenian Arsacid king[2] (298 – c. 330).301년, 티리다테스는 기독교를 아르메니아 국교로 선포하여 아르메니아 왕국을 공식적으로 [3]기독교를 받아들인 첫 번째 국가로 만들었다.
이름.
티리다테스(Tiridates)의 이름은 파르티아어 이름 Trdat(Trdat)의 그리스 변형어로,[4] "티르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의미이다. 비록 조로아스터교의 아베스타 문헌에는 티르가 등장하지 않지만,[5] 그는 종교에서 유명한 야자타(천사)이다.이 이름은 Terdates, Teridates, Teridatios 및 Tiridatios와 같은 다른 그리스 변형에서도 나타납니다.시리아어에서는 투라다티스로, 라틴어에서는 티리다테스로 나타난다.[6]
유아기
티리다테스 3세는 아르메니아 호스로프 2세의 아들로, 후자는 아르다시르 1세의 명령으로 파르티아인 요원 아낙에 의해 252년에 암살되었다.티리다테스는 코스로비두크트라는 이름의 자매가 한 명 이상 있었고 그의 친할아버지 아르메니아 티리다테스 2세의 이름과 같았다.아낙은 대부분의 가족과 함께 붙잡혀 처형되었고, 그의 아들인 일루미네이터 그레고리는 카파도키아의 카사리아에서 보호되었다.왕위 계승자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티리다테스는 아직 어린 시절 아버지가 암살된 직후 로마로 끌려갔다.그는 로마에서 교육을 받았고 언어와 군사 [7][8]전술에 능했다. 게다가 그는 로마법을 확실히 이해하고 이해했다.아르메니아 역사학자 모베스 호레나치는 그를 적에 대항하는 전투에 참여했고, 개인적으로 많은 전투에서 그의 군대를 승리로 이끈 강하고 용감한 전사라고 묘사했다.
킹십
270년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는 동부 전선에서 파르티아인들을 대체한 사산족과 교전했고 그는 그들을 몰아낼 수 있었다.현재 페르시아가 점령한 아르메니아 왕좌의 진정한 후계자 티리다테스는 아르메니아에 와서 재빨리 군대를 일으켜 298년 적을 몰아냈다.티리다테스가 아르메니아로 돌아왔을 때,[9] 그는 바그하르사파트를 그의 수도로 삼았다. 그것은 그의 돌아가신 아버지의 수도였다.
한동안 운명은 티리다테스를 선호하는 것 같았다.적들을 쫓아냈을 뿐 아니라 아시리아로 무기를 들고 들어갔어요그 당시 페르시아 제국은 정신이 산만한 상태였다.왕좌는 경쟁하는 두 형제 호르무즈와[citation needed] 나르세스의 야망에 의해 논쟁되었다.그러나 내전은 곧 종결되었고 나르세스는 페르시아의 왕으로 널리 인정받았다.나르세스는 그리고 나서 그의 모든 군대를 외국 적에게 향했다.그 후 경쟁은 너무 불평등해졌다.티리다테스는 다시 한번 로마인들에게 피난을 갔다.로마-아르메니아 동맹은 특히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제국을 통치하는 동안 더욱 강해졌다.이것은 티리다테스의 양육과 페르시아의 지속적인 침략 그리고 아낙에 의한 그의 아버지의 살해에 기인할 수 있다.디오클레티아누스의 도움으로 티리다테스는 페르시아인들을 아르메니아에서 [7]몰아냈다.299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페르시아의 [10]공격에 대비해 완충지대로 사용하기 위해 아르메니아를 준독립국가로 떠났다.
297년, 티리다테스는 아슈켄이라고 불리는 알라니 공주와 결혼하여 세 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호스로프 3세라고 불리는 아들, 살로메라고 불리는 딸, 그리고 세인트루이스와 결혼한 다른 딸.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초기 카톨릭 신자 중 한 명인 후식 1세.
변환
티리다테스 3세 Սբ. Տրդատ Մեծ թագավոր | |
---|---|
아르메니아 왕 | |
휴식처 | 아르메니아 에르진칸 케마 |
존경의 대상 | 동양 정교회 가톨릭 교회 |
잔치 | 오순절(아르메니아 사도교회)[11] 이후 다섯 번째 일요일 이전 토요일 |
특성 | 왕관 검 건너다 글로버스 크루시거 |
후원. | 아르메니아 |
왕과 국가의 개종에 대한 전통적인 이야기는 주로 "아르메니아인의 [12]역사"라는 제목의 아가탄젤로스의 5세기 작품에 바탕을 두고 있다.아낙의 아들인 일루미네이터 그레고리(Gregory the Illuminator)가 기독교 신자로 자랐고 아버지의 죄에 죄책감을 느껴 아르메니아 군대에 입대해 왕의 비서로 일했다는 내용이다.아르메니아 기독교는 3세기 말까지 확고한 기반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나라는 여전히 조로아스터교를 따랐다.티리다테스도 다양한 고대 신들을 숭배했기 때문에 예외는 아니었다.조로아스터교의 종교 의식 동안 티리다테스는 그레고리에게 에리자에 있는 아나히트 여신상의 발치에 화환을 놓으라고 명령했다.그레고리는 그의 기독교 신앙을 선언하며 거절했다.이 행동은 왕을 화나게 했다.그의 분노는 몇몇 사람들이 그레고리가 사실은 티리다테스의 아버지를 죽인 반역자 아낙의 아들이라고 선언했을 때 더욱 심해졌다.그레고리는 고문당하고 마침내 깊은 지하감옥인 Khor Virap에 던져졌다.
그레고리가 수감된 몇 년 동안, 가야네가 이끄는 처녀 수녀들이 기독교 신앙의 로마 박해를 피해 아르메니아로 왔습니다.Tiridates는 그 그룹과 멤버 중 한 명인 Rhipsime의 전설적 아름다움에 대해 들었다.그는 그들을 궁전으로 데려와서 아름다운 처녀와 결혼하자고 요구했지만 그녀는 거절했다.왕은 일당 전체를 고문하고 살해했다.이 사건 이후 그는 병에 걸렸고 전설에 따르면 멧돼지의 행동을 받아들여 숲 속을 정처 없이 돌아다닌다.Khosrovidukht는 그레고리가 아직 지하감옥에 살아 있는 꿈을 꾸었고, 그는 왕을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다.이 시점에서 그가 수감된 지 13년이 지났고 그가 살아있을 가능성은 희박했다.그들은 그를 구했고, 엄청나게 영양실조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살아있었다.그는 그를 위해 매일 Khor Virap에 빵 한 덩어리를 던져주는 친절한 여자에 의해 살아있었다.
티리다테스는 그레고리에게 데려왔고 [13]301년에 기적적으로 그의 병이 나았다.치료제의 힘에 설득된 왕은 즉시 기독교를 공식 국교로 선포했다.따라서 아르메니아는 명목상 기독교 왕국이 되었고 공식적으로 기독교를 채택한 첫 번째 국가가 되었다.티리다테스는 그레고리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카톨릭 신자로 임명했다.
사실 기독교로의 개종은 아르메니아 역사에서 결정적이고 중추적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아르메니아 아르사쿠니족(아르샤쿠니족)[14]에 의한 아르메니아 기독교화는 부분적으로 사산족에 대한 반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통치 기간
전통적인 조로아스터교에서 기독교로의 전환은 쉽지 않았다.티리다테스는 종종 이 새로운 신앙을 사람들에게 강요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했고 아르메니아 사람들에게 깊이 뿌리박힌 조로아스터교 때문에 많은 무력 충돌이 뒤따랐다.왕의 세력과 조로아스터 진영 사이에 실제 전투가 벌어졌고, 이로 인해 다신교의 군사력이 약화되었다.그래서 티리다테스는 모든 고대 신념을 없애기 위해 그의 여생을 보냈고 그렇게 함으로써 수많은 조각상, 사원, 문서들을 파괴했다.그 결과 고대 아르메니아 역사와 문화에 대해서는 현지 자료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왕은 신앙을 전파하기 위해 열심히 일했고 330년에 죽었다.모베스 코레나치는 나카라르 가문의 몇몇 사람들이 티리다테스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몄고 결국 그를 [15]독살했다고 말한다.
티리다테스 3세, 아슈켄, 호스로비두크트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나아가 모든 동양정교회 성인으로, 그들의 축제일은 오순절 [16]이후 다섯 번째 일요일 이후 토요일이다.이 축제 날에 '왕에게'가 [17]노래된다.그들의 축제일은 보통 6월 30일 전후입니다.
매장지
티리다테스는 에르진칸 지방의 케마 지구에 위치한 익명으로 폐허가 된 요새인 닥터다퍼트(Drdadpert, 현지어 Durnakale)에 매장되어 있다고 한다.이 요새는 성 그레고리오 조명자 수도원(수프 크리코르 루사보리치 반크, 현지에선 샹켈반크)과 생트갈레(마네)[18]의 동굴 근처에 있다.
갤러리
일루미네이터 그레고리, 티리다테스 3세 세례
티리다테스 3세는 그의 아내 아슈켄과 나그하시 호브나탄의 여동생 호스로비두크와 함께.
티리다테스 3세와 그레고리, 에흐미아진
레퍼런스
- ^ 커티스 2016, 페이지 185; de Jong 2015, 페이지 119–120, 123–125, 러셀 1987, 페이지 170–171
- ^ Edwards, Iorwerth Eiddon Stephen; Gadd, Cyril John;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Boardman, John; Walbank, Frank William; Lewis, David Malcolm; Bowman, Alan; Astin, A. E.; Garnsey, Peter (1970).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0199-2.
- ^ 빈스, 존.기독교 정교회 소개케임브리지: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2, 30페이지ISBN 0-521-66738-0.
- ^ Schmitt 2005; Russell 1987, 페이지 386; Rapp 2014, 페이지 263
- ^ 러셀 1987, 페이지 382
- ^ 러셀 1987, 페이지 386
- ^ a b (in Armenian) Grigoryan, V. «Տրդատ Գ Մեծ» (Tiridates III the Great).아르메니아어 백과사전 제12권예레반, 아르메니아 SSR, 1987, 94페이지
- ^ (아르메니아어) Moveses Korenatsi.5세기 아르메니아 역사.Gagik Sarkisyan (ed.) 예레반:하야스탄 출판사, 1997년, 2.79.ISBN 5-540-01192-9.
- ^ 십자군 전쟁 중 킬리시아의 아르메니아 왕국 가자리안: 칠리시아 아르메니아인과 라틴인의 통합, 1080-1393, 페이지 173
- ^ 반스, 티모시 데이비드, 콘스탄틴 및 유세비우스,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81), 18.
- ^ 도마르: 아르메니아 정교회의 달력 및 전례 주기, 아르메니아 정교회 신학 연구소, 2002, 페이지 443.
- ^ http://www.vehi.net/istoriya/armenia/agathangelos/en/AGATHANGELOS.html Agathangelos, St.의 역사그레고리와 아르메니아 개종
- ^ 이 이야기는 아르메니아 서기 아가탄젤로스가 그의 성인의 역사에서 언급하고 있다. 그레고리와 아르메니아 개종.
- ^ Boyce, Mary (2001).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Psychology Press. p. 84.
(..) - and there is no doubt that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Parthian period Armenia was a predominantly Zoroastrian adhering land. Thereafter, it embraced Christianity (partly, it seems, in defiance of the Sasanians)... (...)
- ^ 코레나치를 움직이다.아르메니아 역사, 2.92
- ^ 아르메니아 성자 전기, St Drtad (250-330) 웨이백 머신에 2012-08-14 아카이브
- ^ 성자 전기그레고리
- ^ "Monastery or Desert of the Holy Illuminator or of the Grotto of Mane".
참고 문헌
- Curtis, Vesta Sarkhosh (2016). "Ancient Iranian Motifs and Zoroastrian Iconography". In Williams, Markus; Stewart, Sarah; Hintze, Almut (eds.). The Zoroastrian Flame Exploring Religion, History and Tradition. I.B. Tauris. pp. 179–203. ISBN 9780857728159.
- Mardirossian, Aram (2001). "Le synode de Valarsapat (491) et la date de la conversion au christianisme du Royaume de Grande Arménie (311)". Revue des Études Arméniennes. 28: 249–260. doi:10.2143/REA.28.0.505082. ISSN 0080-2549. (프랑스어)
- Thomson, Robert W. (1997). "Constantine and Trdat in Armenian tradition". Acta Orientalia Academiae Scientiarum Hungaricae. 50 (1/3): 277–289. ISSN 0001-6446. JSTOR 23658223.
- Kettenhofen, Erich (2002). "Die Anfänge des Christentums in Armenien". Handēs Amsōreay. 116: 45–104. OCLC 5377086. (독일어)
- Kettenhofen, Erich (1995). Tirdād und die Inschrift von Paikuli: Kritik der Quellen zur Geschichte Armeniens im späten 3. und frühen 4. Jh. n. Chr. Reichert Verlag. ISBN 9783882268256. (독일어)
- Zuckerman, Constantin (1994). "Les campagnes des tétrarques, 296-298. Notes de chronologie". Antiquité Tardive. 2: 65–70. doi:10.1484/J.AT.2.301153. ISSN 1250-7334. (프랑스어)
- Chaumont, Marie-Louise (1996). "Une visite du roi d'Arménie Tiridate III à l'empereur Constantin à Rome ?". In Garsoïan, Nina (ed.). L'Arménie et Byzance: Histoire et culture. Paris: Éditions de la Sorbonne. pp. 55–66. ISBN 9782859448240. (프랑스어)
- Walburg, Karin Mosig (2006). "Der Armenienkrieg des Maximinus Daia".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55 (2): 247–255. ISSN 0018-2311. JSTOR 4436812. (독일어)
- Russell, James R. (1987). Zoroastrianism in Armenia.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68509.
- Manaseryan, Ruben (1997). Հայաստանը Արտավազդից մինչև Տրդատ Մեծ [Hayastaně Artavazdic' minc'ev Trdat Mēc] (Armenia from Artavazd to Trdat the Great). Yerevan: Areg. OCLC 606657781. (아르메니아어)
- de Jong, Albert (2015). "Armenian and Georgian Zoroastrianism". In Stausberg, Michael; Vevaina, Yuhan Sohrab-Dinshaw; Tessmann, Anna (eds.). The Wiley Blackwell Companion to Zoroastrianism. John Wiley & Sons, Ltd.
- Rapp, Stephen H. (2014). The Sasanian World through Georgian Eyes: Caucasia and the Iranian Commonwealth in Late Antique Georgian Literature. Farnham: Ashgate Publishing. ISBN 978-1-4724-2552-2.
- Schmitt, Rüdiger (2005). "Personal Names, Iranian iv. Parthian Period".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